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로가톨릭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글로가톨릭주의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한 분파로, 가톨릭 신학을 옹호하며 가톨릭적인 전례를 따르는 특징을 지닌다. 16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후 잉글랜드 국교회는 가톨릭 신학을 일부 유지했으며, 19세기의 옥스퍼드 운동을 통해 앵글로가톨릭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앵글로가톨릭주의는 사도 계승, 성사, 전례를 강조하며, 성체 내재설과 같은 가톨릭 교리를 따르지만 교황 수위권은 거부한다. 앵글로가톨릭주의는 20세기 이후 자유주의와 보수주의로 분화되었으며, 전례 관습과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양한 흐름을 보인다. 대한민국에서는 릿쿄 학원 제성도 예배당이 앵글로가톨릭적인 전례를 따르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글로가톨릭주의 - 성 베드로좌 성직 자치단
교황이 임명한 관구장이 운영하는 성 베드로좌 성직 자치단은 교구와 동등한 법적 지위를 가지며 교황청의 직접적인 관할을 받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특별 관구로, 성공회 신자들의 가톨릭 개종과 고유한 영적 유산 유지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2023년 최초로 주교를 맞이했다. - 영국의 성공회 - 이튼 칼리지
이튼 칼리지는 1440년 헨리 6세가 설립한 영국의 명문 사립 학교로, 윈체스터 칼리지를 모델로 삼아 가난한 소년들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진학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오랜 역사를 통해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고 장학금 제도를 확대하며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 영국의 성공회 - 윈체스터 칼리지
윈체스터 칼리지는 1382년 윌리엄 오브 와이컴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명문 사립 학교이며, 흑사병 이후 사제 부족으로 뉴 칼리지, 옥스퍼드의 예비 학교 역할을 했고, 자체 입학 시험을 시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가르친다. - 기독교 신학 운동 - 고전정통주의
고전정통주의는 교회 대분열 이전의 공교회 신학과 종교개혁 당시 전통의 조화를 추구하며, 이성주의 신학에 대한 반성과 자유주의 신학의 한계 극복, 그리고 포스트모던 신학 운동의 파편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현대 기독교 신학 경향이다. - 기독교 신학 운동 - 스코투스주의
스코투스주의는 존 둔스 스코투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중세 후기 프란체스코회 학파에서 발전한 철학 및 신학 사상 체계로서, 토마스주의와 함께 스콜라 철학의 주요 흐름을 형성하며 의지의 자유와 원죄 없는 잉태 교리 등에서 독자적인 입장을 견지했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재조명되고 있다.
앵글로가톨릭주의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고교회파 |
기원 | 옥스퍼드 운동 |
주요 특징 | 성사 중심주의 전례 중시 교부들의 권위 인정 사도 전승 성인 공경 |
영향 받은 것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
신학적 특징 | |
성사 | 7성사 인정 |
성체성사 | 성체성사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실제 임재를 믿음 |
마리아론 | 성모 마리아를 공경 마리아 승천 교리 지지 원죄 없이 잉태되심 교리 지지 |
성인 | 성인들의 중보 기도 요청 |
숭배 | 성상 사용 향 사용 성수 사용 |
교황 | 교황의 수위권 인정 여부에 따라 다양한 입장 존재 |
역사 | |
19세기 | 옥스퍼드 운동을 통해 부흥 |
20세기 | 다양한 신학적 관점 발전 (자유주의적 앵글로-가톨릭주의 등) |
예배 | |
특징 | 미사 강조 전례적 복장 착용 성가와 찬트 사용 종교 예술 활용 |
관련된 인물 | |
주요 인물 | 존 헨리 뉴먼 에드워드 부베리 푸시 존 키블 |
현재 | |
현황 | 전 세계 성공회 교회에 분포 |
논쟁 | 여성 사제 서품 및 동성애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 |
2. 역사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자신들의 믿음과 관행이 잉글랜드 국교회 초기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 주장했다.[16] 앵글로가톨릭 교회는 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앵글로가톨릭 교회 목록 참고)
일본 도쿄도 토시마구의 릿쿄 학원 제성도 예배당은 앵글로가톨릭 전례를 따르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 부활절, 성령강림절, 크리스마스 등 주요 축일에는 장엄 미사를 거행하며,[47] 매일 아침 성찬례와 매 주일 노래로 드리는 성찬례를 거행한다.[48] 제의, 향로, 성궤 등을 사용한다.
