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프로호로프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소련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1964년 레이저와 메이저 연구로 니콜라이 바소프, 찰스 타운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소련 대백과사전 편집장, 모스크바 물리 기술 연구소 총장 등을 역임했다. 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지속하며, 194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47년부터 싱크로트론 가속기 내부의 전자들의 간섭성 방사 연구를 시작했고, 1954년에는 레베데프 연구소의 연구소장으로 재직하며 메이저와 레이저 개발에 기여했다. 2002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일반 물리학 연구소는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저 연구자 - 고든 굴드
고든 굴드는 레이저 기본 원리를 최초로 고안하고 "레이저"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물리학자로, 레이저 자체 특허 소송에서는 패소했지만 광 증폭기 관련 특허를 획득하여 큰 수익을 얻었으며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그의 레이저 발명 기여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 레이저 연구자 - 닉 홀로니악
닉 홀로니악 주니어는 가시광선 LED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발명하고,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최초의 가시광선 레이저 다이오드를 개발하는 등 반도체 분야에 혁신적인 공헌을 한 미국의 전기 공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 러시아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니콜라이 니콜래프
니콜라이 니콜래프는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에서 활약하는 배우로, 특히 《서브테라노》, 《스텔스》, 《마일 22》 등의 영화와 《기묘한 이야기》 등의 텔레비전 시리즈, 그리고 《콜 오브 듀티》, 《엘든 링》 등의 비디오 게임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 러시아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알렉산더 파리긴
카자흐스탄 출신 근대5종 선수 알렉산더 파리긴은 1996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 국적을 취득하여 2004년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2008년 올림픽 출전은 좌절되었고 은퇴 후 멜버른에 거주한다. - 소련의 노벨상 수상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소련의 노벨상 수상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Alexander Michael Prochoroff |
출생일 | 1916년 7월 11일 |
출생지 | 퀸즐랜드주 피라몬 오스트레일리아 |
사망일 | 2002년 1월 8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
안장지 | 노보데비치 묘지, 모스크바 |
![]() | |
학력 | |
모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
경력 | |
연구 분야 및 업적 | |
분야 | 물리학 |
주요 업적 | 레이저와 메이저 연구 |
수상 | |
주요 수상 | 1964년 노벨 물리학상 1987년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
2. 생애
1916년 퀸즐랜드주 Atherton, Queensland|애서턴영어에서 러시아 이민자 가족에게서 태어났지만, 1923년 그의 가족은 소련으로 돌아갔다. 1934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1939년 대학교를 졸업하고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그는 주로 전리층에서 라디오 파의 전달에 관한 연구를 했다.[21][22]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했다. 전쟁 기간 동안 보병대에서 복무하며 세 개의 훈장을 받았으며, 1944년 전역 후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에 복귀했다. 1946년 "작은 매개변수 이론 상의 발진관에서의 진동수 안정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1][22]
1947년 싱크로트론 속에서 궤도 운동하는 전자에서 나오는 가간섭성 반사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1954년 레베데프 연구소의 연구소장이 된 그는 니콜라이 바소프와 함께 분자 발진기가 만들어질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고 암모니아에 기초해 실제로 그 발진기를 만들었다. 1955년부터는 전자 상자성 공명(EPR)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4년 그는 레이저와 메이저에 관한 선구자적 업적으로 니콜라이 바소프, 찰스 하드 타운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3][9]
이후, 1969년부터 소련 대백과사전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1983년부터 모스크바 물리 기술 연구소의 총장이 되었다. 냉전 시대 말기에는 미국의 전략 방위 구상에 대항한 소련판 스타워즈 계획 개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19] 1982년부터 1998년에 걸쳐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일반 물리학 연구소 소장을 맡았으며, 그 후에 명예 소장이 되었다.
