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리 드 몽테를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드 몽테를랑(1895-1972)은 프랑스의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로, 파리 귀족 가문 출신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고 무공 훈장을 받았으며, 초기에는 소설 《아침의 교대》로 몽티옹 상을 수상했다. 이후 《독신자들》과 4부작 《젊은 여자들》로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1960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다. 행동주의적 성향과 여성 혐오, 소년애적 주제를 작품에 담았으며, 만년에 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평귀족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프랑스의 평귀족 -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는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사제가 되어 루이 14세와 15세를 섬기며 루이 15세의 재상이 되어 재정 흑자를 달성하고 국력 회복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개입하며 권위가 실추된 인물이다.
  • 1972년 자살 - 가와바타 야스나리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서정적인 문체와 섬세한 심리 묘사로 유명한 일본의 소설가이자 196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죽음, 아름다움, 고독 등을 주요 테마로 다룬 작품으로 현대 일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972년 자살 - 세고에 겐사쿠
    세고에 겐사쿠는 혼인보 슈사이와의 대국, 우칭위안 문하생 지도, 일본기원 창립 기여 및 초대 이사장 역임, 조치훈을 비롯한 제자 양성, 히로시마 원폭 피폭 후 바둑계 재건 등의 활동을 한 일본의 바둑 기사이다.
  • 프랑스의 나치 부역자 - 필리프 페탱
    필리프 페탱은 제1차 세계 대전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권 수반으로서 나치 독일과 협력한 행위로 인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프랑스의 나치 부역자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앙리 드 몽테를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리 드 몽테를랑
앙리 드 몽테를랑 (1925년경)
인물 정보
본명앙리 마리 조제프 프레데리크 엑스페디트 밀롱 드 몽테를랑 (Henry Marie Joseph Frédéric Expedite Millon de Montherlant)
출생1895년 4월 20일
출생지프랑스, 파리
사망1972년 9월 21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묘지페르 라셰즈 묘지
국적프랑스
직업작가
언어프랑스어
학력리세 장송 드 사이이
활동 시기20세기 초중반
장르소설, 희곡, 수필,
작품 활동
대표 작품『독신자들』
『젊은 여성들』
『사막의 장미』
수상
훈장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기타 정보
서명

2. 생애

앙리 마리 조제프 프레데리크 엑스페디트 밀리옹 드 몽테를랑(Henry Marie Joseph Frédéric Expedite Millon de Montherlant)은 파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2] 리세 장송 드 사이이/Lycée Janson-de-Sailly프랑스어와 성 십자가 성모 마리아 학교(Institution Notre-Dame de Sainte-Croix)에서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자원하여 중상을 입고 크루아 드 게르(무공 훈장)를 받았다.

1920년 처녀 소설 『아침의 교대』(''La Relève du matin'')를 발표했다. 18~19세기의 박애주의자이자 경제학자인 장 바티스트 드 몽티옹/Jean-Baptiste de Montyon프랑스어에 의해 창설되어 도덕적 가치가 높은 작품에 주어지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몽티옹 상/Prix Montyon프랑스어을 수상했다. 1934년, 모든 작품에 대해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을 수여받았다.

자크-에밀 블랑슈의 1922년 드 몽테를랑 초상화


몽테를랑은 1934년 소설 ''레 셀리바테르''로 처음으로 비평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쓰여진 그의 4부작 ''레 죈 필''을 수백만 부 팔았다.

1960년 3월 24일,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행동주의와 극단적인 여성 혐오를 특징으로 하며, 연애보다는 스포츠를 좋아하는 귀족적인 남성상을 그렸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앙리 드 몽테를랑은 파리에서 피카르디 가문의 귀족 후손으로 태어났다.[2] 장송 드 세이 고등학교와 뇌이쉬르센의 생트 크루아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앙리의 아버지는 강경한 반동주의자였으며, 드레퓌스 사건 이후의 군대를 공화국에 지나치게 굴복한다고 경멸했다.[2] 또한 집에 전기전화를 설치하는 것을 거부했다.[2] 그의 어머니는 한때 활기찬 사교계 명사였지만, 출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병을 앓게 되어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 누워 지내다가 43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2]

