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만'은 고대 그리스어 '바르바로스'에서 유래한 단어로,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방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자신들보다 뒤떨어진 종족을 야만인으로 여겼으며, 동아시아에서는 중화사상에 따라 주변 이민족을 낮춰 불렀다. 중세 이후 유럽에서는 기독교 문명 밖의 이교도나 이슬람교도를 야만인으로 간주했고, 근현대에는 야만주의를 재활성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자연 상태를 옹호하는 '고귀한 야만인' 개념이 등장하기도 했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판타지적 야만인이 등장하여 기존의 부정적인 의미가 뒤집히기도 한다.

2. 어원

βάρβαρος|바르바로스|grc '야만인'은 πολίτης|폴리티스|grc '시민'의 반의어였으며, πόλις|폴리스|grc '도시'에서 유래되었다.[7][8] 이 단어의 가장 초기의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의 𐀞𐀞𐀫|파파로|gmy로,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집트인, 페르시아인, 메디아인, 페니키아인을 '야만인'이라는 용어로 지칭하며 이들의 이질성을 강조했다. 그리스 작가들에 따르면,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리스인들에게 "바..바..;" 와 같은 소리로 들렸기 때문이며, 이 소리는 βάρβαρος|바르바로스|grc의 어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의성어이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동사 βαρβαρίζω|바르바리조|el는 야만인처럼 행동하거나 말하거나, 야만인과 함께하는 것을 의미했다.[15]

플라톤은 그리스-야만인의 이분법을 논리적 모순으로 간주하여 거부했다. 그러나 플라톤은 그의 일곱 번째 편지에서 야만인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했다.[16] 호메로스의 작품에서는 이 용어가 딱 한 번(''일리아스'' 2.867) 등장하는데, βαρβαρόφωνος|바르바로포노스|el ("이해할 수 없는 말")의 형태로, 트로이 전쟁 동안 트로이를 위해 싸운 카리아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이 단어의 의미에 변화가 생겼다. 이 시기에 그리스의 급조된 연합군은 페르시아 제국을 격파했다. 실제로, 이 시기의 그리스어에서 '야만인'은 종종 이 전쟁에서 그리스의 적이었던 페르시아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9]

로마인들은 '바르바루스'라는 용어를 미개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으며, 그리스인이나 로마인과 대조되는 의미였다.

그리스어 단어 ''바르바로스''는 "야만인"을 의미하는 많은 단어의 어원이었으며, 여기에는 16세기 중세 영어에 처음 기록된 영어 단어 ''barbarian''도 포함된다.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에도 ''바르바라-(बर्बर)''라는 단어가 존재하며, 이 단어는 "잔혹한"이라는 주요 의미를 가지며, "말을 더듬는"(बड़बड़)이라는 의미도 있어, 생소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암시한다.[21][22][23] 그리스어 단어 βάρβαρος|바르바로스|grc는 산스크리트어 ''바르바라스'' (말을 더듬는)와 관련이 있다.[24] 이 인도유럽어족 뿌리는 "말을 더듬다"를 뜻하는 라틴어 ''balbutire / balbus''(balbettare|발베타레|it, balbucear|발부세아르|es, balbutier|발뷔티에|프랑스어로 이어짐)와 체코어 blblati "말을 더듬다"에서도 발견된다.[25] 현대 힌디어 (बड़बड़ाना)와 우르두어 (بڑبڑانا) 모두에서 동사 ''baṛbaṛānā''는 '중얼거리다, 횡설수설하다, 앞뒤가 맞지 않게 횡설수설하다'를 의미한다.[26]

아람어, 고대 페르시아어 및 아랍어 문맥에서 이 뿌리는 "혼란스럽게 중얼거리다"를 의미한다. 이것은 '바르바리' 또는 고대 프랑스어 '바르바리'로 나타나며, 이는 아랍어 'Barbar', '베르베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단어는 이집트 서쪽에 거주하는 북아프리카 주민을 지칭하는 고대 아랍어 용어이다. 이 아랍어 단어는 궁극적으로 그리스어 ''바르바리아''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27]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민족을 '''바르바로이'''(βάρβαροι|바르바로이|Ngrc)라고 불렀다. 역사 이전에는 반드시 경멸의 뉘앙스는 없었던 듯하지만, 페르시아 전쟁에서 이민족의 침입과 파괴를 경험하면서 페르시아에 대한 적개심, 비(非) 그리스인에 대한 배타적인 감정과 함께 영어의 '''바바리안'''(Barbarian)이라는 단어에 담긴 멸시의 뉘앙스를 포함하는 용법이 된 것으로 보인다.

