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의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의 노래》는 타카시로 카즈나와 그의 누나 타카시로 치즈나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작품이다. 카즈나는 어릴 적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 친구에게 맡겨져 성장하며,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누나 치즈나와 재회한다. 치즈나는 타카시로 가문의 기이한 병을 앓고 있으며, 카즈나 역시 이 병의 발병 가능성을 안고 있다. 두 사람은 아버지의 죽음과 가문의 비밀을 공유하며 동거를 시작하고, 카즈나는 자신의 병 때문에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으려 하지만, 누나 치즈나와 동급생 야에가시 요우의 도움으로 갈등을 겪는다. 이 작품은 가족의 의미, 사회적 소외, 운명과 자유 의지 등을 주제로 다루며, 만화, 영화, OVA, 드라마 CD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사키 (만화)
    전국 고교생 마작 대회 우승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 마작부와 마작을 싫어했지만 다시 재미를 느끼는 신입 부원 미야나가 사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지적인 스포츠로서의 마작을 다루며 미소녀들이 초인적인 투패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은 가마쿠라 막부 멸망 후 도망치는 재능으로 영웅이 되는 소년의 성장기를 그린 만화로, 2021년부터 연재되어 300만 부 이상 발행되었고, 2024년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으며, 작품성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다.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만화 - 하늘의 혈맥
    하늘의 혈맥은 오야마 쇼고의 역사 대하소설로, 1903년 러일 전쟁 직전의 만주를 배경으로 고대사 연구에 참여한 주인공이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이야기이며, 일본 제국주의 사상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고대 시대 역사적 사건들을 교차하여 보여주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만화 - 사키 (만화)
    전국 고교생 마작 대회 우승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 마작부와 마작을 싫어했지만 다시 재미를 느끼는 신입 부원 미야나가 사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지적인 스포츠로서의 마작을 다루며 미소녀들이 초인적인 투패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이누가미 일족
    이누가미 일족은 요코미조 세이시의 추리 소설로, 막대한 유산을 둘러싼 연쇄 살인 사건과 사립 탐정 긴다이치 코스케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린다.
  • 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카마이타치의 밤
    카마이타치의 밤은 춘소프트에서 제작한 사운드 노벨 게임으로, 눈보라로 고립된 펜션에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의 시나리오와 독특한 연출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플랫폼 이식 및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양의 노래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 (일본어)羊のうた (히쓰지 노 우타)
의미양의 노래
장르호러, 드라마
작가겨울눈경
만화
출판사겐토샤
연재 잡지코믹 버즈
연재 기간1995년 11월 25일 ~ 2002년 9월 30일
권수7권
레이블학산 코믹스
OVA
감독스기이 기사부로
음악미야자와 켄
제작사매드하우스
발매 기간2003년 5월 25일 ~ 2004년 2월 25일
에피소드 수4화

2. 줄거리

미술부실에서 붉게 물든 그림과 요의 상처를 본 카즈나는 이상한 감각에 사로잡혀 쓰러진다. 이후, 어린 시절 살았던 집을 찾아가 누나 치즈나와 재회하고, 그녀로부터 아버지의 자살 소식과 타카시로 가문의 기이한 병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세 번째 발작에 시달리는 카즈나에게 치즈나는 자신의 팔을 긁어 피를 줌으로써 발작을 가라앉힌다.

2. 1. 프롤로그

어릴 적 어머니를 여읜 타카시로 카즈나는 아버지의 친구인 코다 부부에게 맡겨져 평범한 고교 생활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카즈나는 동급생 야에가시 요의 피를 보고 이상한 감각을 느끼고, 이끌리듯 예전에 부모님과 살았던 집을 방문하여 친누나인 타카시로 치즈나와 재회한다.

거기서 카즈나는 아버지의 죽음을 듣고, 타카시로 가문의 흡혈귀와 같은 희귀병에 대해 알게 된다. 이 병은 카즈나에게도 발병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남자는 발병 확률이 낮아 코다 부부에게 맡겨졌다고 한다.

