얌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얌볼은 불가리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고대 트라키아 시대에는 카빌레라는 중요한 도시가 있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디오스폴리스로 불리며 번성했다. 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의 이동 이후 불가리아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얌볼로 불리며 룸엘리 예알레트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는 얌볼 오블라스트의 중심지이며, 농업, 담배, 섬유 산업이 발달했다. 얌볼에는 지역 역사 박물관, 드라마 극장, 스포츠 시설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으며, 농구는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얌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얌볼 |
현지 명칭 | Ямбол (얌볼) |
로마자 표기 | Yambol |
![]() | |
![]() | |
![]() | |
위치 | pushpin_map: 불가리아 pushpin_label_position: pushpin_map_caption: 얌볼의 위치 |
행정 구역 | |
국가 | 불가리아 |
광역 행정 구역 (주) | 얌볼 주 |
정치 | |
시장 | 발렌틴 레반스키 (직접 민주주의) |
지리 | |
고도 | 114m |
면적 | 90.724km²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63,656명 |
인구 밀도 | auto |
도시 인구 | 98,287명 |
인구 변동 추이 | 1887: 11,241명, 1910: 15,975명, 1934: 24,920명, 1946: 30,576명, 1956: 42,333명, 1965: 58,465명, 1975: 75,766명, 1985: 90,215명, 1992: 91,497명, 2001: 82,649명, 2011: 74,132명, 2021: 61,766명 |
시간대 | |
시간대 | EET |
협정 세계시 (UTC) | +2 |
하계 시간 | EEST |
협정 세계시 (UTC) | +3 |
기타 정보 | |
인구 명칭 | 얌볼리아인 |
우편 번호 | 8600 |
지역 번호 | 046 |
차량 번호판 | Y |
웹사이트 | 얌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얌볼은 불가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남아있다.[24] 트라키아인이 건설한 도시 카빌레가 얌볼의 기원으로 여겨지며,[26][27]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요새가 있었다.[26]
로마 제국 시대에 카빌레는 교통의 요충지였지만, 북방 민족들의 공격으로 황폐해졌다.[27] 293년 카빌레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이름을 딴 디오스폴리스(DiosPolis)로 개명되었지만, 378년 고트족에게 파괴되었다.[24]
이후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디암폴리스(Diampolis)라는 이름으로 재건되어 불가리아와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26] 1373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24] 1479년 현재의 명칭인 얌볼로 개칭되었다.[27]
182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얌볼은 전장이 되었고, 불가리아인 주민들은 러시아로 피난했다.[24] 1878년 러시아군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불가리아와 러시아의 우호를 기념하는 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20세기 초, 얌볼은 동트라키아에서 온 트라키아 불가리아인 난민과 일리덴 봉기 실패로 인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난민을 수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제국 육군 항공대 제플린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다.[13]
21세기 초, 얌볼은 불가리아 최초로 주거용 천연 가스를 제공하는 도시가 되었다.
2. 1. 고대
얌볼 주변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기원전 2천 년대 말부터 존재했던 고대 트라키아 왕립 도시 '''카빌레'''는 현재의 얌볼에서 10 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트라키아인들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왕의 궁전 중 하나가 있었다. 이 도시는 기원전 341년에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 의해 정복되었고, 고대 그리스 ''폴리스''로 재건되었다.[4][5][6] 기원전 3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이 붕괴된 후, 카빌레는 다시 트라키아인들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71년에 로마인에게 정복되었고, 이후 로마의 트라키아 속주에 편입되었다. 기원후 136년까지 카빌레는 이 지역에서 600명 이상의 군인을 수용하는 가장 큰 로마 군사 기지 중 하나였다. 최근 카빌레 고고학 공원에서 군 장교들을 위한 대규모 저택이 발굴되었다.[7]카빌레는 기원후 293년에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해 확장되었다. '''디오스폴리스''' (Διόςπόλις, 그리스어로 '제우스의 도시')라고 명명되었지만, 이 이름은 또한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이름 첫 음절을 반영했다. 이 이름은 이후 '''디아폴리스''' (Διάμπόλις), '''히암볼리''' (Ηιάμβόυλι, 비잔틴 연대기), '''디니불리''' (دنبلي|디니불리ar), '''드빌린''' (Дбилин, 불가리아 비문), 그리고 '''디암볼리''' 또는 '''얌볼리''' (Диамбоюли)를 거쳐 '''얌볼'''이 되었다. 1945년 철자법 개혁 이전에는 이름의 끝에 ''yer''가 추가되어 '''Ямболъ'''로 표기되었다.
