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취·유인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취·유인죄는 미성년자를 폭행, 협박 등 강제적인 수단(약취) 또는 기망, 유혹 등 간접적인 수단(유인)을 사용하여 본인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범죄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형법은 미성년자 약취·유인죄를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범죄로 규정하고 있으며, 추행, 간음, 영리 목적 등의 특수한 목적을 가진 경우에는 가중 처벌한다. 일본 형법 또한 미성년자 약취·유인죄를 다루며, 보호 법익, 행위, 처벌 유형, 친고죄 여부, 국외범 적용 범위 등에서 한국과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에 대한 죄 - 대한민국 형법 제274조
대한민국 형법 제274조는 16세 미만 자를 위험한 업무에 사용될 것을 알면서 인도하거나 인도받은 자를 5년 이하의 징역으로 처벌하는 조항이다. - 자유에 대한 죄 - 대한민국 형법 제278조
대한민국 형법 제278조는 사회 질서 유지와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단체나 위험한 물건을 이용하여 체포 또는 감금죄를 범한 경우 가중 처벌하는 특수체포, 특수감금에 대한 규정이다. -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한 문서 - 클릭당 지불
클릭당 지불 광고는 광고주가 광고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온라인 광고 방식으로, 정액제와 입찰 기반 모델이 있으며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등에 게재되고 키워드 매칭, 광고 품질, 실시간 입찰 등이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며 클릭 사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인공지능 기반 타겟팅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다. -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한 문서 - 코넬 웨스트
코넬 웨스트는 하버드와 프린스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한 미국의 철학자, 작가, 사회 활동가, 공공 지식인으로, 진보적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미국의 인종, 정치, 경제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도 했다. -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한 {{ucfirst:{{{1}}}}} 문서 - 클릭당 지불
클릭당 지불 광고는 광고주가 광고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온라인 광고 방식으로, 정액제와 입찰 기반 모델이 있으며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등에 게재되고 키워드 매칭, 광고 품질, 실시간 입찰 등이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치며 클릭 사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인공지능 기반 타겟팅 기술과 함께 진화하고 있다. -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한 {{ucfirst:{{{1}}}}} 문서 - 코넬 웨스트
코넬 웨스트는 하버드와 프린스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한 미국의 철학자, 작가, 사회 활동가, 공공 지식인으로, 진보적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미국의 인종, 정치, 경제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도 했다.
약취·유인죄 |
---|
2. 대한민국 형법상 미성년자 약취, 유인죄
wikitext
미성년자를 약취, 유인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다. 약취와 유인이 죄의 기본적 구성요건이다. 보호법익은 개인의 자유이며, 침해범으로서 보호한다.
'''약취'''(略取, 랴쿠슈)란 폭행, 협박 기타 강제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그 의사에 반하여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유인'''(誘拐, 유카이)이란 기망, 유혹 등의 간접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약취와 유인을 함께 묶어 강학상 "'''약취'''"(拐取, 카이슈)라고 부른다.
약취 시의 폭행이나 협박은, 강도죄와 같이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일 필요는 없고, 피약취자를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형력의 행사이기를 족하다. 따라서, 유아를 불법적으로 데려가는 행위도 (정도를 묻지 않고) 약취의 기수가 된다. 폭행이나 협박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약취죄에 해당한다.
유인 시의 기망이나 유혹은, 허위의 사실에 의해 사람을 착오에 빠뜨리거나, 또는 감언이설에 의해 판단을 그르치게 하는 정도의 행위를 필요로 한다. 미성년자에게 "첩이 되면 옷이나 높은 봉급을 얻을 수 있다"고 꾀어 지배하에 두는 행위는 유인죄에 해당한다. 기망이나 유혹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유인죄에 해당한다.
행위가 계속범인지 상태범인지에 대해서는 판례상으로도 다툼이 있었다. 종래에는 계속범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으나, 최근에는 형법 제227조 (피약취자 인도 등)의 신설 등으로 인하여, 상태범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미성년자에 대해서는 설령 본인의 동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감호자 등의 동의가 없으면 본 죄가 성립할 수 있다.[4] 감호자 등의 동의가 있더라도, 객관적으로 보아, 실제로 감호자 등에 의한 학대가 행해지고 있는 것 등으로 미성년자 등의 자유나 안전을 명백히 저해하는 등, 명백히 미성년자 등의 이익에 반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위법성을 조각하지 않고 범죄가 성립한다는 학설이 있다.
