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드레 고르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 고르츠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사회 철학자이자 저술가로,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정치 생태학, 기본 소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그는 스위스에서 화학 공학을 전공하고, 장 폴 사르트와 교류하며 마르크스주의를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했다. 1968년 5월 혁명을 겪으며 기술 비판과 자율적 삶을 강조했으며, 이반 일리히의 영향을 받아 기술 비판과 자율적 삶의 방식을 강조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프롤레타리아 계급 중심성을 비판하고, 과학 기술 발전에 따른 노동의 변화를 분석하며 기본 소득을 옹호했다. 2007년, 아내와 함께 동반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사상은 한국의 노동 운동, 사회 운동, 진보 진영의 이론적 기반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사회주의자 - 하위 호킨스
하위 호킨스는 미국의 녹색당 활동가이자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녹색당 후보였으며, 그린 뉴딜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자유지상적 사회주의와 무정부 공산주의를 지지한다. - 생태사회주의자 - 장뤼크 멜랑숑
장뤼크 멜랑숑은 프랑스의 좌파 정치인으로, 불복하는 프랑스의 창립자이자 지도자이며, 사회당에서 상원의원과 장관을 역임한 후 좌파당을 창당, 유럽의회 의원을 거쳐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동문 - 자크 뒤보셰
자크 뒤보셰는 극저온 전자 현미경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1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스위스의 생물물리학자이자 로잔 대학교 명예 교수이다.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동문 - 루시드폴
루시드폴(본명 조윤석)은 1993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동상 수상으로 데뷔하여 미선이 활동 후 솔로 가수로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작가 및 번역가 활동, 제주도에서 농사와 음악을 병행하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오스트리아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이그나스 조셉 플레엘
오스트리아 출신 작곡가이자 음악 출판업자, 피아노 제작자였던 이그나스 조셉 플레엘은 하이든의 제자로서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부악장을 역임하고 프랑스 혁명기를 거쳐 파리에서 음악 출판 및 피아노 제작 사업으로 19세기 프랑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가 설립한 콘서트 홀 살 플레엘은 그의 업적을 기리는 장소이다. - 오스트리아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미셸 뮐러
미셸 뮐러는 영화 배우로서 1980년대 초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앙드레 고르츠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게르하르트 히르슈 |
다른 이름 | 제라르 오르스트 미셸 보스케 |
출생일 | 1923년 2월 9일 |
출생지 | 빈, 오스트리아 |
사망일 | 2007년 9월 22일 |
사망지 | 보농,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오스트리아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20세기 철학 |
주요 관심사 | 정치 철학 사회 철학 생태학 노동 기술 |
주요 사상 | 탈자본주의 탈성장 보편적 기본소득 탈노동 사회 |
영향 | 장폴 사르트르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이반 일리치 위르겐 하버마스 카를 마르크스 |
2. 초기 생애
비엔나에서 게르하르트 히르쉬(Gerhart Hirsch)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앙드레 고르츠는 유대인 목재 판매상 아버지와 가톨릭교 신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강한 국가적 또는 종교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1930년 고조되는 반유대주의로 인해 그의 아버지는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의 어머니는 그가 독일 국방군에 징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를 스위스의 한 시설로 보냈다. 그 후 히르쉬는 1957년 4월 12일까지[7] 무국적자였으며, 피에르 멘데스 프랑스의 지지로 귀화하여 프랑스 시민이 되었다.[8] 1945년 로잔 대학교의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현 EPFL)에서 화학 공학을 전공으로 졸업했다.
졸업 후, 스위스 편집자가 출판한 미국 단편 소설 번역가로 일했으며, 협동조합 저널에 첫 기사를 게재했다. 1946년, 장 폴 사르트를 만나 친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실존주의와 현상학의 영향을 받았다.[2] 1949년 6월, 파리로 이주하여 ''Mouvement des Citoyens du Monde|세계시민프랑스어''의 국제 사무국, 인도 대사관의 무관 개인 비서로 일했다. 이후 ''파리-프레스''의 기자로 '미셸 보스케'라는 필명을 사용했으며, ''렉스프레스''에서 장자크 세르방-슈레베르를 만나 경제 기자로 일했다.
