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앨프리드 베스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프리드 베스터는 1913년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SF 작가이다. 그는 1939년 데뷔하여 만화, 라디오 드라마, 텔레비전 각본을 썼으며, 1950년대 초 SF 집필을 재개하여 《파괴된 사나이》로 제1회 휴고상을 수상했다. 《별들의 고향》은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잡지 기고와 텔레비전 각본 작업에 집중했다. 1970년대에 다시 SF 소설을 썼으며, 1987년 사망 후 SFWA 그랜드 마스터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FWA 그랜드마스터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SFWA 그랜드마스터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SF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SF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스탠리 큐브릭
    스탠리 큐브릭은 1928년 뉴욕에서 태어나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연출하고 뛰어난 시각적 연출과 음악 사용으로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휴고상 수상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휴고상 수상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앨프리드 베스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프레드 베스터
알프레드 베스터
본명알프레드 베스터
출생지뉴욕주뉴욕 시티, 미국
사망지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 미국
직업작가, 편집자
활동 기간1939년–1981년
장르SF 소설, 단편 소설, 만화책 각본, TV 및 라디오 각본

2. 생애

앨프리드 베스터는 1913년 12월 18일 뉴욕 맨해튼에서 오스트리아 유대인계 부모에게서 태어났다.[3]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로스쿨에 진학했으나 중퇴했다. 1936년 배우 롤리 골코와 결혼하여 1984년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48년간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34] 베스터는 대부분 뉴욕에서 살았지만, 1950년대 중반에는 유럽에서, 1980년대 초에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거주하기도 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뉴욕 맨해튼에서 1913년 12월 18일에 태어났다.[3]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유대인 이민자 2세대로 신발 가게를 운영했던 제임스 J. 베스터였다. 어머니 벨(née 실버만)은 러시아 태생으로 이디시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베스터는 종교적 전통 없이 자유로운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3]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하여 필로마테안 협회 회원이었다. 1935년 펜 퀘이커스 풋볼 팀에서 활동했고, 펜싱 팀에서도 뛰어난 선수였다.[4][5] 컬럼비아 로스쿨에 진학했으나, 곧 싫증을 느껴 중퇴했다.

2. 2. 결혼

1936년에 앨프리드 베스터는 롤리 골코와 결혼했다. 롤리 베스터는 브로드웨이, 라디오, 텔레비전 배우로 활동했으며, 1960년대에는 광고 대행사 중역이 되었다.[34] 롤리가 사망한 1984년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2. 3. 거주지

베스터는 거의 평생을 뉴욕에서 살았지만, 1950년대 중반에는 1년 남짓 유럽에서 살았다. 1980년대 초 롤리와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오츠빌로 이사했다.[6][8]

3. 작가 경력

베스터는 1950년대에 풍자적인 스케치 "나는 히로시마를 기억한다"를 ''폴 윈첼 쇼''에 기고했는데,[17] 이는 훗날 그의 소설 "홉슨의 선택"의 바탕이 되었다. 1959년에는 1954년 단편 소설 "다정하게 화씨로"를 《살인과 안드로이드》라는 제목으로 텔레비전 드라마화했다. 이 드라마는 NBC 선데이 쇼케이스의 에피소드로 1959년 10월 18일에 컬러로 방송되었다. 케빈 맥카시, 립 토른, 수잔 플레셰트, 텔리 사바라스 등이 출연했으며, 미래적인 세트에서 2359년을 배경으로 했다.

《살인과 안드로이드》는 1960년 휴고상 드라마 부문에 후보로 올랐고,[18] 같은 해 9월 5일에 재방송되었다. 1960년 3월 5일에는 《선데이 쇼케이스》에 또 다른 텔레플레이 《턴 더 키 뎁틀리》를 선보였다. 이 작품은 유랑 극단을 배경으로 한 미스터리로, 줄리 해리스, 막시밀리안 셸, 프란시스 레데러가 출연했다. 1962년 11월 1일에는 프레드 아스테어가 진행하는 《알코아 프리미어》에서 《미스터 루시퍼》의 각본을 썼다. 프레드 아스테어가 루시퍼 역을, 엘리자베스 몽고메리가 그의 비서 역을 맡은 가벼운 코미디였다.[19][20][21]

대학원 중퇴 후 광고 관련 일을 하다가 25세에 SF 창작을 시작한 베스터는 1939년 『스릴링 원더』지에 단편 "The Broken Axiom"으로 데뷔했다.[34] 이후 존 W. 캠벨의 어스타운딩지에 주로 단편을 발표하다가, 1942년부터는 DC 코믹스에서 "슈퍼맨", "그린 랜턴" 등의 원작을 썼다. 1946년부터는 라디오 작가로 활동하며 ''The Shadow'', ''Charlie Chan'', ''Nero Wolfe'' 등의 프로그램 각본을 썼고, 1948년부터는 텔레비전 각본도 쓰기 시작했다.