1910년 드 몽테를랑


7~8세부터 앙리는 문학에 열정적이었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2] 1905년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쿼바디스''를 읽고 고대 로마에 평생 매료되었고 라틴어에 능숙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2] 그는 또한 학교 동료애, 스포츠, 투우에 열정적이었다.[2] 그가 15세가 되자 부모는 그를 혼자 스페인으로 보냈고, 그곳에서 '코리다'를 시작하여 어린 황소 두 마리를 죽였다.[2] 그는 또한 재능 있는 제도사였으며 1913년 이후에는 거리의 젊은이들을 고용하여 누드 모델을 하게 했다.[2]

1912년 4월 5일, 거의 17세가 된 앙리는 "영혼을 타락시키는 자"라는 이유로 가톨릭 생트 크루아 드 뇌이 학교에서 퇴학당했다.[2] 그는 다른 다섯 명의 젊은이들과 함께 '라 파미유'(가족)라고 불리는 기사단의 일종을 창립했는데, 구성원들은 충성과 상호 원조의 맹세로 묶여 있었다.[2] 그 그룹의 일원 중 한 명은 몽테를랑보다 2살 연하인 "특별한 친구" 필리프 장 지켈(1897–1977)이었는데, 몽테를랑은 그에게 매료되었지만 신체적인 접촉은 없었다.[2] 몽테를랑에 따르면 이 "특별한 우정"은 드 라 세르 신부의 격렬하고 질투심 많은 반대를 불러일으켰고, 그는 더 나이 많은 소년을 퇴학시키도록 조치했다.[2] 이 사건(그리고 지켈)은 몽테를랑에게 평생의 집착이 되었고, 그는 1952년 연극 ''왕자가 아이인 도시''와 1969년 소설 ''레 가르송''에 묘사했다.[2]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 그는 지켈과 그의 플라토닉한 우정을 재개했고, 지켈은 작가를 그의 딸 마리-크리스틴의 대부로 초대했다.[2]

1914년과 1915년에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사망한 후, 그는 애정 어린 할머니와 괴짜 삼촌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3] 1916년에 동원되어 부상을 입고 훈장을 받았다.[4] 전쟁의 경험에 의해 그는 자전적 소설 ''송게''('꿈')와 그의 ''베르됭 전몰자를 위한 장송곡''(''베르됭 전몰자를 위한 장송곡'')을 썼으며, 이는 대 전쟁 동안의 영웅주의에 대한 찬사였다.[4] 그의 작품은 1924년 하계 올림픽 예술 경연 대회의 문학 이벤트의 일부였다.[4]

1920년 처녀 소설 『아침의 교대』(''La Relève du matin'')를 발표했다. 18~19세기의 박애주의자이자 경제학자인 장 바티스트 드 몽티옹/Jean-Baptiste de Montyon프랑스어에 의해 창설되어 도덕적 가치가 높은 작품에 주어지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몽티옹 상/Prix Montyon프랑스어을 수상했다.

2. 2. 가톨릭 학교 퇴학

1912년 4월 5일, 앙리 드 몽테를랑은 거의 17세가 되었을 때 "영혼을 타락시키는 자"라는 이유로 가톨릭 생트 크루아 드 뇌이 학교에서 퇴학당했다.[2] 그는 다른 다섯 명의 젊은이들과 함께 '라 파미유'(가족)라고 불리는 기사단의 일종을 창립했는데, 구성원들은 충성과 상호 원조의 맹세로 묶여 있었다.[2] 그 그룹의 일원 중 한 명은 몽테를랑보다 2살 연하인 "특별한 친구" 필리프 장 지켈(1897–1977)이었는데, 몽테를랑은 그에게 매료되었지만 신체적인 접촉은 없었다.[2] 몽테를랑에 따르면 이 "특별한 우정"은 드 라 세르 신부의 격렬하고 질투심 많은 반대를 불러일으켰고, 그는 더 나이 많은 소년을 퇴학시키도록 조치했다.[2] 이 사건(그리고 지켈)은 몽테를랑에게 평생의 집착이 되었고, 그는 1952년 연극 ''왕자가 아이인 도시''와 1969년 소설 ''레 가르송''에 묘사했다.[2]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파리에서 태어난 앙리 드 몽테를랑은 장송 드 세이 고등학교와 뇌이쉬르센의 생트 크루아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 1916년에 동원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고 훈장을 받았다.[4] 전쟁 경험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어 자전적 소설 ''송게''('꿈')와 ''베르됭 전몰자를 위한 장송곡''을 쓰게 하였으며, 이 작품들은 대 전쟁 동안의 영웅주의에 대한 찬사였다.[4] 그의 작품은 1924년 하계 올림픽 예술 경연 대회의 문학 이벤트의 일부였다.[4]