카빌레는 기원후 4세기에 고트족에게 정복되었고, 583년에 아바르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이 중세 시대에 발칸 반도에 도착하면서 카빌레 요새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동로마 제국 간의 분쟁 대상이 되었다. 결국 칸 테르벨 통치 기간인 기원후 705년에 불가리아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중요한 불가리아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칸 오무르타그 통치 기간에 확장되었고, 새로운 요새가 건설되었다. 국경과 가깝기 때문에 상업과 군사적 목적으로 필수적이었다. 보리스 1세와 시메온 1세 통치 기간에 최초의 문학 중심지가 설립되었으며, 대부분 교회의 일부였다. 책은 프레슬라프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에서 수입되었으며, 도시의 교회에서 연구되었다.
차르 칼로얀 통치 기간에 이 도시는 다시 중요성이 증가했는데, 주로 불가리아와 십자군 간의 지속적인 분쟁 때문이었다. 차르 칼로얀과 십자군 사이의 주요 전투는 기원후 1204년에 도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으며, 불가리아는 1205년 4월 14일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십자군을 격파했다.
2. 2. 중세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카빌레는 디암폴리스(Diampolis)라는 이름의 도시로 재건되었고, 불가리아와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26] 중세 얌볼은 디암폴리스, 두브린, 얌폴리스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1357년의 사료에는 "두비린"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24] 1373년에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24] 1479년에 현재의 명칭인 얌볼로 개칭되었다.[27]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칸 테르벨 통치 기간인 기원후 705년에 불가리아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중요한 불가리아의 중심지가 되었다. 칸 오무르타그 통치 기간에 도시가 확장되었고, 새로운 요새가 건설되었다. 국경과 가깝기 때문에 상업과 군사적 목적으로 필수적이었다. 보리스 1세와 시메온 1세 통치 기간에 최초의 문학 중심지가 설립되었으며, 대부분 교회의 일부였다. 책은 프레슬라프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에서 수입되었으며, 도시의 교회에서 연구되었다.
차르 칼로얀 통치 기간에 이 도시는 다시 중요성이 증가했는데, 주로 불가리아와 십자군 간의 지속적인 분쟁 때문이었다. 차르 칼로얀과 십자군 사이의 주요 전투는 기원후 1204년에 도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으며, 불가리아는 1205년 4월 14일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십자군을 격파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373년 오스만 제국은 얌볼을 정복했지만, 군사화된 반독립 불가리아인들은 도시 남부에 보이누크로 남아 있었다.[8] 얌볼은 "얀볼루"로 이름이 바뀌었다. 얌볼은 룸엘리 예알레트의 에디르네 산자크(1364–1420), 룸엘리 예알레트의 실리스트라 산자크(1420-1593),[9] 실리스트라 예알레트의 실리스트라 산자크(1593–1830), 에디르네 비라예트의 슬리벤 산자크(1830–1878),[10] 그리고 1885년 불가리아 공국에 합류하기 전 동룸엘리의 슬리벤 부서의 카자 중심지였다.1829년 얌볼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전장이 되었고, 불가리아인 주민들은 러시아로 피난했으며, 얌볼은 도시에 모인 반 오스만 세력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24] 1878년 얌볼은 러시아군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불가리아와 러시아의 우호를 기념하는 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2. 4. 근현대




1373년 오스만 제국은 얌볼을 정복했지만, 군사화된 반독립 불가리아인들은 도시 남부에서 보이누크로 남아 있었다.[8] 얌볼은 "얀볼루"로 이름이 바뀌었다. 얌볼은 룸엘리 예알레트의 에디르네 산자크(1364–1420), 룸엘리 예알레트의 실리스트라 산자크(1420-1593),[9] 실리스트라 예알레트의 실리스트라 산자크(1593–1830), 에디르네 비라예트의 슬리벤 산자크(1830–1878),[10] 그리고 1885년 불가리아 공국에 합류하기 전 동룸엘리의 슬리벤 부서의 카자 중심지였다.
