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우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우조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하며 기관지 《한성》을 발행하고 '삼민주의란 무엇인가'를 번역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다양한 보직을 수행했으며, 한국광복군에서 정령을 지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1999년 국가보훈처 선정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 양씨 - 양명문
    양명문은 평안남도 평양 출신의 시인이자 교육자로, 시집 『화수원』으로 등단하여 〈명태〉 등의 시를 발표하고 여러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격동의 시대상을 반영한 작품들을 남겨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중화 양씨 - 양찬우
    양찬우는 대한민국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소장으로 예편하여 경상남도지사와 내무부 장관을 거쳐 민주공화당 소속 4선 국회의원, 문교공보위원장, 내무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정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평양시 출신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평양시 출신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양우조
기본 정보
양우조 선생
양우조 선생
출생1904년 8월 20일
사망1964년 7월 2일
본관청주 양씨
경력
주요 활동독립운동가
언론인
주요 경력조선일보 기자
동아일보 기자
상해 임시정부 교통국원
한국독립당 선전위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주화대표단 비서
대한민국 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위원
국민대학교 법정대학장
독립운동
독립 운동상해 임시정부 활동
관련 단체한국독립당
대한민국 건국준비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가족 관계
부친양기하
배우자최선화
자녀양영철
양완수
양인수
양정수
양희수
학력
최종 학력중국국민대학

2. 생애

양우조는 평남 강서군 증산면 취룡리에서 양기영의 6남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조실부모하여 동생 양익조와 함께 이모 박씨 아래서 자라며 한학을 공부하다가, 1915년 강명화 (건국훈장 애족장)의 딸 강영실과 결혼하였다. 강명화는 1905년 아들 영문, 영소, 영상, 영각을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간 지역 유지이자 개화한 지주였다. 이들 부자들은 훗날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강명화와 차남 강영소 (건국훈장 독립장)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 총회장을 역임했다. 영대, 영문, 영상, 영각도 건국훈장과 건국포장을 받아 이 집안은 아버지, 아들, 사위까지 모두 일곱명이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 가족이다.

1917년 장인 강명화의 주선으로 상해를 거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21세의 나이였으나 인디애나주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중학교를 졸업한 뒤 1924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뉴벳포드 방직학과에 입학하여 방직 기술을 공부했다. 1925년 손위 처남 강영소가 발기인중 하나인 흥사단에 가입 (단우번호 199)했고, 1927년 같은 시기 유학했던 고향 친구 최희송, 오정수와 함께 귀국했다. 일제의 방해로 고향에 방직공장을 세우려던 꿈을 접고, 1930년대 초반 강영대, 강영소, 강영문의 지원으로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 운동에 뛰어들었다.

이후 한국독립당에 가담하여 기관지 《한성(韓聲)》을 발행하고, '삼민주의란 무엇인가'를 최초로 번역하여 독립 후 국가 건설에 대한 고민을 담아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의정원, 생계부, 재무부 등 다양한 보직을 수행했고, 한국광복군 정훈처에서 정령을 지냈다.

1937년, 중국에서 이화여전 출신 독립운동가 최선화(건국훈장 애족장)와 재혼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딸 양제시를 낳았고, 부인과 함께 1946년 귀국 때까지 육아일기를 겸한 일기장을 작성했는데, 이는 1997년 '제시의 일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2022년 천안 독립기념관에 양우조 어록비가 설치되었다.

양우조는 광복 후 1946년에 귀국하여 3.1동지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1999년 국가보훈처 선정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미국 유학 (1897년 ~ 1927년)

양우조는 평남 강서군 증산면 취룡리에서 양기영의 6남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조실부모하여 동생 양익조와 함께 이모 박씨 아래서 자라며 한학을 공부하다가, 1915년 강명화 (건국훈장 애족장)의 딸 강영실과 결혼하였다. 강명화는 1905년 아들 영문, 영소, 영상, 영각을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간 지역 유지이자 개화한 지주였다. 이들 부자들은 훗날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강명화와 차남 강영소 (건국훈장 독립장)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 총회장을 역임했다. 영대, 영문, 영상, 영각도 건국훈장과 건국포장을 받아 이 집안은 아버지, 아들, 사위까지 모두 일곱명이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 가족이다.

