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배리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2012년 개통했다. 1853년 최초 철도 건설 이후 배리와 앨런데일 간의 갈등과 철도 중심지로서의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 GO 트랜싯의 배리선 열차와 배리 시내버스, 심코 카운티 LINX 버스 등이 운행한다.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은 1905년에 지어진 역사 건물과 주변 부지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이 있었으며, 현재 배리 시내 버스 터미널 이전을 통해 광역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키치너역
키치너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다양한 철도 회사와 연결되어 VIA 철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하며, 2027년 키치너 센트럴역으로의 이전을 추진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해밀턴 GO 센터
해밀턴 GO 센터는 1933년 해밀턴 역으로 개장한 아르 데코 양식의 건물로, 1996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와 버스 서비스를 통합하여 재개장한 철도 및 버스 터미널이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군포역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24 Essa Road, Barrie, Ontario, L4N 9C8, 배리, 온타리오주 L4N 9C8 |
노선 | 과거: 캐나디안, 노스랜더 |
기타 | [[File:Barrie_Transit_logo.svg|20px]] 배리 교통 심코 카운티 링크스 온타리오 노스랜드 |
승강장 | 1개 상대식 승강장 |
버스 정류장 | 6개 버스 베이 |
선로 | 1개 + 1개 우회 |
주차장 | 150대 |
자전거 보관소 | 있음 |
수하물 취급 | 없음 |
개업일 | 1905년 6월 19일 |
폐쇄일 | 건물: 1980년 (재개장 1990-1993) 승강장: 1996년 |
재건축 | 2011년 |
전철화 여부 | 아님 |
접근성 | 있음 |
GO 트랜싯 코드 | AD |
소유 | 메트로링스/배리 시 |
구역 | 69 |
운행 정보 | |
과거 운행 정보 |
2. 역사
배리에 처음 철도가 놓인 시점은 1853년으로 이 당시부터 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차량 기지 확장과 화물 운임을 두고 배리와 앨런데일 사이에 팽팽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배리는 산업 발전을 통해 도시 팽창을 도모하였고 철도 의존 지역인 앨런데일 주민들은 자신들의 일자리를 보장하기 위해 확장에 반대하였다.[35] 조지아 만을 토론토-해밀턴-나이아가라 연선의 황금 말발굽 지역까지 잇기 위해 토론토에서 심코 호 서쪽의 평지를 따라 콜링우드까지 철도 노선을 짓고자 하는 계획이 제안되었으며 온타리오, 심코, 휴론 철도 노선이 1853년에 앨런데일까지 철도가 놓여졌다.[35] 배리에서 5km가량 남쪽으로 떨어진 이 역은 철도 회사 직원들의 보금자리로 발전하였다. 한편 배리는 재정 지원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철도의 수혜를 받지 못했는데 이는 1860년대에 배리로 이어지는 지선을 지으라는 법원 판결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앨런데일은 철도 운영사의 부실한 재정으로 자그마한 기업 의존 도시에 불과하였으나 토론토로 이어지는 교통편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35]
해밀턴 및 노스웨스턴 철도가 1865년에 앨런데일에 들어서면서 화물 운송료 절감, 서비스 개선 및 인근 지역의 철도 교통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희망을 북돋았다. 새로운 철도 노선의 종착역은 배리가 아닌 앨런데일에 들어서면서 앨런데일이 온타리오 중부의 철도 교통 요지로서의 입지는 앞으로 몇 년동안 굳게 다질 수 있게 되었다.[24] 1875년에 노던 철도가 온타리오, 심코, 휴론 철도 노선을 사들였고 이에 따라 역 건물에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매각에 대비해 온타리오, 심코, 휴론 철도는 앨런데일역을 분기역으로 지정하였고 매각가를 높이기 위해 차량 기지와 유치장을 포함한 새로운 건물이 지어졌다. 앨런데일역에는 직원들이 추가로 채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앨런데일은 향후 25년동안 인구 증가나 별다른 동네 발전이 없었다.[35]
