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포 성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포 성채는 시리아 알레포에 위치한 역사적인 요새이다. 기원전 3천년 중반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얌하드의 수도이자 하닷 신전이 있던 곳으로, 헬레니즘, 로마, 비잔틴 시대를 거치며 종교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젠기 왕조와 아이유브 왕조 시대에 대대적인 재건축이 이루어져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몽골과 맘루크 시대의 침략과 파괴를 겪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군사적 역할이 줄어들었지만, 지진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에는 고고학적 발굴과 복원이 진행되었고,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으며, 현재는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성채 내부에는 다양한 시설과 유적이 존재하며, 과거에는 관광 명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성 - 살라딘성
    살라딘 성은 시리아 해안 산지에 위치한 요새로, 비잔틴 제국, 십자군, 아이유브 왕조 등을 거치며 여러 차례 점령되었고, 2006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시리아의 성 - 크락 데 슈발리에
    크락 데 슈발리에는 시리아에 위치한 중세 시대 요새로, 아랍 왕조에 의해 건설된 후 십자군 국가와 성 요한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13세기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1271년 맘루크 왕조에 함락된 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알레포 성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2010년 알레포 성채의 모습
2010년 알레포 성채
위치시리아, 알레포
유형성곽/요새
건축 시기기원전 3천년기 – 12세기
재료석회암
사용 시기21세기까지
현재 상태부분적으로 파손 (일부 복구 및 파괴)
소유주시리아 정부
공개 여부공개
통제 정보
현재 통제시리아 과도 정부
전투 정보
주요 전투시리아 내전

2. 역사

기원전 3천년기 중반, 에블라와 마리의 설형 문자 문서에 기록된 폭풍의 신 하다드의 고대 신전이 발견되었다.[30][31] 독일 고고학자 카이 콜마이어의 발굴과 부조를 통해 기원전 3천년기 중반부터 최소 기원전 9세기까지 신전이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32][33] 얌하드의 수도가 된 이 도시는 "하닷의 도시"로 알려졌다.[31][34]

아브라함은 성채 언덕에서 양의 젖을 짰다고 전해진다.[35] 신히타이트 쇠퇴 후 아시리아(기원전 8~4세기), 신바빌로니아 및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39~333년)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36]

2. 1. 고대 및 초기 역사

기원전 3천 년 중반, 최근 발견된 고대 폭풍의 신 하다드의 사원이 에블라마리의 설형문자 문헌에 언급되었다.[5] 이 사원은 독일 고고학자 카이 콜마이어가 발굴 중에 발견한 부조에서 알 수 있듯이 기원전 24세기부터 적어도 기원전 9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다.[8] 이 도시는 얌하드의 수도가 되었고 "하다드의 도시"로 알려졌다.[6]

족장 아브라함은 성채 언덕에서 양떼의 젖을 짰다고 전해진다.[35] 알레포를 중심으로 한 신히타이트 국가가 쇠퇴한 후, 아시리아인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고(기원전 8~4세기), 신바빌로니아인과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39~333년)이 뒤를 이었다.[11]

2. 2.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알레포가 정복된 후,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베로이아라는 이름으로 도시를 재건했다. 중세 아랍 역사가들은 요새화된 아크로폴리스로서 성채 역사가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시대에 시작되었다고 전한다.[9] 성채 일부 지역에는 최대 2미터에 달하는 헬레니즘 시대 유적이 남아 있다. 서쪽에서 성채 언덕으로 이어지는 열주 거리가 있었으며, 알레포 남쪽 지역은 여전히 헬레니즘 시대 격자형 가로 구획을 유지하고 있다.[10]

기원전 64년, 로마인들이 셀레우코스 제국을 멸망시킨 후에도 성채 언덕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율리아누스 황제는 363년 알레포를 방문하여 "나는 그곳에서 하루를 머물며 아크로폴리스를 방문했고, 황제의 관례에 따라 제우스에게 흰 황소를 바쳤으며, 신을 숭배하는 문제에 대해 시의회와 짧게 대화를 나눴다"고 기록했다. 성채에서는 로마 시대의 물리적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11]

