맨위로가기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피렌체 공작으로, 그의 통치는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그는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로마에서 보냈으며, 1530년 피렌체 포위전 이후 국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1532년 세습 공작이 되었으나, 1534년 클레멘스 7세 사후 전제 정치로 전환하여 친족과 유력자들을 추방하고 포르테차 다 바소 건설로 시민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 그는 예술 후원을 했지만, 가혹한 통치로 인해 많은 피렌체인들이 망명했다. 1537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사후 메디치 가문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 의해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 - 마르셀 자콥스
    마르셀 자콥스는 이탈리아 육상 선수로, 도쿄 올림픽 100m와 4x1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00m 유럽 신기록을 세우는 등 이탈리아 육상 역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 1537년 사망 - 폐비 신씨
    폐비 신씨는 연산군의 왕비였으나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고,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5남 3녀를 두었으며, 폐위 후 거창군부인으로 강등되어 중종의 배려 속에 한양에서 여생을 보냈다.
  • 1537년 사망 - 이지방 (1466년)
    이지방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여진족 토벌에 참여하고 종성부사, 회령부사 등을 역임하며 변경 지역을 다스렸으며, 의주목사, 경상좌도수군절도사 등을 지냈고, 명나라에 책봉주청사로 파견되기도 했으며, 평안도병마절도사 재임 시절에는 의주성 개축과 여진족 방어에 힘썼다.
  • 1510년 출생 - 오다 노부히데
    오다 노부히데는 오와리 국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이며, 사이토 도산, 이마가와 요시모토 등과 대립하며 오와리 지역 세력 확장에 힘썼으나, 가문 내부 분쟁과 주변 세력과의 싸움으로 오와리 통일에는 실패했고, 지략과 용맹함을 갖췄지만 시대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510년 출생 - 장 구종
    장 구종은 16세기 프랑스 매너리즘 조각가로, 앙리 2세의 왕실 조각가로 임명되어 활동했으며, 퐁텐블로파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종교 전쟁을 피해 이탈리아로 망명하여 사망했다.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로마자 표기Alessandro de' Medici
칭호피렌체 공작
재위 기간1532년 5월 1일 – 1537년 1월 6일
출생일1510년 7월 22일
출생지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537년 1월 6일
사망지피렌체, 피렌체 공국
종교가톨릭교
가족
배우자마르게리타 다즈부르고 (1536년 결혼)
아버지로렌초 데 메디치, 또는 교황 클레멘스 7세
어머니시모네타 다 콜레베키오
자녀
사생아줄리오 데 메디치
줄리아 데 메디치
포르치아 데 메디치
통치
선대 공작이폴리토 데 메디치
후대 공작코시모 1세 데 메디치
이미지
야코포 다 폰토르모가 그린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초상화
야코포 다 폰토르모의 초상화, 필라델피아 미술관

2. 생애

피렌체 공작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통치는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초기에는 온건한 통치를 펼치며 "상식과 정의감은 백성들의 애정을 얻었고", "민중과 무력한 자들의 옹호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발라드와 노벨라에서도 그렇게 기록되었다."[15][24] 그는 조르조 바사리, 야코포 폰토르모, 벤베누토 첼리니, 안토니오 다 상갈로 젊은이 등의 예술가들을 후원하며 주목할 만한 작품을 의뢰했다.[30][31]

그러나 1534년 클레멘스 7세 사후 전제 정치로 전환하여, 와 부자, 추기경, 추기경 등 친족과 유력자들을 추방했다.[47][48] 또한 포르테차 다 바쏘를 건설하여 시민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29][48] 망명자들은 그의 통치를 가혹하고 타락했다고 여겼다.[32]

1535년 반(反) 메디치 세력은 이폴리토를 카를 5세에게 보내 알레산드로의 불만을 호소하려 했으나, 이폴리토는 튀니스로 가는 배를 타기 전 독살당했다.[85][86][87] 알레산드로의 사주 의혹이 있었으나,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황제에게 알레산드로의 덕과 명성을 변호했고, 카를 5세는 알레산드로를 계속 지원했다.[28][85][87]

1536년 카를 5세는 클레멘스 7세와의 약속을 지켜 그의 딸 오스트리아의 마르게리타를 알레산드로와 결혼시켰다.[34] 같은 해 4월, 피렌체에 입성한 황제에게 일단 시문의 열쇠를 넘겨주고 다시 황제로부터 열쇠를 받았다. 이는 피렌체 공의 권위가 황제로부터 부여된 것임을 상징했다.[49] 알레산드로는 정부 타데아 말라스피나에게서 율리오 데 메디치와 율리아 데 메디치를 낳았다.[35]