앨런데일역이 본격적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한 시점은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역을 매입했을 때였는데, 건물과 선로가 개량되면서 앨런데일역사상 최대 규모의 부동산 열풍이 불었다.[25] 역, 차량 기지, 인근 식당에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면서 고용 안정은 일단 이루어진 듯하였다. 인구가 늘어나고 마을의 부도 늘어나면서 새로운 벽돌집과 상가가 하나둘씩 생겨났다.[25]
앨런데일의 교통 무역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깨기 위해 배리 지역의 납세자들은 차량 기지 위치를 변경하고 운송비를 내리고 1897년에 앨런데일과 배리를 통합하고자 하였고, 이 중에서 앨런데일-배리 통합만 성공하였다. 6번 지구로 개명된 앨런데일은 자치권을 잃게 되었으나 별도의 정체성과 그랜드 트렁크 철도와의 연을 놓지 않았다.[35] 1904년과 1905년 사이에 신역사가 지어지면서 교통 요지로서의 입지는 계속 지키게 되었다.[35]
배리는 금전적인 이유에서 앨런데일을 곱게 보지 못하였다. 지역 기업가들은 앨런데일 분기역을 지역 제조업 발전에 방해가 된다고 여겼으며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매기는 비싼 운송비로 국가 전체 규모의 제조업 중심 도시로서 발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26] 이에 따라 배리는 심코 군의 시장과 서비스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1910년에 들어서서 배리 근처에 있는 콜링우드, 미들랜드, 오릴리아에서 제조된 제품의 총 가치가 배리보다 월등히 높았다. 앨런데일은 한편 철도 의존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35]
앨런데일역은 배리에서 토론토까지 이어지는 교통편을 제공하였으나 앨런데일 지역 주민들이 배리와 갈등을 겪으면서 20세기 초반에 산업화에 따른 주요 혜택을 받지 못하였다. 도시 발전이 더뎌지면서 배리는 심코 지역의 정치, 사법, 농업 중심지로 자리잡게 되었고 2차 세계 대전 이후로 철도의 중요성이 떨어지면서 앨런데일역의 철도 중심지로서의 위상과 배리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을 잃게 되었다.[35] 1964년 6월에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역 유치장을 철거하였다.[27]
1972년 4월 1일,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연방 정부의 명령으로 배리에서 토론토까지 통근 열차를 운행하게 되었다.[28] 1978년에 CN의 여객 철도가 VIA 철도로 이관되면서 이 열차는 VIA가 운행하게 되었다.[28] 1981년에 경기 침체로 당시 캐나다 총리였던 피에르 트뤼도는 VIA 철도 보조금을 삭감하였다.[28] 이에 따라 토론토와 배리 간을 운행하던 VIA 열차는 운행을 중단하게 되고 온타리오 주의 GO 트랜싯이 1982년 9월 7일부터 유니언역에서 브래드퍼드 역까지 운행을 시작하였고, 브래드퍼드에서 배리까지는 셔틀 버스가 운행하였다.[28]
1990년 9월 17일, 데이비드 피터슨 온타리오 주지사는 브래드퍼드 선 열차를 배리까지 연장하였고 오릴리아 연장 가능성도 열어두었다.[28] 하지만 저조한 승객 수와 경기 침체에 따른 예산 감축으로 1993년 7월 5일, 종점은 다시 브래드퍼드로 원상 복귀되었다. 온타리오 주는 90년대 말에 배리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지켜보고 배리 연장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28] 하지만 CN 철도가 뉴마켓선 배리 북쪽 구간인 배리-워셔고 구간을 폐선하면서 사정은 더 복잡해졌다.[28] 이를 두고 메트로링스는 2009년 12월 15일, 뉴마켓선 요크 선 북쪽 구간을 6800만 달러에 매입하였으며 앨런데일까지 통근 열차 운행을 위한 공사에 들어갔다.[28] 공사 지연 이후, 2012년 1월 29일에 새로운 통근 열차 역인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 개통식에 기념 열차가 들어섰으며, 개통식 다음 날부터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28]