1920년, 몽테를랑은 처녀 소설 『아침의 교대』(''La Relève du matin'')를 발표하여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을 수상했다.

2. 4. 문학 활동

앙리 마리 조제프 프레데리크 엑스페디트 밀리옹 드 몽테를랑(Henry Marie Joseph Frédéric Expedite Millon de Montherlant)은 파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Lycée Janson-de-Sailly프랑스어와 성 십자가 성모 마리아 학교(Institution Notre-Dame de Sainte-Croix)에서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자원하여 중상을 입고 크루아 드 게르(무공 훈장)를 받았다.

1920년 처녀 소설 『아침의 교대』(''La Relève du matin'')를 발표했다. 18~19세기의 박애주의자이자 경제학자인 Jean-Baptiste de Montyon프랑스어에 의해 창설되어 도덕적 가치가 높은 작품에 주어지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Prix Montyon프랑스어을 수상했다. 1934년, 모든 작품에 대해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을 수여받았다.

1960년 3월 24일,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행동주의와 극단적인 여성 혐오를 특징으로 하며, 연애보다는 스포츠를 좋아하는 귀족적인 남성상을 그렸다.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협력

2. 6. 만년과 죽음

앙리 드 몽테를랑은 만년에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고,[3] 1972년에는 거의 실명 상태가 되었다.[8] 로제 페이레피트에 따르면, 1968년 파리의 영화관 밖에서 젊은이들에게 공격을 받아 구타당한 것이 실명의 원인이라고 한다.[6][3] 몽테를랑은 자신이 성추행했던 젊은이들 중 한 명에게 공격당했다고 한다.[6] 그러나 영국 작가 피터 퀘넬은 몽테를랑이 "넘어짐" 때문에 눈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했다고 회상하며, 몽테를랑이 현기증을 앓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언급을 했다.[7]

말년에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몽테를랑은 1972년 청산염 캡슐을 삼키고 권총으로 머리를 쏴 자살했다.[8] 그의 유해는 장-클로드 바라와 가브리엘 마트제프에 의해 로마 포럼, 포르투누스 신전과 티베르 강에 뿌려졌다.[9]

3. 주요 작품 및 주제

그의 초기 성공작으로는 1934년의 《독신자들》, 그리고 수백만 부가 판매되고 13개 언어로 번역된 반 페미니즘적 4부작 《젊은 여자들》(1936–1939) 등이 있다.[3] 그의 만년 소설 《혼돈과 밤》은 1963년에 출판되었다. 이 소설들은 아라공, 베르나노스, 그리고 말로와 같이 다양한 작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몽테를랑은 특히 《젊은 여자들》에서 잘 드러나듯이 그의 반 페미니즘적이고 여성혐오적인 견해로 유명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그녀의 《제2의 성》에서 그의 여성에 대한 태도를 상세히 고찰했다.[10]

몽테를랑은 그의 작품에서 소년애적 주제를 다루었는데, 그 예로는 그의 희곡 《왕자가 아이인 도시》(1952)와 소설 《소년들》 (Les Garçons)이 있으며, 이 소설은 1969년에 출판되었지만 4, 50년 전에 쓰여졌다. 그는 로제 페이레피트와 비공개적이고 암호화된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페이레피트는 소년들의 관계를 다룬 《특별한 우정》(1943)의 작가이기도 하며, 이 소설 역시 로마 가톨릭 기숙 학교의 소년들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몽테를랑은 "행복은 흰 페이지에 흰 잉크로 쓴다"[14]라는 그의 경구로 기억되는데, 종종 "행복은 하얗게 쓴다"라는 짧은 형태로 인용된다.[15]