2. 1. 출생과 가문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피렌체에서 태어났으며, 로렌초 2세가 남긴 유일한 아들이다.[58] 1519년, 그가 9살 때 아버지 로렌초 2세가 사망하면서, 당시 피렌체의 비공식적인 국가원수였던 아버지의 지위를 이어받게 되었다. 일설에는 알레산드로가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라는 주장도 있었으나,[57] 당대 사람들은 그를 로렌초 2세의 아들로 인정하였다.[58] 그의 별명은 "일 모로"(무어인)였는데, 이는 검은 피부색과 이목구비가 무어인과 비슷했기 때문이다.[59][60][61][62]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가 메디치 가문에서 일하던 아프리카계 하인에게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59][60][61][62]

메디치 가문의 문장


메디치 은행을 창업한 조반니 디 비치(1360–1429)가 축적한 부를 바탕으로 메디치 가문은 학문과 예술 분야를 후원하며 명성을 얻었다. 그의 아들 코시모 시대에 메디치는 피렌체의 지배 가문으로 군림하였고, 증손자 로렌초 데 메디치(1449~1492) 대에 이르러 가문의 황금기를 맞았다. 그러나 로렌초의 말년에 가업이 기울었고, 대부분의 메디치 은행은 도산하였다.[63] 1494년 프랑스 군대가 피렌체를 침공했을 때, 로렌초의 장남 피에로는 무능하게 대처하다 항복했고, 시민들은 폭동을 일으켜 메디치 일족을 피렌체에서 추방했다.[64] 1512년, 교황과 스페인 군의 도움으로 메디치 가문은 피렌체의 통치권을 회복하였다.[65]

알레산드로는 어린 시절을 로마에서 보냈으며, 피에리오 발레리아노 볼차니로부터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15] 네무르 공작 줄리아노 데 메디치(1516년),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2세 데 메디치(1519년), 교황 레오 10세(1521년)가 사망한 후, 율리오 추기경(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은 남은 메디치 가문의 상속자들을 포조 아 카이아노로 옮겼다.[16] 1522년, 율리오 추기경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로부터 알레산드로에게 '펜네 공작' 작위를 구입했다.[17][15]

1523년 율리오 추기경이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되자, 그는 피렌체의 지도권을 교황 대표 추기경 실비오 파세리니의 섭정 하에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 데 메디치에게 맡겼다.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는 서로를 증오하며 다투었고,[18][19] 파세리니는 피렌체에서 인기가 없었다.[20] 1527년 로마 약탈 당시, 피렌체의 한 세력이 메디치 가문을 전복하고 공화국을 세웠다.[21][20]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는 파세리니 추기경과 함께 도시를 떠나라는 조언을 받았고, 알레산드로는 그 후 3년 동안 망명 생활을 했다.[39]

공식적으로는 로렌초 1세 데 메디치의 손자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서자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아버지는 추기경 줄리오 데 메디치(후에 로마 교황 클레멘스 7세)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가 흑인과의 혼혈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피부색 때문에 "일 모로"(무어인)라는 별명이 붙었다.[44]

2. 2. 성장기

알레산드로는 어린 시절을 로마에서 보냈고, 교황 레오 10세와 율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의 감독 하에 피에리오 발레리아노 볼차니로부터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66][15] 당시 이탈리아는 캉브레 동맹전쟁(1508~16)으로 다소 어수선한 시기였다.[66] 로마에 머무는 동안 집안 어른들인 네무르 공작 줄리아노 데 메디치(1516년),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2세 데 메디치(1519년), 교황 레오 10세(1521년)가 차례로 사망했다.[67][16] 이후 가문의 수장이 된 율리오 추기경(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은 남은 메디치 가문의 상속자들인 알레산드로, 그의 이복여동생 카트린(후일 프랑스 왕비), 그리고 그의 사촌 이폴리토(후일 가톨릭 교회 부총장)를 피렌체 근교의 포조 아 카이아노로 옮겼다.[67][16]