온타리오, 심코 앤 휴론 유니온 철도(OS&HUR)는 1853년 이곳에 처음 역을 건설했다. 4개의 역사적인 역이 있었으며, 마지막 역은 현재 역 근처 부지에 여전히 서 있으며, 1904년에 건설되어 당시 운영사인 그랜드 트렁크 철도에 의해 1905년 6월 19일에 개통되었다.[7][8][9] 이 역은 그랜드 트렁크, 이후 캐나다 국립 철도 (둘 다 여기서 북쪽으로 뻗어 노스 베이 또는 미포드를 운행하는 열차를 보유), 온타리오 노스랜드, 비아 레일에서 1980년에 폐쇄될 때까지 사용되었다.[9] 그러나 온타리오 노스랜드의 ''노스랜더''와 비아의 ''캐나디안''은 1992년과 1996년까지 각각 폐쇄된 역의 플랫폼에 계속 정차했다. 1990년, GO 트랜짓은 바리에로 서비스를 연장하려는 첫 시도(왕복 각 1대의 러시 아워 열차 운행) 중 자체적으로 역을 재개했지만, 낮은 이용률로 인해 1993년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1992년, 이 재개통 기간 동안 노스랜더는 발라 지선으로 노선을 변경했지만, ''캐나디안''은 1996년 9월 22일까지 플랫폼을 이용했으며, 이 또한 노선이 변경되었다. 그 직후, CN은 역 바로 북쪽의 분기점에서 롱포드까지의 레일을 철거했지만, 북서쪽으로 뻗어 있는 전 미포드 지선은 단거리 철도 바리-콜링우드 철도와의 연결선으로 유지되었다.[10]
2. 1. 초기 역사 (1853년 ~ 1900년대)
1853년, 온타리오, 심코, 휴론 철도(OS&HUR)가 앨런데일에 최초로 철도를 건설하고 역을 세웠다.[35] 배리와 앨런데일은 차량 기지 확장과 화물 운임을 두고 갈등을 겪었는데, 배리는 산업 발전을 통해 도시 팽창을 도모한 반면, 앨런데일 주민들은 일자리 보장을 위해 확장에 반대하였다.[35] 1860년대, 법원 판결에 따라 배리로 이어지는 지선이 건설되면서 앨런데일은 토론토로 이어지는 교통편을 확보하게 되었다.[35]1865년, 해밀턴 및 노스웨스턴 철도가 앨런데일에 들어서면서 앨런데일은 온타리오 중부의 철도 교통 요지로 자리 잡았다.[24] 1875년, 노던 철도가 OS&HUR 노선을 인수하면서 역 건물이 개선되었다.[35]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역을 매입하면서 앨런데일역은 최대 규모의 부동산 열풍을 맞이했고, 역, 차량 기지, 인근 식당에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 고용 안정이 이루어지는 듯하였다.[25]
배리 지역 납세자들은 앨런데일의 교통 무역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차량 기지 위치 변경, 운송비 인하, 1897년에 앨런데일과 배리 통합을 시도하였고, 앨런데일-배리 통합만 성공하였다.[35] 6번 지구로 개명된 앨런데일은 자치권을 잃었으나, 그랜드 트렁크 철도와의 연은 계속되었다.[35] 1904년과 1905년 사이에는 신역사가 지어졌다.[7][8][9][35]
배리는 앨런데일 분기역을 지역 제조업 발전에 방해가 된다고 여겼으며,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매기는 비싼 운송비로 국가 전체 규모의 제조업 중심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26] 이에 따라 배리는 심코 군의 시장과 서비스 중심지로 발전하였고, 앨런데일은 철도 의존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35]
2. 2. 배리와의 통합, 그리고 갈등 (1900년대 ~ 1960년대)
1853년 온타리오, 심코, 휴론 철도가 앨런데일에 처음 철도를 놓은 이후, 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차량 기지 확장과 화물 운임을 두고 배리와 앨런데일 사이에 팽팽한 논쟁이 계속되었다.[35] 배리는 산업 발전을 통해 도시 팽창을 도모하였고, 철도 의존 지역인 앨런데일 주민들은 일자리 보장을 위해 확장에 반대하였다.[35] 해밀턴 및 노스웨스턴 철도가 1865년에 앨런데일에 들어서면서 앨런데일은 온타리오 중부의 철도 교통 요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24]1897년, 배리 지역 납세자들의 노력으로 앨런데일은 배리와 통합되어 자치권을 잃었으나, 그랜드 트렁크 철도(GTR)와의 관계는 유지되었다.[35] 1904년에서 1905년 사이, GTR은 신역사를 건설하여 앨런데일역의 교통 요지로서의 입지를 지켰다.[7][8][9][35]
배리 지역 기업가들은 앨런데일 분기역이 지역 제조업 발전에 방해가 된다고 여겼으며, GTR의 비싼 운송비로 인해 전국 규모의 제조업 중심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26] 2차 세계 대전 이후 철도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앨런데일역은 철도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잃게 되었고,[35] 1964년, 캐나다 내셔널 철도(CNR)는 역 유치장을 철거했다.[27]