2. 1. 잉글랜드 종교개혁과 성공회
수장법 통과와 헨리 8세의 가톨릭교회와의 결별 이후, 잉글랜드 국교회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가톨릭 신학을 계속 고수했으며, 처음에는 교리에 다른 주요 변화를 주지 않았다.[8] 1536년에 발표된 ''10개 조항''은 최초의 공식적인 성공회 신앙 조항이다.[9] 이 조항들은 대부분 종교 개혁 이전의 잉글랜드 교회 가르침에 동의했으며, 성체 안의 그리스도의 실재, 성사인 고해, 기독교 성인의 존경과 성인의 전구,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옹호했다.[10] 그러나 연옥에 대한 믿음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었다.성공회 신학 발달에 있어 주요한 변화는 헨리의 아들 에드워드 6세의 통치 시기에 일어났는데, 그는 ''6개 조항''을 폐지했고 그의 통치 하에서 잉글랜드 국교회는 더욱 뚜렷하게 개신교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교회의 관행과 성사에 대한 접근 방식은 개신교 개혁가들의 그것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교제도를 유지했다.[14] 잉글랜드 국교회는 잠시 메리 1세 치하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와 재결합했다가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서 다시 분리되었다. 엘리자베스 종교 협약은 잉글랜드의 기독교인들 사이의 종교적 분열을 종식시키려는 시도였으며, 성공회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며, 궁극적으로 성공회 내의 "중도(Via media)" 개념의 기초를 놓았다.[15]
2. 2. 캐롤라인 신학자

캐롤라인 신학자는 17세기에 활동한 영향력 있는 성공회 신학자 집단으로, 칼뱅주의, 루터교 및 청교도주의에 반대했으며[17], 사도 계승, 주교제, 성례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8][19] 캐롤라인 신학자들은 또한 정교한 전례(일부 경우 중세 기독교 이전 교회의 전례를 선호)와 미학을 선호했다.[20] 그들의 영향으로 교회에서 이미지와 조각상의 사용이 부활했다.[21] 19세기의 앵글로-가톨릭 부흥의 지도자들은 캐롤라인 신학자들의 저작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22]
2. 3. 옥스퍼드 운동

현대 앵글로가톨릭 운동은 빅토리아 시대의 옥스퍼드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때로는 "트랙타리안주의"라고 불리기도 한다. 19세기 초, 영국 교회 사람들은 교회 생활의 쇠퇴와 영국 성공회의 파격적인 관행 확산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꼈다. 1833년 영국 정부가 아일랜드 교회 주교구 및 대주교구의 수 감축을 시작한 것은 존 키블이 옥스퍼드 대학교 교회에서 "국가 배교"라는 주제로 설교를 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이 설교는 옥스퍼드 운동으로 알려지게 된 것의 시작을 알렸다.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목표는 신성하게 설립된 기관으로서의 영국 성공회, 사도 계승 교리, 그리고 "신앙의 규칙"으로서의 ''공동 기도서''를 옹호하는 것이었다.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성공회가 개신교 기독교 종파가 아니라 분파로, 로마 가톨릭 및 동방 정교회와 함께 역사적인 기독교 교회의 한 분파라는 것이었다.[23] 성공회는 사제와 주교의 역사적인 사도 계승과 따라서 가톨릭교회의 성사를 보존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들은 90개의 "시대의 소책자" 시리즈를 통해 홍보되었지만,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 모두에게 거부되었다.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지도자는 존 키블, 존 헨리 뉴먼, 에드워드 부베리 푸시였다. 이 운동은 영향력 있는 지지를 얻었지만, 교회의 일부 주교와 관용주의를 믿는 옥스퍼드 대학교 내의 사람들로부터 공격을 받기도 했는데, 그들은 영국 성공회의 공식적인 관행에 순응하지만 교리, 전례 관행, 교회 조직의 문제들이 비교적 중요하지 않다고 느꼈다. 옥스퍼드 운동 내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최고 지위에 복종하려는 훨씬 작은 집단이 점차 나타났다. 1845년, 대학교는 ''기독교 교회의 이상''이라는 제목의 소책자와 그 저자인 친로마 가톨릭 신학자 W. G. Ward를 비난했고, 이를 근거로 "이상적인 워드"라는 별명이 붙었다. 1850년에는 복음주의 성직자 조지 코르넬리우스 고람이 교회 당국을 상대로 한 유명한 법적 소송에서 승리했다. 그 결과, 앵글로가톨릭 교회의 일부 성공회 신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로 받아들여졌고, 마크 패티슨과 같은 다른 사람들은 관용주의 성공회를 받아들였으며, 제임스 앤서니 프로우드와 같은 또 다른 사람들은 회의론자가 되었다.[24] 그러나 운동의 대다수 지지자들은 영국 성공회에 남아 있었고, 언론과 정부의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운동은 확산되었다. 그 전례 관행은 사회적 성과 (슬럼 정착지를 포함)와 성공회 내의 남녀 수도원주의 부흥과 마찬가지로 영향력이 있었다.