==== 희곡 ====

몽테를랑은 《파시파에》(1936), 《죽은 여왕》(1942), 《말라테스타》(1946), 《산티아고의 스승》(1947), 《포르-로얄》(1954) 그리고 《스페인 추기경》(1960)과 같은 희곡을 썼다.[11] 그는 특히 극작가로 기억된다.[11] 그의 희곡과 소설에서 그는 그가 표방한 도덕적 기준을 보여주는 영웅적인 인물들을 자주 묘사했고, '인간 행동의 비합리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탐구했다.[11] 몽테를랑은 그의 작품에서 소년애적 주제를 다루었는데, 그 예로는 그의 희곡 《왕자가 아이인 도시》(1952)가 있다.

==== 수필 ====

몽테를랑은 수필가로도 활동했다. 《9월의 추분》(1938)에서 그는 현대 프랑스의 평범함을 비난했고, 《6월의 하지》 (1941)에서 그는 국방군에 대한 존경을 표하며 프랑스가 정당하게 패배하고 1940년에 정복되었다고 주장했다.[12] 많은 오래된 귀족 가문의 후손처럼, 그는 특히 드레퓌스 사건 이후의 제3공화국을 혐오했다. 그는 1940년대에 파리의 조지 V 호텔에서 만난 프랑스 및 독일 지식인들의 "원탁 회의"에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작가 에른스트 윙거, 폴 모랑, 장 콕토, 출판인 가스통 갈리마르, 그리고 나치 법학자 카를 슈미트가 포함되었다.[12] 몽테를랑은 친나치 소설가이자 가톨릭 반동주의자인 알퐁스 드 샤토브리앙이 운영하는 파리 주간지 《라 게르브》에 기고했다.[13]

3. 1. 소설

그의 초기 성공작으로는 1934년의 《독신자들》, 그리고 수백만 부가 판매되고 13개 언어로 번역된 반 페미니즘적 4부작 《젊은 여자들》(1936–1939) 등이 있다.[3] 그의 만년 소설 《혼돈과 밤》은 1963년에 출판되었다. 이 소설들은 아라공, 베르나노스, 그리고 말로와 같이 다양한 작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몽테를랑은 특히 《젊은 여자들》에서 잘 드러나듯이 그의 반 페미니즘적이고 여성혐오적인 견해로 유명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그녀의 《제2의 성》에서 그의 여성에 대한 태도를 상세히 고찰했다.[10]

몽테를랑은 그의 작품에서 소년애적 주제를 다루었는데, 그 예로는 그의 희곡 《왕자가 아이인 도시》(1952)와 소설 《소년들》 (Les Garçons)이 있으며, 이 소설은 1969년에 출판되었지만 4, 50년 전에 쓰여졌다. 그는 로제 페이레피트와 비공개적이고 암호화된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페이레피트는 소년들의 관계를 다룬 《특별한 우정》(1943)의 작가이기도 하며, 이 소설 역시 로마 가톨릭 기숙 학교의 소년들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몽테를랑은 "행복은 흰 페이지에 흰 잉크로 쓴다"[14]라는 그의 경구로 기억되는데, 종종 "행복은 하얗게 쓴다"라는 짧은 형태로 인용된다.[15]

3. 1. 1. 《젊은 여자들》 논란

아무런 내용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젊은 여자들》 논란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에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2. 희곡

몽테를랑은 《파시파에》(1936), 《죽은 여왕》(1942), 《말라테스타》(1946), 《산티아고의 스승》(1947), 《포르-로얄》(1954) 그리고 《스페인 추기경》(1960)과 같은 희곡을 썼다.[11] 그는 특히 극작가로 기억된다.[11] 그의 희곡과 소설에서 그는 그가 표방한 도덕적 기준을 보여주는 영웅적인 인물들을 자주 묘사했고, '인간 행동의 비합리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탐구했다.[11] 몽테를랑은 그의 작품에서 소년애적 주제를 다루었는데, 그 예로는 그의 희곡 《왕자가 아이인 도시》(1952)가 있다.

