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한드로 카소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한드로 카소나(Alejandro Casona)는 스페인 극작가로, 본명은 알레한드로 로드리게스 알바레스이다. 1903년 스페인 북부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카소나'라는 필명은 어린 시절 살았던 집의 애칭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교사였던 부모의 영향으로 교육에 관심을 갖고, 무르시아 대학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하며 아동극을 시작으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에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민중극단의 단장으로 활동하며 지방을 순회하며 연극을 공연했다. 스페인 내전으로 인해 멕시코로 망명하여 아르헨티나에 정착하여 극작 활동을 이어갔으며, 1962년 스페인으로 귀국하여 1965년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희곡, 시나리오, 시, 수필 등 다양하며, 특히 희곡 《나무는 서서 죽는다》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극작가 - 하신토 베나벤테
스페인의 극작가 하신토 베나벤테는 사회 비판과 심리 묘사가 돋보이는 172편의 희곡을 썼으며, 192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자유주의적 군주제 지지 성향을 보였다. - 스페인의 극작가 - 미겔 데 우나무노
미겔 데 우나무노는 186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소설 『안개』 등을 통해 실존주의적 사상을 표현하고 살라망카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 프랑코를 지지했으나 이후 반대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 1965년 사망 - 살로테 투포우 3세
살로테 투포우 3세는 1900년 통가에서 태어나 1918년 즉위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통가를 이끌었고, 문화 보존과 학술 연구를 지원하다 1965년 사망한 통가의 여왕이다. - 1965년 사망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욘 포세
욘 포세는 미니멀한 문체와 침묵을 활용해 인간의 불안과 고독을 탐구하는 노르웨이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20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입센의 재림"이라 불린다.
알레한드로 카소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레한드로 로드리게스 알바레스 메시 |
출생 | 1903년 3월 23일 |
출생지 | 베술로, 알란데, 아스투리아스 공국, 스페인 왕국 |
사망 | 1965년 9월 17일 |
사망지 | 마드리드, 프랑코 시대 스페인 |
직업 | 시인 및 극작가 |
모교 | 오비에도 대학교 |
사조 | 27세대 |
2. 생애
알레한드로 카소나는 스페인 내전 이후 멕시코를 거쳐 오랫동안 아르헨티나에 망명하며 비평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62년 스페인으로 돌아와 1965년 9월 17일 마드리드에서 사망할 때까지 머물렀다. 스페인, 멕시코, 남아메리카 무대에서 인정받는 인물이었지만, 귀국 후에는 당시 주요 작가와 연극 평론가들이 그의 작품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 실망감을 느꼈다.
카소나는 자유 교육 기관의 이상에 영감을 받아 교육적 소명을 갖고,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교육 선교 등 문화 사업에서 진보적 가치를 옹호했다. 고전 연극과 이야기를 어른과 청소년을 위해 각색하고, 독창적인 극작품에 사회적 헌신을 담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알레한드로 카소나'''(Alejandro Casona, 1903년 ~ 1965년)로 잘 알려진 극작가 알레한드로 로드리게스 알바레스는 1903년 스페인 북부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작은 시골 마을 베수요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카소나'라는 필명은 스페인어로 '커다란 집'을 뜻하며, 베수요에서 작가가 살았던 집의 애칭이다.어렸을 때 교사였던 부모님을 따라 시골로 자주 이사했다. 무르시아 대학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같은 시기에 음악 공부도 병행했다. 부모님이나 다른 형제들처럼 교육자의 길을 걸었다.
2. 2. 연극 활동과 망명
1931년부터 카소나는 마드리드에서 교육 공무원으로 체류하면서 더 폭넓은 연극 및 문학 활동을 펼쳤다. 평소 교육과 연극을 접목하는 일에 관심이 깊었던 데다가 당시 제2공화정 시대의 교육관에도 부합해 정부가 창단한 '민중극단(Teatro del pueblo)' 또는 '이동극단(Teatro ambulante)'이라 불리는 극단의 단장을 맡게 되었다. 이 극단은 연극 관람이 어려운 지방의 마을들을 찾아다니며 짧은 스페인 고전극을 농부를 비롯한 시골 관객들이 재미있게 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음악과 함께 재창작해 무대에 올렸다.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카소나는 공화정 정부를 지지하여 1937년 멕시코로 망명했다. 하지만 멕시코에 정착하지 못하고 코스타리카, 베네수엘라, 페루, 콜롬비아, 쿠바 등을 공연 때문에 전전하다 1939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해 활발한 극작 활동을 펼쳤다. 1949년에 발표된 <나무는 서서 죽는다>는 카소나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52년까지 큰 성공을 거두며 쉬지 않고 무대에 올랐다.