2. 3. 통근 열차 운행과 재개 (1970년대 ~ 현재)
1972년 4월 1일, 캐나다 내셔널 철도는 연방 정부의 명령으로 배리에서 토론토까지 통근 열차를 운행하였다.[28] 1978년, CN의 여객 철도가 VIA 철도로 이관되면서 이 열차는 VIA가 운행하게 되었다.[28] 1981년, 피에르 트뤼도 당시 캐나다 총리의 VIA 철도 보조금 삭감으로 토론토-배리 간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28] 1982년 9월 7일, GO 트랜싯이 유니언역-브래드퍼드역 간 운행을 시작했고, 브래드퍼드-배리 간 셔틀 버스가 운행되었다.[28]1990년 9월 17일, 데이비드 피터슨 온타리오 주지사는 브래드퍼드 선 열차를 배리까지 연장하고 오릴리아 연장 가능성도 열어두었으나,[28] 저조한 승객 수와 경기 침체에 따른 예산 감축으로 1993년 7월 5일, 종점은 다시 브래드퍼드로 단축되었다.[28] 1990년대 말 배리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배리 연장이 다시 고려되었으나, CN 철도가 뉴마켓선 배리 북쪽 구간(배리-워셔고)을 폐선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28] 메트로링스는 2009년 12월 15일, 뉴마켓선 요크 선 북쪽 구간을 6800만 달러에 매입하고 앨런데일까지 통근 열차 운행을 위한 공사에 착수하였다.[28]
2012년 1월 29일, 새로운 통근 열차 역인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 개통식에 기념 열차가 들어섰으며, 다음 날부터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28]
2. 4. 고고학적 발견
앨런데일역 부지는 원주민들이 쓰던 부지 위에 세워졌다. 앨런데일에 철도가 지어지기 직전, 수백 구의 휴론 족 유해가 발굴되었는데, 1884년과 1889년 사이에는 다른 납골묘가 추가로 발견되었다.[29]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사이에는 휴론 족이 낚시터로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30] 이 유적지는 우렌 기에 유일하게 문서로 기록된 낚시터이자 그 시기에 발견된 몇 안되는 유적지이기도 하다.[30] 이곳은 앨런데일 지역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세워진 임시 낚시터로, 패총에서 물고기 유해 다수가 발견되었지만 원주민 전통 가옥은 찾아볼 수 없었다.[31] 물고기 유해를 분석한 결과 카토스토무스과, 페르카과, 붕메기과, 큰입우럭, 작은입우럭, 검정우럭과 등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다.[31]2011년에는 신역사를 짓던 도중 경사 완화 작업을 하다가 현장 사무실 밑에서 유골이 발견되었다.[32] 이 유골은 절개형 공사 당시 토대를 위한 채움재로 쓰였지만 정확한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다.[32] 유골에서 발견된 앞니로 보아서는 우렌 시대로 추정되지만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기원을 결론 내릴 수 없는 상태이다.[32]
휴론 웬닷 족은 납골당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 유적지에 제대로 된 고고학적 연구도 없이 철도역을 지어 유적지가 훼손되었다고 주장한다.[29] 또한 새로 지어진 통근 열차 역은 알려진 장소에서의 유해 훼손을 금지하는 온타리오 주의 문화유산 관련법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29]
3. 건축 양식
앨런데일역은 현대 주거 건축 양식과 이탈리아 별장 양식 요소가 혼합된 현대 철도 건축 양식을 통해 20세기 초반에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개량한 벽돌 오피스 건물을 강렬하고 새로운 그랜드 트렁크 디자인으로 탈바꿈하였다.[33] 20세기 초반의 그랜드 트렁크 철도는 모퉁이 탑과 대칭되는 건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작은 탑과 모퉁이 탑, 넓은 지붕이 20세기 초반 GTR 역의 건축 양식의 대표적인 예로 앨런데일역에도 이런 요소가 가미되었다.[34]