1522년, 율리오 추기경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로부터 알레산드로에게 '펜네 공작' 작위를 구입했다.[68][69][17][15] 1523년 율리오 추기경이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되자, 그는 피렌체의 지도권을 교황 대표 추기경 실비오 파세리니의 섭정 하에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에게 맡겼다.[69] 그러나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는 서로를 매우 싫어했으며, 평생 동안 공개적으로 다투었다.[18][19] 파세리니는 피렌체의 반 메디치 세력뿐만 아니라 불행한 피에로의 딸인 클라리스 스트로치 등 메디치 가문의 일원들에게도 매우 인기가 없었다.[20] 그녀는 파세리니뿐만 아니라 알레산드로까지 비난하며 그를 가문의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불렀다.[20]

섬네일


1527년 로마 약탈 당시, 피렌체의 한 세력이 메디치 가문을 전복하고 사보나롤라의 영향을 받은 신정 정부인 공화국을 세웠다.[21][20]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 데 메디치는 파세리니 추기경과 함께 도시를 떠나라는 조언을 받았다.[22] 메디치 가문의 주요 지지자들 중 많은 수가 피렌체를 떠났지만, 8살 된 카트린 드 메디치는 남겨졌다.[22] 알레산드로는 그 후 3년 동안 망명 생활을 했다.[39]

공식적으로는 로렌초 1세 데 메디치(일 마니피코)의 손자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서자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아버지는 추기경 줄리오 데 메디치(후에 로마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됨)이다.[44] 그가 흑인과의 혼혈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줄리오가 메디치 가문의 흑인 노예 시모네타 다 코르베키오(사비나에 있는 코르베키오에서 유래한 이름임)에게서 낳았다는 설과 로마 교외의 농민의 딸에게서 낳았다는 설이 있다.[44] 어느 쪽이든 피부색 때문에 "일 모로"(무어인)라는 별명이 붙었다.[44]

2. 3. 메디치 가문의 퇴출과 피렌체 공성전

1526년 이탈리아 정국은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한 코냐크 동맹 전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이 전쟁은 프랑스, 교황령, 밀라노, 피렌체 등의 동맹군이 카를 5세의 세력을 이탈리아에서 몰아내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전황은 불리하게 전개되었다.[71] 1527년 5월 6일, 제국군은 로마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클레멘스 7세는 항복 후 산탄젤로 성으로 피신하여 7개월 동안 자진 유폐되었다.

피렌체에서는 공화파가 이 혼란을 틈타 1527년 5월 19일 메디치 가문을 축출했다.[71] 교황의 항복으로 메디치 가문의 힘이 약해진 탓이었다. 알레산드로[72], 이폴리토[73] 등 메디치 가문 일원과 교황 대사 실비오 파세리니[74][75]는 망명했고, 8살의 카트린 드 메디시스[76][77]는 수녀원에 숨어 지냈다.

1529년 6월 29일, 교황은 바르셀로나에서 황제와 비밀 계약을 맺었다.[78][79] 종전 조약에서 피렌체를 제외하고, 제국군이 피렌체를 탈환하여 메디치 가문의 통치권을 회복시켜 달라는 내용이었다. 동맹국들이 이탈하며 피렌체는 고립되었다.

제국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피렌체는 전쟁 준비를 시작했다. 군 지휘권은 페루자의 장군 말라테스타 발리오니에게 위임되었고, 민병대가 조직되었다. 성벽 외곽 건물들은 파괴되었고[80], 미켈란젤로가 요새, 성벽 보강 작업 책임자로 일했다.

1529년 10월 24일, 오랑주 공과 피에르 마리아 3세 데 로시가 이끄는 제국군이 피렌체를 포위 공격했다. 11개월간의 전쟁 끝에 볼테라가 점령되고 프란체스코 페루초가 전사하자, 1530년 8월 10일 피렌체 공화국 정부는 항복했다.

조르조 바사리가 그린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초상화 (1534년).


조르조 바사리가 묘사한 피렌체 공성전

2. 4. 피렌체 공작

1526년에 시작된 코냑동맹전쟁은 피렌체 공성전을 끝으로 4년 만에 완전히 종료되었다.[81] 황제 카를 5세의 도움으로 메디치 가문은 통치권을 회복했으며,[81] 전후 수습은 황제의 지원을 받는 교황이 주도하였다. 피렌체 공화정 지도자들과 체결된 항복 조건은 도시가 교황의 손에 넘어가자 완전히 무시되었으며, 천여 명에 달하는 피렌체 지도급 인사들이 처형, 추방, 투옥되었다.[82] 제국군이 피렌체에 상주하는 가운데 교황의 측근인 바초 발로리를 수상으로 임명하였고 권력은 수상에게 집중되었으며 시뇨리아는 형식적으로 존속되었다.