하지만 카즈나는 이미 발병을 느끼고 치즈나를 찾아가 털어놓는다. 치즈나는 발작을 멈추는 약을 건네지만, 카즈나는 변화를 두려워하며 거부하고, 치즈나는 자신의 손목을 그어 카즈나에게 피를 준다. 이후, 자살한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타인을 멀리하는 치즈나와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타인을 멀리하려는 카즈나는 동거 생활을 시작한다.

미술부실에서 붉게 물든 그림과 야에가시 요의 상처를 본 카즈나는 이상한 감각에 사로잡혀 쓰러진다. 이후, 어린 시절 살았던 집을 찾아가 누나 치즈나와 재회하고, 그녀로부터 아버지의 자살 소식과 타카시로 가문의 기이한 병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세 번째 발작에 시달리는 카즈나에게 치즈나는 자신의 팔을 긁어 피를 줌으로써 발작을 가라앉힌다.

2. 2. 치즈나와 카즈나

타카시로 카즈나는 어릴 적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의 친구인 고다 부부에게 맡겨진다. 카즈나는 고교생이 될 때까지 아버지와 만나지 못하고 고다 부부의 양자가 될 예정이었다. 어느 날, 카즈나는 동급생 야에가시 요우의 피를 보고 이상한 감각을 느끼고, 친누나인 타카시로 치즈나와 재회한다. 치즈나는 카즈나에게 아버지의 죽음과 타카시로 가문의 유전병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병은 흡혈귀처럼 타인의 피를 갈구하는 증상을 보이며, 치즈나 역시 이 병을 앓고 있었다. 카즈나도 발병 가능성이 있었지만, 남자는 발병 확률이 낮아 아버지에 의해 고다 부부에게 맡겨졌다고 한다.

치즈나는 세 살 때 발병하여 아버지의 피로 발작을 억눌러왔다. 아버지는 딸을 지극히 사랑했지만, 치즈나에게는 아내의 대용품에 불과했다. 죄책감과 공포감에 휩싸인 아버지는 딸과 함께 죽으려다 실패하고 자살한다. 치즈나는 아버지의 저주 때문에 다른 사람의 피로는 치유되지 않았고, 강한 향정신성 의약품에 의존해야 했다.

카즈나는 이미 발병을 느끼고 치즈나를 찾아간다. 치즈나는 발작을 멈추는 약을 건네지만, 카즈나는 변화를 두려워하며 거부한다. 치즈나는 자신의 손목을 긋고 카즈나에게 피를 준다. 자살한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타인을 멀리하던 치즈나와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타인을 멀리하려던 카즈나는 동거를 시작한다.

2. 3. 카즈나의 갈등

카즈나는 어릴 적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의 친구인 고다 부부에게 맡겨져 성장했다. 고교생이 된 카즈나는 아버지의 죽음과 함께, 타카시로 가문의 유전병에 대해 알게 된다. 그 병은 흡혈귀처럼 타인의 피를 갈구하는 희귀병으로, 누나인 치즈나 역시 그 병을 앓고 있었다. 카즈나는 이미 자신이 발병했음을 느끼고 있었고, 치즈나에게 발작을 멈추는 약을 받지만, 변화를 두려워하여 복용을 거부한다. 치즈나는 자신의 손목을 그어 카즈나에게 피를 주고, 두 사람은 동거를 시작한다.

카즈나는 자신의 병 때문에 소중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까 두려워,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으려 한다. 미술부실에서 발작을 일으킨 카즈나는 동급생 야에가시 요에게 자신의 병을 고백하고 거리를 두려고 경고한다. 하지만, 치즈나의 피를 통해 발작을 억누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카즈나는 치즈나와 함께 살기로 결심한다. 야에가시 요는 카즈나의 병을 알고도 곁에 있고 싶어하며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피를 내밀지만, 카즈나는 갈등 끝에 기절한다.

카즈나는 자신의 병을 알고도 그의 힘이 되고 싶어하는 야에가시 요에게 혼란을 느낀다. 치즈나는 이치사의 병을 알고도 그의 힘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요에게, 직감적으로 요도 이치사를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치사를 치유할 수 있는 건, 같은 고통을 가진 나뿐이에요. 그리고, 그 아이를 지킬 수 있는 것도요"라고 선언한다.