20세기 초반에 지어진 앨런데일역은 그랜드 트렁크 철도의 여객 열차와 켐펜펠트 만에서 보트를 타고 도착하는 승객들에게 인상을 남기기 위해 현대적인 양식으로 지어졌다. 건축 양식의 볼륨감이 단조로운 승객 대기실에 활기를 불어넣으며 외부 디자인과 대칭되는 고상 대합실은 이탈리아식으로 지어졌다.[35] 사면에 창문이 달린 전망탑은 구조의 수평적인 볼륨감에 수직적인 요소를 더했다. 대기실 동쪽과 서쪽에는 박공이 좌우간 대칭하며 톱니 모양으로 들쭉날쭉하게 나있는 대형 창이 역 남쪽에 설치되어있다. 그림같은 대기 공간과 꾸밈 없는 오피스 건물 사이에는 식당이 세 건물간에 조화를 이루기 위해 디자인 요소를 섬세하게 조합하였다.[35]
역 건물의 비주얼은 건축 자재를 통일하고 회사 전용 색과 장식 요소를 반복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승객 대기실과 식당에는 목조 상부 구조가 노란색 유리 벽돌 바탕 위에 지어졌다.[35] 세 구조 모두 다 회사 색인 크림과 진홍색으로 통일하고 지붕에는 그에 맞는 이탈리아식 디자인의 빨간색 타일로 뒤덮여있다. 우산 모양의 지붕으로 씌운 옥외 통로는 아치형 천장과 조각된 주두로 이루어진 이중 기둥으로 지어져 역 건물의 세 부분을 결합한다.[35]
1905년에 지어진 두 건물에는 주택 건축 양식을 연상케 하는 장식 요소가 들어가있다. 승객 대기실의 대형 창문 위에 있는 스크린 작업물은 가정집 내벽의 스텐실이 그 당시 유행이였음을 알려주는 대목이고 현대 주택에 유행인 장식용 유리 가로대는 하단 창문에 사용되었다.[35]
기존 앨런데일역 외부는 개통 이후 몇 군데가 변경되었는데 승객 대기실의 주요 요소인 전망탑과 지붕의 박공이 사라지면서 역 외부가 빛을 바랬다. 1950년대 말과 60년대 초반에 벽 타일을 녹색 아스팔트로 교체하고 기존의 크림과 진홍색 외벽 페인트를 다시 덧칠하면서 건축물의 조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오피스 건물 정면에 달려 있는 단층 규모의 현관은 역 구조의 뚜렷한 모습을 보완하거나 향상시키지 않으며 측면에는 짙은 색조의 빨간 벽돌로 평평한 지붕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구조 변경으로 세 건물 구조간 미적 균형이 깨지게 되었다.
1905년에 지어진 승객 대기실과 식당은 스파이어 & 론스 건설사가 설계하였고 역 건물은 디트로이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설사가 설계하였다.[35] 역 건물은 유산 철도역 보호법에 의해 보호되는 연방 지정 유산 철도역을 포함한다.[16] 이탈리아 건축 양식의 건물은 켐펜펠트 만의 남서쪽 해안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공원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17] 역 단지는 원래 만에 인접해 있었으나, 역 뒤의 땅이 매립되어 조차장을 건설하기 위해 평탄화되었다.[17]
역 단지는 철로를 따라 나란히 있는 역 건물, 사무실 건물, 그리고 식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들은 동일한 지붕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철도역으로서는 이례적인 배치를 형성한다.[17] 낮은 경사 지붕과 깊게 처마가 돌출된 부분은 프레리 양식 디자인의 영향을 나타낸다. 두 개의 건물은 디트로이트의 Spier & Rohns사에 의해 설계되었고, 1904년 Richard Scruton에 의해 건설되었다. 역은 1905년에 개장했다. 건물의 내부 및 외부 특징은 온타리오 유산 신탁 보존 구역에 따라 주 차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4. 역 구조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은 유인역으로, 매표소는 평일 오전 5시부터 오전 9시 5분까지 개장하며, 나머지 시간대에는 무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매표소에서는 프레스토 카드를 연령층에 맞춰서 설정하거나 기본 출발 및 도착역을 설정하여 하차 태그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근열차 티켓 구매나 카드 충전은 역에 있는 자동판매기에서 할 수 있다. 프레스토 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해 요금을 정산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서 GO 트랜싯 홈페이지에 들어가 이티켓 (e-ticket)을 구매할 수도 있다.[37]
이 역에는 또한 와이파이와 공중전화가 있으며, 역 건물과 승강장, 열차 내부는 휠체어 승객도 이용할 수 있다. 환승 주차장에는 160대 규모의 주차 공간이 있고, 최대 48시간까지 무료로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마중 나오는 차량들을 위한 정차 공간도 마련되어있다.[37]
이 역까지 자전거를 타고 오는 승객들을 위한 자전거 거치대가 역에 마련되어있다. GO 트랜싯과 배리 교통 버스는 역에 있는 버스 승강장에 정차한다.[37]