2. 4. 최근 발전
1970년대 이후 앵글로가톨릭주의는 전통주의와 자유주의적 경향으로 나뉘었다. 찰스 고어 주교의 저술은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은 앵글로가톨릭주의의 한 형태를 열었다.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은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여성 서품, 성경 번역 및 전례에서의 포괄적 언어 사용, 동성애와 동성 결혼 축복에 대한 진보적인 태도를 받아들였다. 이들은 자신을 "자유주의 앵글로가톨릭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전통을 고수하는 "전통주의 가톨릭주의"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성공회 교리를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 교리의 틀 안에 유지하려고 한다. 그들은 성 윤리와 교회 내 여성의 역할에 대한 전통적 가르침을 옹호하며, 복음주의 성공회와 연대하기도 한다.
일부 전통주의 앵글로가톨릭 신자들은 성공회를 떠나 지속 성공회 운동을 형성하거나, 로마 가톨릭 교회나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기도 했다.[24]
2009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사도적 헌장 ''Anglicanorum Coetibus''를 발표하여, 성공회 신자들이 가톨릭 교회로 개종하여 개인 성직구를 설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25] 개인 성직구는 성공회 유산의 측면을 유지하면서도 성좌의 관할 아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국에는 월싱엄의 성모 개인 성직구가,[25] 미국에는 성 베드로 좌 개인 성직구가,[26] 호주에는 남십자성의 성모 개인 성직구가[28] 설립되었다.
3. 신학과 신앙
앵글로가톨릭교회는 초대 교회의 전통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그 권위를 성경과 동등하게 본다.[30]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구 가톨릭, 루터교 신자들은 "모든 곳에서, 항상, 그리고 모든 사람에 의해 믿어진 것, 그것이 진정으로 적절하게 가톨릭적이다."라는 레린의 빈센트의 말을 인용한다.
캔터베리 대주교 매튜 파커는 1572년에 ''De Antiquitate Britannicæ Ecclesiæ''를 출판하여 성공회의 뿌리가 초기 기독교에 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와는 다른 교부 기독교 모델을 제시한다고 주장했다.[33] 폰듀락 교구 주교 찰스 채프먼 그래프턴 등 많은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이 이 견해를 반복했다.[34]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성공회가 "가톨릭성과 사도성"을 유지하며,[35] 사도 전승과 삼중 서품의 교리가 영국 종교 개혁 이후에도 성공회에 의해 유지되었다고 강조한다.[36][37]
일본 도쿄도 토시마구의 릿쿄 학원 제성도 예배당은 앵글로가톨릭적인 전례를 따르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 부활절, 성령강림절, 크리스마스 등 주요 축일에는 장엄 미사를 거행하며,[47] 매일 아침 성찬례와 매 주일 노래로 드리는 성찬례를 거행한다.[48] 제의, 향로, 성궤 등이 사용된다.
3. 1. 39개 신조
앵글로가톨릭 신학자들은 성공회의 '39개 신조'가 가톨릭적이며 초대 교회의 보편적인 신앙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38] 39개 신조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39]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1841년 뉴먼의 트랙 90에서와 같이, 그들의 관행과 신념이 39개 신조와 일치한다고 옹호해 왔다.[2] 20세기 후반 이후, 39개 신조와 관련된 앵글로가톨릭 신학에는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포함되었다.3. 2. 성사
앵글로가톨릭 교회는 성사를 중요하게 여기며, 성찬례에서 그리스도의 실질적 임재를 믿는다.[40][41] 앵글로가톨릭 사제들은 종종 개인적인 고해를 듣고 병자에게 성유를 바르는 성사를 행한다.[10] 또한 세상을 떠난 사람들을 위한 기도와 성인의 전구를 인정한다.[10]C. S. 루이스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교황 수위권과 교황 무류성에 대한 가톨릭 교리를 거부한다.[42] 그러나 사제직의 성사적 본질과 미사의 희생적 성격에 대한 믿음은 가톨릭교도들과 공유한다. 소수의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사제들의 독신 생활을 권장한다.