1531년 7월 5일,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자신의 재종손자(再從孫子)[83] 알레산드로를 새로운 수상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포르테차 다바소'라 불리는 요새를 도시의 북쪽 성벽 중앙에 건축하도록 명하였다. 1532년 5월 1일, 교황의 요청을 받은 황제 카를 5세는 알레산드로를 피렌체 초대 세습공작으로 임명하였고,[84] 이로써 피렌체의 공화정은 종말을 맞이하였다. 요새에는 피렌체 공작의 통치를 뒷받침할 제국군이 상주하였다.

피렌체 공작.png


1530년, 스페인군의 지원을 받은 10개월 가까운 피렌체 포위전 이후 알레산드로는 국가 원수로 임명되었다.[23] 1534년 그는 피렌체의 포르테차 다 바소 건설을 명령했는데, "피렌체 포위전 이후 메디치 가문의 도시 장악을 확보하고 대규모 군대를 수용하기 위해서"였다.[29]

알레산드로 공작의 통치는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그의 "상식과 정의감은 백성들의 애정을 얻었고", 그는 "민중과 무력한 자들의 옹호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발라드와 노벨라에서도 그렇게 기록되었다."[24][15] 그는 또한 예술의 후원자였으며, 조르조 바사리, 야코포 폰토르모, 벤베누토 첼리니, 안토니오 다 상갈로 젊은이 등의 주목할 만한 작품을 의뢰했다.[30][31]

1536년 카를 5세 황제는 클레멘스 7세 교황과의 약속을 지켜 그의 딸인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타를 알레산드로 공작과 결혼시켰다.[34]

2. 5. 통치와 결혼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통치는 가혹하고 독재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많은 피렌체인들이 망명길에 올랐다.[85] 1535년 반메디치 세력은 이폴리토를 카를 5세에게 보내 불만을 호소하려 했으나, 이폴리토는 튀니스로 가는 배를 타기 전 독살당했다.[85][86][87] 알레산드로의 사주 의혹이 있었으나, 카를 5세는 알레산드로를 계속 지원했다.[85][87]

1530년, 피렌체 포위전 이후 알레산드로는 피렌체 국가 원수로 임명되었다.[23] 클레멘스 7세는 이폴리토 대신 알레산드로를 선택했고, 이폴리토는 추기경이 되었다.[24] 1531년 알레산드로는 피렌체 통치를 시작했고, 153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 의해 세습 공작이 되어 피렌체 공화국은 막을 내렸다.[25][26]

1532년 피렌체 헌법은 알레산드로의 권력을 강화했다.[27] 초기에는 온건한 통치를 했으나, 1534년 클레멘스 7세 사후 전제 정치로 전환하여 친족과 유력자들을 추방했다.[47][48] 포르테차 다 바쏘를 건설하여 시민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29][48]

알레산드로의 통치는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그는 정의감으로 백성들의 애정을 얻었고, 예술 후원에도 힘썼다.[15][24][30][31] 그러나 망명자들은 그의 통치를 가혹하고 타락했다고 여겼다.[32]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황제에게 알레산드로의 덕과 명성을 변호했고, 카를 5세는 알레산드로를 계속 지원했다.[28]

1536년 카를 5세는 딸 오스트리아의 마르게리타를 알레산드로와 결혼시켰다.[34] 그는 정부 타데아 말라스피나에게서 율리오 데 메디치와 율리아 데 메디치를 낳았다.[35]

1536년1월 18일에는 카를 5세의 서출 딸인 마르게리타 다즈부르고와 결혼하고, 4월에 피렌체에 입성한 황제에게 일단 시문의 열쇠를 넘겨주고 다시 황제로부터 열쇠를 받았다.[49]

3. 암살

1537년 1월 5일 밤,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나쁜 로렌초'라는 별명을 가진 그의 먼 사촌 로렌치노 데 메디치에게 암살당했다.[89] 로렌치노는 자신의 여동생이자 아름다운 과부였던 라우도미아와의 만남을 주선하겠다고 꾀어 알레산드로를 자신의 집으로 유인했다. 알레산드로가 침실에서 홀로 기다리는 동안, 로렌치노는 자객과 함께 그를 살해했다.[32][38][39][89]