얌볼의 주요 종교는 동방 정교회이다. 1888년에 성 삼위일체 교회, 성 조지 교회,[11] 성 니콜라스 대성당[12] 등 많은 지역 교회들이 건립되었으며, 그 중 가장 큰 곳은 성 니콜라스 대성당이다. 동방 가톨릭 및 개신교 종교 건물도 얌볼에 존재한다.
현대에 얌볼은 1878년부터 얌볼 ''오콜리아''의 중심지였으며, 1948년부터는 얌볼 ''오크루그''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4년에는 새롭게 형성된 부르가스 오블라스트의 일부가 되었고, 1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1990년대 초부터 얌볼은 얌볼 오블라스트(또는 얌볼 지방 자치 단체)의 중심지가 되었다.
20세기 초 얌볼은 혼란의 영향을 받았다. 1913년 동트라키아에서 터키 군대에 의해 공격받은 인종 청소 캠페인으로 인해 트라키아 불가리아인들이 이 도시로 이주했다. 얌볼의 그리스인 인구(약 20가구)는 난민 교환 중에 그리스로 떠났다. 얌볼은 또한 1903년 일리덴 봉기의 실패로 인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난민을 수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얌볼은 제국 독일 육군 항공대 제플린의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루마니아, 러시아, 수단 및 몰타에서의 임무에 사용되었다. 이 도시는 독일인들에게 유리한 위치와 기상 조건으로 인해 선택되었다.[13] 발칸 전쟁 동안 얌볼은 제1차 불가리아 군대의 본부였으며, 터키를 트라키에서 패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182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전장이 된 얌볼에서 불가리아인 주민들은 러시아로 피난했고, 얌볼은 도시에 모인 반 오스만 세력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24] 1878년 얌볼은 러시아군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불가리아와 러시아의 우호를 기념하는 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1890년대 중반에는 얌볼과 부르가스를 잇는 장거리 간선이 개통되었다.[28]
21세기 초에 이 도시는 불가리아 최초로 주거용 천연 가스를 제공했다. 20세기에 들어 얌볼은 요양을 위한 광천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24]
3. 지리
얌볼은 불가리아 남부의 트라키아 평원에 속하며, 툰자 강과 모출리차 강 합류 지점 남쪽에 위치해 있다.