미성년의 자녀를 부모가 함께 동거하면서 보호·양육하여 오던 중 부모의 일방이 상대방 부모나 그 자녀에게 어떠한 폭행, 협박이나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행사함이 없이 그 자녀를 데리고 종전의 거소를 벗어나 다른 곳으로 옮겨 자녀에 대한 보호·양육을 계속하였다면, 그 행위가 보호·양육권의 남용에 해당한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설령 이에 관하여 법원의 결정이나 상대방 부모의 동의를 얻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행위에 대하여 곧바로 형법상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의 성립을 인정할 수는 없다.[4]
추행, 간음, 영리 목적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진 약취, 유인 행위에 대해서는 가중 처벌 조항을 적용하여 더욱 엄격하게 처벌한다.
2. 1. 구성 요건
미성년자를 약취, 유인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다. 약취와 유인이 죄의 기본적 구성요건이다. 보호법익은 개인의 자유이며, 침해범으로서 보호한다.'''약취'''(略取, 랴쿠슈)란 폭행, 협박 기타 강제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그 의사에 반하여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유인'''(誘拐, 유카이)이란 기망, 유혹 등의 간접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약취와 유인을 함께 묶어 강학상 "'''약취'''"(拐取, 카이슈)라고 부른다.
약취 시의 폭행이나 협박은, 강도죄와 같이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일 필요는 없고, 피약취자를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형력의 행사이기를 족하다. 따라서, 유아를 불법적으로 데려가는 행위도 (정도를 묻지 않고) 약취의 기수가 된다. 폭행이나 협박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약취죄에 해당한다.
유인 시의 기망이나 유혹은, 허위의 사실에 의해 사람을 착오에 빠뜨리거나, 또는 감언이설에 의해 판단을 그르치게 하는 정도의 행위를 필요로 한다. 미성년자에게 "첩이 되면 옷이나 높은 봉급을 얻을 수 있다"고 꾀어 지배하에 두는 행위는 유인죄에 해당한다. 기망이나 유혹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유인죄에 해당한다.
행위가 계속범인지 상태범인지에 대해서는 판례상으로도 다툼이 있었다. 종래에는 계속범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으나, 최근에는 형법 제227조 (피약취자 인도 등)의 신설 등으로 인하여, 상태범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2. 2. 관련 판례
미성년자에 대해서는 설령 본인의 동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감호자 등의 동의가 없으면 본 죄가 성립할 수 있다.[4] 감호자 등의 동의가 있더라도, 객관적으로 보아, 실제로 감호자 등에 의한 학대가 행해지고 있는 것 등으로 미성년자 등의 자유나 안전을 명백히 저해하는 등, 명백히 미성년자 등의 이익에 반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위법성을 조각하지 않고 범죄가 성립한다는 학설이 있다.미성년의 자녀를 부모가 함께 동거하면서 보호·양육하여 오던 중 부모의 일방이 상대방 부모나 그 자녀에게 어떠한 폭행, 협박이나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행사함이 없이 그 자녀를 데리고 종전의 거소를 벗어나 다른 곳으로 옮겨 자녀에 대한 보호·양육을 계속하였다면, 그 행위가 보호·양육권의 남용에 해당한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설령 이에 관하여 법원의 결정이나 상대방 부모의 동의를 얻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행위에 대하여 곧바로 형법상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의 성립을 인정할 수는 없다.[4]
2. 3. 가중 처벌 조항
추행, 간음, 영리 목적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진 약취, 유인 행위에 대해서는 가중 처벌 조항을 적용하여 더욱 엄격하게 처벌한다.3. 일본 형법상 미성년자 약취, 유인죄
3. 1. 보호 법익
학설상, 감호자가 없는 성인의 경우 기본적인 보호 법익은 피약취자의 신체의 자유이다. 피약취자의 신체의 자유와 안전, 즉 생명도 보호 법익으로 하는 설도 있다.피약취자가 미성년자 또는 정신 장애자 등 요 감호자인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감호자 등의 감호권도 보호 법익으로 하는 설이 있다.[1]
통설·판례상으로는 "피약취자의 신체의 자유" 및 "감호자 등의 감호권", 또는 "피약취자의 신체의 자유 및 안전" 및 "감호자 등의 감호권"이다. (대판 메이지 43년 9월 30일, 최고재판소 결정 헤이세이 17년 12월 6일 등을 참조)
강학상 약취·유인 및 인신매매의 죄에 있어서의 감호자 등의 범위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하가 상정된다.