고르츠는 언론 활동과 더불어 사르트와 긴밀히 협력했으며 마르크스주의에 실존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소외와 자유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적 경험의 관점에서 사회 시스템을 분석하고 실존적 경험의 틀에서 해방을 강조했다. 이러한 지적 틀은 그의 첫 번째 저서인 ''Le Traître'' (르 세유, 1958, 사르트 서문[9]), ''La Morale de l'histoire'' (르 세유, 1959), 그리고 ''Fondements pour une morale'' (갈릴레, 1977, 15년 후 출판)의 기초가 되었으며, 그는 이 책에 처음으로 안드레 고르츠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에게 오스트리아 군대가 제공한 안경이 만들어진 지금은 이탈리아 도시인 ''(괴르츠)''의 독일어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2. 1. 유년 시절과 가족 배경
앙드레 고르츠는 1923년 비엔나에서 게르하르트 히르쉬(Gerhart Hirsch)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유대인 목재 판매상이었고, 어머니는 가톨릭교 신자였다.[7] 1930년대 반유대주의가 심해지자 그의 아버지는 가톨릭으로 개종했다.[7]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스위스 망명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의 어머니는 그가 독일 국방군에 징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를 스위스의 한 시설로 보냈다. 그 후 그는 1957년 4월 12일까지[7] 무국적자였으며, 피에르 멘데스 프랑스의 지지로 귀화하여 프랑스 시민이 되었다.[8] 1945년 EPFL(로잔 대학교 내)에서 화학 공학을 전공으로 졸업했다.2. 3. 학업과 초기 경력
EPFL에서 화학 공학을 전공으로 1945년에 졸업했다. 졸업 후 처음에는 스위스 편집자가 출판한 미국 단편 소설 번역가로 일했으며, 그 후 협동조합 저널에 첫 기사를 게재했다.[2] 1946년, 장 폴 사르트를 만나 친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실존주의와 현상학의 영향을 받았다.[2] 1949년 6월, 파리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Mouvement des Citoyens du Monde|세계시민프랑스어''의 국제 사무국에서, 다음에는 인도 대사관의 무관 개인 비서로 일했다. 그 후 기자로 ''파리-프레스''에 입사하여 '미셸 보스케'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파리-프레스''에서 1955년 그를 경제 기자로 ''렉스프레스''에 채용한 장자크 세르방-슈레베르를 만났다.[2]3. 사상 발전과 언론 활동
고르츠는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을 비판하고, ''노동 전략과 신자본주의''(Stratégie ouvrière et néocapitalisme, Le Seuil, 1964)에서 노동조합에 열린 다양한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1968년 5월 사건에 깊이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국가, 학교, 가족, 기업 등 제도적이고 국가적인 조직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에서 자신의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입장을 확인했다. 이반 일리히의 교육, 의학, 그리고 임금 노동 폐지 아이디어에 주목했다. 1961년 ''레 탕 모데른''에 일리히 연설을 게재했고, 1971년 ''탈학교 사회''(Deschooling Society, Une Société sans école) 출판 당시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 그를 만났다. 이후 일리히의 ''공생을 위한 도구''(Tools for Conviviality, 1973)를 ''미래를 자유롭게''(Libérer l'avenir)라는 제목으로 요약 출판했다. 1974년 캘리포니아 여행 후 일리히와 관계가 강화되어,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 그의 주장을 논의하는 여러 기사를 썼다.[13]
1969년 편집장을 맡았던 ''레 탕 모데른'' 동료들과 갈등을 겪었다. 1970년 4월, 그의 기사 "대학을 파괴하라"(Détruire l'Université)는 장-베르트랑 퐁탈리스와 베르나르 핑고의 사임을 촉발했다. 1971년부터 잡지에 실린 사르트르 지지의 마오주의 경향을 비판했다. 1974년, 이탈리아 자율주의 단체 ''로타 콘티누아'' 기사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편집장 자리에서 사임했다.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도 EDF(국영 전기 회사)가 광고를 철회하는 등 핵 산업 반대 운동을 지지하면서 주변부로 밀려났다. 핵 문제 특별판 출판이 거부되자, 소비자 잡지 ''퀘 쇼아지르?''(Que Choisir?)에 출판했다.
고르츠는 정치 생태학의 선구적 인물로, 그의 아이디어는 지구의 벗 프랑스 지부 창립자 알랭 에르베가 창간한 생태주의 월간지 ''르 소바주''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1975년, "생태적 문제의 기초 텍스트 중 하나"[14]인 에세이 ''생태학과 자유''(Ecologie et liberté)를 포함한 ''생태학과 정치''(Ecologie et politique, Galilée, 1975)를 출판했다.