3. 고대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barbarian'(야만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5가지 정의를 내린다.[28]

{| class="wikitable"

|-

! 번호 !! 정의

|-

| 1 || 어원적으로 외국인, 즉 화자와 언어와 관습이 다른 사람.

|-

| 2 || 역사적으로:

2-1그리스인이 아닌 사람.
2-2로마 제국과 그 문명의 울타리 밖에서 사는 사람, 특히 그들을 전복시킨 북부 민족.
2-3기독교 문명의 울타리 밖에 있는 사람.
2-4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인들과 함께 이탈리아 밖의 국가 출신.



|-

| 3 || 거칠고, 야생적이며, 문명화되지 않은 사람.

3-1때로는 야만인과 구별됨(2번 참고).
3-2중국인들이 경멸적으로 외국인에게 적용.



|-

| 4 || 교양 없는 사람, 또는 문학적 문화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

|-

| 5 || †바르바리 출신. (바르바리 해안 참조, 구식).

5-1바르바리 해적 & 바르바리 말(구식).



|}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barbarous''(야만적인) 항목은 그 의미론적 역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대 시대의 의미는 (그리스인과 함께) '외국인, 비헬레닉'이었고, 나중에는 '별난, 거친, 잔혹한'이었다. (로마인과 함께) '라틴어나 그리스어가 아님', 그 다음 '로마 제국 밖에 속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미개하고 교양 없는'으로, 나중에는 '비기독교'로, 거기에서 '사라센, 이교도'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야만적이고, 거칠고, 잔혹하게 잔인하고, 비인간적인'으로 발전했다."[28]

사슬에 묶인 노예들, 스미르나(현재의 터키 이즈미르)에서 발견된 부조, 서기 200년


"야만인"에 대한 그리스의 태도는 특히 아테네에서 노예 제도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다. 아테네 민주주의 하에서 노예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규모로 사용되었다. "야만인" 출신 아테네 노예는 특히 트라키아와 타우리카(크림 반도)와 같은 흑해 주변 지역, 소아시아의 리디아인, 프리지아인, 카리아인 등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 1.2–7; 3.14)는 야만인을 본질적으로 노예로 묘사했다.

조제프-노엘 실베스트르의 작품, 1890년작, ''야만족에 의한 로마 약탈''


후기 고대 시대에 ''barbari''/''barbaroi''의 함의에 추가적인 변화가 발생했다.[29] 카시오도루스(c. 485 – c. 585)는 민간 어원을 통해 "야만인"이라는 단어가 "'barba'(수염)와 'rus'(평평한 땅)으로 구성되었다고 말했다. 야만인들은 도시에서 살지 않고 야생 동물처럼 들판에서 살았기 때문이다."[30]

3.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민족을 '''바르바로이'''(βάρβαροι|Barbaroigrc)라고 불렀다. 역사 이전에는 반드시 경멸의 뉘앙스는 없었던 듯하지만, 페르시아 전쟁에서 이민족의 침입과 파괴를 경험하면서 페르시아에 대한 적개심, 비(非) 그리스인에 대한 배타적인 감정과 함께 영어의 '''바바리안'''(Barbarian)이라는 단어에 담긴 멸시의 뉘앙스를 포함하는 용법이 된 것으로 보인다.[120]

그리스인들은 자유로운 그리스인에 비해 절대적인 왕에 의한 전제 하의 바르바로이에게는 노예의 품성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인은 붙잡혀도 자신을 노예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또 바르바로이만을 그렇게 부르려고 한다"라고 말했다.[33] 고대 그리스인에게 자신 외에 주인을 가진 자는 노예로 간주되었고, 집 안에서의 가장=주인과 노예의 관계를 규율하는 논리와, 주인=가장인 자유인끼리의 관계를 규율하는 논리는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집의 논리를 확장한 것으로서 왕=가장=주인에게 복종하는 오리엔트의 신민들은 노예에 준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고대 로마인에게도 영외의 갈리아인, 게르만족, 슬라브족은 야만족에 불과했다. 게르만 민족이 로마 영내로 이동하고, 기독교에 의한 평등주의로 교화된 유럽 세계에서도 이 구도는 형태를 바꿔가며 반복된다.