5. 운행 계통
2023년 6월 기준 배리선 열차는 평일 오전에 토론토 방면 7회, 평일 오후에는 7대의 열차가 당역에 종착한다.[38] 주말에는 토론토 방면 열차와 당역 종착 열차가 6회씩 정차한다.[38] 나머지 시간대에는 토론토와 배리를 오가는 버스가 운행하며, 토론토 방면 버스는 행선지에 따라 중간에 오로라역이나 이스트귈림버리역에서 갈아타야 한다.[38]
배리선은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 통근열차 운행 횟수가 늘어나 매일 상시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39]
주말 열차는 하루 종일 각 방향으로 5편씩 운행되며, GO 버스 68번 노선은 오로라 GO역 또는 이스트 귈림버리 GO역까지 매시간 운행하여 토론토행 주말 열차 서비스로 환승할 수 있다.[18]
심코 카운티 LINX 버스 서비스는 와사가 비치에서 이 역까지 운행한다.[19]
배리 버스 터미널을 이용하는 시외 서비스는 GO역에 인접하여 건설 중인 ''배리 앨런데일 교통 터미널''로 이전될 예정이다.[20]
6. 버스 연결편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GO 트랜싯과 배리 시내버스 간에는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40]
배리시는 기존 시내에 있는 버스 터미널을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추진 중으로, 버스 터미널이 이전하면 기존에 시내 터미널에 정차하던 심코, 무스코카 지역 등지를 운행하는 광역 및 시외버스는 모두 앨런데일에 정차하게 된다.[41]
==== GO 트랜싯 ====
GO 트랜싯 68번 버스는 배리 버스 터미널과 오로라역을 경유하며, 68B번 버스는 이스트귈림버리역까지 운행한다.[38] 주중 아침에는 유니언 역으로 가는 7편의 열차가 운행되고, 오후에는 유니언 역에서 북쪽으로 돌아오는 7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그 외 시간에는 GO 버스 68번 노선이 매시간 오로라 GO역까지 운행하며, 승객들은 토론토행 종일 열차로 환승할 수 있다.[18] 주말에는 하루 종일 각 방향으로 5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또한 GO 버스 68번 노선은 오로라 GO역 또는 이스트 귈림버리 GO역까지 매시간 운행하며, 승객들은 토론토행 주말 열차 서비스로 환승할 수 있다.[18]
심코 카운티 LINX 버스 서비스는 와사가 비치에서 이 역까지 운행한다.[19] 배리 버스 터미널을 이용하는 시외 서비스는 GO역에 인접하여 건설 중인 ''배리 앨런데일 교통 터미널''로 이전될 예정이다.[20]
==== 배리 교통 ====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에서는 1A/1B, 4A/4B, 7B, 8A/8B, 90A/90B번 버스가 운행된다. 이 버스들은 배리 시내 각 지역과 파크 플레이스, 조지안 몰, 배리 사우스역, 배리 버스 터미널 등을 연결한다.
1A/1B번 버스는 조지안 몰과 웰햄을 연결하며, 에사, 브래드퍼드, 심코, 페어뷰, 리틀, 휴로니아, 빅베이포인트, 웰햄, 선더스, 베이뷰 로를 경유하고, 배리 버스 터미널과 파크 플레이스를 지난다. 4A/4B번 버스는 이스트베이필드와 배리 사우스역을 연결하며, 티핀, 브래드퍼드, 심코, 메이플, 소피아, 베이필드, 콜터, 컨들스, 버튼, 영, 밀러스 포인트, 허스트, 빅베이포인트, 프린스 윌리엄스, 메이플뷰 로를 경유하고, 배리 버스 터미널을 지난다.
7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에서 출발하여 파크 플레이스까지 운행하며, 티핀, 패터슨, 알다그, 메이플턴, 에사, 메이플뷰, 베테런스, 커머스파크, 베이뷰 로를 경유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7A번 벨팜행 버스가 운행된다. 8A/8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과 파크 플레이스를 연결하며, 티핀, 에사, 버튼, 영, 메이플뷰, 베이뷰, 브래드퍼드, 심코, 배리 버스 터미널, 메이플, 로스, 웰링턴, 도널드, 앤, 컨들스, 코즐로프, 리빙스톤, 세인트빈센트, 벨팜, 덕워스, 조지안, 거버너스 로를 경유하고, 배리 사우스역, 배리 버스 터미널, 조지안 대학을 지난다.
90A/90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을 순환하며, 티핀, 90번, 56번, 30번, 센터, 휴론, 킹, 밀, 캠브레이, 10번, 세실, 브렌트우드, 레밀리스, 올토나, 런디, 디에프, 5번, 마이크 하트, 그린우드, 골드파크 로를 경유하고, 노타와사가파인스 고등학교와 보든 캐나다 공군 기지를 경유한다.