1917년 장인 강명화의 주선으로 상해를 거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21세의 나이였으나 인디애나주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중학교를 졸업한 뒤 1924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뉴벳포드 방직학과에 입학하여 방직 기술을 공부했다. 1925년 손위 처남 강영소가 발기인중 하나인 흥사단에 가입 (단우번호 199)했고, 1927년 같은 시기 유학했던 고향 친구 최희송, 오정수와 함께 귀국했다. 일제의 방해로 고향에 방직공장을 세우려던 꿈을 접고, 1930년대 초반 강영대, 강영소, 강영문의 지원으로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 운동에 뛰어들었다.

2. 2. 독립운동 투신 (1927년 ~ 1945년)

양우조는 평남 강서군 증산면 취룡리에서 태어나 조실부모하여 이모 박씨 아래서 자랐다. 한학을 공부하다가 1915년 강명화의 딸 강영실과 결혼하였다. 강명화는 1905년 아들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간 개화한 지주였으며,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 총회장을 역임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양우조는 1917년 장인의 주선으로 상해를 거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21세의 늦은 나이였으나 인디애나 주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중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뉴벳포드 방직학과에 입학하여 방직 기술을 공부했다.

1925년에는 손위 처남 강영소가 발기인 중 하나인 흥사단에 가입(단우번호 199)했다. 1927년, 고향 친구 최희송, 오정수와 함께 귀국했으나, 일제의 방해로 고향에 방직공장을 세우려던 꿈은 좌절되었다. 1930년대 초반, 강영대, 강영소, 강영문의 지원으로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 운동에 투신하였다.

이후 한국독립당에 가담하여 기관지 《한성(韓聲)》을 발행하고, '삼민주의란 무엇인가'를 최초로 번역하여 독립 후 국가 건설에 대한 고민을 담아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의정원, 생계부, 재무부 등 다양한 보직을 수행했고, 한국광복군 정훈처에서 정령을 지냈다.

1937년, 중국에서 이화여전 출신 독립운동가 최선화(건국훈장 애족장)와 재혼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딸 양제시를 낳았고, 부인과 함께 1946년 귀국 때까지 육아일기를 겸한 일기장을 작성했는데, 이는 1997년 '제시의 일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2022년 천안 독립기념관에 양우조 어록비가 설치되었다.

2. 3.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 1964년)

양우조는 광복 후 1946년에 귀국하여 3.1동지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1999년 국가보훈처 선정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1937년 중국에서 이화여전 출신 최선화(건국훈장 애족장)를 만나 재혼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딸 양제시를 낳으면서 부인과 함께 육아일기를 겸한 일기장을 1946년 귀국 때까지 작성했는데, 이 내용은 1997년 '제시의 일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2022년 천안 독립기념관에 양우조 어록비가 설치되었다.

3. 평가 및 유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1999년 국가보훈처 선정 9월의 독립운동가이다.

3. 1. 평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1999년 국가보훈처 선정 9월의 독립운동가이다.

3. 2. 유산

4. 유언

과거를 회고하건대, 좋게 말해서 나의 일생은 국가와 민족이 사람다운 생을 살기위하여 희생된 인생 중 일인이었다고 하련다.....이 몸은 이제 세상사와 멀리 하였거니와 생전 함께 한 가족은 부디 명심하여 고인의 미진한 애국애족 정신, 즉 전체 동포의 위복을 위하여 노력하는 동시에 개인의 일도 잊지 말아라. 개인은 전체의 일분자요, 일분자가 모여 대체가 되는법이다. 그러나, 비겁은 취하지 말고, 절대 자존심을 굽히지 말아라.[3]

참조

[1] 웹사이트 양우조(楊宇朝) http://encykorea.aks[...] 2022-08-23
[2] 비디오 광야에서 들꽃을 만나다 http://www.kbs.co.kr[...] 2006-03-01 # 삼일절 특집으로 추정
[3] 비디오 광야에서 들꽃을 만나다 http://www.kbs.co.kr[...] 2006-03-01 # 삼일절 특집으로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