3. 2. 고대 로마

로마인들은 로마 제국 밖의 게르만족, 갈리아인, 훈족 등 다양한 민족들을 '바르바루스'(Barbarus)라고 부르며 야만인으로 간주했다. '바바리안'이라는 이름은 처음에는 멸칭이 아니었으나, 나중에 멸칭으로 사용되었다.[120] 로마인들은 야만족을 미개하고 폭력적이며, 로마 문명에 위협이 되는 존재로 인식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barbarian''(야만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5가지 정의를 제공한다(폐지된 바르바리 사용법 포함).

# 어원적으로 외국인, 즉 화자와 언어와 관습이 다른 사람.

# 역사적으로:

## 그리스인이 아닌 사람.

## 로마 제국과 그 문명의 울타리 밖에서 사는 사람, 특히 그들을 전복시킨 북부 민족.

## 기독교 문명의 울타리 밖에 있는 사람.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인들과 함께 이탈리아 밖의 국가 출신.

# 거칠고, 야생적이며, 문명화되지 않은 사람.

## 때로는 ''야만인''과 구별됨(2번 참고).

## 중국인들이 경멸적으로 외국인에게 적용.

# 교양 없는 사람, 또는 문학적 문화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

# †바르바리 출신. (바르바리 해안 참조, 구식).

## 바르바리 해적 & 바르바리 말(구식).[28]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barbarous''(야만적인) 항목은 의미론적 역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대 시대의 의미는 (그리스인과 함께) '외국인, 비헬레닉', 나중에는 '별난, 거친, 잔혹한'이었다. (로마인과 함께) '라틴어나 그리스어가 아님', 그 다음 '로마 제국 밖에 속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미개하고 교양 없는'으로, 나중에는 '비기독교'로, 거기에서 '사라센, 이교도'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야만적이고, 거칠고, 잔혹하게 잔인하고, 비인간적인'으로 발전했다."

"야만인"에 대한 그리스의 태도는 특히 아테네에서 노예 제도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다. 아테네 민주주의 하에서 노예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규모로 사용되었다. "야만인" 출신 아테네 노예는 특히 트라키아와 타우리카(크림 반도)와 같은 흑해 주변 지역, 소아시아의 리디아인, 프리지아인, 카리아인 등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 1.2–7; 3.14)는 야만인을 본질적으로 노예로 묘사했다.

후기 고대 시대에 ''barbari''/''barbaroi''의 함의에 추가적인 변화가 발생했다.[29] 카시오도루스(c. 485 – c. 585)는 민간 어원을 통해 "야만인"이라는 단어가 "'barba'(수염)와 'rus'(평평한 땅)으로 구성되었다고 말했다. 야만인들은 도시에서 살지 않고 야생 동물처럼 들판에서 살았기 때문이다."[30]

키케로(기원전 106–43년)는 사르데냐 내륙의 산악 지역을 "야만인의 땅"이라고 묘사했으며, 주민들은 ''latrones mastrucati'' ("거친 양모 의복을 입은 도둑")라는 경멸적인 용어로도 알려졌다. 이 지역은 현재 "바르바지아"(사르데냐어로 ''Barbàgia'' 또는 ''Barbàza'')로 알려져 있으며, "야만인"이라는 오래된 명칭을 보존하고 있지만, 더 이상 의식적으로 "야만인"과 연관 짓지 않는다.

3. 3. 인도

고대 인도에서는 베다 시대 인도아리아인 이전의 토착민들을 야만인으로 여겼으며 이들을 불가촉천민으로 분류하였다.[117][118]

고대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의성어인 ''barbara-''는 비(非)베다 민족의 이해할 수 없는, 익숙하지 않은 언어("어눌한 소리", "조리 없는 더듬거림"으로 인식)를 가리켰다("불쌍한 자, 외국인, 죄 많은 사람, 저속하고 야만적인").[43]

4.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는 '야만'이라는 개념이 여러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주로 주변 민족이나 다른 문화를 낮춰 부르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주변 민족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사방 오랑캐'(사이)로 칭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중화사상과 유사한 사상이 중심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오랑캐'라는 단어는 랴오닝성(요동성) 우량하 지역에 살았던 올량합 등 야인들을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여진족의 한 부족으로, 원래는 몽골족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오랑캐'는 선비족,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 등을 뜻했으며, 동북방 두만강 유역에 살던 부족만을 가리킬 때는 “되” 또는 “되놈”이라고 하였다.