3. 1. 기후
얌볼의 기후는 온화하며 동쪽의 흑해와 남쪽의 에게해의 영향을 받는다. 얌볼은 온난 습윤 기후에 속한다.[36]월 | 최고 기온 (℃) | 평균 기온 (℃) | 최저 기온 (℃) | 강수량 (mm) | 일조 시간 (시간) |
---|---|---|---|---|---|
1월 | 6.5°C | 3.3°C | 0°C | 45.5mm | 106 |
2월 | 8.7°C | 4.4°C | 0.2°C | 41.6mm | 132 |
3월 | 13.6°C | 8.4°C | 3.6°C | 32.8mm | 181 |
4월 | 18.4°C | 13°C | 7.8°C | 34.3mm | 203 |
5월 | 24.1°C | 18.2°C | 12.5°C | 59.8mm | 274 |
6월 | 28.2°C | 22.5°C | 16.8°C | 50.7mm | 303 |
7월 | 31.1°C | 25.2°C | 19.3°C | 50.9mm | 339 |
8월 | 31.2°C | 25°C | 19.2°C | 40.7mm | 329 |
9월 | 25.7°C | 20.3°C | 14.8°C | 70.3mm | 242 |
10월 | 19.5°C | 15°C | 10.3°C | 49.7mm | 181 |
11월 | 13.7°C | 9.6°C | 5.5°C | 34.6mm | 133 |
12월 | 7.6°C | 4.1°C | 0.7°C | 58.9mm | 101 |
연간 | 19°C | 14.1°C | 9.1°C | 569.7mm | 2525 |
4. 인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불가리아의 해방 이후 첫 10년 동안 얌볼의 인구는 10,000명을 넘어섰으며, 1887년에는 11,241명이었다.[2] 그 후, 주로 시골 지역과 주변 소도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인해 10년마다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얌볼의 인구는 1985년부터 1992년까지 90,000명을 넘어서며 정점에 달했다.[15] 1990년대 불가리아의 경제 상황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이는 부르가스로의 이주로 이어졌다. 2011년 2월 기준, 얌볼의 인구는 74,132명이었으며, 얌볼시가 행정 중심지인 툰자 시의 인구는 98,287명이었다.[16]
4. 1.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서 민족 정체성을 밝힌 사람들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17][18]민족 | 인구 | 비율 |
---|---|---|
불가리아인 | 59,899명 | 87.1% |
집시 | 4,263명 | 6.2% |
튀르크인 | 3,185명 | 4.6% |
기타 | 296명 | 0.4% |
불분명 | 1,101명 | 1.6% |
총합 | 68,744명 | 100% |
민족 정체성을 신고하지 않은 사람은 11,718명(8.5%)이며, 이들을 포함한 총인구는 74,132명이다.
5. 경제
1990년대 이후 현지 산업은 쇠퇴하여 많은 공장들이 문을 닫았다. 이 도시는 번성하는 주변 농업 지역의 중심지이다.
얌볼은 담배, 통조림, 섬유 공업, 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23], 근교 농산물의 집산지이다[31]。 하구에 위치한 항구 도시인 얌볼에서는 양모, 포도주 등이 반출되고 있다[23]。
6. 문화
얌볼에는 지역 역사 박물관과 전투 영광 박물관이 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지어진 베지스텐은 2015년에 대화형 박물관으로 재개장했다.[20]
이 도시는 네베나 코카노바 드라마 극장, 게오르기 미테프 인형극 극장, 엘리트 영화관을 갖추고 있다.
6. 1. 박물관
얌볼에는 지역 역사 박물관과 전투 영광 박물관이 있다.도시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화 유적지 중 하나인 베지스텐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지어진 폐쇄된 시장이자 도시 쇼핑몰로 5세기 동안 존재해 왔다. 2015년에 베지스텐은 대화형 박물관으로 대중에게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얌볼과 지역의 풍부한 유산을 홍보하는 주요 문화 및 정보 센터이다. 2019년 유럽 문화 유산의 날을 기념하여 베지스텐 박물관은 예술과 엔터테인먼트를 기념하는 특별 행사를 개최했으며, 이 행사 중 하나는 건물의 510주년을 기념하는 것이었다.[20]
6. 2.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이 도시에는 네베나 코카노바 드라마 극장과 게오르기 미테프 인형극 극장이 있다. 드라마 극장은 일년 내내 전국 각지에서 온 배우들을 초청한다. 영화관 엘리트는 최신 영화를 상영한다.7. 스포츠
얌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농구이다. 얌볼의 농구 클럽은 BC 얌볼이며, 홈 경기는 스포츠 홀 다이아나에서 열린다. 2002년, BC 얌볼은 전국 농구 리그에서 우승했다.
8. 교육
얌볼 공학 기술 학부
9. 자매 도시
10. 주요 인물
- 게오르기 파파조프, 화가
-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 작가
- 볼렌 시데로프, 언론인이자 정치인
- 페터 노이코프, 교육자
- 엔초 케리아조프, 예술가
- 레이한 안젤로바, 가수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области, общини, местоживеен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eography[...]