3. 3. 교황 수위권
대부분의 앵글로가톨릭주의자들은 교황 수위권과 교황 무류성에 대한 가톨릭 교리를 거부한다.[42] 앵글로가톨릭 성직자인 월터 허버트 스토우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성공회의 입장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42]3. 4. 성모 마리아
대부분의 앵글로가톨릭 교회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장려하며, 잉글랜드에서는 월싱엄의 성모 칭호가 널리 사용된다.[44]4. 전례 관습
앵글로가톨릭 교회는 전례적인 관습과 장식을 통해 가톨릭적인 전통을 드러낸다. 앵글로가톨릭주의는 초기 분열되지 않은 교회의 전통을 중요하게 여기고 그 권위를 성경과 동등하게 보았으며,[30] 사도 전승과 삼중 서품의 교리를 강조한다.[36][37]
앵글로가톨릭 사제들은 개인적인 고해를 듣고 병자에게 성유를 바르는 것을 성사로 여기며, 세상을 떠난 사람들을 위한 기도와 성자들의 전구를 한다.[40][41] 교황 수위권과 교황 무류성에 대한 가톨릭 교리는 소수의 성공회 교황주의자를 제외하고는 거부되지만,[42] 사제직의 성사적 본질과 미사의 희생적 성격에 대한 믿음은 가톨릭교도들과 공유한다.
일본 도쿄도 토시마구에 있는 릿쿄 학원 제성도 예배당은 앵글로가톨릭적인 전례를 따르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 부활절, 성령강림절, 크리스마스와 같은 주요 축일에는 장엄 미사를 거행하며,[47] 매일 아침 성찬례와 매 주일 노래로 드리는 성찬례[48]를 거행하고, 제의, 향로, 성궤 등을 사용한다.
4. 1. 6가지 요점
성찬례 예복, 동쪽을 향하는 자세, 무교병, 성찬례 포도주에 물 섞기, 향 (향로), 제단 촛불 등이 앵글로 가톨릭 전례의 특징으로 꼽힌다.[44] 이러한 6가지 요소 외에도 성체 숭배를 포함한 여러 전통적인 가톨릭 관습이 앵글로가톨릭 교회 내에서 지켜지고 있다. 이러한 앵글로가톨릭의 "혁신" 중 일부는 복음주의나 로우 처치 성공회 신자가 아닌 광범위 교회 성공회 신자에 의해 받아들여졌다.4. 2. 전례 양식
앵글로가톨릭 교회 내에서는 다양한 전례 양식이 사용된다.[44]전례 양식 | 설명 |
---|---|
공동 기도서 | 공식적인 성공회 전례 텍스트 |
교황 바오로 6세의 미사 | 현대 전례 양식 |
트리덴틴 미사, 영국 미사 경본, 성공회 미사 경본 | 더 오래된 "트리덴틴" 가톨릭 미사 또는 그에 기반한 전례 (영어 또는 라틴어) |
사럼 전례 | 트리덴틴 미사와 대체로 유사한 중세 영어 전례 (영어 또는 라틴어, 가끔 사용됨) |
엘리자베스 시대 영어와 현대 영어 텍스트에 대한 선호도는 이 운동 내에서 다양하다.[44]
미국에서는 성공회 선한 목자 교회 (로즈몬트, 펜실베이니아)의 앵글로가톨릭 신자들이 1979년 공동 기도서의 규칙에 따라 ''성공회 예배서''를 출판했는데, 이는 "1979년 공동 기도서와 다윗의 시편 또는 시편과 추가적인 경건을 전통적인 언어로 각색한 것"이다.[44] 이 책은 1979년 공동 기도서를 기반으로 하지만, 1979년 판에는 없는 1928년 기도서의 전통적인 언어로 된 사무실과 경건을 포함하며, 성공회 미사 경본과 같은 자료도 참고한다.[44]
많은 앵글로가톨릭 교회에서 성직자는 남성의 경우 '아버지(Father)'로, 여성의 경우 '어머니(Mother)'로 불린다.[44]
5. 한국의 앵글로 가톨릭 교회
일본 도쿄 도시마 구에 있는 릿쿄 학원 제성도 예배당이 앵글로가톨릭적인 전례를 따르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47] 부활절, 성령강림절, 크리스마스와 같은 주요 축일에는 장엄 미사를 거행하며, 매일 아침 성찬례를, 매 주일에는 노래로 드리는 성찬례를 거행하고 있다.[48] 전례 면에서는 제의, 향로, 성궤 등을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Study of Anglicanism
Fortress Press
1998-01-01
[2]
서적
The A to Z of Anglicanism
Scarecrow Press
2009-08-04
[3]
웹사이트
What Is Anglo-Catholicism?