일본에서는 동북방에 사는 이들을 에조라 불렀고, 서양인을 남만인 또는 만인으로 칭하였다. 포르투갈 선박이 남쪽에서 온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일본에 온 유럽인들은 '남쪽에서 온 야만인'을 의미하는 南蛮|난반일본어이라고 불렸다. 이후 네덜란드인들은 '남만' 또는 '붉은 머리'를 의미하는 紅毛|코모일본어라고 불렸다.

4. 1. 중국

중국에서는 예부터 중화사상에 기반하여 주변 민족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사방 오랑캐'(사이)로 칭하며 낮춰 불렀다.[116]

북적은 흉노족, 몽골족을 가리키고, 동이는 여진족(만주족), 거란족, 예맥족(한국), (일본) 등을 가리켰으며, 남만은 베트남(남월), 프놈펜(부난), 오, 등을 가리켰다. 근대 이후에는 포르투갈, 스페인도 남만에 포함되었다.[116]

4. 2. 한국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중화사상과 유사한 사상이 중심 사상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19] '오랑캐'라는 단어는 현재 랴오닝성(遼寧省, 요동성)의 우량하(牛梁河)라 불리는 지역에 살았던 올량합(兀良哈)과 알도리(斡都里, 혹은 오도리) 등 야인들을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119]

올량합(兀良哈, 오랑캐) 혹은 올적합(兀狄哈, 우디캐)은 여진족의 한 부족으로 원래 우수리강(江) 지류인 무링허(穆陵河) 유역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고려 말 두만강 지역으로 이주해서 그곳을 중심으로 간도(間島)나 함경도 무산군 지역, 압록강 상류에 모여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원래 몽골족으로 헨티와 흥안령 산맥 등에 살던 삼림종족 오리양히(Oriyanghai)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그래서 당초 '오랑캐'란 어휘는 선비족,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 등을 뜻하였다.[116] 동북방 두만강 유역에 살던 부족만을 가리킬 때는 “되” 또는 “되놈”이라고 하였는데, 오늘날 중국인을 멸시하는 표현의 원형이다.

4. 3. 일본

일본에서는 동북방에 사는 이들을 에조라 불렀고, 서양인을 남만인 또는 만인으로 칭하였다.[43] 포르투갈 선박이 남쪽에서 온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일본에 온 유럽인들은 문자 그대로 '남쪽에서 온 야만인'을 의미하는 南蛮|난반일본어이라고 불렸다. 나중에 도착한 네덜란드인들은 '남만' 또는 문자 그대로 "붉은 머리"를 의미하는 紅毛|코모일본어라고 불렸다.

5. 중세 이후

중국 문화에서 "오랑캐"라는 용어는 여러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어에는 역사적으로 "오랑캐"를 뜻하는 여러 이칭이 있었으며, 비중국인을 가리키는 몇몇 한자는 문자적인 경멸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예를 들어, 야오족을 나타내는 문자는 현대에 들어 ''yao'' 猺 (자칼)에서 ''yao'' 瑤 (귀한 옥)으로 변경되었다.[44] 원래 화이 구분은 화(華, "중국인")와 이(夷, 일반적으로 "오랑캐"로 번역됨)를 구분하는 것으로, 인종이 아닌 문화와 권력에 기반을 두었다.

역사적으로 중국인들은 외국 민족 집단을 지칭하기 위해 다양한 단어를 사용했으며, 여기에는 "오랑캐"로 자주 번역되는 夷(이)도 포함된다. 夷는 "외국인",[45] "평범한 타인",[46] "야만 부족",[47] "미개 부족" 등[48] 다양한 방식으로 번역될 수 있다.

