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애국가 (글린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국가 (글린카)"는 미하일 글린카가 1833년에 작곡한 가사 없는 피아노 곡으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러시아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원래는 "국가적 노래 동기"라는 제목으로 프랑스어로 불렸으며, 1944년 미하일 바그리노프스키가 관현악 편곡을 통해 '애국가'라는 제목으로 대중화되었다. 1990년 보리스 옐친에 의해 러시아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가사의 부재와 소련 국가와의 연관성 문제로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취임 이후 국가가 교체되었으며, 현재는 푸틴 반대 세력에 의해 정치적 국가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러 가사 버전이 존재하며, 모스크바 찬가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하일 글린카의 작품 - 카마린스카야
    카마린스카야는 러시아 민요를 기반으로 미하일 글린카가 작곡한 관현악 작품으로, 빠른 템포의 춤곡 멜로디를 반복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미하일 글린카의 작품 - 슬랍샤
    슬랍샤는 러시아 역사, 문화, 사회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시대에 따라 가치와 의미가 변화해 왔으며, 민요, 사회주의적 가치 고취, 민족주의 고취 등의 형태로 활용되며 러시아 정체성을 이해하는 지표가 되고 있다.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카르스 조약
    카르스 조약은 1921년 터키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포함한 트란스 코카서스 지역 국가들 간에 체결되어 터키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간의 국경을 확정하고 나흐치반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의 보호 하에 두었으며, 소련의 무효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조약이다.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1917년 러시아 총선
    1917년 러시아 총선은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가 약속하여 실시된 제헌 의회 선거이며, 사회혁명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으나 볼셰비키는 의회를 해산시키고 자유 선거를 중단했다.
  • 러시아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러시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애국가 (글린카)
일반 정보
제목애국가
로마자 표기Patrioticheskaya pesnya
영어 제목The Patriotic Song
국가 정보
국가 종류과거 국가
국가러시아
과거 소속 국가러시아 SFSR
음악 정보
작곡가미하일 글린카
작곡 연도1833년
편곡 연도1944년 (미하일 바그리노프스키 편곡)
음원 제목애국가 (기악 연주)
채택 및 폐지 정보
채택일1990년 11월 23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재채택일1993년 12월 25일 (러시아 연방)
폐지일2000년 12월 27일
이전 국가소비에트 연방 국가
다음 국가러시아 연방 국가
악보 정보
악보

2. 역사

Patrioticheskaya Pesnya|한국어 발음ru미하일 글린카가 1833년에 작곡한 가사 없는 피아노 곡으로, 1885년 재발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인 1944년, 미하일 바그리노프스키가 이 곡을 편곡하고 Patrioticheskaya Pesnya|한국어 발음ru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후 알렉세이 마시스토프가 가사를 붙여 모스크바를 찬양하는 노래를 만들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1990년 보리스 옐친에 의해 러시아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가사가 없어 국민들에게 널리 정착되지 못했다. 또한 공산당 등 소련 국가를 지지하는 세력도 있었다. 결국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취임 이후 소련 국가의 멜로디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곡으로 교체되었다.[7]

오늘날 이 곡은 푸틴 반대파의 정치적 국가로 사용되거나, 스포츠 행사에서 러시아 국가 대신 잘못 연주되기도 한다.[9][10][11][12][13][14][15]

2. 1. 원곡의 탄생과 발전 (1833년 ~ 1990년)

Patrioticheskaya Pesnya|한국어 발음ru는 원래 미하일 글린카가 1833년에 작곡한 가사 없는 피아노 곡으로, (프랑스어)로 Motif de chant national|국가적 노래 동기프랑스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었다.[1] 1885년, 글린카의 악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국립 도서관에서 잊혀진 채로 있다가 재발견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이 끝을 향해 가던 1944년, 모스크바 음악원의 군악과 교수를 역임한 미하일 바그리노프스키(1885년 - 1966년)가 곡명을 『애국가』로 명명하고, 취주악용으로 편곡했다.[1] 이 판은 라디오 방송으로 연주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알렉산드르 가우크에 의한 관현악 편성을 비롯한 많은 편곡이 시도되었다.