암살당하는 알레산드로 공작


암살 직후, 로렌치노는 국경을 넘어 베네치아로 도주했다.[90] 암살 다음 날 시신이 발견되었지만, 메디치 가문의 지지자들은 폭동을 우려하여 알레산드로의 시신을 산 로렌초 교회에 있는 그의 부친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묘에 은밀히 매장했다.[91]

메디치 가문의 지지자들은 메디치 방계 가문 출신의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지지했다.[92] 당시 18세였던 코시모 1세는 피렌체에서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었지만, 절제된 언행과 겸손한 태도로 자신의 야망을 감추고 권좌에 올랐다. 하지만 권력을 잡은 후에는 뛰어난 정치력을 발휘하여 피렌체 유력 가문들의 지지를 얻어내고, 정적들을 제거하며 피렌체를 독립적인 대공국으로 성장시켰다.[93]

베네치아로 도주한 로렌치노는 피렌체 출신 망명자들에게 의탁하여, 자신의 암살은 조국 피렌체를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며 <아폴로지아>라는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94] 그러나 알레산드로 사후 합법적인 권력 계승자가 로렌치노였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90] 결국 로렌치노는 1548년에 코시모 1세 데 메디치가 보낸 살인 청부업자들에게 살해당했다.[41]

알레산드로의 부인 오스트리아의 마르게리타는 남편의 사망 소식을 듣고 요새로 피신한 후, 스페인으로 이주했다.[95] 이후 파르마 공작 오타비노 파르네세와 재혼했고, 펠리페 2세의 네덜란드 섭정을 맡기도 했다.[95]

알레산드로는 정부(情婦) 타데아와의 사이에서 두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96] 아들 줄리오와 딸 줄리아 데 메디치이다.[96]

4. 가계도



마르게리타 다 콜론나와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마르게리타는 남편의 사후 1539년에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와 재혼했다.[52]

3명의 서출자가 확인되었는데, 줄리오 데 메디치(Giulio de' Medici)(1533년경 - 1598년), 줄리아 데 메디치(Giulia de' Medici)(1535년경 - 1588년경), 포르치아 데 메디치(Porzia de' Medici)(1538년 - 1565년)가 있었다. 아들 줄리오는 아버지 암살 직후 후계자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기각되었고, 코지모 1세가 후계자가 되었다. 피렌체 공작은 되지 못했지만, 1562년에 설립된 성 스테파노 기사단(Order of Saint Stephen)의 초대 제독에 취임하여 1563년에 바르바리아 해적과 싸웠다.[53]

5. 평가

다프네 디 친토 감독의 2023년 이탈리아 단편 영화 ''일 모로(Il Moro)''는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삶을 바탕으로 한다.[42][43] 이 영화는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제96회 아카데미상의 최우수 단편 실사영화상 부문 후보로도 고려되었다. 디 친토가 시작한 청원 덕분에 피렌체 시의회는 이전에는 이름이 새겨져 있지 않았던 데 메디치의 묘비 앞에 그의 이름을 새기는 것에 찬성표를 던졌다.[42][43]

