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다 노부히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 노부히데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사다의 아들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이다. 그는 오와리 남서부를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나고야 성을 점령하고 미카와, 미노 지방으로 진출했다. 그는 이마가와 가문, 사이토 도산 등과 대립하며 세력 다툼을 벌였고, 1551년 유행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인 오다 노부나가는 그의 기반을 바탕으로 전국 통일을 목표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1년 사망 - 허자
    허자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을사사화에 가담하여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이기 등과의 갈등으로 유배되어 사망한 인물이며, 사후 관작이 복구되었고, 저서로는 《동애유고》와 미완성작인 《역대사감》이 있다.
  • 1551년 사망 - 마르틴 부처
    마르틴 부처는 알자스 출신의 종교개혁가로, 루터의 영향을 받아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하여 스트라스부르에서 종교개혁을 주도했으며, 잉글랜드 교회의 개혁에 참여했고, 그의 신학은 츠빙글리와 칼뱅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10년 출생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로 피렌체의 첫 번째 세습 공작(1532-1537)이었으며, 어두운 피부색으로 "일 모로"라는 별명을 얻었고, 1530년 권력을 되찾아 피렌체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사촌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암살당했다.
  • 1510년 출생 - 장 구종
    장 구종은 16세기 프랑스 매너리즘 조각가로, 앙리 2세의 왕실 조각가로 임명되어 활동했으며, 퐁텐블로파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종교 전쟁을 피해 이탈리아로 망명하여 사망했다.
  • 아이치현의 역사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아이치현의 역사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오다 노부히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반쇼지에 있는 오다 노부히데 동상
반쇼지 소장 오다 노부히데 목상
이름오다 노부히데
본명織田 信秀 (오다 노부히데)
별명삼로 (三郎)
기용의 인 (器用の仁)
오와리의 호랑이 (尾張の虎)
빙고노카미 (備後守)
생몰년1510년 ~ 1551년 4월 8일
출생지오와리
사망지오스칸논, 나고야시
묘소아이치현 가메가오카 린 반쇼지 (나고야시나카구)
센류잔 도간지 (천종구)
관위종5위하
탄정추
빙고노카미
미카와노카미
증 종3위
가문 정보
씨족오다 단조노조 가 (가쓰바타 오다 씨)
아버지오다 노부사다
어머니간쇼인도노 (간쇼인도노, 오다 요리요리의 딸)
형제자매노부히데
노부야스
노부미쓰
노부쓰구
노부자네
마쓰다이라 노부사다 부인 ( 마쓰다이라 노부사다의 아내)
조에이지도노 (마키 나가요시의 아내)
이와무라전 (도야마 가게토모의 아내, 후에 아키야마 노부토모(노부토모)의 아내?)
슈에쓰인도노 (오다 노부야스의 아내)
배우자정실: 오다 다쓰카쓰의 딸
계실: 쓰치다 고젠
측실: 오다 도시노부의 딸, 요토쿠인도노 (이케다 마사히데의 딸), 기타
자녀노부히로
노부토키
노부나가
노부유키
노부카네
나가마스 (우라쿠)
오이치노카타 (아자이 나가마사의 아내, 후에 시바타 가쓰이에의 아내)
오이누노카타 (사지 노부카타의 아내, 후에 호소카와 아키모토의 아내)
기타
경력
소속오다 씨
주군오다 다쓰카쓰 → 노부토모
관직다이묘, 미카와 슈고다이, 오와리 부교
거성쇼바타 성 (1527년)
나고야 성 (1532년)
후루와타리 성 (1536년)
스에모리 성 (1548년)
주요 전투안조 성 포위전 (1540년)
아즈키자카 전투 (1542년)
가노구치 전투 (1547년)
아즈키자카 전투 (1548년)
기타 정보
존칭만송사전 도간 도켄 대선정문(萬松寺殿桃巌道見大禅定門)
관련 인물오다 노부야스 (형제)
오다 노부미쓰 (형제)
오다 노부쓰구 (형제)
오다 노부자네 (형제)
오쓰야노카타 (자매)

2. 가계



  • 자매: 오츠야 부인
  • 부인: 쓰치다고젠 - 노부나가, 노부유키, 노부카네, 오다 히데타카의 어머니.
  • 아들:


  • 딸:


3. 생애

오다 노부히데는 1510년 오와리국에서 오다 노부사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노부사다는 오와리 하부 지역의 슈고다이였다.[1] 1538년 아버지 노부사다가 사망하자 노부히데는 오다 일족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북쪽으로는 미노국사이토 도산, 동쪽으로는 미카와국, 스루가국, 도토미국이마가와 요시모토와 대치하며 전쟁을 벌였다.