==== 심코 카운티 LINX ====
심코 카운티가 운영하는 공영 버스인 LINX의 2번 버스가 와사가비치에서 스테이너, 브렌트우드, 앵거스를 경유해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까지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42]
6. 1. GO 트랜싯
GO 트랜싯 68번 버스는 배리 버스 터미널과 오로라역을 경유하며, 68B번 버스는 이스트귈림버리역까지 운행한다.[38] 주중 아침에는 유니언 역으로 가는 7편의 열차가 운행되고, 오후에는 유니언 역에서 북쪽으로 돌아오는 7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그 외 시간에는 GO 버스 68번 노선이 매시간 오로라 GO역까지 운행하며, 승객들은 토론토행 종일 열차로 환승할 수 있다.[18] 주말에는 하루 종일 각 방향으로 5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또한 GO 버스 68번 노선은 오로라 GO역 또는 이스트 귈림버리 GO역까지 매시간 운행하며, 승객들은 토론토행 주말 열차 서비스로 환승할 수 있다.[18]심코 카운티 LINX 버스 서비스는 와사가 비치에서 이 역까지 운행한다.[19] 배리 버스 터미널을 이용하는 시외 서비스는 GO역에 인접하여 건설 중인 ''배리 앨런데일 교통 터미널''로 이전될 예정이다.[20]
6. 2. 배리 교통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에서는 1A/1B, 4A/4B, 7B, 8A/8B, 90A/90B번 버스가 운행된다. 이 버스들은 배리 시내 각 지역과 파크 플레이스, 조지안 몰, 배리 사우스역, 배리 버스 터미널 등을 연결한다.1A/1B번 버스는 조지안 몰과 웰햄을 연결하며, 에사, 브래드퍼드, 심코, 페어뷰, 리틀, 휴로니아, 빅베이포인트, 웰햄, 선더스, 베이뷰 로를 경유하고, 배리 버스 터미널과 파크 플레이스를 지난다. 4A/4B번 버스는 이스트베이필드와 배리 사우스역을 연결하며, 티핀, 브래드퍼드, 심코, 메이플, 소피아, 베이필드, 콜터, 컨들스, 버튼, 영, 밀러스 포인트, 허스트, 빅베이포인트, 프린스 윌리엄스, 메이플뷰 로를 경유하고, 배리 버스 터미널을 지난다.
7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에서 출발하여 파크 플레이스까지 운행하며, 티핀, 패터슨, 알다그, 메이플턴, 에사, 메이플뷰, 베테런스, 커머스파크, 베이뷰 로를 경유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7A번 벨팜행 버스가 운행된다. 8A/8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과 파크 플레이스를 연결하며, 티핀, 에사, 버튼, 영, 메이플뷰, 베이뷰, 브래드퍼드, 심코, 배리 버스 터미널, 메이플, 로스, 웰링턴, 도널드, 앤, 컨들스, 코즐로프, 리빙스톤, 세인트빈센트, 벨팜, 덕워스, 조지안, 거버너스 로를 경유하고, 배리 사우스역, 배리 버스 터미널, 조지안 대학을 지난다.
90A/90B번 버스는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을 순환하며, 티핀, 90번, 56번, 30번, 센터, 휴론, 킹, 밀, 캠브레이, 10번, 세실, 브렌트우드, 레밀리스, 올토나, 런디, 디에프, 5번, 마이크 하트, 그린우드, 골드파크 로를 경유하고, 노타와사가파인스 고등학교와 보든 캐나다 공군 기지를 경유한다.
6. 3. 심코 카운티 LINX
심코 카운티가 운영하는 공영 버스인 LINX의 2번 버스가 와사가비치에서 스테이너, 브렌트우드, 앵거스를 경유해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까지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42]7. 인접한 역
8. 기타
배리시는 기존 시내에 있는 버스 터미널을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41] 버스 터미널이 이전하면 기존에 시내 터미널에 정차하던 심코, 무스코카 지역 등지를 운행하는 광역 및 시외버스는 모두 앨런데일에 정차하게 된다.[41] GO 트랜싯과 배리 시내버스 간에는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40]
참조
[1]
웹사이트
Station named Allandale Waterfront
http://www.simcoe.co[...]
Simcoe.com
2011-09-22
[2]
뉴스
Station names a GO
http://www.thebarrie[...]
2011-09-22
[3]
뉴스
Go Expands Barrie Line with more service, new station
https://www.thestar.[...]
2009-11-03
[4]
뉴스
GO expands Barrie line with more service, new station
https://www.thestar.[...]
2011-06-15
[5]
뉴스
New GO station is ready to go
http://www.thebarrie[...]
2012-01-27
[6]
뉴스
GO rolls out free train trip
http://www.thebarrie[...]
2012-01-27
[7]
웹사이트
HistoricPlaces.ca - HistoricPlaces.ca
http://www.historicp[...]
2016-08-05
[8]
웹사이트
Allandale Station
http://calendar.coun[...]
