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로스 1세 (마케도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로스 1세는 기원전 498년에서 454년까지 마케도니아를 통치한 아르게아스 왕조의 왕이다. 그는 아버지 아민타스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페르시아 전쟁 시기에 페르시아 제국의 봉신으로서 통치했다. 그는 페르시아에 협력하면서도 그리스 도시 국가에 정보를 제공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살라미스 해전 이후 페르시아의 평화 협상에 관여했으며, 플라타이아이 전투 전에 아테네에 페르시아의 작전 계획을 알려주기도 했다. 알렉산드로스 1세는 고대 올림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가받아 마케도니아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한 인물이 되었으며, 아테네를 본떠 궁정을 만들고 시인들을 후원하는 등 문화적인 활동도 펼쳤다. 그는 페르디카스 2세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되찾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케메네스 제국의 정치인 - 히스티아이오스
히스티아이오스는 페르시아 제국 다리우스 1세 치하에서 활동하며 이오니아 반란을 선동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된 고대 그리스 인물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정치인 - 아민타스 1세
아르게아스 왕조 출신인 아민타스 1세는 마케도니아의 여섯 번째 왕으로, 다리우스 1세에게 "땅과 물"을 요구받아 페르시아와 관계를 맺고 아테네와 동맹을 시도한 외교적 노력의 중심에 있었으며 알렉산드로스 1세의 아버지이다. - 플라타이아이 전투 - 아리스티데스
아리스티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마라톤 전투에서의 활약, 집정관 역임, 테미스토클레스와의 대립, 도편 추방, 페르시아 전쟁 공헌, 델로스 동맹 기금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공정함으로 명성을 얻어 후대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 플라타이아이 전투 - 파우사니아스 (장군)
파우사니아스는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그리스 연합군을 승리로 이끈 스파르타의 장군이었으나, 페르시아와 내통한 혐의로 고발당해 도주하다가 굶어 죽었다.
알렉산드로스 1세 (마케도니아)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마케도니아의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498/497년경 – 기원전 454년 |
이전 통치자 | 아민타스 1세 |
다음 통치자 | 페르디카스 2세 |
왕조 | 아르게아스 왕조 |
아버지 | 아민타스 1세 |
사망일 | 기원전 454년 |
자녀 | |
자녀 정보 | 페르디카스 2세 알케타스 |
이름 | |
로마자 표기 | Alexandros I |
2. 생애
알렉산드로스는 아민타스 1세와 에우리디케로 추정되는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5] 그는 기가이아(Γυγαίη|기가이아el)라는 누이가 있었다.[6]
그의 아버지 아민타스 1세 때부터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봉신 시대였으나, 마케도니아 왕국은 광범위한 자치권을 유지했다.[9] 기원전 492년 마르도니우스의 원정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완전한 종속 부분이 되었다.[8]
아르고스 그리스인과 헤라클레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여,[11] 엘리스의 헬라노디카이 법정에서 확인 후, 그리스인에게만 허용된 올림픽 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다.[12][13][14] 기원전 504년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아테네를 본떠 궁정을 만들었고 핀다르와 바킬리데스의 후원자였으며, 이들은 모두 알렉산드로스에게 시를 헌정했다.[15]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490년경) 당시 아테네의 프록세노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알렉산드로스 1세에 대한 것이다.[16] 알렉산드로스에게는 "필헬레네"라는 칭호가 주어졌다.[17]