2010-02-14
[3]
웹사이트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2024-04-03
[4]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Copenhagen Polis Centre for the Danish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5
[5]
간행물
The Thracian Royal city of Kabyle
[6]
간행물
"The Thracian Royal City of Cabyle"
[7]
웹사이트
Archaeologists Find Roman Military Officers' Residence (Tribunorium) in Ancient Thracian City Kabile near Bulgaria's Yambol
http://archaeologyin[...]
[8]
문서
Дългата обсада на Ямболската крепост
[9]
웹사이트
Data
http://web.firat.edu[...]
2017-10-05
[10]
논문
Doğu Rumeli'de Kayıp Köyler. İslimye Sancağı'nda 1878'den Günümüze Göçler, İsim Değişiklikleri ve Harabeler [Lost Villages in Eastern Rumelia. Migration, Place Name Changes and Lost Villages in the Province of İslimye/Sliven (Southeast Bulgaria) since 1878]
https://www.academia[...]
2017-12-20
[11]
웹사이트
"St. George" Church - Yambol
http://wikimapia.org[...]
[12]
웹사이트
Church of Saint Nicholas ::: St. Nicholas Center
https://www.stnichol[...]
[13]
웹사이트
Bulgaria BEZMERand adjacent regions GUIDE for American military
http://bezmer.info/B[...]
2009-02-27
[14]
웹사이트
БЪЛГАРИЯ ПРЕЗ БАЛКАНСКИТЕ ВОЙНИ (1912 – 1913 Г.)
http://history.kabin[...]
2018-03-19
[15]
웹사이트
Bulgaria
http://www.citypopul[...]
Citypopulation.de
2011-01-06
[16]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Main Towns Census 2011
http://www.nsi.bg/OR[...]
2013-08-20
[17]
웹사이트
Population on 01.02.2011 by provinces, municipalities, settlements and age;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http://www.nsi.bg/OR[...]
2013-08-20
[18]
웹사이트
Population by province, municipality, settlement and ethnic identification, by 01.02.2011;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http://www.nsi.bg/OR[...]
2013-08-20
[19]
웹사이트
weatheronline.co.uk: Historical Weather for Yambol, Bulgaria
http://www.weatheron[...]
weatheronline.co.uk
2014-02-09
[20]
웹사이트
Bulgaria to celebrate European Heritage Days 2019 with over 300 Events
https://www.european[...]
2020-05-27
[21]
웹사이트
Побратимени градове
https://yambol.bg/%D[...]
Yambol
2019-10-30
[22]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Main Towns Census 2011
http://www.nsi.bg/OR[...]
2013-08-20
[23]
서적
コンサイス外国地名事典
[24]
서적
ヤンボル
[25]
웹사이트
weatheronline.co.uk: Historical Weather for Yambol, Bulgaria
http://www.weatheron[...]
weatheronline.co.uk
2015-11-01
[26]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27]
서적
ブルガリア歴史の旅
[28]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29]
웹사이트
Population on 01.02.2011 by provinces, municipalities, settlements and age;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http://www.nsi.bg/OR[...]
2013-08-20
[30]
웹사이트
Population by province, municipality, settlement and ethnic identification, by 01.02.2011;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http://www.nsi.bg/OR[...]
2013-08-20
[31]
서적
ヤンボル
[32]
웹사이트
"(in Bulgarian)"
http://www.obshtinay[...]
Obshtinayambol.org
2013-08-20
[33]
웹사이트
"(in Bulgarian)"
http://www.obshtinay[...]
Obshtinayambol.org
2013-08-20
[34]
웹사이트
in Bulgarian)
http://www.obshtinay[...]
Obshtinayambol.org
2013-08-20
[35]
URL
http://www.yambol-ed[...]
[36]
웹인용
weatheronline.co.uk: Historical Weather for Yambol, Bulgaria
http://www.weatheron[...]
weatheronline.co.uk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