2. 4. 아버지의 저주

타카시로 카즈나와 치즈나 남매의 아버지의 죽음은 이야기의 중심 내용 중 하나이다. 아버지는 카즈나와 치즈나가 어렸을 때 자살했으며, 그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타카시로 가문의 기묘한 병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치즈나는 세 살 때 발병하여 아버지의 피로 발작을 억눌러왔다. 아버지 시사는 불쌍한 딸을 지극히 사랑했고, 치사에게는 아버지와의 생활만이 세상의 전부였다. 그러나 시사는 아내 효쿠코를 잃은 후, 딸인 치즈나를 아내의 대용품으로 여기게 되었다. 아내를 배신했다는 죄책감과 딸이 자신에게 애정을 갈구하는 것에 대한 공포를 느껴, 딸과 함께 죽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아버지의 자살 이후, 치즈나는 다른 사람의 피로는 자신의 병을 치유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절망한다. 그리고 강한 향정신성 의약품에 의존하며 살아가게 된다. 치즈나는 아버지와의 생활을 "비정상적인 가정, 기묘한 감정"이라고 인식하면서도, 아버지의 모습을 닮은 카즈나에게 의존하게 된다. 이는 피에 대한 갈증과 아버지에 대한 갈망이 뒤섞인 복잡한 감정으로, 치즈나의 마음을 얽매는 저주와도 같았다.

2. 5. 치즈나의 마음 변화

치사는 심한 가슴 통증에 시달리며 카즈나에게 "부탁이야, 나를 필요로 해줘. 내 곁에 있어, 더는 나를 혼자 두지 마"라고 말한다. 치사는 야에가시 요를 만났던 일을 이야기하면서 질투심에 이끌려 카즈나에게 키스한다. 그러나 곧 "당신을 이 피로 묶는다고 해도, 마음까지 묶을 수는 없어… 그런 건 알고 있어. 인형이라도 좋아, 엄마의 대용품이라도 좋아, 그저, 아버지 곁에 있고 싶었어"라고 이성과 감정이 뒤섞인 감정을 토로한다. 그에 대해 카즈나는 "내가 계속 곁에 있을게"라고 대답한다. 카즈나가 정면으로 바라보며 한 이 말에 의해, 치즈나의 마음은 아버지의 저주에서 해방된다.

2. 6. 야에가시 요우의 등장

타카시로 카즈나의 동급생인 야에가시 요는 카즈나의 병을 알고도 그를 지지하며, 카즈나의 발작을 멈추는 또 다른 존재가 된다. 카즈나는 미술부실에서 네 번째 발작에 시달리고, 요에게 자신의 병을 고백하며 가까이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소중한 사람들을 상처 입히지 않으려고, 자신을 아끼는 따뜻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으려하는 카즈나에게, 요는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이치사 앞에 내밀며 "이렇게 하면 곁에 있어도 되는 거죠"라고 다그친다. 갈증과 억제의 갈등 끝에 이치사는 기절하고, 미즈노세가 근무하는 병원으로 옮겨진다.

치사는 직감적으로 요도 이치사를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치사를 치유할 수 있는 건, 같은 고통을 가진 나뿐이에요. 그리고, 그 아이를 지킬 수 있는 것도요"라고 선언한다.

이후 학교에 간 이치사는 붉은 페인트에 자극받아 발작을 일으키는데, 요가 달려와 "가까이 오지 마"라는 이치사의 경고를 무시하고 이치사에게 안긴다. 요의 "괜찮아"라는 말에 이끌리듯 그녀의 목덜미를 물고 피를 핥는다. 이치사가 본능적으로 느꼈던 것처럼, 요의 피로 발작은 가라앉는다. 요는 이 상처를 버팀목으로 삼아, 이치사를 계속 기다릴 수 있게 된다.