5. 1. 유럽

서양에서는 그리스, 로마에서 자신보다 뒤떨어진 종족을 오랑캐라 하였다. 발칸반도 북쪽에 있는 오랑캐를 트라케 바바리안이라 일컫고 북쪽 게르만족바바리안이라 일컬었다.[116] 처음부터 '바바리안'이라는 이름이 멸칭은 아니었으나,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식민지를 건설하고 무역을 활성화하면서, 언어와 종족이 다른 민족들을 '바바리안'이라고 부르기 시작했고, 이는 나중에 멸칭이 되었다.[120]

로마인들은 로마가 아닌 모든 것을 지칭하기 위해 이 용어를 채택했다. 독일 문화 역사가 실비오 비에타는 미셸 드 몽테뉴가 1580년에 출판된 풍자적인 에세이에서 더 기술적으로 발전된 고도의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스페인인들의 신세계에서의 활동을 "야만적"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야만적"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현대에 이르러 의미 변화를 겪었다고 지적한다.[38] 몽테뉴는 유럽인들이 다른 문화의 야만성은 지적했지만, 정작 자신의 사회가 보인 잔혹하고 무자비한 행동은 지적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대항해 시대 이후 다른 민족과 접촉할 기회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인들은 새로운 타민족에 대한 지식을 그리스·라틴의 고전과 성경의 전통과 관련지어 해석했다. 중세 가톨릭교회에서는 인간은 신과 짐승의 중간에 위치하며, 야만이란 "타락"에 의한 교화되지 않은 동물 상태로의 퇴행으로 여겨졌다.

스페인식민지화한 이후의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인디오, 인디언)을 노예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찬반을 두고, 라스 카사스세풀베다 간의 바야돌리드 논쟁에서 노예 사용을 용인하는 세풀베다가 논거로 삼은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바르바로이=노예"론과 함께, 인디오의 풍습에서 그가 본 〈자연에 거스르는 죄〉였다.

5. 2.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인이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고대 이래의 야만족 개념이 지속되었다. 당시의 그리스인들은 로마 제국의 시민으로서 "로마인"이라고 칭했지만, "로마인" 이외의 여러 민족(서유럽의 가톨릭 여러 나라 포함)을 "바르바로이"라고 불렀다.[116]

6. 근현대

17세기에서 18세기에는 야만인을 "자연"의 대표로 간주하여 문명을 비판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9세기에는 식민지 개척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저항이 유럽 백인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자부심과 자유를 가진 민족으로서의 "고귀한 야만인"(Noble savage) 개념이 등장한다. 프랑수아 페넬롱의 《텔레마코스의 모험》과 몽테뉴의 『에세』에 등장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묘사가 대표적인 예이다.[38]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소설 『모히칸족의 최후』,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시 『스키타이인』 등에서는 전투나 복수에서의 잔혹함도 자연의 힘과 무질서의 발현으로 이해된다.

독일 문화 역사가 실비오 비에타에 따르면, 미셸 드 몽테뉴는 1580년에 출판된 풍자적인 에세이에서 더 기술적으로 발전된 고도의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스페인인들의 신세계에서의 활동을 "야만적"이라고 묘사하면서, "야만적"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현대에 이르러 의미 변화를 겪었다고 지적한다.[39][40]

현대 대중문화에서 야만인은 코난 더 바바리안과 같은 판타지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115] 로버트 E. 하워드의 코난 시리즈 첫 작품인 "칼날 위의 불사조(The Phoenix on the Sword)"(1932)에서는 야만인 주인공 코난이 부패한 왕 누메데스를 죽이고 아퀼로니아 왕국을 차지한다.