3. 3. 수필

몽테를랑은 수필가로도 활동했다. 《9월의 추분》(1938)에서 그는 현대 프랑스의 평범함을 비난했고, 《6월의 하지》 (1941)에서 그는 국방군에 대한 존경을 표하며 프랑스가 정당하게 패배하고 1940년에 정복되었다고 주장했다.[12] 많은 오래된 귀족 가문의 후손처럼, 그는 특히 드레퓌스 사건 이후의 제3공화국을 혐오했다. 그는 1940년대에 파리의 조지 V 호텔에서 만난 프랑스 및 독일 지식인들의 "원탁 회의"에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작가 에른스트 윙거, 폴 모랑, 장 콕토, 출판인 가스통 갈리마르, 그리고 나치 법학자 카를 슈미트가 포함되었다.[12] 몽테를랑은 친나치 소설가이자 가톨릭 반동주의자인 알퐁스 드 샤토브리앙이 운영하는 파리 주간지 《라 게르브》에 기고했다.[13]

4. 유산과 평가

앙리 드 몽테를랑은 1934년에 소설 《독신자들(Les célibataires)》로 프랑스 아카데미 문학 대상을 수상했으며, 영어로는 노스클리프 상을 수상했다.[16] 1960년에는 정치 평론가 앙드레 지그프리드의 자리를 이어받아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16] 그는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장교였다.[17]

장 모리악, 로맹 롤랑, 앙드레 모루아, 앙드레 지드, 조르주 베르나노스 등으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았으며, 특히 베르나노스는 1939년에 그를 "아마도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한 작가"라고 칭했다.[18]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는 그를 "위대한 작가"라고 불렀지만, 그의 일부 작품이 "둔하고 거칠다"고 평했다.[9] 독일의 영화 감독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두 편의 영화, 《작은 혼돈(1967)》과 《사탄의 양념(1977)》에서 《젊은 처녀들(Les Jeunes Filles)》을 언급했다.[19] 단편 영화 《작은 혼돈》에서 파스빈더가 연기한 캐릭터는 훔쳤다고 주장하는 《젊은 처녀들》의 독일어 페이퍼백 번역본을 소리 내어 읽는다.[20]

피에르 라페르는 1993년에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몽테를랑의 문체는 풍부함, 힘, 고전주의로 인정받고 있다"고 언급했다.[21]

4. 1. 비판적 관점

5. 한국과의 관계

5. 1. 번역 및 수용

테렌스 킬마틴은 마르셀 프루스트의 C. K. 스콧 몬크리프 번역본을 수정했으며, 몽테를랑의 소설 중 일부를 영어로 번역했는데, 여기에는 1968년판 『Les Jeunes Filles』의 4권이 포함되었으며, 영어 제목은 『The Girls』였다.[22] 2009년, 뉴욕 리뷰 북스는 개리 인디애나가 새로 서문을 쓴 킬마틴의 『Chaos and Night』(1963) 번역본을 발행하여 몽테를랑을 영어로 다시 출판했다.[23]

크리스토프 말라부아는 1997년에 텔레비전 영화로 각색된 『La Ville dont le prince est un enfant』의 연출과 주연을 맡았다.