프랑코 독재가 아직 종식되지는 않았지만 억압적 분위기가 많이 완화된 1962년에 카소나는 25년간의 망명 생활을 접고 마드리드로 돌아가 그동안 라틴아메리카에서 소개했던 작품들을 스페인 연극 무대에 다시 선보였다. 이후 1965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2. 3. 귀국과 사망
프랑코 독재가 아직 종식되지는 않았지만 억압적 분위기가 많이 완화된 1962년에 카소나는 25년간의 망명 생활을 접고 마드리드로 돌아가 그동안 라틴아메리카에서 소개했던 작품들을 스페인 연극 무대에 다시 선보였다. 1965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3. 작품 세계
알레한드로 카소나는 교육 연극, 일반 연극, 영화 대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난파된 인어』(1934), 『새벽의 여인』(1944), 『나무는 서서 죽는다』(1949) 등이 있다.
3. 1. 교육 연극
카소나는 다음과 같은 어린이 연극 작품을 썼다.- El lindo don Gato, ¡A Belén, pastores!es
- 소규모 희극 Tres farsas infantileses
3. 2. 대표작
발표 연도 | 제목 |
---|---|
1929 | 『아서 경의 범죄』 |
1934 | 『난파된 인어』 |
1935 | 『마리아 셀레스테의 미스터리』 |
1935 | 『또다시 악마』 |
1935 | 『사나운 여자와 결혼한 젊은이』 |
1936 | 『우리의 나타차』 |
1937 | 『봄에는 자살 금지』 |
1938 | 『3일 밤의 로맨스』 |
1940 | 『미완성 교향곡』 |
1940 | 『피노키오와 흰 꽃의 공주』 |
1941 | 『세 명의 완벽한 유부녀』 |
1944 | 『새벽의 여인』 |
1945 | 『어부 없는 배』 |
1947 | 『아르코스의 방앗간 여인』 |
1947 | 『산초 판자, 섬에서』 |
1949 | 『나무는 서서 죽는다』 |
1951 | 『다락방의 열쇠』 |
1951 | 『목동들아, 베들레헴으로』 |
1952 | 『바다의 일곱 외침』 |
1953 | 『세 번째 단어』 |
1955 | 『사랑과 죽음의 왕관』 |
1957 | 『일곱 개의 발코니가 있는 집』 |
1957 | 『낯선 여인의 편지』 |
1961 | 『세 개의 다이아몬드와 한 여자』 |
1962 | 『포르투갈 수녀의 러브레터』 |
1962 | 『황금 박차의 기사』 |
『돈 로드리고』 (알베르토 히나스테라의 오페라 대본) |
발표 연도 | 제목 |
---|---|
1941 | 20년과 하룻밤(Veinte años y una noche) |
1941 | 오래된 부에노스 아이레스(En el viejo Buenos Aires) |
1941 | 노동자들의 여선생님(La maestrita de los obreros) |
1942 | 영혼의 협주곡(Concierto de almas) |
1942 | 그의 첫 번째 춤(Su primer baile) |
1942 | 오렌지 나무에 꽃이 피면(Cuando florezca el naranjo) |
1942 | 바람 속의 재(Ceniza al viento) |
1943 | 인형의 집(Casa de muñecas) |
1936, 1943, 1944 | 우리의 나타차(Nuestra Natacha) |
1944 | 마리아 셀레스테의 미스터리(El misterio de María Celeste) |
1945 | 탕녀(La pródiga) |
1945 | 물어뜯긴 과실(Le fruit mordu) |
1946 | 사랑의 기적(Milagro de amor) |
1946 | 할아버지(El abuelo) |
1947 | 뺨을 맞는 사람(El que recibe las bofetadas) |
1949 | 살해된 여인의 이상한 경우(El extraño caso de la mujer asesinada) |
1950, 1964 | 어부 없는 배(La barca sin pescador) |
1950 | 세 밤의 로맨스(Romance en tres noches) |
1951 | 나무는 서서 죽는다(Los árboles mueren de pie) |
1951 | 내가 깨어나기 전에 죽는다면(Si muero antes de despertar) |
1952 | 그 문을 절대 열지 마세요(Don't Ever Open That Door) |
1953 | 수줍음 없는 천사(Un ángel sin pudor) |
1954 | 바다의 일곱 가지 비명(Siete gritos en el mar) |
4. 작품 목록
알레한드로 카소나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전집: ''Obras completas de Alejandro Casona'' (마드리드, 아귈라르, 1969)
- 선별된 연극: ''Teatro selecto'' (마드리드, 에스셀리세르, 1972)
카소나는 1932년 국가 문학상을 수상한 소설 《전설의 꽃》(Flor de leyendas)을 발표했다.[1]
4. 1. 희곡
제목 | 초연 장소 | 초연 연도 |
---|---|---|
아서 경의 범죄 | 사라고사 | 1929 |
난파된 인어 | 마드리드 | 1934 |
마리아 셀레스테의 미스터리 | 발렌시아 | 1935 |
또다시 악마 | 마드리드 | 1935 |
사나운 여자와 결혼한 젊은이 | 마드리드 | 1935 |
우리의 나타차 | 마드리드 | 1936 |
봄에는 자살 금지 | 멕시코 | 1937 |
3일 밤의 로맨스 | 카라카스 | 1938 |
미완성 교향곡 | 몬테비데오 | 1940 |
피노키오와 흰 꽃의 공주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0 |
세 명의 완벽한 유부녀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1 |
새벽의 여인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4 |
어부 없는 배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5 |
아르코스의 방앗간 여인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7 |