395년, 로마 제국은 둘로 분열되었다. 알레포는 동부, 즉 비잔틴 제국에 속했다. 7세기에 사산 제국 호스로 2세와의 충돌 동안 알레포 주민들은 도시 성벽이 열악한 상태였기 때문에 성채로 피신했다고 전해진다. 현재 성채 언덕에서는 비잔틴 시대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지만, 성채 내 두 개의 모스크는 원래 비잔틴인들이 지은 교회에서 개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2. 3. 초기 이슬람 시대

636년 레반트(Levant)를 이슬람 군대가 점령하면서 알레포는 아랍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11][44] 대지진 이후 성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지만, 알레포가 비잔틴 제국,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의 경계에 있는 변경 도시였다는 점을 제외하면 초기 기독교와 이슬람 시대의 성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1][45]

함단 왕조의 왕자 사이프 알다울라는 944년 이 도시를 정복했고, 이후 정치적, 경제적 부흥을 맞이했다.[11][13][45][47] 함단 왕조는 강둑에 훌륭한 궁전을 지었지만, 962년 비잔틴 군대가 도시를 약탈한 후 성채로 옮겨갔다.[11] 함단 왕조의 통치 이후 비잔틴과 베두인의 공격, 이집트에 기반을 둔 파티마 왕조의 단기 통치로 특징지어지는 불안정의 시기가 이어졌다. 미르다시드 왕조는 두 개의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했다고 전해진다.[11][48]

2. 4. 젠기 왕조와 아이유브 왕조 시대

젠기 왕조의 통치자 이마드 앗딘 장기(1127-1146년 재위)와 그의 아들 누르 앗딘(1146–1174년 재위)는 알레포와 다마스쿠스를 성공적으로 통일하고 십자군의 반복적인 공격을 막아냈다.[49] 에데사 백작, 조슬린 2세, 샤티용의 레날드, 발두인 2세 등 유명한 십자군 인사들이 성채에 갇혔는데, 특히 조슬린 2세는 그곳에서 사망했다.[49] 누르 앗 딘은 알레포 도시 성벽을 재건하고 성채를 요새화했으며, 높은 벽돌 벽 입구 경사로, 궁전, 잔디로 덮인 경마장 등을 만들었다.[14] 또한 두 개의 모스크를 복원하거나 재건하고, 아브라함 모스크에 정교한 나무 미흐라브를 기증했는데, 이 미흐라브는 프랑스 위임통치 기간에 파괴되었다.[14]

살라딘의 아들 알-자히르 알-가지는 1193년부터 1215년까지 알레포를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성채는 대대적인 재건, 요새화, 새로운 구조물 추가를 거쳐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했다.[14] 술탄 가지는 성벽을 강화하고, 돌출부 표면을 매끄럽게 했으며, 입구 경사면 일부를 석재로 덮었다.[14] 해자의 깊이를 늘리고 수로와 연결했으며, 오늘날에도 성채 입구 역할을 하는 높은 다리 겸 육교를 건설했다.[14] 13세기 첫 10년 동안 성채는 주거(궁전 및 목욕탕), 종교(모스크 및 신사), 군사 시설(무기고, 훈련장, 방어 탑, 입구 블록), 지원 요소(물 저장고 및 곡물 창고)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궁전 도시로 발전했다.[14] 가장 두드러진 개조는 1213년에 재건된 입구 블록이다.[14] 술탄 가지는 또한 성채의 두 모스크를 복원하고, 도시 성벽을 확장하여 남부 및 동부 교외를 포함시킴으로써 성채를 성벽 옆이 아닌 요새의 중심으로 만들었다.[14]

2. 5. 몽골과 맘루크 시대

1260년 몽골의 침략으로 알레포 성채가 훼손되었고, 1400년에서 1401년 사이 티무르의 침략으로 다시 파괴되었다.[14]