1950년대 초, SF 집필을 재개한 베스터는 L. 론 허버드와 친해진 존 W. 캠벨과 결별하고 갤럭시지에서 활동했다. 1952년 장편 『분해된 남자』를 연재하며 복귀했고,[34] 이 작품은 제1회 휴고상을 수상했다.[34] ''그는 누구인가?''의 영화화 판권 판매 수입으로 유럽에서 몇 년간 지내면서, 1956년 사이버펑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호랑이 호랑이!』를 발표했다.

유럽 여행 중에는 일반 잡지 ''Holiday''에 여행기 등을 기고했고, 편집자의 제안으로 전 세계 여행기를 집필하며 소피아 로렌 등의 스타 인터뷰도 진행했다. 이 때문에 SF 집필 시간이 줄었고, 1959년 이후 몇 년간 픽션 발표가 없었다. 1954년 단편 「기분 척도」가 1959년 ''Murder and the Android''로 텔레비전 드라마화되면서, 다시 텔레비전 각본가로도 활동했다.

1963년부터 1964년까지 몇 편의 SF 단편을 발표했지만, ''Holiday'' 지가 휴간되는 1971년까지 SF 작품은 거의 발표하지 않았다. ''Holiday'' 지의 편집자로서 아서 C. 클라크의 달 여행 기사 등 SF 요소가 있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1972년 SF계로 돌아왔으나, 휴고상네뷸러상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은 하지 못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시력이 나빠져 집필이 어려워졌고, 1979년 이후로는 장편을 발표하지 못했다. 1984년 아내를 잃고, 1985년에는 월드콘 명예 게스트로 초대받았으나 부상으로 참가하지 못했다.

3. 1. 초기 SF 경력, 코믹 북, 라디오 (1939–1950)

25세에 대학을 졸업하고 홍보 분야에서 일하던 앨프리드 베스터는 과학 소설(SF) 창작을 시작했다. 1939년 4월, 스릴링 원더 스토리지에 발표한 단편 〈The Broken Axiom〉(한국어 번역: 파괴된 공리)으로 데뷔했는데,[34] 이는 아마추어 단편 소설 공모전에서 우승한 작품이었다.[30] 이 공모전은 같은 잡지 편집자가 베스터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기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승 상금은 50USD였다. 상금이 적어 로버트 A. 하인라인은 7,000단어 작품을 이 공모전에 응모하는 대신 어스타운딩지에 가져가 단어당 1센트로 70USD를 받았다. 이후 베스터와 하인라인은 친구가 되어 이 일을 농담거리로 삼았다.

베스터는 모트 바이징거 등 편집자들의 도움으로 헨리 커트너, 에드먼드 해밀턴, 오토 바인더, 맬컴 제임슨, 맨리 웨이드 웰먼 등과 교류했다.[11]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스릴링 원더 스토리와 스타틀링 스토리에 소설 3편을 더 출판했다.[30] 이후 몇 년 동안 베스터는 주로 존 W. 캠벨의 어스타운딩지에 단편을 발표했다.

1942년, 베스터의 편집자 두 명이 DC 코믹스로 옮기면서 베스터에게 코믹스 원작을 쓰도록 제안했다. 베스터는 SF 단편 집필을 중단하고 DC 코믹스에서 슈퍼맨, 그린 랜턴 등의 원작을 썼다. 그린 랜턴의 맹세와 슈퍼 빌런 솔로몬 그런디를 만들었다.[13] 또한 리 팰크의 만화 팬텀과 마법사 만드레이크의 대필 작가로도 활동했다.

1946년, 베스터는 라디오 드라마에서 성우로 활동하던 아내의 권유로 라디오 작가가 되었다. 이후 몇 년 동안 더 섀도, 찰리 찬, 네로 울프 같은 프로그램의 각본을 썼다. 나중에는 CBS 라디오 미스터리 극장의 각본도 썼다.[14] 1948년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생기면서 베스터는 텔레비전 각본도 쓰기 시작했다.

약 8년 동안 SF계에서 떠나 있던 베스터는 1950년대 초에 SF 단편 집필을 재개했다. 그러나 어스타운딩지에 단편 〈"오디와 이드"〉(초출 시 제목은 "The Devil's Invention")를 발표한 후, L. 론 허버드와 친해진 존 W. 캠벨과는 결별하고, 갤럭시지로 발표 무대를 옮겼다.