2. 1. 초기 생애와 페르시아 복속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봉신이었을 때 페르시아 장군 부바레스에게 누이 기가이아(Γυγαίη|기가이아el)를 결혼시켰는데, 이는 페르시아 사절의 살인을 은폐하기 위한 뇌물이었다고 한다.[7] 하지만 이 이야기는 헤로도토스가 지어낸 허구이거나, 적어도 그가 마케도니아에서 보낸 시간 동안 들은 소문으로 널리 여겨진다.[8] 아민타스 1세가 기원전 510년경에 직접 결혼을 주선했거나, 아버지가 죽은 후 알렉산드로스가 이를 처리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알렉산드로스는 아버지 아민타스 1세 때부터 시작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에 대한 왕국의 봉신 시대에 왕위에 올랐지만, 마케도니아는 광범위한 자치권을 유지했다.[9] 기원전 492년에 마르도니우스의 원정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완전한 종속 부분이 되었다.[8]
페르시아가 파이오니아인을 정복한 후, 아민타스 1세가 지배하는 마케도니아 왕국에 페르시아에 대한 복종을 요구하는 사절을 보냈다.[26] 아민타스는 이를 받아들여 연회가 열렸는데, 그 자리에서 페르시아 사절들이 마케도니아 여성들에게 횡포를 부리자, 당시 왕자였던 알렉산드로스는 이에 분노하여 여장시킨 청년을 보내 사절들을 살해했다.[27] 그 후, 사라진 사절의 수색대가 페르시아에서 파견되었지만,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는 수색대 대장 부바레스에게 금전과 여동생 기가이아를 주어 매수하여 무사히 넘겼고,[28] 유스티누스에 따르면 기가이아를 사랑하게 된 부바레스는 그녀와 결혼했고, 이 때문에 마케도니아에서 빈손으로 돌아갔다고 한다.[29]
2. 2. 페르시아 전쟁에서의 역할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1세는 페르시아의 봉신이었을 때 페르시아 장군 부바레스에게 누이 기가이아를 결혼시켰는데, 이는 페르시아 사절의 살인을 은폐하기 위한 뇌물이었다고 한다.[7] 하지만 이 이야기는 헤로도토스가 지어낸 허구이거나, 적어도 그가 마케도니아에서 보낸 시간 동안 들은 소문으로 널리 여겨진다.[8]알렉산드로스 1세는 아버지 아민타스 1세 때부터 시작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에 대한 왕국의 봉신 시대에 왕위에 올랐지만, 마케도니아는 광범위한 자치권을 유지했다.[9] 기원전 492년에 마르도니우스의 원정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완전한 종속 부분이 되었다.[8]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 1세의 그리스 침공 때, 알렉산드로스 1세는 페르시아 군에 참가했다. 그러나 테살리아로 진격해 온 그리스 연합군에게 철수를 조언하거나,[30] 보이오티아인들이 크세르크세스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등으로 전화를 피하게 하는 등[31] 친 그리스(때로는 노골적인 반 페르시아) 행동을 했다.
기원전 480년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한 후 알렉산드로스 1세는 평화 협상에서 페르시아 총독 마르도니우스를 대표했다. 이후 사건에서 헤로도토스는 여러 번 알렉산드로스 1세를 크세르크세스 1세 편에 서서 그의 명령을 따르는 사람으로 언급한다.[8] 마르도니우스가 마케도니아를 정복한 시점부터 헤로도토스는 알렉산드로스 1세를 "히파르코스(hyparchos)"라고 부르는데, 이는 부왕을 의미한다.[8]
페르시아와 협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로스 1세는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에 자주 물품과 조언을 제공했으며, 기원전 479년 플라타이아이 전투 전에 마르도니우스의 계획을 경고했다.[33]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스 1세는 테르메의 그리스인들에게 크세르크세스의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떠나라고 경고했고, 테살리아로 가는 대체 경로를 상 마케도니아를 통해 알렸다.[10] 플라타이아이에서 패배한 후, 아르타바조스가 지휘하는 페르시아군은 소아시아로 후퇴하려고 했다. 43,000명 생존자 중 대부분은 스트리몬 강 하구에서 알렉산드로스 1세의 군대에 의해 공격을 받아 살해되었다. 알렉산드로스 1세는 결국 페르시아 전쟁이 끝난 후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되찾았다.
2. 3. 고대 올림픽 참가
알렉산드로스는 아르고스 그리스인과 헤라클레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1] 엘리스의 헬라노디카이 법정이 그의 주장이 사실임을 확인한 후, 그는 그리스인에게만 허용된 권리인 올림픽 경기에 참여할 수 있었다.[12][13][14] 아마도 기원전 504년에 참여했을 것이다.그는 페르시아 전쟁 이전(기원전 496년 이전)의 고대 올림피아 경기인 스타디온 달리기에 참가했다. 이때 알렉산드로스 1세는 스타디온 달리기에서 공동 1위를 차지하여, 그 결과 결승 재경기가 열렸다. 그러나 거기에서 패배하여, 결국 스타디온 달리기 우승자 명단에는 그의 이름이 들어가지 못했다.