루이 뒤몽의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경제학적 사고의 두 가지 버전으로 간주했다. 쾌락주의적 개인주의와 공리주의, 유물론적, 생산주의적 집단주의에 반대했다. 심층 생태학에 반대하는 사회 생태학과 유사한 휴머니즘적 생태학을 지지했다. 그의 생태주의는 자본주의 비판과 연결되어 "자본주의 제약을 폐지하는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을 요구했다.[15]
3. 1.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고르츠는 젊은 마르크스의 휴머니즘과 소외 논의, 그리고 인류 해방에서 영감을 받은 신좌파 운동의 주요 이론가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허버트 마르쿠제와 친구였다. 또한 신문 ''일 마니페스토''의 창립자인 로사나 로산다 등과도 교류했다.[8]그는 주체와 주관성에 대한 비판 때문에 구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 자신을 체제 변화를 원하는 민주사회주의자이자 "혁명적 개혁주의자"라고 불렀다. 1961년 ''레 탕 모데른''의 편집위원회에 참여하여 프랑스 사상에 이탈리아 인사들을 소개했다.[10] 노동자 자치 관리 이론가로서 UNEF 학생 연합과 CFDT 활동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1] 그의 용어 "비개혁적 개혁"은 현재의 경제 체제보다는 인간의 필요에 기반한 변화를 요구하는 제안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12]
1968년 5월 사건에 깊이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자신의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제도와 국가 조직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에서 자신의 관점을 확인했다.
3. 2. 언론 활동과 정치 참여
앙드레 고르츠는 1949년 파리로 이주하여 여러 매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그는 레 탕 모데른, 렉스프레스,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등에서 활동하며, 미셸 보스케라는 필명을 사용했다.[8] 그는 신좌파 운동의 주요 이론가였으며,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8] 허버트 마르쿠제와 친구였으며, 일 마니페스토의 창립자인 로사나 로산다, 뉴 레프트 리뷰의 로널드 프레이저 등과 교류했다.[8]1961년, 고르츠는 '레 탕 모데른' 편집위원회에 참여하여 가라비니, 브루노 트렌틴, 비토리오 포아 등을 프랑스 사상계에 소개했다.[10] 그는 UNEF 학생 연합과 CFDT 활동가들에게 노동자 자치 관리 이론가로서 영향을 미쳤다.[11]
1964년, 그는 장 다니엘 등과 함께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주간지를 창간하기 위해 '렉스프레스'를 떠났다. 1968년 5월 사건 이후, 고르츠는 이반 일리히의 사상에 주목했다. 1971년 '탈학교 사회' 출판 당시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 일리히를 만났고, 이후 그의 저서를 요약하여 출판하기도 했다.[13]
1969년부터 '레 탕 모데른' 동료들과 갈등을 겪었고, 1974년 편집장 자리에서 사임했다.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도 핵 발전 반대 운동을 지지하면서 주변부로 밀려났다. 그는 정치 생태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1975년 '생태학과 정치'를 출판했다.[14] 고르츠는 사회 생태학과 유사한 휴머니즘적 생태학을 지지하며, "자본주의의 제약을 폐지하는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을 주장했다.[15]
3. 3. 이탈리아 신좌파와의 교류
고르츠는 주체와 주관성에 대한 비판 때문에 구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자신을 체제 변화를 원하는 민주사회주의자이자 "혁명적 개혁주의자"라고 불렀다. 1961년 그는 ''레 탕 모데른'' 편집위원회에 참여하여 프랑스 사상계에 가라비니, 신케인스주의자이자 공산주의자인 브루노 트렌틴, 아나코 생디칼리즘자인 비토리오 포아 등 이탈리아 사상가들을 소개했다.[10] 그는 "신좌파의 '이탈리아' 경향의 지적 지도자"로 자리매김하며,[11] UNEF 학생 연합과 CFDT의 활동가들(특히 장 오제, 미셸 롤랑, 프레도 크룸노우)에게 노동자 자치 관리 이론가로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최근 CFDT에서 받아들여졌다. 그의 용어 "비개혁적 개혁"은 현재의 경제 체제보다는 인간의 필요에 기반한 변화를 요구하는 제안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12]4. 1968년 5월 혁명과 이후의 변화
앙드레 고르츠는 젊은 마르크스, 휴머니즘, 소외 및 인류 해방에서 영감을 받은 신좌파 운동의 주요 이론가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허버트 마르쿠제와 친구였다. 또한 신문 ''일 마니페스토''의 창립자인 로사나 로산다, 사진작가 윌리엄 클라인, 마르크 크라베츠나 티에노 그룸바흐와 같은 젊은 지식인,[8] ''뉴 레프트 리뷰''의 로널드 프레이저 등과 교류했다.