1415년, 알레포의 맘루크 총독 사이프 알딘(Sayf al-Din)은 성채 재건을 승인받았다.[15] 그는 성채 북쪽과 남쪽 경사면에 두 개의 새로운 전진 탑을 추가하고, 두 개의 입구 탑 중 더 높은 곳에 새로운 맘루크 궁전을 건설했다. 이 시기에 아이유브 궁전은 거의 완전히 버려졌다. 마지막 맘루크 술탄 알 아슈라프 칸수 알 가우리는 옥좌 홀의 천장을 아홉 개의 돔으로 교체했다.[16]

2. 6.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알레포는 성벽 밖으로 확장되어 상업적 대도시로 성장하면서, 요새로서 성채의 군사적 역할은 점차 줄어들었다. 성채는 오스만 군인들의 병영으로 계속 사용되었지만, 주둔 병력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556년 익명의 베네치아 여행자는 성채에 약 2,000명이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고, 1679년 프랑스 아르뷰 외교관은 1,400명(그 중 350명은 오스만 제국의 정예 군단 예니체리)이 거주했다고 보고했다. 술탄 쉴레이만은 1521년에 성채 복원을 명령했다.[9][17]

1822년 알레포 지진으로 알레포와 성채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지진 이후에는 군인들만 성채에 거주했다.[9] 당시 오스만 총독이었던 이집트의 이브라힘 파샤는 성채 내 파괴된 건물에서 돌을 가져와 왕관 북쪽에 병영을 지었다. 이 병영은 이후 술탄 압둘메지드 통치 하인 1850–1851년에 복원되었다. 왕관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풍차도 아마 같은 시기에 건설되었을 것이다.[17]

2. 7. 프랑스 위임통치 시대

프랑스 위임통치 기간(1920~1945)에도 군인들은 계속해서 성채에 주둔했다. 프랑스는 1930년대에 고고학 발굴과 광범위한 복원 작업을 시작했는데, 특히 외곽 성벽에 집중했다. 맘루크 왕좌 홀도 이 기간 동안 완전히 복원되었으며, 19세기 다마스쿠스 양식으로 장식된 새로운 평평한 지붕이 덮였다. 1980년에는 행사와 콘서트를 개최하기 위해 성채의 미발굴 표면 일부에 현대식 원형 극장이 건설되었다.[18]

2. 8. 현대

시리아 내전 이전, 알레포 성채는 관광 명소이자 고고학 발굴 및 연구 장소였다. 원형 극장은 종종 음악 콘서트나 문화 행사에 사용되었다.[18]

2012년 8월, 시리아 내전알레포 전투에서 자유 시리아군시리아군 간 교전으로 요새 외부 문이 포격 피해를 입었다.[19] 2015년 7월, 자유 시리아군이 외벽 아래 터널에 폭탄을 설치해 성채에 추가 피해를 줬다.[20] 시리아군은 요새를 군사 기지로 사용, 벽은 주변 지역 포격 시 엄폐물 역할을 했고, 벽의 고대 화살 구멍은 저격수가 반군을 겨냥하는 데 쓰였다.[21]

2023년 2월 6일,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성채가 크게 파괴되었다.[23] 2024년 2월 17일, 지진 피해를 본 남부 전진 타워(요새 입구) 복원 1, 2단계 완료 후 알레포 요새가 재개장했다.[24] 요새 입구, 아유브 왕조 대사원 첨탑, 왕좌의 방 외관 등 다른 복원 단계도 공개되었다.