알렉산드로스 1세가 고대 올림피아 제전에 참가한 것을 날조라고 주장하는 설도 있지만, 그것은 볼자라는 연구자 한 사람의 주장이며, 그 외 다수의 연구자는 그의 올림피아 제전 참가를 사실이라고 본다. 볼자에 따르면, 고대 올림픽 우승자 명단에 그의 이름이 없는 것을 근거로 들고 있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공동 1위였지만, 결승 재경기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우승자 명단에 오르지 못했을 뿐이다. 또한, 고대 올림피아 제전은 그리스 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공적인 행사였으며, 거기에서 일어난 일은 모든 그리스인에게 주지의 사실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고대 올림피아 제전에 관해 날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만약 날조였다면, 명백한 거짓을 헤로도토스가 기록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알렉산드로스 1세의 고대 올림피아 제전 참가는 사실로 여겨지며, 현재는 사실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36]
3. 가족
알렉산드로스 1세와 그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배우자는 최소 6명의 자녀를 두었다.[21]
- 페르디카스 2세: 알렉산드로스 1세의 뒤를 이었다.
- 메넬라오스: 아민타스 2세의 아버지이다.
- 필리포스
- 아민타스: 그의 아들 아르히다이오스는 아민타스 3세의 아버지였다.
- 알케타스
- 스트라토니케: 페르디카스 2세가 트라키아의 세우테스 2세와 결혼시켰다.[21]
3. 1. 가계도
- -- '''(1)''' 아민타스 1세
- -- '''(2)''' 알렉산드로스 1세
- -- '''(3)''' 페르디카스 2세
- -- '''(4)''' 아르켈라오스 1세
- -- '''(5)''' 오레스테스
- -- ''아르가에우스 2세''
- ''파우사니아스''
- 이름 없는 딸 15px 엘리메이아의 데르다스
- 이름 없는 딸 15px 아민타스 2세
- -- '''(6)''' 에로푸스 2세
- -- '''(8)''' 파우사니아스
- 이름 없는 아들
- -- '''(4)''' 아르켈라오스 1세
- 메넬라오스
- -- '''(7)''' 아민타스 2세
- -- '''(11)''' ''프톨레마이오스 알로루스''
- -- '''(7)''' 아민타스 2세
- 아민타스
- 필리포스
- 아민타스
- 아게루스
- 알케타스
- 알렉산드로스
- 아겔라오스
- 아레피로스
- 스트라토니케 15px 세우테스 1세
- -- '''(3)''' 페르디카스 2세
- 기가이아 15px 부바레스
- 아민타스
- -- '''(2)''' 알렉산드로스 1세
참조
[1]
서적
Brill's New Pauly
Brill Reference Online
[2]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3]
논문
Macedonian 'Royal Style'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1974
[4]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Wiley-Blackwell
[5]
문서
Genealogics
2003
[6]
웹사이트
Herodotus, Book 5: Terpsichore, 21
http://www.sacred-te[...]
[7]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5, chapter 21, section 2
https://www.perseus.[...]
2023-03-01
[8]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2023-07-25
[9]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2023-07-25
[10]
서적
The Histories
https://archive.org/[...]
Penguin Group
1954
[11]
문서
A History of Macedonia. Τom. 2 Review: John Cole
[12]
문서
A History of Macedo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문서
https://www.perseus.[...]
[14]
문서
https://web.archive.[...]
[15]
서적
Thucydides and Pindar: Historical Narrative and the World of Epinikian Poetry
https://books.google[...]
[16]
서적
Hospitality : a social lens
Elsevier
2006
[17]
문서
Republic
https://www.perseus.[...]
[18]
문서
Agesilaus
http://www.perseus.t[...]
[19]
문서
To Philip
http://www.perseus.t[...]
[20]
문서
Republic
http://www.perseus.t[...]
[21]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2023-07-25
[22]
서적
Brill's Companion to Ancient Macedon: Studies i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acedon, 650 BC – 300 AD
Brill
[23]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24]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2023-07-25
[25]
논문
Arepyros or A(u)re(lius) Pyros?
2012
[26]
문서
ヘロドトス, V. 17
[27]
문서
ibid. 18-20
[28]
문서
ibid. 21
[29]
문서
ユスティヌス, VII. 3
[30]
문서
ヘロドトス, VII. 173
[31]
문서
ibid, VIII. 34
[32]
문서
ibid, VIII. 140
[33]
문서
ibid, IX. 44
[34]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II. 100
[35]
문서
ヘロドトス, V. 22
[36]
논문
古代マケドニア王国の建国神話をめぐって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