1947년, 시인 알렉세이 마시스토프가 바그리노프스키의 글린카 곡 편곡에 가사를 붙여 소비에트 수도 모스크바에 헌정하는 노래를 만들었는데, 이 두 가지가 글린카의 작품을 소련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 오늘날 흔히 사용되는 별칭을 부여하는 데 기여했다.[5]

러시아 TV 뉴스 프로그램 는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이 곡을 주제가로 사용했다.

2. 2. 러시아 국가 채택과 논란 (1990년 ~ 2000년)

1990년 보리스 옐친은 이 곡을 러시아 SFSR의 새로운 국가로 선택했으며, 1990년 11월 23일 러시아 최고 소비에트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3] 1991년부터 새로운 러시아 연방에 의해 관성적으로 ''사실상'' 사용되었으며, 러시아 헌법이 제정된 1993년 국가로 공식적으로 확정될 때까지 사용되었다.[6] 러시아 정교회에서도 선호하는 이 곡은 수년 동안 가사 없이 사용되었다. 1999년 빅토르 라두긴은 이 곡에 적합한 가사를 제공하는 경연에서 자신의 시 "러시아에 영광을!"(Славься, Россия!|Slávsya, Rossíya!ru)으로 우승했으나, 가사는 채택되지 않았고 다른 참가작도 채택되지 않았다.

이 곡은 선율과 가사의 부재로 인해 러시아 대중과 많은 정치인, 유명 인사들로부터 인기를 얻지 못했으며, 그 결과 국제 대회에서 러시아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7]

옐친의 후임자인 블라디미르 푸틴이 러시아 연방 대통령으로 2000년 5월 7일 처음 취임한 직후 이 곡은 교체되었다. 연방 입법부는 2000년 12월에 새로운 가사와 함께 소련 국가의 음악을 제정하고 승인했다.[7] 옐친은 소련 시대의 국가를 반쯤 재도입하는 것을 지지한 푸틴을 비판했지만, 일부 여론 조사에서는 많은 러시아인들이 이 결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소련 붕괴 후 보리스 옐친 대통령에 의해 기존의 소련 국가(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 작곡)를 대신하여 신생 러시아의 국가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멜로디만 있고 공식 가사가 없었던 점, 공산당 등 소련 시대의 국가를 지지하는 세력도 강했던 점 등이 원인이 되어 국민들에게 널리 정착되지 못했고, 정식 국가로 만들기 위한 법제화도 실현되지 못했다.

옐친의 후임이 된 블라디미르 푸틴에 의해 소련 국가의 멜로디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곡이 새로운 러시아의 국가로 정해져 2000년12월 27일을 기점으로 국가로서의 역할을 마쳤다.

2. 3. 국가 교체와 현재 (2000년 ~ 현재)

블라디미르 푸틴이 2000년 5월 7일 러시아 연방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이 곡은 국가로서의 역할을 잃게 되었다.[7] 2000년 12월, 연방 입법부는 소련 국가의 멜로디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곡을 러시아의 국가로 승인했다.[7] 보리스 옐친은 푸틴이 소련 시대의 국가를 부분적으로 재도입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여론 조사에서는 많은 러시아인들이 이 결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오늘날 이 곡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반대파 일부 세력에 의해 정치적 국가로 사용되기도 한다.[9][10] 또한, 러시아가 참여하는 스포츠 행사에서 이 곡이 러시아 국가 대신 잘못 연주되는 경우도 발생한다.[11][12][13][14][15]

3. 가사

글린카의 '애국가'에는 여러 가지 가사가 붙여져 불려왔다.