2. 7. 결말

카자미라는 전직 간호사가 타카시로 시사의 자살 원인을 조사하기 시작하면서, 타카시로 치즈나는 자신이 어머니를 죽였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삶의 의지를 잃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카시로 카즈나는 "나는 아버지처럼 도망치지 않아"라고 말하며 치즈나에 대한 순수한 사랑을 보여준다. 치즈나는 "당신을 남동생으로도… 아버지 대신으로도 아니고 목숨을 걸고 사랑했어"라고 고백한다. 카즈나는 "치즈나와 함께 있었던 건 내가 그렇게 하고 싶었기 때문이야"라고 진심을 전하고, 치즈나는 "그 이상의 말은 필요 없어"라며 감사를 표한다.

카즈나는 병이 재발했음을 알리고, 치즈나에게서 받은 약을 함께 마시며 동반 자살을 시도한다. 다음 날, 미즈노세는 기대어 잠든 두 사람을 발견한다. 카즈나는 목숨을 건졌지만 1년간의 기억을 잃는다. 야에가시 요는 기억을 잃은 카즈나에게 "여기서부터 시작하면 되는 거니까"라고 말하며 새로운 시작을 암시한다.

3. 등장인물

; 고시로 카즈나(高城 一砂)

: 이 작품의 주인공. 고등학교 1학년. 어머니가 어릴 적에 돌아가셔서 아버지의 친구인 에다 부부에게 길러진다.

; 고시로 치즈나(高城 千砂)

: 이 작품의 히로인. 고등학교 2학년. 어릴 적부터 고시로 가문의 "병"을 앓고 있으며, 아버지에게 길러진다. 검은색 긴 머리에 기모노 차림의 아름다운 여성. 고시로 가문의 병 이외에도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하며, 발작을 억제하는 약 복용이 그것을 악화시키고 있다.

; 야에가시 요(八重樫 葉)

: 카즈나의 동급생 여자아이. 미술부에 소속되어 있다. 스스로 머리를 자르는 등 꾸미는 것에 관심이 없고, 잘 웃지 않는다. 카즈나와는 서로 호감을 가지고 있지만, 명확하게 자각하고 있지는 않다.

; 미나세(水無瀬)

: 치즈나의 어릴 적 친구인 의사. 치즈나보다 11살 연상. 치즈나와는 고등학생 시절에 알게 되어 10년 이상 친형처럼 지내왔다. 왼쪽 눈에는 치즈나에게 새겨진 큰 상처가 있다. 현재는 보호자이자 의사로서 치즈나를 돌보고 있다.

; 에다 나츠코(江田 夏子)

: 카즈나를 길러온 어머니 대신과 같은 여성. 나이는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예전에는 아이는 필요 없다는 생각이었지만, 최근에는 심경의 변화가 생기고 있다.

; 키노시타(木の下)

: 카즈나의 중학교 시절 친구. 모자 가정의 3남매로, 형과 누나는 같은 작가의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에 등장한다.

; 사사키 마미(佐崎 マミ)

: 치즈나가 속한 반의 반장. 체육계 성격으로 밝고 활달하다. 반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으려는 치즈나를 걱정하고 있다.

; 에미(エミ)

: 야에가시의 중학교 시절 친구로, 카즈나와도 안면이 있다. 농구부.

3. 1. 주요 등장인물

타카시로 카즈나(高城 一砂일본어)는 고등학교 1학년생으로, 어머니가 어렸을 적에 죽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친구인 고다 부부 아래서 자랐다. 타카시로 치즈나(高城 千砂일본어)는 고등학교 2학년생으로 어릴 적부터 타카시로 집안에 내려오는 유전병을 앓고 있다.

야에가시 요우(八重樫 葉일본어)는 카즈나와 같은 학년의 여고생으로, 미술부 소속이다. 카즈나와 서로 좋아하는 듯하지만, 확실히 깨닫고 있지는 않다.

미나세(水無瀬일본어)는 치즈나의 소꿉친구인 의사로, 치즈나보다 11살 위이며, 10년 이상 진짜 오빠처럼 지내 왔다.