산초 판자, 섬에서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7 |
나무는 서서 죽는다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49 |
다락방의 열쇠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51 |
목동들아, 베들레헴으로 | 몬테비데오 | 1951 |
바다의 일곱 외침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52 |
세 번째 단어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53 |
사랑과 죽음의 왕관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55 |
일곱 개의 발코니가 있는 집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57 |
낯선 여인의 편지 | 포르투알레그리 | 1957 |
세 개의 다이아몬드와 한 여자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61 |
포르투갈 수녀의 러브레터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62 |
황금 박차의 기사 | 푸에르토야노 | 1962 |
돈 로드리고 | 알베르토 히나스테라의 오페라 대본 |
4. 2. 시나리오
제목 | 연도 | 제작사 | 비고 |
---|---|---|---|
Veinte años y una nochees | 1941 | 아르헨티나 필름 | |
En el viejo Buenos Aireses | 1941 | ||
La maestrita de los obreroses | 1941 | 아르헨티나 필름 | |
Concierto de almases | 1942 | 산 미겔 스튜디오 | |
Su primer bailees | 1942 | 아르헨티나 필름 | |
Cuando florezca el naranjoes | 1942 | 산 미겔 스튜디오 | |
Ceniza al vientoes | 1942 | 바이레스 스튜디오 | |
인형의 집 | 1943 | 산 미겔 스튜디오 | |
Nuestra Natachaes | 1936 (스페인어), 1943 (브라질), 1944 (산 미겔) | ||
El misterio de María Celestees | 1944 | 소노필름 스튜디오 | |
탕녀 | 1945 | 산 미겔 스튜디오 | |
Le fruit mordu프랑스어 | 1945 | 안데스 필름 스튜디오 | |
Milagro de amores | 1946 | 산 미겔 스튜디오 | |
El abueloes | 1946 | 산 미겔 스튜디오 | |
El que recibe las bofetadases | 1947 | 아티카 프로덕션 | |
El extraño caso de la mujer asesinadaes | 1949 | 산 미겔 스튜디오 | |
La barca sin pescadores | 1950 (아르헨티나), 1964 (스페인) | 엔엘코 프로덕션 | |
Romance en tres nocheses | 1950 | 베도야 프로덕션 | |
Los árboles mueren de piees | 1951 | 산 미겔 스튜디오 | |
Si muero antes de despertares | 1951 | 산 미겔 스튜디오 | |
그 문을 절대 열지 마세요 | 1952 | 산 미겔 스튜디오 | |
Un ángel sin pudores | 1953 | 안데스 필름 스튜디오 | |
Siete gritos en el mares | 1954 | 헤네랄 벨그라노 |
4. 3. 각색
작품명 | 원작자 | 원어명 | 비고 |
---|---|---|---|
페니사의 낚싯바늘 | 로페 데 베가 | El anzuelo de Fenisaes | 부에노스아이레스, 1957 |
세비야의 바람둥이 | 티르소 데 몰리나 | El burlador de Sevillaes | 부에노스아이레스, 1961 |
오카냐의 지휘관 페리바녜스 | 로페 데 베가 | Peribáñez y el comendador de Ocañaes | 부에노스아이레스, 1962 |
한여름 밤의 꿈 | 셰익스피어 | El sueño de una noche de veranoes | 부에노스아이레스, 1962, A Midsummer Night's Dream영어 스페인어 번역 |
리처드 3세 | 셰익스피어 | Ricardo IIIes | Richard III영어 스페인어 번역 |
라 셀레스티나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La Celestinaes | 그라나다, 1965 |
푸엔테오베후나 | 로페 데 베가 | ||
네 명의 대령의 사랑 | 피터 유스티노프 | El amor de los cuatro coroneleses | The Love of Four Colonels영어 스페인어 번역 |
4. 4. 시
- 꽃수염의 순례자|El peregrino de la barba floridaes, 1926년.
- 두꺼비의 피리|La flauta del sapoes, 1930년.
4. 5. 수필
- El diablo en la literatura y en el arte|엘 디아블로 엔 라 리테라투라 이 엔 엘 아르테|문학 및 예술 속의 악마es, 논문, 1926년.
- El Diablo. Su valor literario principalmente en España|엘 디아블로. 수 발로르 리테라리오 프린시팔멘테 엔 에스파냐|악마. 스페인에서의 문학적 가치es.
- Vida de Francisco Pizarro|비다 데 프란시스코 피사로|프란시스코 피사로의 생애es, 전기.
- Las mujeres de Lope de Vega, vida y teatro|라스 무헤레스 데 로페 데 베가, 비다 이 테아트로|로페 데 베가의 여성들, 삶과 극작es.
4. 6. 소설
알레한드로 카소나는 1932년 국가 문학상을 수상한 《전설의 꽃》(Flor de leyendas)을 발표했다.[1]4. 7. 아동극
- 《엘 린도 돈 가토》, 《아 벨렌, 파스토레스!》; 어린이 연극
- 《트레스 파르사스 인판틸레스》, 소규모 희극
5. 한국과의 관계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