6. 1. 고귀한 야만인

17~18세기에는 야만인을 "자연"의 대표로 간주하여 문명을 비판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프랑수아 페넬롱의 《텔레마코스의 모험》과 몽테뉴의 『에세』에 등장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묘사가 대표적인 예이다.[38] 『에세』 제1권 제31장에서는 이성과 예술에 대한 자연의 찬미와 "야만"이라는 개념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진다. "이 나라에는 어떠한 종류의 거래도 없다…관료라는 말도 없고 통치자라는 말도 없다"라는 구절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에 인용되었으며, 루소의 『에밀』 역시 몽테뉴의 〈자연〉 찬미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39][40] 드니 디드로는 『부겐빌 항해기 보충』에서 죄 없는 평화로운 미개 민족에 비해, 싸움에 지쳐 있는 〈야만〉적인 유럽을 비판하며, 〈야만〉을 미개 인종의 속성이 아닌 전투 행위에도 부여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귀한 야만인은 평화와 관용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독일 문화 역사가 실비오 비에타에 따르면, 미셸 드 몽테뉴는 1580년에 출판된 풍자적인 에세이에서 더 기술적으로 발전된 고도의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스페인인들의 신세계에서의 활동을 "야만적"이라고 묘사하면서, "야만적"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현대에 이르러 의미 변화를 겪었다고 지적한다. 즉, "문명화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 인디언 부족이 아니라, 정복자인 스페인인들이 "야만적"이었다는 것이다. 몽테뉴는 유럽인들이 다른 문화의 야만성은 지적했지만, 종교 전쟁 동안 자신의 사회에서 벌어진 잔혹하고 무자비한 행동은 간과했다고 주장했다. 몽테뉴의 관점에서는 유럽인들이야말로 진정한 "야만인"이었으며, 이러한 주장은 유럽 침략자들에게 그대로 적용되었다.

19세기 이후, 식민지 개척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저항이 유럽 백인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자부심과 자유를 가진 민족으로서의 "고귀한 야만인"(노블 새비지) 개념이 등장한다.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소설 『모히칸족의 최후』,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시 『스키타이인』 등에서는 전투나 복수에서의 잔혹함도 자연의 힘과 무질서의 발현으로 이해된다. 러시아에서는 "야만"이 전통과 규율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는 정치적 개념으로 파악되기도 했다.