  • 1999년 빅토르 라두긴이 제안한 "러시아에 영광을!"(Славься, Россия!ru) 가사가 있다.[3] 이 가사는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에게 바치는 삶''의 마지막 합창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두 곡 모두 "영광"(славьсяru)이라는 단어로 시작하기 때문이다.[3]


가사독음해석
Славься, славься, родина-Россия!
Сквозь века и грозы ты прошла
И сияет солнце над тобою
И судьба твоя светла.ru
슬랍샤, 슬랍샤, 로디나-라씨야!
스끄보 볘까 이 그라즤 띄 쁘라쉴라
이 시야옛 손체 낟 따보유
이 수드바 뜨바야 스볘찔라ru
영광스러워지리라, 조국 러시아여!
그대는 세기와 번개구름을 뚫고 왔도다.
그리고 태양은 그대의 위에 빛나리
그리고 그대의 운명은 빛나리라.ru
Над старинным московским Кремлем
Вьется знамя с двуглавым орлом
И звучат священные слова:
Славься, Русь -- Отчизна моя!ru
낟 스따리느늼 마스꼽스낌 끄례믈룜
뵤차 즈나먀 스 드부글라븸 알람
이 즈부촷 스뱌쉐느늬예 슬라바
슬랍샤, 루스--앗츼즈나 마야!ru
옛 모스크바의 크렘린 위에서
쌍두독수리가 깃발을 휘날리노라.
그리고 성스러운 목소리가 울려퍼지리
영광스러워져라, 러시아여, 나의 조국이여!ru


  • 1998년에는 블라디미르 칼린킨이 작사한 "조국 위에 장엄하게"(Над Отчизной величаво|Nad Otčiznoj veličavoru)라는 가사도 있다.


러시아어 원문한국어 번역


  • 1947년 모스크바 건도 800주년 기념으로 알렉산드르 마시스토프가 작사한 가사는 '모스크바'라는 제목으로 불리기도 한다.[17]


러시아어(원어)한국어 번역
style="padding-right: 3em;" lang="ru" |style="padding-left: 3em;" |


  • 이 외에도 러시아 군대 합창단인 "붉은 별"이 부른 버전 등 다양한 가사가 존재한다.[16]

3. 1. 비공식 가사: "러시아에 영광을!" (빅토르 라두긴 작사)

1999년, 빅토르 라두긴은 "러시아에 영광을!"(Славься, Россия!ru)이라는 제목의 가사를 제안했다.[3] 이 곡은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에게 바치는 삶''의 마지막 합창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두 곡 모두 "영광"(славьсяru)이라는 단어로 시작하기 때문이다.[3] 그러나 두 작품은 관련이 없으며, 후자는 오래된 폴란드인의 민요에서 파생되었다.[3]

가사독음해석
Славься, славься, родина-Россия!
Сквозь века и грозы ты прошла
И сияет солнце над тобою
И судьба твоя светла.ru
슬랍샤, 슬랍샤, 로디나-라씨야!
스끄보 볘까 이 그라즤 띄 쁘라쉴라
이 시야옛 손체 낟 따보유
이 수드바 뜨바야 스볘찔라ru
영광스러워지리라, 조국 러시아여!
그대는 세기와 번개구름을 뚫고 왔도다.
그리고 태양은 그대의 위에 빛나리
그리고 그대의 운명은 빛나리라.ru
Slavsja, Slavsja, rodina Rossija!
Skvoz veka i grozy ty prošla!
I sijajet solnce nad toboju
I sud
ba tvoja svetla!영어
Над старинным московским Кремлем
Вьется знамя с двуглавым орлом
И звучат священные слова:
Славься, Русь -- Отчизна моя!ru
낟 스따리느늼 마스꼽스낌 끄례믈룜
뵤차 즈나먀 스 드부글라븸 알람
이 즈부촷 스뱌쉐느늬예 슬라바
슬랍샤, 루스--앗츼즈나 마야!ru
옛 모스크바의 크렘린 위에서
쌍두독수리가 깃발을 휘날리노라.
그리고 성스러운 목소리가 울려퍼지리
영광스러워져라, 러시아여, 나의 조국이여!ru
Nad starinnym moskovskim Kremlem
Vetsja znamja s dvuglavim orlom
I zvučat svjaščennije slova:
Slav
sja, Rus' - Otčizna moja!영어


3. 2. "조국 위에 장엄하게" (블라디미르 칼린킨 작사)

Над Отчизной величаво|Nad Otčiznoj veličavoru는 1998년 블라디미르 칼린킨이 작사한 또 다른 가사였다. 러시아의 예술가 블라디미르 데타예프가 공연했으며, 1999년 4월에 이 곡의 존재가 두마에 알려졌다. 러시아 민족 정책부의 주도로 이 곡은 러시아 국민 회의의 첫 번째 회의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발표되었다. 그 해 여름 동안, 국가의 가사를 쓰는 데 헌신한 라디오 방송국 "러시아 라디오"와 TV 채널 "모스코비야"에서 공연되었다.