2002년 1월 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19], 향년 85세였다. 그의 사후, 일반 물리학 연구소는 Институт общей физики имени А. М. Прохорова РАН|A.M. 프로호로프 명칭 일반 물리학 연구소ru로 개명되었다.[20]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16년 퀸즐랜드주 Atherton, Queensland|애서턴영어에서 러시아 이민자 가족에게서 태어났다. 1923년 그의 가족은 소련으로 돌아갔다. 1934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939년 대학교를 졸업하고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그는 주로 전리층에서 라디오 파의 전달에 관한 연구를 했다.[21][22]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했다. 전쟁 기간 동안 보병대에서 복무하며 세 개의 훈장을 받았다. 1944년 전역 후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에 복귀했고, 1946년 "작은 매개변수 이론 상의 발진관에서의 진동수 안정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1][22]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했다. 전쟁 기간 동안 보병대에서 세 개의 훈장을 받았다. 1944년에 전역했고,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에 복귀했다.[21][22]2. 3. 전후 연구 활동
1947년 프로호로프는 싱크로트론 속에서 궤도 운동하는 전자에서 나오는 가간섭성 반사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그 방출이 거의 다 마이크로파의 스펙트럼 범위에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그 결과는 1951년에 수료한 하빌리타치온 논문인 ''싱크로트론 가속기 내부의 전자들의 가간섭성 방사''의 기초가 되었다.[21] 1950년 그는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의 진동부 부장이 되었고, 그 즈음에 분자의 회전과 진동에 있어서의 전파 분광에 관해 연구할 젊은 과학자들의 모임을 조직했다. 이후 이 모임은 양자 전자공학에 관한 연구로 발전했다. 그 그룹은 관성모멘트가 3인 분자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 연구는 이론과 실험을 병행해서 행해졌다.[3][9]1954년 프로호로프는 레베데프 연구소의 연구소장이 되었다. 니콜라이 바소프와 함께 그는 분자 발진기가 만들어질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고 암모니아에 기초해 실제로 그 발진기를 만들었다. 그들은 균일하지 않은 전기와 자기장을 이용해 반전 분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도 제안했다. 그것은 1952년에 처음으로 발표되었으나 1954~1955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21][3][9]
1955년 프로호로프는 전자 상자성 공명(EPR) 분야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8족 원소 이온들의 산화 알루미늄 격자 내에서의 완화 시간과 함께 DPPH에서의 자기 상전이에 초점을 맞췄다.[5] 1957년 루비에 관해 연구하던 그는 이것이 레이저의 능동 매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는 1958년에 현재에도 널리 쓰이는, 열린 관 형태의 디자인을 고안했다. 1963년 A. S. 셀리바넨코와 함께 그는 새로운 형태의 레이저를 제안했다. 1964년 그는 레이저와 메이저에 관한 선구자적 업적으로 니콜라이 바소프, 찰스 하드 타운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3][9]
3. 연구 업적
1947년부터 싱크로트론에서 궤도 운동하는 전자의 가간섭성 반사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여, 그 방출이 대부분 마이크로파 스펙트럼 범위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1951년에 제출한 하빌리타치온 논문 ''싱크로트론 가속기 내부 전자들의 가간섭성 방사''의 기초가 되었다.[21] 1950년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 진동부 부장이 되었고, 젊은 과학자들과 함께 분자 회전과 진동에 대한 전파 분광 연구를 시작하여 양자 전자공학 연구로 발전시켰다. 이들은 관성모멘트가 3개인 분자에 초점을 맞추고 이론과 실험 연구를 병행했다.
1954년 레베데프 연구소 연구소장이 된 후 니콜라이 바소프와 함께 분자 발진기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한 분자 발진기를 제작했다. 또한 불균일한 전기장 및 자기장을 사용하여 반전 분포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이 방법은 1952년에 처음 발표되었다.[21] 1955년부터 전자 상자성 공명(EPR) 분야에서의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8족 원소 이온들의 산화알루미늄 격자 내에서의 완화 시간과 함께 DPPH에서의 자기 상전이에 초점을 맞췄다.[5] 1957년 루비에 관해 연구하던 그는 이것이 레이저의 능동 매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는 1958년에 현재에도 널리 쓰이는, 열린 관 형태의 디자인을 고안했다. 1963년, A. S. 셀리바넨코와 함께 그는 새로운 형태의 레이저를 제안했다.
3. 1. 메이저와 레이저 개발
1947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는 싱크로트론에서 궤도 운동하는 전자의 가간섭성 반사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이 방출이 대부분 마이크로파 스펙트럼 범위에 집중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1951년 방어된 "싱크로트론 가속기 내 전자의 간섭 복사" 하빌리타치온 논문의 기초가 되었다. 1950년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 진동 연구소 부소장이 되었다. 그는 분자 회전 및 진동의 전파 분광학, 양자 전자 공학을 연구할 젊은 과학자 그룹을 만들었다. 이 그룹은 관성 모멘트가 3개인 특별한 종류의 분자에 집중했고, 이론과 실험 연구를 병행했다.[21]1954년 레베데프 연구소 연구소장이 되었다. 니콜라이 바소프와 함께 양자 조화 진동자인 분자 발진기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암모니아 기반 장치를 제작했다. 불균일한 전기장과 자기장을 사용해 반전 분포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1952년 전국 회의에서 처음 발표되었다.[21]