고르츠는 주체와 주관성에 대한 비판 때문에 구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자신을 체제 변화를 원하는 민주사회주의자이자 "혁명적 개혁주의자"라고 칭했다. 1961년 ''레 탕 모데른''의 편집위원회에 참여하여 프랑스 사상에 이탈리아인 가라비니, 신케인스주의자이자 공산주의자인 브루노 트렌틴, 아나코 생디칼리즘자인 비토리오 포아를 소개했다.[10] 그는 "신좌파의 '이탈리아' 경향의 지적 지도자"로 자리매김했으며,[11] UNEF 학생 연합과 CFDT의 활동가들(특히 장 오제, 미셸 롤랑, 프레도 크룸노우)에게 노동자 자치 관리 이론가로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용어 "비개혁적 개혁"은 현재의 경제 체제보다는 인간의 필요에 기반한 변화를 요구하는 제안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12]
1964년, 고르츠는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을 비판하고 노조에 열린 다양한 전략에 대해 설명한 ''노동 전략과 신자본주의''(Stratégie ouvrière et néocapitalisme)를 출판했다. 같은 해 세르주 라포리, 자크-로랑 보스트, K.S. 카롤, 장 다니엘과 함께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주간지를 창간하기 위해 ''르 엑스프레스''를 떠났고, 미셸 보스케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1969년 편집장 책임을 맡았던 ''레 탕 모데른''의 동료들과 몇 가지 긴장을 겪었다. 1970년 4월, 그의 기사 "대학을 파괴하라"(Détruire l'Université)는 장-베르트랑 퐁탈리스와 베르나르 핑고의 사임을 촉발했다. 고르츠는 또한 1971년부터 잡지에 실렸고 사르트르가 지지했던 마오주의 경향을 비판했다. 1974년, 이탈리아 자율주의 단체 ''로타 콘티누아''에 대한 기사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편집장 자리에서 사임했다. 그는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 국영 전기 회사인 EDF가 주간지에서 광고를 철회하는 방식으로 대응한 핵 산업 반대 운동을 지지했고, 핵 문제에 대한 특별판 출판을 거부당한 후, 소비자 잡지 ''퀘 쇼아지르?''(Que Choisir?)에 그것을 출판했다.
4. 1. 5월 혁명의 영향
1968년 5월의 사건들에 깊이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이 사건들에서 국가, 학교, 가족, 기업 등 제도적이고 국가적인 조직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과 결합된 자신의 실존적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의 확인을 보았다.[13] 이반 일리히의 교육, 의학, 그리고 임금 노동의 폐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그의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4. 2. 이반 일리히와의 만남과 기술 비판
1968년 5월 사건에 깊이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이 사건들에서 국가, 학교, 가족, 기업 등 제도적이고 국가적인 조직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과 자신의 실존적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이 확인되는 것을 보았다. 이반 일리히의 교육, 의학, 그리고 임금 노동 폐지 아이디어는 그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고르츠는 1961년 ''레 탕 모데른''에 일리히의 연설 중 하나를 게재했고, 1971년 ''탈학교 사회''(Deschooling Society, Une Société sans école) 출판 당시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 그를 만났다. 이후 고르츠는 일리히의 ''공생을 위한 도구''(Tools for Conviviality, 1973)를 ''미래를 자유롭게''(Libérer l'avenir)라는 제목으로 요약하여 출판했다. 1974년 캘리포니아 여행 이후 일리히와 관계가 더욱 강화되었고, 그는 일리히의 주장을 논의하기 위해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 여러 편의 기사를 썼다.[13]4. 3. 정치 생태학의 선구자
1970년대 중반부터 고르츠는 정치 생태학의 선구자로 떠올랐다.[14] 그는 '생태학과 자유'(Ecologie et liberté)를 포함한 '생태학과 정치'(Ecologie et politique, Galilée, 1975)를 출판했는데,[14] 이 책은 "생태적 문제의 기초 텍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4]고르츠는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경제학적 사고의 두 가지 버전으로 보았으며, 쾌락주의적 개인주의와 공리주의, 그리고 유물론적, 생산주의적 집단주의에 반대했다.[15] 그는 심층 생태학에 반대하는 사회 생태학과 유사한 휴머니즘적 버전의 생태학을 지지했다.[15] 고르츠의 생태주의는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연결되어 "자본주의의 제약을 폐지하는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을 요구했다.[15] 그의 아이디어는 알랭 에르베가 창간한 생태주의 월간지 '르 소바주'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5. 후기 사상과 기본 소득 논의