3. 2. 《파괴된 사나이》 시기: 1951–1957

1950년대 초, 베스터는 약 8년간의 공백을 깨고 과학 소설(SF) 단편 창작을 재개했다. 존 W. 캠벨과의 결별 후,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에서 H. L. 골드와 협업했다. 1952년에는 장편 소설 《파괴된 사나이》를 《갤럭시》지에 연재했고,[34] 1953년 단행본으로 출간되어 제1회 휴고상을 수상했다.[34] 이 작품은 텔레파시가 보편화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한 경찰 소설이다.

1953년, 베스터는 현대 배경의 서스펜스 소설 《그는 누구인가?》를 발표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페이퍼백 판매와 영화화 판권 판매로 상당한 수입을 얻어, 베스터 부부는 수년간 유럽 여행을 할 수 있었다.

1956년에는 《별들의 고향》(The Stars My Destination, 일명 '타이거! 타이거!')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베스터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사이버펑크의 선구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3. 3. 잡지 기고 및 논픽션: 1959–1962

유럽 여행 중, 베스터는 여행/라이프스타일 잡지인 ''홀리데이''에 유럽 여러 지역에 관한 논픽션 기사를 기고하기 시작했다.[34] 그의 글에 감명받은 ''홀리데이'' 편집자들은 베스터를 뉴욕 본사로 초청하여 소피아 로렌, 앤서니 퀸, 에드먼드 힐러리 경과 같은 유명 인사 인터뷰를 진행하게 했다.[34] ''홀리데이''에서의 꾸준한 업무로 인해 베스터의 과학 소설 출판량은 급격히 감소했다.

1958년과 1959년에 베스터는 세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했는데, 1958년의 "무함마드를 죽인 사람들"과 1959년의 "파이 맨"은 휴고상 후보에 올랐다.[34] 그러나 1959년 10월부터 1963년 10월까지 4년 동안 소설을 발표하지 않았다. 대신 ''홀리데이'' 업무(선임 편집자로 임명됨), ''판타지와 과학 소설 잡지'' 서평(1960년부터 1962년까지), 텔레비전 각본 작업에 집중했다.[34]

3. 4. 텔레비전: 1959–1962

1950년대에 베스터는 풍자적인 스케치 〈나는 히로시마를 기억한다〉를 《폴 윈첼 쇼》(The Paul Winchell Show)에 기고했다.[17] 이는 그의 후기 소설 《홉슨의 선택》의 바탕이 되었다.

1959년, 베스터는 1954년 소설 "다정하게 화씨로"(Fondly Fahrenheit)를 각색하여 《살인과 안드로이드》(Murder and the Android)라는 제목으로 텔레비전 드라마로 만들었다. 1959년 10월 18일 컬러로 방송된 이 한 시간짜리 드라마는 테드 쿠퍼가 디자인한 미래적인 세트에서 2359년을 배경으로 했다. 로버트 앨런 아서(Robert Alan Aurthur)가 제작하고 케빈 맥카시(Kevin McCarthy (actor)), 립 토른(Rip Torn), 수잔 플레셰트(Suzanne Pleshette)와 텔리 사바라스(Telly Savalas)가 출연한 이 《NBC 선데이 쇼케이스》(NBC Sunday Showcase)는 신디케이트 라디오-텔레비전 평론가 존 크로스비(John Crosby (media critic))의 평을 받았다.

《살인과 안드로이드》는 1960년 휴고상 드라마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18], 그 휴고상이 18회 세계 SF 컨벤션(World Science Fiction Convention in Pittsburgh)에서 (《환상 특급》(The Twilight Zone)에) 수여된 노동절 주말인 1960년 9월 5일에 재방송되었다. 1960년 3월 5일 《선데이 쇼케이스》에 독창적인 텔레플레이 《턴 더 키 뎁틀리》(Turn the Key Deftly)로 돌아왔다. 컬러로 방송된 이 미스터리는 유랑 극단을 배경으로 했으며, 줄리 해리스(Julie Harris (American actress)), 막시밀리안 셸(Maximilian Schell) 및 프란시스 레데러(Francis Lederer)가 출연했다.

그는 프레드 아스테어(Fred Astaire)가 진행하는 《알코아 프리미어》(Alcoa Premiere)를 위해, 1962년 11월 1일에 방송된 《미스터 루시퍼》를 썼으며, 아스테어가 제목 역할로, 엘리자베스 몽고메리(Elizabeth Montgomery)가 상대역으로 출연했다.[19][20][21] 가벼운 코미디인 이 이야기는 매디슨 애비뉴에 사무실을 둔 현대 루시퍼가 그의 아름다운 비서와 함께 깔끔한 미국인 부부들을 타락시키려고 시도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3. 5. 《홀리데이》 수석 편집자: 1963–1971