일본에서는 몽테를랑의 작품이 여러 번 번역, 출판되었다. 호리구치 다이가쿠는 『투우사』(Les Bestiaires, 제일서방, 1936년, 이후 신초 문고), 『헛된 봉사』(Un incompris, 신초사, 1950년), 『여성에 대한 연민』(Pitié pour les femmes, 신초사, 1951년, 이후 문고), 『선의 악마』(Le Démon du bien, 신초사, 1951년, 이후 문고), 『사막의 장미의 연애 이야기』(La Rose de sable, 신초사, 1955년)를 번역했다. 신조 요시아키는 『젊은 처녀들』(Les Jeunes Filles, 신초사, 1939년, 이후 문고), 『나병에 걸린 여자들』(Les Lépreuses, 신초사, 1948년, 이후 문고), 『혼돈과 밤』(Le Chaos et la Nuit, 신초사, 1968년)을 번역했다. 가토 타미오는 『사막의 장미』(후타미 서방, 1977년)를, 모치즈키 요시로는 『욕망의 샘가에서』(다비드사, 1955년)를 번역했다. 와타나베 가즈미는 『독신자들, 카스티야의 공주』를 번역하여 『세계 문학 전집 20세기 문학 제24 (몽테를랑, 클로드 모리악)』(슈에이샤, 1965년)에 수록했다. 미야지마 하루히코는 「죽은 여왕」(La Reine morte)을 번역하여 『오늘의 프랑스 연극 제4』(하쿠스이샤, 1967년)에 수록했다. 가와구치 아쓰시는 「포르 로와이얄」(Port-Royal)을 번역하여 『현대 세계 연극 16 (현대의 고전주의)』(하쿠스이샤, 1972년)에 수록했다. 아사히나 기는 「포르 로와이얄·이스파니아 추기경」을 번역하여 『즈쿠마 서방 세계 문학 대계 72 (피에르 드뤼 라 로셸, 몽테를랑, 앙드레 말로)』 1975년에 수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enry de Montherlant | French author https://www.britanni[...] 2023-09-17
[2] 웹사이트 Henry de Montherlant http://www.montherla[...]
[3] 웹사이트 The Pitiless Universe of Montherlant http://www.nysun.com[...] 2007-07-18
[4] 웹사이트 Henry de Montherlant https://www.olympedi[...] 2020-07-23
[5] 서적 Staging History from the Shoah to Palestine: Three Plays and Essays on WWÏI and its Aftermath Palgrave Macmillan
[6] 문서 'Des Français' Flammarion
[7] 서적 The Wanton Chase Collins
[8] 웹사이트 Henry de Montherlant > Biographie > 6. La mort de Montherlant http://www.montherla[...]
[9] 서적 Marguerite Yourcenar: Inventing a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10] 서적 Beauvoir and the Second Sex: Feminism, Race, and the Origins of Existentialis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9
[11] 문서 New Oxford Companion to Literature in french OUP
[12] 서적 A German Officer in Occupied Paris Columbia University Press
[13] 문서 Verdict on Vichy Michael Curtis, Weidenfeld & Nicolson
[14] 문서 "Le bonheur écrit à l'encre blanche sur des pages blanches."
[15] 간행물 "The Pursuit of Happiness: A Letter to Thomas Jefferson Magazine" Free Inquiry 2004-06
[16] 웹사이트 Refer to his speech on the site of the Académie française http://www.academie-[...]
[17] 논문 In Memoriam: Henry de Montherlant, 1896-1972 https://www.jstor.or[...] 1973
[18] 서적 Guide to French literature. 1789 to the present St. James Press 1992
[19] 문서 Rainer Werner Fassbinder Rowohlt Taschenbuch Verlag
[20] 서적 A Companion to Rainer Werner Fassbinde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2-20
[21] 논문 Aspects de la dualité du discours montherlantien https://www.jstor.or[...] 1993
[22] 뉴스 The Girls by Henry de Montherlant. Translated by Terence Kilmartin from the French https://www.nytimes.[...] 2024-10-02
[23] 서적 The Red Thread: Twenty Years of NYRB Classics: A Selection https://books.googl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9-09-24
[24] 웹사이트 Notice de personne - Montherlant, Henry de (1895-1972) https://catalogue.bn[...]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20-06-24
[25] 웹사이트 Lycée Janson de Sailly https://www.janson-d[...] 2020-06-24
[26] 웹사이트 Henry de MONTHERLANT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24
[27] 웹사이트 Prix Montyon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24
[28] 웹사이트 Grand Prix de Littératur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24
[29] 웹사이트 アンリ・ミロン・ド・モンテルラン https://kotobank.jp/[...] 2020-06-25
[30] 뉴스 HENRY DE MONTHERLANT SERA INCINÉRÉ https://www.lemonde.[...] 2020-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