앙드레 고르츠는 1980년대 후반부터 기본 소득을 사회 변혁의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며, '경제적 이성의 비판'에서 노동과 무관하게 모든 개인에게 기본 소득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이는 한국의 진보 진영,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기본 소득 정책 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을 비판하고, 노동조합에 열린 다양한 전략을 설명한 ''노동 전략과 신자본주의''(Stratégie ouvrière et néocapitalisme, Le Seuil, 1964)를 통해 "비개혁적 개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인간의 필요에 기반한 변화를 제안했다.[8][12]
1968년 5월 사건에 깊은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이반 일리히의 교육, 의학, 임금 노동 폐지 아이디어에 주목했다. 정치 생태학의 선구자인 그의 사상은 알랭 에르베가 창간한 ''르 소바주''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13] 1975년, "생태적 문제의 기초 텍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 ''생태학과 정치''(Ecologie et politique, Galilée, 1975)를 출판했다.[14]
고르츠는 루이 뒤몽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경제학적 사고의 두 가지 형태로 보았다. 그는 쾌락주의적 개인주의와 공리주의, 유물론적, 생산주의적 집단주의에 반대했다. 심층 생태학에 반대하는 사회 생태학과 유사한 인간 중심적 생태학을 지지했으며, 그의 생태주의는 자본주의 비판과 연결되어 "자본주의의 제약을 폐지하는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을 주장했다.[15]
5. 1. 프롤레타리아 계급 비판
1980년, 고르츠는 '프롤레타리아에게 작별을 고함'을 출간하며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의 프롤레타리아 계급 중심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기술 변화로 인해 노동 계급이 더 이상 유일한 혁명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15]5. 2. 기본 소득 옹호
1980년대 후반부터 고르츠는 기본 소득을 사회 변혁의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그는 '경제적 이성의 비판'에서 노동과 무관하게 모든 개인에게 기본 소득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이는 한국의 진보 진영,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기본 소득 정책 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5. 3. 자본주의 비판과 대안 모색
고르츠는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을 비판하고, 노동조합에 열린 다양한 전략을 설명한 저서 ''노동 전략과 신자본주의''(Stratégie ouvrière et néocapitalisme, Le Seuil, 1964)를 통해 노동조합에 직접 목소리를 냈다.[8] 그는 "비개혁적 개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현재의 경제 체제보다는 인간의 필요에 기반한 변화를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했다.[12]1968년 5월 사건에 깊은 영향을 받은 고르츠는 자신의 실존적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을 확인했다. 그는 이반 일리히의 교육, 의학, 그리고 임금 노동 폐지에 대한 아이디어에 주목했다. 고르츠는 정치 생태학의 선구자였으며, 그의 사상은 특히 지구의 벗 프랑스 지부 창립자인 알랭 에르베가 창간한 생태주의 월간지 ''르 소바주''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13] 1975년, 고르츠는 에세이 ''생태학과 자유''(Ecologie et liberté)를 포함한 ''생태학과 정치''(Ecologie et politique, Galilée, 1975)를 출판했는데, 이는 "생태적 문제의 기초 텍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4]
고르츠는 루이 뒤몽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경제학적 사고의 두 가지 형태로 보았다. 그는 쾌락주의적 개인주의와 공리주의, 그리고 유물론적, 생산주의적 집단주의에 반대했다. 그는 심층 생태학에 반대하는 사회 생태학과 유사한 인간 중심적 생태학을 지지했다. 고르츠의 생태주의는 자본주의 비판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는 "자본주의의 제약을 폐지하는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을 주장했다.[15]
6. 죽음
2007년 9월 24일, 고르츠는 프랑스 오브주 보스농에 있는 자택에서 아내 도린과 함께 약물 주사로 동반 자살했다. 그의 아내는 불치병을 앓고 있었으며, 두 사람은 서로가 상대방의 죽음 이후에 살아남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이미 말했었다.[5] 시신은 친구에 의해 발견되었다.[9][20]