4년간의 공백기를 거쳐, 베스터는 1963년부터 1964년에 걸쳐 몇 편의 SF 단편을 발표했다.[19] 그러나 이 무렵 베스터에게 SF 집필은 부업에 지나지 않았다. 그 결과 1964년 이후 ''홀리데이'' 지가 휴간되는 1971년까지, 베스터가 발표한 SF 작품은 일반지에 발표한 700단어의 단편 1편뿐이었다. ''홀리데이'' 지의 편집자로서, 아서 C. 클라크의 달 여행에 관한 기사 등 SF 요소가 있는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19] 그러나 자신의 SF 작품을 ''홀리데이'' 지에 게재하지는 않았다. ''홀리데이''는 여행과 라이프스타일을 다루는 잡지였고, SF 독자와는 연령대가 분명히 달랐기 때문이다.[19]

3. 6. 후기 경력: 1972–1987

Holiday영어 지가 1971년에 휴간되면서, 베스터는 약 15년 만에 정규직이 없는 자유로운 입장이 되었다. 1972년, 그는 다시 과학 소설 집필을 시작했다. 1974년에는 단편 소설 "4시간 퓨가"가 휴고상 후보에 올랐고,[34] 1975년에는 소설 《컴퓨터 커넥션》이 휴고상네뷸러상 후보에 올랐지만, 두 상 모두 수상에는 실패했다.[34]

1970년대 중반부터 베스터는 시력이 나빠져 집필 활동이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1975년부터 1979년까지는 작품 발표를 중단했다. 1978년에는 영화 《슈퍼맨》 제작진이 베스터에게 각본 작업을 제안했지만, 이야기의 방향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결국 《대부》의 작가 마리오 푸조가 각본을 맡게 되었다.

1979년, 베스터는 두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했고, 1980년대에는 《골렘100》(1980)과 《사기꾼》(1981) 두 편의 장편 소설을 출간했다. 그러나 건강 악화로 인해 1981년 이후에는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지 못했다. 1984년에는 아내 롤리가 세상을 떠났다.

1985년, 베스터는 1987년 월드콘의 명예 게스트로 선정되었으나, 행사 직전 넘어져 고관절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어 참석하지 못했다. 대신 도리스 레싱이 명예 게스트로 초청되었다.

베스터는 고관절 골절 합병증으로 인해 1987년 9월 30일에 사망했다. 사망 직전, 그는 미국 SF・판타지 작가 협회에서 다음 해에 그랜드 마스터상을 수여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한다.

사후, 그의 소설 《다정한 분노》(1991)와 로저 젤라즈니와 공동 집필한 《사이코샵》(1998)이 출판되었다.

4. 유산 및 헌사

StarShipSofa영어는 베스터를 "현대 SF의 대부"라고 묘사했으며, 그에 관한 2부작 쇼를 제작했다.[28] 바빌론 5에서 염력을 사용하는 경찰 알프레드 베스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스파이더 로빈슨의 캘러한의 크로스타임 살롱 시리즈에 등장하는 시간 여행 해충 "알 피(Al Phee)"는 베스터를 모델로 했다. F. 귈플레인 매킨타이어는 "베스터의 법칙"에 저촉되는 시간 여행 범죄자 스메들리 페이버샴에 관한 연작 소설을 썼다. 파이어플라이에서 화면 밖 단역 캐릭터 이름 중 다수는 SF 작가들로부터 따왔다.[29]

5. 작풍

"와이드 스크린 바로크"라고 칭해지는 화려하고 호화로운 작풍이 특징이다.[27] 작품 수는 적지만 대표작 『타이거! 타이거!』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재도 SF 팬들의 베스트 텐에 들어갈 정도이다. (덧붙여, 이 『타이거! 타이거!』의 제목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호랑이』의 첫 부분에서 유래했다.)

초능력, 순간이동 등 혁신적인 소재를 통해 소외된 개인의 복수와 구원, 사회 시스템에 대한 비판을 담아냈으며, 작품에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는 등, 초절 기교와 실험적인 작풍으로 인해 번역이 어려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27]

단편 SF에서도 많은 걸작을 썼으며, 그중 "흥분 지수"는 미야베 미유키도 격찬한 사이코 호러 SF의 선구적인 명작이다. 그 외에 "옛날을 지금으로 할 수 있다면", "아담과 이브는 없다", 시간 여행을 다룬 "무함마드를 살해한 사람들" 등이 유명하다.