고다 나쯔코(江田夏子일본어)는 카즈나를 엄마처럼 길러 온 여성이다. 키노시타(木の下일본어)는 카즈나의 중학생 시절부터의 친구로, 홀어머니와 형, 누나가 있으며, 이 형과 누나는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에도 등장한다.

카즈나의 양부모이자 그의 아버지 시즈나의 절친인 에다 신과 에다 나츠코는 카즈나에게 깊은 사랑을 주는 양부모이며, 그를 입양하고 싶어한다. 그들은 시즈나와 치즈나의 생활 상황을 알고 있지만, 카즈나가 정상적인 삶을 살도록 이 사실을 알리지 못하게 되어있다.

다카시로 시즈나 박사는 치즈나와 카즈나의 아버지로, 원래 성은 "이시쿠라"였으며, 결혼으로 다카시로 성을 사용하며 질병을 물려받지 않았다. 아내가 죽자 치즈나를 데리고 요코하마에서 살며 치료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그녀를 돌보기 위해 작은 병원을 열었다.

이시쿠라 여사는 치즈나와 카즈나의 할머니이자 시즈나의 어머니다. 시즈나가 모모코와 결혼한 것에 대해 분노했다.

카자미 시노부는 만화에만 등장하는 캐릭터이며, 다카시로 박사의 병원에서 마지막으로 고용된 간호사였다.

3. 2. 기타 등장인물

'''타카시로 카즈나(다카시로 가즈나/高城 一砂일본어)'''는 고등학교 1학년생이다. 어머니가 어렸을 적에 죽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친구인 고다 부부 아래서 자란다.

'''타카시로 치즈나(다카시로 지즈나/高城 千砂일본어)'''는 고등학교 2학년생이다. 어릴 적부터 타카시로 집안에 내려오는 유전병에 걸려 있어 아버지와 같이 지낸다. 검은색 긴 머리의 모습이 아름다운 여성이다. 유전병과는 별도로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하고, 발작을 억제하는 약이 그것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야에가시 요우(야에가시 요/八重樫 葉일본어)'''는 카즈나와 같은 학년의 여고생이다. 미술부 소속이다. 머리카락을 스스로 자를 정도로 몸치장에 흥미가 없고, 잘 웃지 않는다. 카즈나와 서로 좋아하는 듯하지만, 확실히 깨닫고 있지는 않다.

'''미나세(水無瀬일본어)'''는 치즈나의 소꿉친구인 의사다. 치즈나보다 11살 위이며, 치즈나와는 고등학생 때부터 알게 되어, 10년 이상 진짜 오빠처럼 지내 왔다. 왼쪽 눈에 치즈나가 입힌 큰 상처가 있다. 현재는 보호자로서, 또한 의사로서 치즈나를 돌보고 있다.

'''고다 나쯔코(江田夏子일본어)'''는 카즈나를 엄마처럼 길러 온 여성이다. 나이는 30~40대 사이로 추정된다. 예전에는 아이는 필요없다고 하는 생각이었지만, 최근에 그 심경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키노시타(木の下일본어)'''는 카즈나의 중학생 시절부터의 친구이다. 홀어머니와 형, 누나가 있으며, 이 형과 누나는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에도 등장한다.

'''사사키 마미(佐崎 マミ)'''는 치즈나가 속한 반의 반장이다. 체육계 성격으로 밝고 활달하다. 반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으려는 치즈나를 걱정하고 있다.

'''에미(エミ)'''는 야에가시의 중학교 시절 친구로, 카즈나와도 안면이 있다. 농구부.

4. 미디어 믹스

4. 1. 단행본 (만화)

《양의 노래》는 토우메 케이의 작품으로,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를 통해 전 7권이 정식 발매되었다. 연재본과 일부 내용이 변경되었으며, 연재본에 있던 표지 그림 중 일부가 미수록되었다.

일본에서는 겐토샤 코믹스, 소니 매거진즈 등 여러 출판사를 통해 다양한 판본으로 출간되었다. 일반판은 겐토샤 코믹스에서 전 7권으로 출간되었으며, 최종권에는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완전판은 컬러 페이지를 재현하고 박스 포장으로 구성되었으나 최종권에 인터뷰는 수록되지 않았다. 겐토샤 코믹스 만화문고판은 전 4권으로, 표지 일러스트를 새로 그렸으며 최종권에 인터뷰는 없다.