1540년, 안조 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아들 오다 노부히로를 성주로 임명했다. 1542년에는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패퇴시켰다.[2] 그러나 오다 일족 내부의 분쟁으로 인해 오와리를 완전히 통일하지는 못했다.

1543년, 교토의 황궁 수리비용으로 4000관을 궁정에 기증했는데, 이는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기증액 500관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었다.[3] 이러한 재정적 능력은 오다 노부나가에게 이어졌다.[4]

1547년, 가노구치 전투에서 사이토 도산에게 패했다.[5] 1548년, 제2차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이마가와에게 패배했다. 1549년, 사이토 도산과 화해하고 그의 딸 노히메와 장남 오다 노부나가의 정략결혼을 성사시켰다. 이후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의 아들이자 훗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되는 마쓰다이라 모토야스를 인질로 잡아 미카와국에 발판을 마련했다.

1551년 스에모리 성에서 유행병으로 사망했으며, 유해는 나고야의 오스칸논 사찰 근처에 안장되어 있다.[6]

반쇼지(萬松寺)에 있는 오다 노부히데의 묘


만송사(萬松寺)의 묘소

3. 1. 가독 상속

에이쇼 7년(1510년) 오와리 남서부를 지배하는 쇼바타 성의 성주 오다 노부사다(織田信定)의 적자로 태어났다. 노부사다는 오와리의 슈고다이 오다 가문의 일족으로 오와리 슈고다이 기요스 오다 가문(清洲織田氏)을 모시는 서류였다. 종가의 중신인 기요스 산부교 가문 중 하나였다.

오다 노부히데는 아버지 오다 노부사다 생전인 다이에이 7년(1527년) 가독을 양도받아 당주가 되었다. 가독 상속으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종가인 오다 다쓰카쓰(織田達勝, 혹은 오다 미치카쓰)와 다투었지만, 곧 화해한다.

오다 노부히데의 장남 오다 노부히로는 사생자였다. 따라서 노부히데는 그의 장남이자 적출자인 노부나가를 오다 씨의 당주이자 작은 영지의 계승자로 지목했다.[7][8]

3. 2. 세력 확대

1532년 나고야 성을 빼앗아 그곳에 기거하며 아이치 군에 세력을 확대하였다. 그 후에도 1539년 후루와타리 성, 1548년 스에모리 성을 쌓아 거처를 옮겼다.

노부히데는 출세 가도를 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내외에 적이 많았다. 교토로 상경하여 조정에 헌금, 종오위하에 위계되고 빈고노카미에 임관되었다. 무로마치 막부의 막정에도 참여하여 제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알현했다. 1541년 미카와노카미에 임관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노부히데는 주가 오와리 슈고다이 기요스 오다 가문에 신종 관계로 따르면서도, 주군의 주군이라고 할 수 있는 오와리 슈고 시바 씨를 능가하게 된다. 동생인 오다 노부야스와 오다 노부미쓰 등 친지와 가신을 오와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국내의 다른 세력을 압도하는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노부히데는 만년까지 슈고다이 가신이란 지위에 안주해 오와리 국 전역을 지배하진 않았다.

대외적으로 1535년 마쓰다이라 기요야스가 모리야마에서 암살당하자, 미카와로 공격해 갔다. 1540년 안쇼 성을 공략하고 지배하에 두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마쓰다이라 가문은 이마가와 가문에 복속해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적대하게 되었다. 1542년 제1차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이마가와 군과 싸워 승리했으며, 미카와 서부를 세력하에 두었다.

이 시기 미노에서는 미노 슈고 다이묘인 도키 요리나리가 사이토 도산에게 추방당해 노부히데의 비호를 받고 있었다. 이로 인해 사이토 도산과도 싸우게 된다. 이때 잠시나마 오가키 성을 도산에게 빼앗기기도 했다.