1955년 전자 상자성 공명(EPR) 연구를 시작했다. 알루미늄 산화물 격자 내 8족 원소 이온의 완화 시간에 집중했지만, DPPH의 자기 위상 전이와 같은 "비광학적" 주제도 연구했다.[5] 1957년 루비(알루미늄 산화물의 크롬 도핑 변형체)를 연구하면서 레이저 활성 매체로 사용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1958년 새로운 유형의 레이저 공진기로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개방형" 캐비티 설계를 제안했다. 1963년 A. S. 셀리바넨코와 함께 2양자 전이를 사용하는 레이저를 제안했다. 레이저 및 메이저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1964년 니콜라이 바소프, 찰스 타운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9]
3. 2.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64년, 레이저와 메이저에 관한 선구자적 업적으로 니콜라이 바소프, 찰스 하드 타운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21][3][9] 1955년부터 전자 스핀 공명(EPR) 분야의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8족 원소 이온들의 산화알루미늄 격자 내에서의 완화 시간과 함께 DPPH에서의 자기 상전이에 초점을 맞췄다.[5] 1957년 루비에 관해 연구하던 중 레이저의 능동 매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1958년에 현재 널리 쓰이는 열린 관 형태의 디자인을 고안했다. 1963년, A. S. 셀리바넨코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레이저를 제안했다.4. 학술 및 사회 활동
1959년 모스크바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에 레닌 상을 받았다.[22] 1960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1966년에는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967년 레닌 훈장을 처음 받았고(이후 1969년, 1975년, 1981년, 1986년에 추가로 받아 총 5회 수상), 1968년 레베데프 연구소 부소장이 되었다.[4] 1971년 모스크바 물리학 기술 연구소의 연구실 책임자가 되었고, 같은 해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983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1982년부터 1998년까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일반 물리학 연구소 소장 대행을, 1998년 이후에는 명예 소장을 역임했다.[4] 2002년 사망 후, 이 연구소는 A. M. 프로호로프 일반 물리학 연구소|A. M. 프로호로프 일반 물리학 연구소ru로 개명되었다.[4][9] 프로호로프는 뮌헨 국제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자 명예 회장 중 한 명이었으며, 1993년 모스크바 국제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지부 설립 및 발전을 지원했다.[7][8]
1969년 사회주의 노동 영웅이 되었고, 1986년에는 두 번째로 이 훈장을 받았다.[9] 같은 해부터 대소련 백과사전의 편집장을 맡았다. 2000년 프레데릭 아이브스 메달을 수상했고,[10] 2001년 미국 광학회(OSA) 명예 회원이 되었다.[11] 같은 해 데미도프 상을 수상했다.[12] 냉전 시대 말기에는 미국의 전략 방위 구상에 대항한 소련판 스타워즈 계획 개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19]
4. 1. 주요 직책
직책 | 기관 | 연도 |
---|---|---|
교수 | 모스크바 대학교 | 1959년[22][4] |
회원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 1960년[22][4] |
학술 위원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 1966년[22][4] |
부소장 |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 | 1968년[22][4] |
소장 | MIPT | 1971년[22] |
회원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 1971년[22][4] |
소장 대행 | 러시아 일반 물리학 연구소 | 1982년 ~ 1998년[22][4] |
회원 |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 1983년[6] |
명예 소장 | 러시아 일반 물리학 연구소 | 1998년[22][4] |
편집장 | 소비에트 대백과사전 | 1969년 ~ [9] |
명예 회원 | 미국 광학 협회 | 2001년[11] |
4. 2. 기타 활동
1959년 모스크바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에 레닌 상을 받았다.[22] 1960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1966년에는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22] 1967년 레닌 훈장을 처음 받았고(이후 1969년, 1975년, 1981년, 1986년에 추가로 받아 총 5회 수상), 1968년 레베데프 연구소 부소장이 되었다.[4] 1971년 모스크바 물리학 기술 연구소의 연구실 책임자가 되었고, 같은 해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983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1982년부터 1998년까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일반 물리학 연구소 소장 대행을, 1998년 이후에는 명예 소장을 역임했다.[4] 2002년 사망 후, 이 연구소는 A. M. 프로호로프 일반 물리학 연구소로 개명되었다.[4][9] 프로호로프는 뮌헨 국제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자 명예 회장 중 한 명이었으며, 1993년 모스크바 국제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지부 설립 및 발전을 지원했다.[7][8]
1969년 사회주의 노동 영웅이 되었고, 1986년에는 두 번째로 이 훈장을 받았다.[9] 같은 해부터 대소련 백과사전의 편집장을 맡았다. 2000년 프레데릭 아이브스 메달을 수상했고,[10] 2001년 미국 광학회(OSA) 명예 회원이 되었다.[11] 같은 해 데미도프 상을 수상했다.[12] 냉전 시대 말기에는 미국의 전략 방위 구상에 대항한 소련판 스타워즈 계획 개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19]