고르츠의 저서 《D에게 보내는 편지: 한 사랑의 이야기》(Lettre à D. Histoire d'un amour프랑스어, 2006)는 아내에게 헌정된 것으로, 사실 그녀에 대한 그의 사랑을 이야기하는 방식이었다.[5]
7. 저서
- 《D에게 보낸 편지》
- 《에콜로지카》
- 《역사의 도덕》 (Seuil, 1959)
- 《노동자 전략과 신자본주의》 (Seuil, 1964)
- 《사회주의와 혁명》 (초판, Seuil, 1967, 《어려운 사회주의》)
- 《개혁과 혁명》 (Seuil, 1969)
- 《일상 자본주의 비판》 (Galilée, 1973)
- 《분업 비판》 (Seuil, 1973. 공동 작업)
- 《정치로서의 생태학》 (South End Press, 1979, 초판, Galilée, 1978)
- 《생태학과 자유》 (Galilée, 1977)
- 《도덕의 기초》 (Galilée, 1977)
- 《반역자》 (1960, 초판, Seuil, 1958)
- 《프롤레타리아에게 작별》 (1980 – Galilée, 1980, 그리고 Le Seuil, 1981, 《프롤레타리아와의 작별》)
- 《낙원으로 가는 길》 (1985 – Galilée, 1983)
- 《경제적 이성의 비판》 (Verso, 1989, 초판, Galilée, 1988, 《노동의 변형, 의미 찾기》)
- 《자본주의, 사회주의, 생태학》 (1994 – Galilée, 1991)
- 《노동 되찾기: 임금 기반 사회를 넘어》 (1999, 초판, Galilée 1997, 《현재의 고통, 가능한 풍요》)
- 《비물질: 지식, 가치, 자본》 (Seagull Books, 2010, 초판, Galilée, 2003)
- 《D에게 보내는 편지: 사랑의 편지》 (Polity, 2009, 초판 2006)
- 《생태학》 (Galilée, 2008)
- 《생태학의 붉은 실. 프랑스어로 된 미출간 인터뷰》, 윌리 지아나치 편집 (Ed. de l'EHESS, 2015)
- 《그들의 생태학과 우리의 생태학. 정치 생태학 선집》, 프랑수아즈 골라인 & 윌리 지아나치 편집 (Seuil, 2020)
8.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ndre Gorz — RIP
https://mronline.org[...]
2022-03-14
[2]
웹사이트
Verso
https://www.versoboo[...]
2022-03-14
[3]
웹사이트
Questioning the Centrality of Work with André Gorz
https://www.greeneur[...]
2022-04-03
[4]
뉴스
André Gorz: French philosopher who pioneered ideas of political ecology
https://www.theguard[...]
2007-11-07
[5]
웹사이트
André Gorz's Non-Reformist Reforms Show How We Can Transform the World Today
https://jacobinmag.c[...]
2022-03-14
[6]
웹아카이브
Pour un revenu inconditionnel suffisant
http://societal.org/[...]
[7]
서적
André Gorz. Une vie
La Découverte
[8]
웹사이트
André Gorz, le philosophe et sa femme
http://multitudes.sa[...]
2006-10-26
[9]
뉴스
Le philosophe André Gorz et sa femme se sont suicidés
http://www.lefigaro.[...]
2007-09-25
[10]
문서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uno Trentin and André Gorz
[11]
간행물
Illustres inconnus et inconnus illustres : André Gorz
[12]
서적
Military and the South
https://books.google[...]
2013-01-30
[13]
웹사이트
The Non-Conformist
http://mondediplo.co[...]
2003-01
[14]
서적
Pensée écologique et critique du travail dans une perspective gorzienne
[15]
문서
« révolution écologique, sociale et culturelle qui abolisse les contraintes du capitalisme »
[16]
웹사이트
Le travail dans la sortie du capitalisme - Revue Critique d'Ecologie Politique
http://ecorev.org/sp[...]
[17]
논문
Review of Arbetssamhället: Hur arbetet överlevde teknologin
https://www.jstor.or[...]
2011
[18]
서적
Critic of Economic Reason
Verso
[19]
서적
Critique of Economic Reason
Verso
[20]
웹아카이브
French philosopher commits suicide with wife
http://afp.google.co[...]
2007-09-25
[21]
웹사이트
" Il faut vouloir autre chose, mais quoi ? " : avoir 20 ans et écrire à André Gorz
https://www.nouvelob[...]
2020-09-04
[22]
웹사이트
Letter to G., the film - Rethinking our society with André Gorz
https://andregorz.fr[...]
2020-09-04
[23]
뉴스
고르와 도린, 사랑을 통해 하나로 거듭나다
http://weekly.khan.c[...]
200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