6. 수상 경력

작품연도결과
휴고상 최우수 장편소설 부문파괴된 사나이1953년수상
SFWA 그랜드 마스터1988년선정
SF & 판타지 명예의 전당2001년헌액


  • 휴고상 후보:
  • * "스타 라이트, 스타 브라이트" - 1954년 단편 소설 (레트로 휴고)[31]
  • * "무함마드를 살해한 사람들" - 1959년 단편 소설[31]
  • * "파이 맨" - 1960년 단편 소설[31]
  • * "4시간의 푸가" - 1975년 단편 소설[31]
  • * ''컴퓨터 커넥션'' - 1975년 장편 소설[31]

7. 작품 목록

앨프리드 베스터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장편 소설 ===


  • 파괴된 사나이(1953) - 1953년 휴고상 장편상 수상(제1회 수상작)
  • 그는 누구?(1953) - ''더 랫 레이스''로도 출판됨.
  • 별들은 나의 목적지(1956) - ''타이거, 타이거''로도 출판됨.
  • 컴퓨터 연결(1975) - ''엑스트로''로도 출판됨.
  • 골렘100(1980)
  • 기만자들(1981)
  • 부드러운 애정의 분노(1991) - 1950년대 말 또는 1960년대 초에 쓰여진 비SF 소설.
  • 사이코샵(1998) - 로저 젤라즈니와 함께 씀.


=== 단편 소설집 ===

  • 스타버스트(Starburst) (1958)
  • ''The Dark Side of the Earth'' (1964)
  • ''앨프리드 베스터 옴니버스(An Alfred Bester Omnibus)'' (1968)
  • 라이트 판타스틱: 앨프리드 베스터의 단편 소설, 1권(The Light Fantastic: The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Volume 1) (1976)
  • 별빛, 반짝이는 별: 앨프리드 베스터의 단편 소설, 2권(Star Light, Star Bright: The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Volume 2) (1976)
  • 별빛: 앨프리드 베스터의 위대한 단편 소설(Starlight: The Great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1976)
  • 가상 현실(Virtual Unrealities) (1997)
  • 레데몰리시드(Redemolished) (2000)
  •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 나카무라 토루 편역, 카와이데 서방 신사 (2004년)


=== 논픽션 ===

  • ''인공위성의 삶과 죽음''(1966)


=== 주요 단편 소설 ===

주요 단편 소설 목록
제목출판수록
"깨진 공리"스릴링 원더 스토리 (1939년 4월)-
"구할 사람 없음"스릴링 원더 스토리 (1939년 12월)-
"기니피그, 박사"스타틀링 스토리 (1940년 3월)-
"아무 데도 없는 항해"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0년 7월)-
"카모이아의 배반"사우스 씨 스토리 (1940년 10월)-
"타부였던 백인"사우스 씨 스토리 (1940년 10월)-
"미친 분자"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1년 1월)-
"애완 성운"애스토니싱 스토리 (1941년 2월)-
"생명 광선의 노예"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1년 2월)-
"가능한 남자"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1년 7월)레데몰리시드
"아담과 이브 없음"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1년 9월)스타버스트
"맥그랍 백"탐정 소설 (1941년 10월 1일)-
"두 발 달린 리건"슈퍼 사이언스 스토리 (1941년 11월)-
"판매용 생명"어메이징 스토리 (1942년 1월)-
"손가락의 압력"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2년 5월)레데몰리시드
"보이지 않는 블러셔"애스토니싱 스토리 (1942년 6월)-
"지옥은 영원하다"언노운 월드 (1942년 8월)더 라이트 판타스틱
"골이 지은 집"더 섀도우 (1944년 7월)-
"오디와 아이드"
별칭 "악마의 발명"
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50년 8월)스타버스트
"시간과 3번가"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1년 10월)스타버스트
"홉슨의 선택"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2년 8월)스타버스트
"롤러코스터"판타스틱 (1953년 5~6월)스타버스트
"별빛, 반짝이는 별"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3년 7월)스타버스트
"시간은 배신자"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3년 9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사라지는 행위"스타 사이언스 픽션 스토리 2, 프레데릭 폴 편집 (1953)스타버스트
"5,271,009"
별칭 "스타콤버"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4년 3월)스타버스트
"퐁들리 화씨"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4년 8월)스타버스트
"여행 일기"스타버스트 (1958년 5월)스타버스트
"강골"스타버스트 (1958년 5월)스타버스트
"무함마드를 살해한 사람들"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8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기다리시겠습니까?"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3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검은 성운"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9월)-
"파이 남자"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강도의 죽음"로그 (1962년 6월)-
"다시는 새해를 축하하지 않겠습니다"로그 (1963년 2월)레데몰리시드
"그들은 예전처럼 인생을 만들지 않습니다"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63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잃어버린 아이"로그 (1964년 3월)레데몰리시드
"이 세상 밖"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1964년 5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꽃무늬 썬더머그"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1964년 5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완전한 취미가"홀리데이 (1965년 12월)-
"줄리어스"에스케이프이드 (1968년 6월)-
"샴페인 병에서 발견된 MS"스테이터스 (1968)더 라이트 판타스틱
"애니멀 페어"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72년 10월)레데몰리시드
"저기에 뭔가 나를 좋아하는 것이 있다"어스토운딩: 존 W. 캠벨 기념 앤솔로지 (1973)별빛, 반짝이는 별
"4시간 퓨게"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4년 6월)더 라이트 판타스틱
"인디언 기버"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4년 11월)-
"여기에 클론이 온다"퍼블리셔스 위클리 (1976년 6월 14일)-
"코코넛에서 발견된 MS"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9년 6월)-
"갈라테아 갈란테"
별칭 "갈라테아 갈란테, 완벽한 팝시"
옴니 (1979년 4월)버추얼 언리얼리티
"헬하그를 사랑하지 말라"제7회 옴니 과학 소설 책 (1989)-
"안경 없는 악마"버추얼 언리얼리티 (1997)버추얼 언리얼리티