참조

[1] 웹사이트 Portrait of Alessandro de' Medici https://philamuseum.[...]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23-05-07
[2] 서적 Origins of legislative sovereignty and the legislative state: Modern origins,developments, and perspectives against the Background of "Machiavellism".Book I: Pre-Modern "Machiavellism" https://books.google[...] Praeger 2012-01-12
[3] 서적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The Spectacular Life and Treacherous World of Alessandro de' Medici Bodley Head 2016
[4] 서적 The House of Medici: Its Rise and Fall https://books.google[...] Harper Perennial 2022-06-10
[5]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2-01-12
[6] 웹사이트 The Blurred Racial Lines of Famous Families: Alessandro De Medici https://www.pbs.org/[...] Frontline 2022-10-22
[7] 웹사이트 A View On Race And The Art World {{!}} FRONTLINE {{!}} PBS https://www.pbs.org/[...] 2024-10-22
[8] 서적 World's Great Men of Color, Volume 2 Touchstone
[9] 서적 Murder of a Medici Princes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House of Medici: Its Rise and Fall https://books.google[...] Harper Perennial 2022-06-10
[11] 기타
[12] 서적 Histoire des hommes illustres de la maison de Medici
[13]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primo duca di Firenze https://www.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2022-01-16
[14] 서적 The Pope's Elephant Carcanet Press
[15] 학술지 Mistaken Identities?: Alessandro de' Medici and the Question of "Race" https://hcommons.org[...] 2015-06-01
[16] 서적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7] 웹사이트 The Mad Monarchist: Alessandro de' Medici, Duke of Florence http://madmonarchist[...] 2016-03-01
[18] 웹사이트 The Tragedies of the Medici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19] 웹사이트 The Tragedies of the Medici, by Edgcumbe Staley https://www.gutenber[...]
[20] 웹사이트 The Mad Monarchist: Alessandro de' Medici, Duke of Florence http://madmonarchist[...] 2016-03-01
[21] 웹사이트 Alessandro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1-09-11
[22] 웹사이트 Queens of Infamy: The Rise of Catherine de' Medici https://longreads.co[...] 2018-09-27
[23] 웹사이트 Africans in Medieval & Renaissance Art: Duke Alessandro de' Medici http://www.vam.ac.uk[...] 2018-05-06
[24] 웹사이트 Alessandro | duke of Florence https://www.britanni[...]
[25] 기타
[26] 기타
[27] 웹사이트 History of Florence http://www.historywo[...]
[28] 웹사이트 The Mad Monarchist: Alessandro de' Medici, Duke of Florence http://madmonarchist[...] 2016-03-01
[29] 웹사이트 Fortezza da Basso https://www.florence[...] 2023-04-16
[30]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Duke of Florence – the Medici Family http://www.themedici[...]
[31]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1512-1537, 1st Duke of Florence 1523 [obverse] https://www.nga.gov/[...]
[32] 서적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The Spectacular Life and Treacherous World of Alessandro de' Medici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3] 기타
[34] 웹사이트 Alessandro | duke of Florence https://www.britanni[...]
[35] 서적 Medici Women: Portraits of Power, Love, and Betraya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6] 웹사이트 Lorenzino de' Medici | Italian writer and assassin https://www.britanni[...]
[37] 뉴스 'Lorenzaccio': Murder Most Medici https://www.washingt[...] 2005-01-25
[38] 논문 Power and Passion in Sixteenth-century Florence: The Sexual and Political Reputations of Alessandro and Cosimo I De' Medici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0
[39] 논문 Glory and Infamy: Making the Memory of Duke Alessandro de' Medici in Renaissance Florence https://www.proquest[...] 2012
[40] 서적 Estudios de historia del arte. Homenaje al profesor De la Plaza Santiago Universidad de Valladolid 2009
[41] 웹사이트 A Renaissance Mystery Solved: Lorenzino de' Medici's assassination was ordered by the Emperor Charles V Habsburg https://www.prlog.or[...]
[42] 웹사이트 Italian director Daphne Di Cinto’s short movie, The Moor, longlisted for the 2024 Academy Awards https://italoamerica[...] 2024-01-09
[43] 웹사이트 Il Moro - The Moor https://www.lse.ac.u[...]
[44]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45]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46]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47]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48]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49]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50]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51]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52]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53]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54] 기타
[55]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56] 기타
[57] 서적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The Spectacular Life and Treacherous World of Alessandro de' Medici Bodley Head 2016
[58] 서적 Origins of legislative sovereignty and the legislative state: Modern origins,developments, and perspectives against the Background of "Machiavelism".Book I: Pre-Modern "Machiavelism" Praeger 1993-09
[59]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4-01
[60] 서적 (추정) 메디치 가문 관련 서적 1999
[61] 서적 World's Great Men of Color, Volume 2 Touchstone 1996
[62] 서적 Murder of a Medici Princ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3] 서적 말하지 않는 세계사 페이퍼 로드
[64]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65]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66] 웹사이트 https://hcommons.org[...]
[67] 웹사이트 https://projectalexb[...]
[68] 웹사이트 http://madmonarchist[...]
[69] 웹사이트 https://hcommons.org[...]
[70] 서적 The Pope's Elephant Carcanet Press 1997
[7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72] 일반
[73] 일반
[74] 일반
[75] 일반
[76] 일반
[77] 일반
[78]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79]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0]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81]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2 까치 1997-06-05
[82]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3] 일반
[84]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5]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6] 일반
[87] 서적 1999
[88]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9]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0]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2] 웹사이트 Africans in Medieval & Renaissance Art: Duke Alessandro de' Medici http://www.vam.ac.uk[...]
[93]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94]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95]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6]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