- 미성년자의 친권자, 미성년후견인 및 이들에게 대신하여 친권을 행사하는 자
- 그 외, 법적으로 정당한 권한에 근거하여 현행 미성년자를 감호하는 자(입양 부모(친족 입양 부모, 양육 입양 부모, 전문 입양 부모 등을 포함), 아동 복지 시설의 장 등)
- 정신 장애인의 보호자, 즉 후견인(성년후견인 및 미성년후견인)
3. 2. 주체 및 객체
감호자 등도 약취·유인죄의 공범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통설 및 판례이다. 공동 친권자 중 한쪽이 다른 한쪽이 현재 감호하고 있는 미성년자를 데려간 경우에도 본 죄가 성립한다.미성년자 약취 및 유인죄의 객체는 미성년자이다. 적법한 혼인을 한 미성년자는 성년의제가 적용될 수 있지만, 이 경우 객체 요건 해당성에 대해서는 학설상 논의가 나뉘고 있다. 판례는 없다. 2022년 개정 민법 시행에 따른 성년 연령 하향 조정[2]에 따라, 객체의 연령은 연동하여 18세 미만으로 낮아졌다.[3]
3. 3. 행위
'''약취'''(略取, 랴쿠슈)란 폭행, 협박 기타 강제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그 의사에 반하여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유인'''(誘拐, 유카이)이란 기망, 유혹 등의 간접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종전의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약취와 유인을 함께 묶어 강학상 "'''약취'''"(拐取, 카이슈)라고 부른다.약취 시의 폭행이나 협박은, 예를 들어 강도죄와 같이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일 필요는 없고, 피약취자를 자기 또는 제3자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형력의 행사이기를 족하다. 따라서, 유아를 불법적으로 데려가거나, 또는 유아를 불법적으로 데려가는 행위도 (정도를 묻지 않고) 약취의 기수가 된다. 폭행이나 협박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약취죄에 해당한다.
유인 시의 기망이나 유혹은, 허위의 사실에 의해 사람을 착오에 빠뜨리거나, 또는 감언이설에 의해 판단을 그르치게 하는 정도의 행위를 필요로 한다. 미성년자에게 "첩이 되면 옷이나 높은 봉급을 얻을 수 있다"고 꾀어 지배하에 두는 행위는 유인죄에 해당한다 (대판 다이쇼 12년 12월 3일). 기망이나 유혹은 피약취자, 감호자 등 어느 쪽에 가해진 경우라도 유인죄에 해당한다 (대판 다이쇼 13년 6월 9일).
행위가 계속범인지 상태범인지에 대해서는 판례상으로도 다툼이 있었다. 종래에는 대판 쇼와 4년 12월 24일 등을 근거로 계속범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으나, 최근에는 형법 제227조 (피약취자 인도 등)의 신설 등으로 인하여, 상태범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최고재 결정 쇼와 58년 9월 27일 등).
3. 4. 처벌 유형
형법은 약취·유인죄에 대해 다양한 처벌 유형을 규정하고 있으며, 각 범죄의 경중에 따라 법정형을 달리한다.- 미성년자 약취 및 유인죄(형법 제224조): 약취 대상이 미성년자일 경우 성립하며, 3개월 이상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영리 목적 등 약취 및 유인죄(형법 제225조): 영리, 외설 행위, 결혼(사실혼 관계 포함) 또는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가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판례에 따르면, 여기서 '영리'는 영업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달리,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익을 얻을 목적은 필요하지 않으며, 약취 행위로 재산상의 이익을 얻는 것을 동기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약취된 자를 강제적으로 노동시킬 목적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몸값 목적 약취 등의 죄(형법 제225조의2): 몸값 요구를 목적으로 약취하거나, 약취자의 몸값을 요구하는 경우에 성립하며,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이는 금품을 목적으로 하는지, 아니면 본인의 신병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지에 따라 "영리 목적"과 구별된다.