7. 1. 장편 소설


  • 파괴된 사나이(1953) - 1953년 휴고상 장편상 수상(제1회 수상작)
  • 그는 누구?(1953) - ''더 랫 레이스''로도 출판됨. TV 프로그램 "Who He?"에 도착한 협박장을 둘러싼 심리 서스펜스.
  • 별들은 나의 목적지(1956) - ''타이거, 타이거''로도 출판됨.
  • 컴퓨터 연결(1975) - ''엑스트로''로도 출판됨.
  • 골렘100(1980)
  • 기만자들(1981) - 납치된 연인을 찾아 미래의 태양계를 질주하는 남자의 모험담.
  • 부드러운 애정의 분노(1991) - 1950년대 말 또는 1960년대 초에 쓰여진 비SF 소설.
  • 사이코샵(1998) - 로저 젤라즈니와 함께 씀. 베스터의 92페이지 유고를 로저 젤라즈니가 완성.

7. 2. 단편 소설집


  • 스타버스트(Starburst) (1958)
  • Disappearing Act: 「소실 트릭」, 나카무라 토루/야마기시 마코토 편저 『20세기 SF 2 1950년대 초의 종말』 카와이데 문고 수록
  • Adam and No Eve: 「이브가 없는 아담」,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Star Light, Star Bright: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he Roller Coaster: 「제트코스터」,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Oddy and Id: 「오디와 이드」, 이토 노리오 역, S-F 매거진 1999/2 수록
  • The Starcomber
  • Travel Diary: 「여행 일기」, 『이브가 없는 아담』(후술)에 수록
  • Fondly Fahrenheit: 「기분 좋은 눈금」,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Hobson's Choice: 「골라잡지 않음」,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he Die-Hard: 「죽지 않는 놈」 이토 노리오 역, 『3분간의 우주 - 세계 SF 작가로부터의 선물 100』 고단샤, 『흡혈귀는 밤에 사랑을 한다』 분카 출판국 수록, 이후 『이브가 없는 아담』(후술)에 수록
  • Of Time and Third Avenue: 「시간과 3번가와」,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he Dark Side of the Earth'' (1964)
  • 『피-아이-맨』 (개제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오오니시 타다아키 역, 창원 SF 문고 (1969, 1992년)
  • 「시간은 배신자」 Time is the Traitor
  • 「마호메트를 살해한 남자들」 The Men who Murdered Mohammed
  • 「이 세상을 떠나서」 Out of This World
  • 「피-아이-맨」 The Pi Man
  • 「꽃으로 장식된 침실용 변기」 The Flowered Thundermug
  • 「그대로 기다리시겠습니까?」 Will You Wait?
  • 「옛날을 지금으로 할 수도 없다」 They don't Make Life Like They Used to
  • ''앨프리드 베스터 옴니버스(An Alfred Bester Omnibus)'' (1968)
  • 라이트 판타스틱: 앨프리드 베스터의 단편 소설, 1권(The Light Fantastic: The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Volume 1) (1976)
  • 별빛, 반짝이는 별: 앨프리드 베스터의 단편 소설, 2권(Star Light, Star Bright: The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Volume 2) (1976)
  • 별빛: 앨프리드 베스터의 위대한 단편 소설(Starlight: The Great Short Fiction of Alfred Bester) (1976)
  • 가상 현실(Virtual Unrealities) (1997)
  • Disappearing Act: 「소실 트릭」 이토 노리오 역, 나카무라 토루/야마기시 마코토 편저 『20세기 SF 2 1950년대 초의 종말』 카와이데 문고 수록
  • Oddy and Id: 「오디와 이드」, 이토 노리오 역, S-F 매거진 1999/2 수록
  • Star Light, Star Bright: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5,271,009
  • Fondly Fahrenheit: 「기분 좋은 눈금」,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Hobson's Choice: 「골라잡지 않음」,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Of Time and Third Avenue: 「시간과 3번가와」,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ime is the Traitor: 「시간은 배신자」,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수록
  • The Men Who Murdered Mohammed: 「마호메트를 살해한 남자들」,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수록
  • The Pi Man: 「피-아이-맨」,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수록
  • They Don't Make Life Like They Used To: 「옛날을 지금으로 할 수도 없다」,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Will You Wait?: 「그대로 기다리시겠습니까?」,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수록
  • The Flowered Thundermug: 「꽃으로 장식된 침실용 변기」, 『세계의 또 하나의 얼굴』 수록
  • Adam and No Eve: 「이브가 없는 아담」,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And 3 1/2 to Go
  • Galatea Galante
  • The Devil Without Glasses
  • 레데몰리시드(Redemolished) (2000)
  • The Probable Man
  • Hell is Forever: 「지옥은 영원히」,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he Push of a Finger
  • The Roller Coaster: 「제트코스터」,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후술) 수록
  • The Lost Child
  • I'll Never Celebrate New Year's Again
  • Out of This World
  • The Animal Fair: 「애니멀 페어」, 이토 노리오 역, S-F 매거진 1992/12 수록
  • Something Up There Likes Me
  • The Four-Hour Fugue
  •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 나카무라 토루 편역, 카와이데 서방 신사 (2004년): 일본판 오리지널 단편집, 이후 2편을 추가하여 『이브가 없는 아담 (베스터 걸작선)』 창원 SF 문고 2017년
  • 「기분 좋은 눈금」 Fonoly Fahrenheit
  • 「제트코스터」 The Roller Coaster
  • 「소원별, 이루어지는 별」 Star Light, Star Bright
  • 「이브가 없는 아담」 Adam and No Eve
  • 「골라잡지 않음」 Hobson's Choice
  • 「옛날을 지금으로 할 수도 없다」 They Don't Make Life Like They Used To
  • 「시간과 3번가와」 Of Time and Third Avenue
  • 「지옥은 영원히」 Hell is Forever