2000년 1월, N.P. 오시포프 국립 민속 악기 오케스트라와 A.V. 스베시니코프 학술 합창단이 연주한 새로운 오케스트라 편곡으로 공연되었다. 전반적으로 이 노래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는 못했다.[1]

러시아어 원문러시아어 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3. 3. "붉은 별" (러시아 군대 합창단)

1992년, 러시아 군대 합창단인 "붉은 별"과 RVSN의 무용단이 차이콥스키 홀에서 모스크바에 관한 가사가 포함된 "애국가" 버전을 불렀다.[16]

러시아어 원문러시아어 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


3. 4. 알렉세이 마시스토프의 가사 (모스크바 찬가)

1947년, 모스크바 건도 8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이 곡을 모스크바 찬가로 만들 계획이 세워졌고, 알렉산드르 마시스토프가 가사를 붙였다. 가사의 내용에 따라 이 판의 제목을 '모스크바'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련 시대에 인기가 많아 널리 연주되고 녹음되었다.[17]

; 마시스토프의 가사

러시아어(원어)한국어 번역
style="padding-right: 3em;" lang="ru" |style="padding-left: 3em;" |


4. 평가 및 영향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ru는 러시아 사회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이 곡이 러시아의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가적 단결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1990년대 초 러시아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을 때, 이 곡은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가사가 없어 국제 대회에서 러시아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과 소련 시대의 국가를 연상시킨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있었다.[1]

4. 1. 부정적 평가

가사가 없어 국제 대회에서 러시아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과 소련 시대의 국가를 연상시킨다는 비판이 있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Anthem of Russia http://www.hymn.ru/i[...] 2005
[2] 웹사이트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ь Глинки http://www.muzcentru[...]
[3] 웹사이트 On the National Anthem of the Russian SFSR http://pravo.levonev[...] pravo.levonevsky.org 1990-11-23
[4] 간행물 Финдейзен Н. Глинкиниана. (Автографы Глинки в Императорской Публичной библиотеке) Русская музыкальная газета. СПб., 1895. № 7
[5] 웹사이트 Шедевры М. И. Глинки и В. И. Агапкина позднеимперского периода https://rossaprimave[...]
[6] 웹사이트 On the National Anthem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infopravo.by.[...] infopravo.by.ru 1993-12-11
[7] 웹사이트 The Russian National Anthem and the problem of National Identity in the 21st Century http://www.gbrussia.[...] gbrussia.org
[8] 뉴스 Yeltsin attacks Putin over anthem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0-12-07
[9] 웹사이트 Звезда "Парнаса". Как саратовский видеоблогер скрестил либералов с националистами http://spektr.press/[...] Спектр 2016-08-31
[10] AV media Поднятие флага https://www.youtube.[...] Легион "Свобода России" 2022-12-21
[11] 웹사이트 Организаторы женского МЧМ по хоккею извинились за ошибку с гимном РФ http://ria.ru/sport/[...] РИА «Новости» 2015-01-12
[12] Youtube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В США во время награждения Власова включили старый гимн России http://www.interfax.[...] Интерфакс 2015-09-08
[14] 웹사이트 Организаторы дважды перепутали гимн России во время награждения гимнастки Маргариты Мамун. http://www.sovsport.[...] Советский спорт 2015-09-08
[15] 뉴스 СБР: вместо гимна на награждении ЧМ прозвучала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 Глинки https://www.gazeta.r[...]
[16] 웹사이트 The Russian "Red Star" Army Chorus of RVSN (1992) https://youtube.com/[...] 2011-01-14
[17] 문서 井上和男の説。参考文献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