https://stmarymagdal[...]
St Mary Magdalen's Church
2024-06-18
[4]
간행물
OED
http://oed.com/view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2-11
[5]
간행물
Marginal Catholics
Gracewing
[6]
간행물
Anglicans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Reflections on Recent Developments
Ignatius
[7]
간행물
Fidelity with Plausibility: Modest Christologies in the Twentieth Centu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
서적
A Dictionary of Political Thought
Macmillan
1996
[9]
문서
Philip Melanchthon and the English Reformation
Ashgate Publishing
2006
[10]
문서
Documents of the English Reformation
James Clarke & Co.
2004
[11]
문서
A History of the Modern British Isles, 1529–1603: The Two Kingdoms
Wiley-Blackwell
1998
[12]
문서
A History of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3]
문서
The Division of Christendom
Westminster/John Knox Press
2002
[14]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Reformation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5]
간행물
The English Reform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The Episcopalians
Church Publishing
[17]
간행물
Religion Past and Present
Brill
[18]
간행물
Anglicanism and the Christian Church
Continuum
[19]
간행물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John Knox Press
[20]
간행물
Christian Theology: The Spiritual Tradition
Sussex Academic Press
[21]
간행물
The Golden Age Restor'd: The Culture of the Stuart Court, 1603–4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간행물
Modernity and the Dilemma of North American Anglican Identities, 1880–195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3]
서적
Americanism and Catholicism
https://archive.org/[...]
Longman
1924
[24]
웹사이트
Anglo-Catholicism: What It Is Not and What It Is
http://anglicanhisto[...]
Church Literature Association
2015-06-12
[25]
간행물
Priests ordained to the world's first ordinariate
http://www.catholich[...]
2011-01-15
[26]
웹사이트
What is the Personal Ordinariate of the Chair of Saint Peter?
http://ordinariate.n[...]
Personal Ordinariate of the Chair of St. Peter
2016-06-03
[27]
뉴스
US ordinariate receives first priest, parish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2012-07-11
[28]
뉴스
About the Personal Ordinariate
http://www.ordinaria[...]
2018-05-29
[29]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 ANGLICANORUM COETIBUS
https://www.vatican.[...]
Holy See
2023-01-16
[30]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1]
서적
The Northern Monthly Magazine, Volume 2
https://books.google[...]
[32]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3]
서적
Celtic Spirituality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2014-03-28
[34]
서적
The Lineage from Apostolic Times of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Commonly Called the Episcopal Church
https://archive.org/[...]
Young Churchman
[35]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6]
서적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A User-Friendly Reference for Episcopalians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lican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Inc.
2006-02-27
[38]
서적
Charles I and the Court of Rome: A Study in 17th Century Diplomacy
Burns, Oates & Washbourne, Limited
[39]
서적
From Renaissance to Baroque: Essays on Literature and Ar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40]
웹사이트
Anglo-Catholicism: What It Is Not and What It Is
http://anglicanhisto[...]
Church Literature Association
[41]
서적
Antimodernism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Culture, 1880–192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웹사이트
Anglo-Catholicism: What It Is Not and What It Is
http://anglicanhisto[...]
Church Literature Association
2015-06-12
[43]
웹사이트
Anglo-Catholicism: What It Is Not and What It Is
http://anglicanhisto[...]
Church Literature Association
2015-06-12
[44]
서적
Christian Confessions: A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01-01
[45]
웹사이트
アングロ・カトリック主義(読み)アングロカトリックしゅぎ(英語表記)Anglo‐Catholicism(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6]
문서
Fidelity with Plausibility: Modest Christologies in the Twentieth Centu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7]
Youtube
https://www.youtube.[...]
[48]
Youtub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