6. 2. 현대 대중문화

현대 대중문화에서 야만인은 코난 더 바바리안과 같은 판타지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115] 이러한 판타지 속 야만인의 이미지는 기존의 부정적인 이미지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로버트 E. 하워드의 코난 시리즈 첫 작품인 "칼날 위의 불사조(The Phoenix on the Sword)"(1932)에서는 야만인 주인공 코난이 부패한 왕 누메데스를 죽이고 아퀼로니아 왕국을 차지한다. 이 이야기는 쇠퇴한 왕국이 강력하고 활기찬 야만인 코난에게 넘어가면서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할 것임을 암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arbarian https://www.collinsd[...]
[2] 서적 Webster's New Universal Unabridged Dictionary Simon & Schuster Publishing
[3] 웹사이트 Abolish Stoning and Barbaric Punishment Worldwide! https://ishr.org/abo[...] Inter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2024-08-16
[4]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https://books.google[...] De Gruyter
[5] 서적 ο Ελληνισμός υπό ξένη κυριαρχία: Τουρκοκρατία, Λατινοκρατία Εκδοτική Αθηνών
[6] 서적 The Way of Herodotus: Travels with the Man who Invented History
[7] 웹사이트 Palaeolexicon http://www.palaeolex[...]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8] 서적 Die Sprachbezeichnungen 'Latinus' und 'Romanus' im Lateinischen und Romanischen' https://books.google[...] Erich Schmidt Verlag
[9] 웹사이트 The term '''barbaros''', ''"A Greek-English Lexicon"'' (Liddell & Scott), on Perseus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8-07-12
[10] 서적 Chirping like the swallows: Aristophanes' portrayals of the barbarian "other"
[11]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Aristotle Bloomsbury Academic
[12] 서적 Diodori Bibliotheca historica – Volume 1
[13] 웹사이트 Foreigners and Barbarians (adapted from ''Daily Life of the Ancient Greeks'') http://www.globaled.[...]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2011-06-29
[14] 서적 Athens: Its Rise and Fall Kessinger Publishing
[15] 웹사이트 βαρβαρίζω https://www.perseus.[...]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16]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Seventh Letter by Plato http://classics.mit.[...] Classics.mit.edu 2018-07-12
[17] 서적 Hellenicity
[18] 서적 Hellenicity
[19] 서적 Ancient Greeks West and East
[20] 웹사이트 barbarus https://www.perseus.[...] A Latin Dictionary, on Perseus
[21] 웹사이트 Barbara (entry) http://spokensanskri[...] SpokenSanskrit.de
[22] 웹사이트 Apte English–Sanskrit Dictionary http://www.sanskrit-[...] Pune
[23]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The Clarendon Press
[25] 웹사이트 Barbarian http://www.etymonlin[...]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26] 웹사이트 बड़बड़ाना https://en.m.wiktion[...] Wiktionary
[27] 웹사이트 Barbary http://www.etymonlin[...]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2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9] 논문 Roman Aristocrats in Barbarian Gaul: Strategies for Survival in an Age of Transition Austin
[30] 서적 Medieval Worlds: Barbarians, Heretics and Artists in the Middle Ages Polity
[31] 서적 The Greek Orators https://archive.org/[...] Books For Libraries Press, Inc.
[32] 기타 Protagoras http://www.perseus.t[...]
[33] 기타 Pol. 1.1252b
[34] 웹사이트 "Lucian of Samosata: Introduction and Manuscripts." http://www.tertullia[...] Loeb Classical Library
[35] 서적 introduction to Lucian: Chattering Courtesans and Other Sardonic Sketches Penguin Classics
[36] 서적 Führer durch die öffenlicher Sammlungen Klassischer altertümer in Rom Tubingen 1963-01-01
[37] 서적 History of Art: A survey of the major visual arts from the dawn of history to the present day H. N. Abrams 1977-01-01
[38] 서적 On Cannibals
[39] 서적 A Theory of Global Civilization: Rationality and the Irrational as the Driving Forces of History Kindle Ebooks
[40] 서적 Rationalität. Eine Weltgeschichte. Europäische Kulturgeschichte und Globalisierung Fink
[41] 웹사이트 The Pechenegs http://www.geocities[...] 2009-10-27
[42] 논문 Articulating Group Differences: A Variety of Autocentrisms 2003-01-01
[43] 서적 Sanskrit Hindi English Dictionary Orient Longman 1975-01-01
[44] 문서 The animal other: Re-naming the barbarians in 20th-century China
[45] 서적 The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East India Company Press 1815-01-01
[46] 서적 Frontier Passages: Ethnopolitics and the Rise of Chinese Communism, 1921–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01-01
[47] 웹사이트 Shangshu http://ctext.org/sha[...]
[48] 서적 Wandering on the way : early Taoist tales and parables of Chuang Tz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01-01
[49] 서적 The Origins of Statecraft in Chin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01-01
[50] 서적 Enemies of Civilization: Attitudes toward Foreigners in Ancient Mesopotamia, Egypt, and China SUNY Press 2005-01-01
[51] 서적 1970-01-01
[52] 서적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1-01
[53] 서적 1970-01-01
[54] 서적 Lin Yutang's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Modern Usage Chinese University Press 1972-01-01