7. 3. 논픽션


  • "라디오 미스터리 집필", ''작가'', 1951년 12월
  • ''인공위성의 삶과 죽음''(1966)

7. 4. 주요 단편 소설

주요 단편 소설 목록
제목출판수록
"깨진 공리"스릴링 원더 스토리 (1939년 4월)-
"구할 사람 없음"스릴링 원더 스토리 (1939년 12월)-
"기니피그, 박사"스타틀링 스토리 (1940년 3월)-
"아무 데도 없는 항해"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0년 7월)-
"카모이아의 배반"사우스 씨 스토리 (1940년 10월)-
"타부였던 백인"사우스 씨 스토리 (1940년 10월)-
"미친 분자"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1년 1월)-
"애완 성운"애스토니싱 스토리 (1941년 2월)-
"생명 광선의 노예"스릴링 원더 스토리 (1941년 2월)-
"가능한 남자"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1년 7월)레데몰리시드
"아담과 이브 없음"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1년 9월)스타버스트
"맥그랍 백"탐정 소설 (1941년 10월 1일)-
"두 발 달린 리건"슈퍼 사이언스 스토리 (1941년 11월)-
"판매용 생명"어메이징 스토리 (1942년 1월)-
"손가락의 압력"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2년 5월)레데몰리시드
"보이지 않는 블러셔"애스토니싱 스토리 (1942년 6월)-
"지옥은 영원하다"언노운 월드 (1942년 8월)더 라이트 판타스틱
"골이 지은 집"더 섀도우 (1944년 7월)-
"오디와 아이드"
별칭 "악마의 발명"
어스토운딩 사이언스 픽션 (1950년 8월)스타버스트
"시간과 3번가"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1년 10월)스타버스트
"홉슨의 선택"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2년 8월)스타버스트
"롤러코스터"판타스틱 (1953년 5~6월)스타버스트
"별빛, 반짝이는 별"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3년 7월)스타버스트
"시간은 배신자"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3년 9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사라지는 행위"스타 사이언스 픽션 스토리 2, 프레데릭 폴 편집 (1953)스타버스트
"5,271,009"
별칭 "스타콤버"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4년 3월)스타버스트
"퐁들리 화씨"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4년 8월)스타버스트
"여행 일기"스타버스트 (1958년 5월)스타버스트
"강골"스타버스트 (1958년 5월)스타버스트
"무함마드를 살해한 사람들"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8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기다리시겠습니까?"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3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검은 성운"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9월)-
"파이 남자"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9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강도의 죽음"로그 (1962년 6월)-
"다시는 새해를 축하하지 않겠습니다"로그 (1963년 2월)레데몰리시드
"그들은 예전처럼 인생을 만들지 않습니다"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63년 10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잃어버린 아이"로그 (1964년 3월)레데몰리시드
"이 세상 밖"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1964년 5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꽃무늬 썬더머그"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1964년 5월)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어스
"완전한 취미가"홀리데이 (1965년 12월)-
"줄리어스"에스케이프이드 (1968년 6월)-
"샴페인 병에서 발견된 MS"스테이터스 (1968)더 라이트 판타스틱
"애니멀 페어"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72년 10월)레데몰리시드
"저기에 뭔가 나를 좋아하는 것이 있다"어스토운딩: 존 W. 캠벨 기념 앤솔로지 (1973)별빛, 반짝이는 별
"4시간 퓨게"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4년 6월)더 라이트 판타스틱
"인디언 기버"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4년 11월)-
"여기에 클론이 온다"퍼블리셔스 위클리 (1976년 6월 14일)-
"코코넛에서 발견된 MS"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 팩트 (1979년 6월)-
"갈라테아 갈란테"
별칭 "갈라테아 갈란테, 완벽한 팝시"
옴니 (1979년 4월)버추얼 언리얼리티
"헬하그를 사랑하지 말라"제7회 옴니 과학 소설 책 (1989)-