5.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비고 |
---|---|---|
1948년 | 만델슈탐상 | |
1959년 | 레닌상 | |
1964년 | 노벨 물리학상 | |
1967년 | 레닌 훈장 | 첫 번째 수상 |
1969년 | 레닌 훈장 | 두 번째 수상 |
1969년 | 사회주의 노동 영웅 | |
1975년 | 레닌 훈장 | 세 번째 수상 |
1980년 | 소련 국가상 | |
1981년 | 레닌 훈장 | 네 번째 수상 |
1982년 | 체코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 |
1985년 | 조국전쟁 훈장 1급 | |
1986년 | 레닌 훈장 | 다섯 번째 수상 |
1986년 | 사회주의 노동 영웅 | 두 번째 수상 |
1987년 | 로모노소프 금메달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
1987년 | 헬름홀츠 메달 | |
1996년 | 조국 훈장 2급 | |
1998년 | 러시아 연방 국가상 | |
2000년 | 프레더릭 아이브스 메달 | 미국 광학회 |
2001년 | 데미도프 상 | |
2003년 | 러시아 연방 국가상 과학 기술 부문 | 사후 수상 |
용기 훈장 | ||
각료회의상 | ||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 독일과의 승리 기념 메달 |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메달 |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 |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40주년 기념 메달 |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 용감한 노동 메달 | ||
노동 퇴역군인 메달 | ||
소련군 50주년 기념 메달 | ||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메달 | ||
모스크바 850주년 기념 메달 |
6. 정치 활동
프로호로프는 1950년에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13] 1983년, 그는 안드레이 티호노프, 아나톨리 도노드닛신, 게오르기 스크랴빈 등 3명의 다른 학자들과 함께 "명예와 양심을 잃었을 때"(Когда теряют честь и совесть)라는 공개 서한[14]에 서명하여, ''Foreign Affairs''에 실린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기사[16]를 비난했다.
7. 가족
프로호로프는 1941년에 지리학자 갈리나 셸레피나와 결혼했으며, 1945년에 아들 키릴을 낳았다. 그의 아들 키릴 프로호로프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광학 분야의 물리학자가 되었으며, 현재 A. M. 프로호로프 일반 물리학 연구소에서 레이저 관련 연구실을 이끌고 있다.[17][18] 프로호로프의 부모님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모두 돌아가셨다.
참조
[1]
뉴스
Prokharov centenary
Tablelander (newspaper)
2016-07-19
[2]
간행물
National Science Week 2016 - "Prokhorov Centenary
https://optics.org.a[...]
2022-02-21
[3]
웹사이트
PAGENAMEBASE
null
[4]
Great Soviet Encyclopedia
Прохоров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http://bse.sci-lib.c[...]
2015-10-05
[5]
논문
Soviet Physics JETP 16 (1963) 1489.
1963
[6]
웹사이트
List of Members
http://www.leopoldin[...]
2017-10-04
[7]
웹사이트
Presidium of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Science= Ias-icsd.org
http://www.ias-icsd.[...]
2015-03-16
[8]
웹사이트
Foundation of the Russian Section of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Science= ias-icsd.org
http://www.ias-icsd.[...]
2015-03-16
[9]
웹사이트
Прохоров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http://www.warheroes[...]
2011-05-15
[10]
웹사이트
Frederic Ives Medal
http://www.osa.org/a[...]
2007-09-27
[11]
웹사이트
OSA Honorary Members
http://www.osa.org/a[...]
2008-08-20
[12]
서적
http://www.naukaran.[...]
Наука
2004
[13]
뉴스
Australia's forgotten Nobel Prize winner: Laser pioneer Alexander Prokhorov
http://www.abc.net.a[...]
2016-08-03
[14]
웹사이트
Когда теряют честь и совесть
http://www.ihst.ru/p[...]
2009-11-19
[15]
웹사이트
1. Андрей Сахаров. ОПАСНОСТЬ ТЕРМОЯДЕРНОЙ ВОЙНЫ (Открытое письмо доктору Сиднею Дреллу) ::: Боннэр Е.Г. - Постскриптум: Книга о горьковской ссылке ::: Боннэр Елена Георгиевна ::: Воспоминания о ГУЛАГе :: База данных :: Авторы и тексты
https://www.sakharov[...]
2021-07-13
[16]
웹사이트
The Montreal Gazett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5-02-20
[17]
웹사이트
Основные даты жизни и деятельности академика А.М. Прохорова
http://www.gpi.ru/me[...]
2010-12-11
[18]
웹사이트
Кирил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рохоров
http://www.gpi.ru/st[...]
2015-02-20
[19]
뉴스
A・プロホロフ氏死去/旧ソ連、ロシアの物理学者 | 全国ニュース | 四国新聞社
https://www.shikoku-[...]
2002-01-08
[20]
웹사이트
러시아과학アカデミー一般物理研究所の歴史 - A.M.プロホロフ名称一般物理研究所
http://www.gpi.ru/hi[...]
[21]
웹사이트
노벨 상 공식 홈페이지 중 그의 페이지
http://nobelprize.or[...]
[22]
소비에트 대백과사전
Прохоров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http://bse.sci-li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