3. 3. 한계와 말년

덴분 16년(1547년), 오다 노부히데는 사이토 도산의 거성인 이나바 산성을 공격했지만, 도산의 반격을 받고 패배했다(가노우쿠치 전투).[5] 덴분 17년(1548년)에는 제2차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이마가와 가문에게 패배하고, 연이은 제3차 안쇼 성 전투에서 안쇼 성을 잃는 등, 이마가와 가문과 사이토 가문, 그리고 국내의 적들로 인해 고립되었다.

덴분 18년(1549년), 노부히데는 아들 오다 노부나가사이토 도산의 딸 노히메를 결혼시켜 사이토 가문과 화친했지만, 이마가와 가문과의 대립은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1548년(덴분 17년)에는 이누야마 성 주인 오다 노부키요와 락타 성 주인 오다 히로사다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를 진압하고 복속시켰다. 또한 오가키 성 공격을 받았을 때 구원을 위해 향했으나, 오다 노부토모가 후루와타리 성을 공격해왔기 때문에 귀환하여 노부토모와 대치했다. 이 해에 노부히데는 도산과 화목했고, 오다 노부나가노히메의 혼인이 결정되었다. 같은 해 3월 19일(음력), 제2차 아즈키사카 전투에서 다이겐 셋사이가 지휘하는 이마가와·마쓰다이라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1549년 3월 23일(음력 2월 24일), 노히메가 오다 가문에 시집왔다. 오가키 성은 도산의 지배하에 돌아왔고, 같은 해에는 오다 노부토모와도 화해했다. 같은 해 제3차 안조 전투에서 오다 노부히로가 이마가와씨에게 포박됨으로써, 인질로 삼고 있던 마쓰다이라 다케치요(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교환이 이루어졌고, 니시미카와에 있어서 오다측의 세력은 붕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덴분 20년(1551년) 3월 3일, 노부히데는 스에모리 성에서 유행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향년 42세였다. 다만, 사망 연도에 대해서는 덴분 18년(1549년) 설과 덴분 21년(1552년) 설이 있으며, 출생 연도 또한 에이쇼 5년(1508년) 설과 에이쇼 8년(1511년) 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오다 가문의 가독은 적자 오다 노부나가가 계승했다. 노부히데의 죽음은 3년간 숨겨졌다는 설도 있다.

4. 인물 및 일화


  • 오다 노부히데는 오와리의 호랑이로 불릴 정도로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무장이었다.[1]
  • 쇼바타 성 가까이에 있는 상업도시 쓰시마와 아쓰타를 지배하여 자본을 축적했고, 상업을 활성화하는 등 선견지명이 있었다.[18]
  • 나고야 성 공략 당시, 오와리 슈고 시바 요시무네(斯波義統)의 처남인 이마가와 우지토요(今川氏豊)에게 우호적으로 접근해 방심하게 만든 후 기습하여 성을 빼앗았다는 일화가 있다.[18]
  • 1543년 조정에 4000관을 헌상하여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였고, 이는 훗날 아들 오다 노부나가가 비약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3]
  • 역사학자 타니구치 카츠히로는 노부히데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무장으로, 낮은 지위에서 오와리 각지와 서미카와까지 지배하며 오와리 국을 대표하는 세력이 되어 노부나가의 발전 기반을 만들었다.
  • 여러 고난에도 굴하지 않고 싸워 전국 다이묘가 되었고, 1543년 미노 공격 대패 직후에도 칙사를 맞이하는 등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신력은 노부나가 포위망 시기 등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았던 노부나가의 인격에 계승되었다.
  • 아버지에게서 쇼바타 성을 계승하고, 쓰시마와 아쓰타를 지배하여 경제력을 축적하고, 상업 활성화를 도모하는 선견지명을 가졌다. 이 또한 노부나가에게 계승되었다.
  • 나고야 성 탈취 과정에서 이마가와 우지토요에게 우호적으로 접근하여 방심하게 만든 후 기습하는 계책을 사용했다는 일화는 무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 ‘대어리석은 자’라고 불리며 평판이 좋지 않았던 노부나가에게 나고야 성을 넘겨주고 후계자로 삼은 것을 보면 부자간 신뢰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전략에 맞춰 거성을 쇼바타 성, 나고야 성, 후루와타리 성, 스에모리 성으로 계속 옮겼는데, 이는 다른 전국 다이묘에게서는 보기 드문 사례로, 세력 확장에 큰 효과를 가져왔다. 이 전략 또한 노부나가에게 계승되었다.
  • 포위 공격을 하지 않고 반드시 공격하는 전투 방식, 많은 형제자매와 자녀를 활용한 인척 관계 전략 등은 노부나가가 전국 규모로 확대 계승했다. 농촌 농민과 농지 정책의 불철저함도 마찬가지였다.
  • 1543년, 조정에 내리 수리료로 4000관문을 헌상한 조정 중시 태도는 노부나가에게도 계승되었다.