[55] 서적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1-01
[56] 서적 The Analects of Confucius Vintage 1938-01-01
[57] 서적 1938-01-01
[58] 서적 1970-01-01
[59] 서적 Mencius Penguin Books 1970-01-01
[60] 서적 Shuowen Jieji 說文解字 Zhonghua Shuju 1963-01-01
[61] 문서 The animal other: Re-naming the barbarians in 20th-century China
[62] 서적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1-01
[63] 논문 Group Definition and the Idea of 'Race' in Modern China (1793–1949) 1990-01-01
[64] 논문 Articulating Group Differences: A Variety of Autocentrisms 2003-01-01
[65] 논문 On the 'Raw' and the 'Cooked' barbarians of imperial China 1999-01-01
[66] 서적 The Li ki Clarendon Press 1885-01-01
[67] 서적 1992-01-01
[68] 서적 1970-01-01
[69] 서적 1992-01-01
[70] 웹사이트 孔子之作春秋也,诸侯用夷礼,则夷之;进于中国,则中国之. http://www.confucian[...] Confucianism.com.cn 2006-10-04
[71] 문서 Fairbank
[72] 문서 Fairbank
[73] 웹사이트 百家博谈第十三期:从文天祥与元代遗民看中国的"民族主义"_网易博客 网易历史 http://history.news.[...] History.news.163.com 2013-09-30
[74] 논문 Lun Liu Ji de Yimin Xintai
[75] 서적 The Discourse of Race in Modern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76] 서적 The Chinese Heritage New York: Crown Publishers 1982
[77] 문서 Wu
[78] 문서 Wu
[79] 사전 Hanyu Da Cidian 1993
[80] 서적 Through the Jade Gate to Rome: A Study of the Silk Routes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First to Second Centuries CE BookSurge 2009
[81]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82] 문서 Beckwith 2009
[83] 문서 Beckwith
[84] 문서 Beckwith
[85] 사전 For instance, ''Far East Chinese-English Dictionary'' "barbarians; savages" (1992) p. 1410; "savage; Shanghai Jiaotong ''Chinese-English Dictionary'' "barbarian", (1993) p. 2973; ''ABC Chinese-English Comprehensive Dictionary'' "barbarians" (2003), p. 1131.
[86] 문서 Beckwith 2009
[87] 문서 Beckwith 2009
[88] 문서 AD186, GSR 551a.
[89] 문서 AD 590, GSR 178p.
[90] 문서 AD 949, GSR 1013a.
[91] 문서 AD 117, GSR 856a.
[92] 문서 GSR 1246c. Beckwith criticizes "a kind of X" definitions as "the dictionary maker either could not find out what it was or was too lazy to define it accurately" (2009), 359; compare listing "rakhbīn (a kind of cheese)" as an export from [[Khwarezm]] (2009), 327.
[93] 문서 Beckwith 2009
[94] 문서 Beckwith
[95]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96] 문서 Beckwith 2009
[97] 문서 Creel 1970
[98] 문서 Schafer
[9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 https://www.gutenber[...] 1791
[100] 서적 A Study of History: Volume I: Abridgement of Volumes 1–6 https://books.google[...] OUP USA 2016-07-30
[101] 서적 Trade and Expansion in Han China: A Study in the Structure of Sino-barbarian Econom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7-29
[102] 서적 Roman Europe: 1000 BC – AD 4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30
[103] 서적 Handbook of Medieval Cultu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6-07-30
[104] 서적 The Islamic World and the West: Managing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ies in the Age of Globalisatio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6-07-30
[105] 서적 A Study of History: Volume I: Abridgement of Volumes 1–6 https://books.google[...] OUP USA 2016-07-30
[106] 서적 Prehistoric Meso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6-08-02
[107] 서적 Cossack Rebellions: Social Turmoil in the Sixteenth Century Ukrain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3
[108] 서적 Mercenaries: A Guide to Private Arm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3
[109] 웹사이트 Captain Cuellar's Adventures in Connacht and Ulster http://www.ucc.ie/re[...] Ucc.ie 2013-09-30
[110] 서적 Barbarian: Explorations of a Western Concept in Theory, Literature, and the Arts https://books.google[...] J. B. Metzler 2024-09-20
[111] 서적 The Evolution of Goth Culture: The Origins and Deeds of the New Goths https://books.google[...] Emerald Group Publishing 2024-09-20
[112] 웹사이트 Rosa Luxemburg, "The Junius Pamphlet"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13-09-30
[113] 웹사이트 Philosophy of praxis & Rosa Luxemburg: Michael Löwy http://www.viewpoint[...] 2012-11-08
[114] 뉴스 MR Online {{!}} The Origin of Rosa Luxemburg's Slogan "Socialism or Barbarism" https://mronline.org[...] 2018-09-25
[115] 웹사이트 The Hyborian Age http://hyboria.xoth.[...]
[116] 서적 오랑캐의 탄생, 중국이 만들어 낸 변방의 역사 황금가지
[117]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Orient Blackswan 1978
[118] 서적 Students' Britannica India, Vols. 1–5 Encyclopædia Britannica (India)
[119] 문서 태종실록 9권 5년 1월 경자편에는 조선초기까지 조선과 접촉을 가진 여진부족(女眞部族)으로는 두만강 방면의 알도리(斡都里) 혹은 오도리(吾都里) · 올량합(兀良哈) 혹은 오량해(烏梁海) · 올적합(兀狄哈)과 압록강 방면의 또다른 올량합(兀良哈)들이 있었는데 두만강 방면에서의 알도리는 회령(會寧)부근, 올량합은 두문(豆門)일대, 올적합은 북쪽의 영고탑(寧古塔)에 있었고 압록강 방면에서의 올량합은 흥경(興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20] 서적 철학의 탄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