- 소재 국외 목적 약취 및 유인죄(형법 제226조): 소재를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약취 또는 유인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3. 5. 친고죄
미성년자 약취 및 유인죄는 친고죄이다. 고소권자는 피해자와 법정대리인이다. 단, 형사소송법 제234조에 따라, 검사가 지정하는 그 밖의 이해관계인(형제나 배우자 등)이 고소를 할 수도 있다.2017년 7월 13일 시행된 형법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에 따라 일부 범죄 유형이 반의사불벌죄가 되었다. 개정 전에는 제225조의 죄 및 이러한 미수범에 대해서는 영리 또는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가해의 목적인 경우에는 반의사불벌죄였지만, 음란 또는 결혼 목적의 경우에는 친고죄였다. 형법 개정에 따라 음란 또는 결혼 목적의 경우도 반의사불벌죄가 되었다.
음란 또는 결혼 목적의 경우가 친고죄였던 관계상, "약취·유인 또는 매매된 자가 범인과 법률상의 혼인을 한 때에는, 그 혼인의 무효 또는 취소의 재판이 확정된 후가 아니면 고소의 효력이 없다."라는 규정도 있었지만, 형법 개정에서 동시에 폐지되었다.
3. 6. 국외범
형법 제224조부터 제228조까지(미성년자 약취 및 유인, 영리 목적 등 약취 및 유인, 몸값 목적 약취 등, 소재 국외 이송 목적 약취 및 유인, 인신매매, 피약취자 등 국외 이송, 피약취자 인도 등, 미수범)의 죄는, 형법 제3조에 의해 일본 국외에서 죄를 범한 일본 국민에게 적용되며, 형법 제3조의2에 의해 일본 국외에서 일본 국민에게 죄를 범한 일본 국민 이외의 자에게 적용된다. 이는 국제적인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일본 국외에서 일본 국민 이외의 자에게 약취된 자가, 약취에 앞서 국적법의 규정에 의해 일본 국적을 상실한 경우(예를 들어, 타국으로의 귀화가 인정된 후에 약취된 경우 등)에는, 형법 제4조의2에 기재된 특별한 조약을 범죄 발생 국가와 체결하지 않는 한, 일본의 형사 재판 관할권은 미치지 않게 된다.
3. 7. 감경 조항
형법 제288조의2 제1항에는 "제285조의2 또는 제287조 제2항 또는 제4항의 죄를 범한 자(소위 공범)가 공소가 제기되기 전에 약취 또는 유인된 자를 안전한 장소에 풀어준 때에는 그 형을 감경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몸값을 목적으로 한 약취 등의 죄에서는 피약취자가 살해될 위험이 적지 않다. 이 규정은 석방에 대해 범인에게 메리트를 줌으로써 피약취자의 생명의 안전을 지킨다는 형사 정책적 견지에서 정해졌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한 장소"란, 피약취자가 그 근친자 및 경찰 당국 등에 의해 안전하게 구출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장소를 말하며, 이 경우의 안전이란, 피약취자가 구출될 때까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몸값을 목적으로 한 유괴범이 초등학교 1학년인 피약취자를 야간에 동아의 집에서 직선거리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농촌 지역의 갓길에 풀어줬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석방된 장소 자체가 위험한 것이 아니고, 부근 민가 사람들에 의해 구출될 가능성도 보이며, 또한 범인이 동아를 그 집에 복귀시키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인 것 등의 사정 하에서는 "안전한 장소"에 석방했다고 할 수 있다(최고재판소 제3소법정 쇼와 53(あ)1407).
4. 한국과 일본의 미성년자 약취, 유인죄 비교
4. 1. 법정형 비교
4. 2. 친고죄 여부
4. 3. 국외범 적용 범위
5. 결론 및 향후 과제
참조
[1]
판결문
大審院 明治43年9月30日宣告 明治43年(れ)第1526號 判決 大審院刑事判決録16輯1569頁
[2]
법률
民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2022-04-01
[3]
회의록
法制審議会少年法・刑事法(少年年齢・犯罪者処遇関係)部会第27回会議議事録
https://www.moj.go.j[...]
[4]
판례
대법원 2013.6.20, 2010도14328
2013-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