5. 평가

역사가 타니구치 카츠히로는 오다 노부히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무장으로, 낮은 지위에서 시작하여 오와리 국을 대표하는 세력으로 성장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의 기반을 다졌다.[18]
  • 잦은 고전과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싸워 전국 다이묘가 되었으며, 미노 국 공격 대패 직후에도 칙사를 맞이하는 등 강인한 정신력을 보였다. 이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계승되어 제1차 노부나가 포위망 시대와 그 이후의 고난을 극복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18]
  • 쇼바타 성을 계승하고 쓰시마의 상업적 이권을 높였으며, 아쓰타를 지배하여 경제력을 축적하는 등 상업 활성화에 힘썼다. 이러한 선견지명은 오다 노부나가에게 계승되었다.[18]
  • 나고야 성 탈취 과정에서 이마가와 우지토요에게 우호적으로 접근, 렌카를 통해 친분을 쌓은 후 기습하는 계책을 사용했다는 일화가 『나고야 전투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무장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유명한 일화이다.[18]
  • 오다 노부나가에게 나고야 성을 물려주고 후계자로 삼은 것을 통해 부자간의 신뢰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18]
  • 전략에 따라 거성을 쇼바타 성, 나고야 성, 후루와타리 성, 스에모리 성으로 옮긴 것은 다케다 씨, 아사쿠라 씨, 고호조 씨, 모리 씨, 우에스기 겐신 등 다른 전국 다이묘와는 다른 특이한 점이며, 세력 확장에 큰 효과를 가져왔다. 이 또한 오다 노부나가에게 계승되었다.[18]
  • 포위 공격을 하지 않고 반드시 공격하는 전투 방식, 많은 형제자매와 딸, 아들을 활용한 인척 관계 전략 등은 오다 노부나가에게 전국 규모로 확대 계승되었다. 그러나 농촌, 농민과 농지 정책의 불철저함도 함께 계승되었다.[18]
  • 1543년 조정에 내리 수리료로 4000관을 헌상하는 등 조정을 중시하는 태도는 오다 노부나가에게도 계승되었다.[18]

6.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Shinpen Okazaki shishi Supplement https://books.google[...] 新編岡崎市史編さん委員会 2024-05-14
[2] 서적 新編岡崎市史: Chūsei (Honbun hen) https://books.google[...] 新編岡崎市史編さん委員会 2024-05-14
[3] 웹사이트 さらに、1543年(天文12年)には、皇居の修繕費として、4,000貫文を献上。 https://www.touken-w[...] Touken World 2024-05-11
[4] 웹사이트 経済力を存分に発揮して、着々と地位を上げ、本家の清州織田氏はもとより、守護だった斯波氏を凌ぐまで急成長していきました。 https://www.touken-w[...] Touken World 2024-05-19
[5]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6] 서적 Spectacular accumula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9] 웹사이트 Oda Nobuhide https://samurai-worl[...] 2020-08-23
[10] 서적 実録 徳川家康-戦国覇者がたどった波乱の生涯- ゆまにて出版
[11] 문서 信長公記
[12] 웹사이트 東海の古戦場をゆく 小豆坂 今川・織田、合戦回数は謎」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12-15
[13] 학술지 織田信秀岡崎攻落考証
[14] 서적 今川義元 戎光祥出版
[15] 문서 当時の「萬松寺位牌」に基づいたとする江戸時代の文書。
[16] 문서 尾張徳川家の菩提寺の『定光寺年代記』
[17] 서적 信長公記―戦国覇者の一級史料― 中央公論新社
[18] 문서 続群書類従 第二十一輯上 合戦部
[19] 웹사이트 禅居庵HP http://zenkyoan.j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