2024년 11월 29일, 타흐리르 알샴과 다른 반군 세력이 알레포 2차 전투의 일환으로 요새를 점령했다.[25]

3. 주요 시설

오늘날 현재 형태의 성채는 둘레 2.5km, 길이 450m, 너비 325m의 타원형 기단을 가진 작은 언덕(해발 440m) 위에 위치해 있다. 이 경사진 토대는 높이가 50m이며, 타원형 상부는 280m x 160m이다. 한때 성 전체가 빛나는 석회암 덩어리로 덮여 있었으며, 그 중 일부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66]

성 언덕은 12세기 말 가즈 왕조 통치 시대에 거슬러 올라가는 깊이 9m, 너비 26m[31], 경사 48도의 넓은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52] 주목할 만한 것은 아치 구조의 다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방비를 갖춘 내성탑이다. 이러한 특징적인 모습은 16세기 맘루크 왕조의 통치 시대에 추가되었다. 5개의 직각 굴곡과 3개의 큰 입구(조각된 상징 포함)를 거쳐 중심 성내 입구에 도달한다.[67][68]

특히 흥미로운 것으로는 무기고, 동로마 제국 시대부터 존재한다고 여겨지는 지하 감옥과 저수조[68], 그리고 복원되어 장식이 더해진 천장을 가진 알현실 등이 있다.

20세기 후반에 발견된 폭풍의 신 하닷의 고대 신전은 에블라 및 마리의 설형 문자 문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언덕의 이용은 기원전 3천년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0][31] 신전은 독일 고고학자 카이 콜마이어 등에 의한 발굴과 그 안에서 발견된 부조에서도 명확해지듯이, 기원전 3천년기 중반부터 적어도 기원전 9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2][33] 그 도시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에 야므하드의 수도가 되었고[31], "하닷의 도시"로 알려졌다.[34]

시리아 내란 이전, 성채는 관광 명소였으며, 고고학적 유적이 발굴되어 연구되었다. 현대의 원형극장은 행사 및 콘서트를 개최하기 위해 1980년 성채의 미발굴 표면에 설치되었다. 원형극장은 음악 콘서트 또는 문화 행사에 자주 사용되었다.[69] 또한, 이브라힘 파샤가 1834년에 건설한 병영은 박물관 및 방문자 센터로 복원되었다.[59]

3. 1. 입구 구역 (Entrance Block)

술탄 가지가 해자를 가로질러 건설한 거대한 석조 다리는 웅장한 굽은 입구 복합 건물로 이어진다. 성을 공격하려는 자들은 아치형 입구 경사로를 따라 6번 이상 꺾어 올라가야 했으며, 그 위에는 공격자에게 뜨거운 액체를 쏟아부을 수 있는 마키쿨라시옹이 메자닌 위에 설치되어 있었다.[26] 비밀 통로가 복합 건물 내부를 지나가며, 주요 통로는 인물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26] 아이유브 왕조 블록 위에는 맘루크 술탄이 대규모 청중을 접대하고 공식 행사를 열었던 맘루크 "왕좌의 홀"이 있다.[26]

3. 2. 아이유브 궁전과 하맘 (Ayyubid Palace and Hammam)

가지의 "영광의 궁전"은 결혼식 날 밤에 불탔으나[27] 나중에 재건되었다.[27] 오늘날 성채에서 가장 중요하고 인상적인 기념물 중 하나로 남아 있다.[27] 무카르나스 또는 벌집형 천장이 있는 입구 포털과 4-이완 배치의 안뜰, 타일 등 아이유브 시대의 건축적 세부 사항들이 많이 남아 있다.[27]

아이유브 왕조 궁전


전통적인 중세 이슬람 양식으로 배치된 궁전 하맘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27] 첫 번째 부분은 옷을 입고, 벗고, 휴식을 취하는 데 사용되었다.[27] 두 번째는 난방이 되지 않지만 더 따뜻한 방이었고, 이어서 더운 방과 벽감이 있는 증기탕이 있었다.[27] 뜨겁고 찬물은 흙으로 만든 파이프를 통해 하맘으로 공급되었다.[27]

3. 3. 기타 시설

성채 내부에는 여러 개의 우물이 왕관 표면 아래 125m까지 뚫려 있다. 지하 통로는 전진 탑과 연결되어 있으며, 아마도 해자를 지나 도시까지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27] 아이유브 왕조 시대의 군주 가즈 시대의 우물이 정상부 아래 52m까지 관통하고 있다. 지하 통로 중 하나는 북쪽 방어탑(보루)으로 연결된다.[78]