"안경 없는 악마"버추얼 언리얼리티 (1997)버추얼 언리얼리티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Social Security Death Index" https://familysearch[...] FamilySearch 1987-09-01
[2] 서적 The Demolished Man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996
[3] 문서 Bester, p. 220
[4] 문서 Bester, p. 221
[5] 뉴스 "Captain Alfred Bester of New York gained two epee victories for the Red and Blue." The New York Times 1934-02-25
[6] 뉴스 Rolly Bester https://www.nytimes.[...] 1984-01-18
[7] 서적 A Brief History of Superheroes: From Superman to the Avengers, the Evolution of Comic Book Legends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4-05-15
[8] 웹사이트 NewspaperArchive | 15,513 Historic Newspaper Archives https://newspaperarc[...]
[9] 문서 Bester, pp. 223–24
[10] 문서 Bester, p. 224
[11] 문서 Bester, p. 225
[12] 서적 Green Lantern #223 1988-04-01
[13] 서적 Man of Two Worlds: My Life in Science Fiction and Comic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00
[14] 웹사이트 Free Audio SF - CBS Radio Mystery Theater http://www.hardsf.or[...] Hard SF 2011-02-10
[15] 웹사이트 Alfred Bester http://www.loa.org/s[...] Library of America 2012-10-05
[16] Youtube 1976 interview at MidAmericon https://www.youtube.[...]
[17] 서적 Alfred Bester Wildside Press 2006
[18] 웹사이트 1960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Worldcon|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4-06-17
[19] 서적 Twitch Upon a Star: The Bewitched Life and Career of Elizabeth Montgomery https://books.google[...] Taylor Trade Publishing 2012
[20] 웹사이트 The Series: Alcoa Premiere; The Episode: Mr. Lucifer http://www.bobsbewit[...] Bob's Bewitching Daughter: Elizabeth Montgomery 2014-06-17
[21] 웹사이트 Watch Alcoa Premiere Season 2 Episode 5 S2E5 Mr. Lucifer http://www.ovguide.c[...] OVGuide 2014-06-17
[22] 웹사이트 1975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Worldcon|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4-06-17
[23] 웹사이트 1976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Worldcon|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4-06-17
[24] 간행물 The Late, Great Alfie B., 1913-87 http://www.depauw.ed[...] 2012-10-05
[25] 간행물 Remembering Alfred Bester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1987-11-01
[26] 웹사이트 Nebula Award Winners: 1965 – 2011 http://www.sfwa.org/[...] Science Fiction Writers of America 2014-06-17
[27] 서적 Alfred Bes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12-01
[28] 웹사이트 Alfred Bester – Godfather of modern Science Fiction Pt1 of 2 | StarShipSofa http://www.starships[...]
[29] 서적 The Philosophy of Joss Whed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0] 웹사이트 isfdb name https://www.isfdb.or[...] 2013-04-11
[31] 웹사이트 "Bester, Alfred" http://www.locusmag.[...] Locus Publications 2013-03-22
[32] 웹사이트 "Damon Knight Memorial Grand Master" http://www.sfwa.org/[...]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 (SFWA) 2013-03-22
[33]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and Fantasy Hall of Fame" http://www.midameric[...] Mid America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Conventions, Inc. 2013-03-22
[34] 문서 『虎よ、虎よ!』(ハヤカワ文庫SF旧装版、1992年16刷)巻末解説「十年に一度の傑作」(浅倉久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