Simcoe County Historical Association
2008-09-17
[9]
웹사이트
CNR Allandale
http://www.cnr-in-on[...]
CNR in Ontario
2009-11-03
[10]
웹사이트
GO Transit's Barrie Line
http://transit.toron[...]
2024-11-21
[11]
웹사이트
Allendale Station
http://www.uer.ca/lo[...]
UER.ca
2018-11-29
[12]
웹사이트
City Enters in Agreement to Purchase Allandale Station Site
https://www.barrie.c[...]
City of Barrie
2018-11-29
[13]
뉴스
Train station tab picking up steam
http://www.thebarrie[...]
2013-01-08
[14]
논문
Seasonality, Mass Capture, and Exploitation of Fish at the Steven Patrick Site, a Uren Period Village near Kempenfelt Bay
https://www.academia[...]
2014-05-13
[15]
웹사이트
2011 Stage 3 Archaeological Site Assessment of Human Remains within the Crawl Space of the "Office Building" at the Allandale Train Station, Barrie, Ontario
http://www.barrie.ca[...]
Amick Consultants Limited and City of Barrie
2014-05-13
[16]
웹사이트
The Directory of Designated Heritage Railway Stations in Ontario
http://www.pc.gc.ca/[...]
Parks Canada
2014-05-13
[17]
웹사이트
Canadian National Railways Allandale Station at Barrie
http://www.historicp[...]
Parks Canada
2014-05-13
[18]
웹사이트
Barrie Line Schedule - table 65
https://www.gotransi[...]
GO Transit
2019-07-21
[19]
문서
Routes/Schedule: Route 2 - Wasaga Beach to Barrie
https://www.simcoe.c[...]
[20]
웹사이트
Barrie Allandale Transit Terminal & Downtown Mini Hub | City of Barrie
https://www.barrie.c[...]
2024-02-17
[21]
웹인용
Metrolinx/CN Newmarket Subdivision
https://justdavegray[...]
2023-06-17
[22]
뉴스
Collingwood to sell railway to County of Simcoe for $900,000
https://www.simcoe.c[...]
Simcoe.com
2023-06-17
[23]
웹인용
Barrie Collingwood Railway (BCRY) Active Transportation Trail
https://www.simcoe.c[...]
2023-06-17
[24]
서적
A History of Simcoe County
1909
[25]
서적
Allandale Walking Tour
1985
[26]
논문
"'A Denial of Her Proper Entitlements': Economic Development and Railways in Barrie, 1980-1965"
[27]
웹인용
C.N.Rys. Allandale
http://www.cnr-in-on[...]
2018-07-24
[28]
웹인용
GO Transit's Barrie Line
https://transit.toro[...]
2018-07-05
[29]
뉴스
Buried Souls: How Ontario bulldozed through a rare Huron-Wendat burial site in Barrie
http://aptnnews.ca/2[...]
2018-07-24
[30]
웹인용
Allandale CNR Station
http://www.historicp[...]
2018-07-24
[31]
저널
Seasonality, Mass Capture and Exploitation of Fish at the Steven Patrick Site, a Uren Period Village near Kempenfelt Bay
https://www.academia[...]
2018-07-24
[32]
보고서
2011 Stage 3 Archaeological Site Assessment of Human Remains within the Crawl Space of the "Office Building" at the Allandale Train Station, Barrie, Ontario
https://www.barrie.c[...]
2018-07-24
[33]
서적
Second Group of Grand Trunk Railway Stations - Original Eastern Sections and Stations from c. 1870 to c. 1920
1974-05
[34]
보고서
Canadian National Railway Station; Brantford, Ontario
http://www.cnr-in-on[...]
2018-07-24
[35]
보고서
Canadian National Railway Station; Allandale, Ontario
http://www.cnr-in-on[...]
2018-07-24
[36]
뉴스
Allandale's New Station. Handsomely Equipped Depot And Dining Hall
Barrie Northern Advocate
1905-05-11
[37]
웹인용
Allandale Waterfront GO
https://www.gotransi[...]
2023-06-17
[38]
웹인용
Barrie: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2023-07-03
[39]
웹인용
Barrie GO Expansion
https://www.metrolin[...]
2022-03-06
[40]
웹인용
GO Transit
https://www.barrie.c[...]
배리 (온타리오주)
2018-07-18
[41]
웹인용
Allandale Transit Mobility Hub & Downtown Mini Hub
https://www.barrie.c[...]
2023-06-17
[42]
웹인용
Routes/Schedule
https://www.simcoe.c[...]
2022-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