해외에서는 TOKYOPOP에서 영어판과 독일어판, Delcourt에서 프랑스어판, 동립출판사에서 대만 중국어판, 학산문화사에서 한국어판이 발매되었다.

4. 2. 영화

2002년 일본에서 화당 준지 감독, 오구리 슌 주연으로 실사 영화가 제작되었다. 와타나베 마미와 화당 준지가 각본을 맡았으며, 음악은 키미 유다이와 하마구치 시로가 담당했다. 촬영은 후지이 요시히사가 담당했다. 로케 협력은 신슈 우에다 필름 커미션, 스즈카시, 스즈카시 교육위원회 외에서 이루어졌다.

2006년에는 토쿄팝(TOKYOPOP)이 실사 영화화 권리를 획득하여 국제적인 실사 영화 제작을 발표했으나, 2011년 토쿄팝(TOKYOPOP)이 만화 출판 부문에서 철수하면서 제작이 중단되었다. 당초 프로듀서는 토쿄팝의 CEO 스튜어트 레비(Stuart Levy)였으며, 감독은 일본인, 등장인물은 유럽인으로 변경하고, 촬영은 루마니아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2008년에는 감독이 아키야마 타카히코로 변경되고, 제목이 '"Love Like Blood"'로 정해졌으며, 3D 영화로 제작될 예정이었으나, 2012년 공식 웹사이트가 폐쇄되면서 제작이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4. 3. OVA

총 4권의 OVA가 제작되었다.

  • 감독: 스기이 기사부로
  • 캐릭터 디자인·작화 감독: 세오 야스히로
  • 미술 감독: 카네무라 카츠요시
  • 색채 설계: 우타가와 릿코
  • 촬영 감독: 사토 요이치로
  • 편집: 후루카와 마사시
  • 음향 감독: 후지야마 야스노부
  • 음악: 미야자와 켄
  • 프로듀서: 소마 카즈히코, 마츠하바 세츠코, 마루야마 마사오
  •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 제작 협력: 그룹 탁
  • 제작: 「양의 노래」제작위원회 (그루브 코퍼레이션→켄그루브, 인터커뮤니케이션즈)


성우는 다음과 같다.

주제가의 제목은 「Destiny 〜숙명〜」이며, 작사는 노다 레이코, 작곡·편곡은 타카하시 테츠야, 노래는 치사&이치사가 담당했다.

스페셜 박스로 양의 노래 SPECIAL BOX가 2004년 12월 10일에 발매되었다.

애니메이션판 관련 상품으로 양의 노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이 2003년 12월 25일에 발매되었다.

4. 4. 드라마 CD

일반판 드라마 CD는 전 3권으로 발매되었다. 2002년 7월 20일에 첫 번째 CD(ASIN B00067I8G0)가, 2002년 11월 8일에 두 번째 CD(ASIN B00067I8GA)가 발매되었고, 최종장은 애니메이트 한정으로 2003년 12월 25일에 발매되었다.

주요 등장인물의 성우는 다음과 같다.

  • 타카조이치사: 세키 도모카즈/関智一일본어
  • 타카조치사: 하야시바라 메구미/林原めぐみ일본어
  • 야에가시 요우: 유키노 사쓰키/雪野五月일본어
  • 에다 신: 고스기 주로타/小杉十郎太일본어
  • 에다 나츠코: 미즈타니 유코/水谷優子일본어
  • 미즈노세: 미키 신이치로/三木眞一郎일본어

5. 주제 및 한국적 관점

5. 1. 가족의 의미와 유대

5. 2. 사회적 소외와 고립

5. 3. 운명과 자유의지

5. 4. 한국어판 번역 및 출간

참조

[1] 웹사이트 New Lament of the Lamb Project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4-08-02
[2] 웹사이트 Comic books index https://web.archive.[...] Comics Factory 2010-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