아브라함의 모스크는, 당초 아브라함이 앉았던 돌이 있다는 전승에 따라 교회가 세워진 장소에 있으며, 누르 앗 딘의 1167년 비문이 확인되었다.[59]

알레포 성채의 대 모스크(그레이트 모스크, )는 거의 정사각형으로 비교적 작다. 원래 교회가 있던 장소에 세워진 미르다스 왕조의 모스크로 추정되며, 1214년 가즈에 의해 재건되었다. 북쪽에는 모스크와 같은 시대의 미나렛이 있다.[59]

4. 현대의 이용

시리아 내전 이전, 알레포 성채는 주요 관광 명소이자 고고학 발굴 및 연구 장소였다.[18] 1980년에 건설된 현대식 원형 극장은 종종 음악 콘서트나 문화 행사에 사용되었다.[18]

2012년 8월, 시리아 내전알레포 전투 동안, 자유 시리아군시리아군 간의 교전 중 포격으로 요새 외부 문이 손상되었다.[19] 2015년 7월, 자유 시리아군이 시리아군을 몰아내기 위해 외벽 아래 터널에 폭탄을 설치하여 추가 피해를 입혔다.[20] 시리아군은 요새를 군사 기지로 사용했고, 반군에 따르면 벽은 주변 지역 포격 시 엄폐물 역할을 했으며, 벽의 고대 화살 구멍은 저격수가 반군을 겨냥하는 데 사용되었다.[21] 이러한 사용으로 요새는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2][3][22]

2023년 2월 6일, 규모 7.8 모멘트 규모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요새가 광범위하게 파괴되었다.[23] 2024년 2월 17일, 지진 피해를 입은 남부 전진 타워(요새 입구) 복원 1, 2단계가 완료된 후 요새가 다시 문을 열었다.[24] 요새 입구, 아유브 왕조 대사원 첨탑, 왕좌의 방 외관 등 다른 복원 단계도 공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ncient City of Aleppo https://whc.unesco.o[...] UNESCO 2012-03-07
[2] Tweet Video: rebels blow up historic building in front of Aleppo citadel today 2014-07-29
[3] 뉴스 Syrian heritage destruction revealed in satellite images https://www.bbc.com/[...] 2018-06-21
[4] 뉴스 Aleppo Citadel reopens its doors as thousands of visitors regain their memories in https://sana.sy/en/?[...] SANA 2022-06-12
[5] 뉴스 Temple of Hadad in Aleppo Citadel Sheds Light on Important Periods http://www.dp-news.c[...] DayPress News 2010-01-16
[6] 서적 The God Dagan in Bronze Age Syria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7] 서적 Muslim Military Architecture in Greater Syria https://books.google[...] BRILL
[8] 서적 Muqarnas https://books.google[...] BRILL 2010-11-11
[9] 간행물 Bianca and Gaube, 2007, pp. 73–103
[10] 간행물 Gonnela, 2008, p.11
[11] 간행물 Gonnela, 2008, pp. 12–13
[12] 간행물 Gonnela, 2008, pp. 12–13
[13] 서적 Monuments of Syria; An Historical Guide Tauris
[14] 간행물 Gonnela, 2008, pp. 14–19
[15]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https://archive.org/[...] Warner
[16] 간행물 Gonnela, 2008, pp. 19–20
[17] 간행물 Gonnela, 2008, pp. 21–24
[18] 간행물 Gonnela, 2008, p.25
[19] 뉴스 Aleppo citadel hit by shelling, says opposition http://www.dailystar[...] 2012-08-10
[20] 뉴스 Syria civil war: Bomb damages Aleppo's ancient citadel https://www.bbc.com/[...] 2018-06-21
[21] 뉴스 Ancient Syrian castles serve again as fighting positions https://www.washingt[...] 2014-05-09
[22] 웹사이트 Five years of conflict: the state of cultural heritage in the Ancient City of Aleppo; A comprehensiv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based damage analysis for the Ancient City of Aleppo https://unesdoc.unes[...] 2019-07-22
[23] 뉴스 آثار سوريا لم تسلم من الزلزال.. تضرر قلعتي حلب والمرقب https://www.alarabiy[...] 2023-02-06
[24] 뉴스 Aleppo Citadel reopens to visitors after restoring its main entrance https://www.sana.sy/[...]
[25] 뉴스 Syrian rebels capture centre of Aleppo in major blow to Assad regim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24-11-29
[26] 간행물 Gonnela, 2008, pp. 31 35
[27] 간행물 Gonnela, 2008, pp. 46 48
[28] 웹사이트 Ancient City of Aleppo http://whc.unesco.or[...] UNESCO 2016-10-30
[29] 뉴스 Syrian heritage destruction revealed in satellite images http://www.bbc.com/n[...] 2016-10-30
[30] 뉴스 Temple of Hadad in Aleppo Citadel Sheds Light on Important Periods http://www.dp-news.c[...] 2016-10-30
[31] 서적 シリア・レバノンを知るための64章 明石書店
[32] 서적 Muslim Military Architecture in Greater Syria https://books.google[...] Brill 2016-10-30
[33] 서적 Muqarnas: an Annual on the Visual Cultures of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16-10-30
[34] 서적 The God Dagan in Bronze Age Syria https://books.google[...] Brill
[35] 서적 イスラーム不思議曼荼羅 ユーラシア旅行社
[36] 문서 Gonnella, 2008
[37] 문서 Burns, 2009
[38] 간행물 11-12世紀におけるアレッポの自治都市への発展 https://hdl.handle.n[...] 東京経済大学人文自然科学研究会 2010-02
[39] 문서 ヒッティ 『シリア』 (1991)
[40] 문서 Bianca and Gaube, 2007
[41] 문서 Gonnella, 2008
[42] 서적 シリア・ヨルダン・レバノン ガイド ミルトス
[43] 문서 Gonnella, 2008
[44] 문서 ヒッティ 『シリア』 (1991)
[45] 문서 Gonnella, 2008
[46] 문서 ヒッティ 『シリア』 (1991)
[47] 문서 Burns, 2009
[48] 문서 Gonnella, 2008
[49] 문서 ヒッティ 『シリア』 (1991)
[50] 문서 Gonnella, 2008
[51] 문서 Burns, 2009
[52] 문서 Burns, 2009
[53] 문서 Gonnella, 2008
[54] 문서 Burns, 2009
[55] 문서 Gonnella, 2008
[56]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Warner
[57] 문서 Gonnella, 2008
[58] 문서 Gonnella, 2008
[59] 문서 Burns, 2009
[60] 문서 ヒッティ 『シリア』 (1991)
[61] 문서 Gonnella, 2008
[62] 문서 Gonnella, 2008
[63] 문서 Gonnella, 2008
[64] 문서 Gonnella, 2008
[65] 문서 Burns, 2009
[66] 문서 Gonnella, 2008
[67] 문서 Gonnella, 2008
[68] 문서 Burns, 2009
[69] 문서 Gonnella, 2008
[70] 뉴스 Aleppo citadel hit by shelling, says opposition http://www.dailystar[...] 2012-08-12
[71] 뉴스 Syria civil war: Bomb damages Aleppo's ancient citadel http://www.bbc.com/n[...] 2016-10-30
[72] 뉴스 アレッポで地下道爆発、世界遺産の城壁が一部崩壊 シリア https://www.afpbb.co[...] 2016-11-13
[73] 뉴스 Ancient Syrian castles serve again as fighting positions https://www.washingt[...] 2016-10-30
[74] 문서 Gonnella, 2008
[75] 문서 Gonnella, 2008
[76] 문서 Gonnella, 2008
[77] 문서 Gonnella, 2008
[78] 문서 Gonnell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