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백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백호는 후한 말기의 무장으로, 오군 지역의 호족이었다.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거느리고 손책과 대립했으며, 산월 부족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 손책에게 패배한 후에도 산월을 통해 저항을 이어갔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손책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도교에서도 신으로 등장하며, 그의 가족 관계에 대한 정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말의 군벌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후한말의 군벌 - 조조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사가, 시인이었던 조조는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의 기반을 다졌으나, 잔혹한 행위와 권력욕으로 인해 후대 평가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인물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인물에 관한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엄백호 | |
---|---|
인물 정보 | |
이름 | 엄호 |
이명 | 엄백호 (嚴白虎) |
로마자 표기 | Yan Hu |
생애 | |
출생 | 생년 미상 |
출신지 | 양주 오군 오정현 |
사망 | 미상 |
사망지 | 미상 |
소속 | |
소속 세력 | 독립 세력 |
활동 시기 | 후한 말기 |
기타 정보 | |
특기 사항 | 도적 |
2. 생애
엄백호는 후한 시대 오군(吳郡)의 호족(豪族)으로,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거느리고 스스로를 동오(東吳)의 '''덕왕'''(德王)이라 칭했다.[3] 장흥현 남쪽 50리에 있는 석성산(石城山)을 근거지로 삼았으며, 그곳에서 10리 남쪽에는 백호산(白虎山)이 있었다.[2]
엄백호의 딸은 주숙렴(朱叔廉)과 혼인하였다. 주숙렴은 주성(朱城)을 쌓았고, 엄백호는 석성산 위에 성을 쌓고 여몽(呂蒙)과 대치하였다.[3]
"엄백호"라는 이름은 본명이 아니라 그의 뛰어난 체력이나 피부색 때문에 붙여진 별명으로, "백호 엄"으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한다.[1]
2. 1. 손책과의 대립
196년, 손책이 강동(江東)에 기반을 다지기로 하고 회계태수 왕랑과 엄백호 토벌에 나섰다. 이때 엄백호는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소유한 오군(吳郡)의 호족(豪族)이었다. 손책의 부하 오경은 엄백호를 먼저 칠 것을 제안하였으나, 손책은 엄백호를 도적떼에 불과하다고 여기고 왕랑을 먼저 공격하였다.[2] 엄백호는 손책이 파견한 주치와 싸워 지고 달아난 오군태수 허공을 보호했다.그 후, 엄백호가 해서(海西)에서 오군태수를 자칭하는 진우와 제휴하자 손책은 공격에 나섰다. 엄백호는 동생 엄여를 사자로 보내어 화친을 도모하였으나, 손책은 이를 무시하고 엄여를 죽였다.[3] 이에 싸울 의욕을 잃은 엄백호는 여항(餘杭)에 있던 허소에게 몸을 의탁하였다. 정보는 손책에게 허소를 칠 것을 제안하였으나, 손책은 허소의 인물됨을 높이 사 공격하지 않았다. 한편 진우는 손책의 부하 여범의 공격을 받아 패하였다.
이후 엄백호의 행방에 대해서는, 손책이 유훈을 공격했을 때, 진등이 엄백호의 잔당을 선동하여 손책을 습격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손책은 습격을 물리쳤지만, 엄백호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2. 2. 산월과의 관계
엄백호는 오군(吳郡)의 호족(豪族)으로, 1만 명 이상의 세력을 구축했다. 嚴白虎중국어는 산월 부족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오 지역의 한나라 관료들에게까지 영향력을 미쳤다.[1] 당장여(唐長孺)의 《위진남북조사론총(魏晋南北朝史論叢)》에서는 "산적"은 "산월"과 동의어라고 하여, 嚴虎중국어가 산월의 족장이었다고 주장한다.유요가 양주 자사로 임명되었을 때, 회하 유역의 군벌 원술에 대항하기 위해 엄백호에게 접근하여 지지를 얻으려 했다. 군벌 손책이 강동 정벌 초기에 유요를 격파한 후, 엄백호는 산월 전사들로 구성된 사병을 재건하고 왕랑과 동맹을 맺었다.
보급품이 없어진 엄백호와 왕랑은 손책에게 패배했다. 엄백호는 산으로 도망쳐 산월 사람들을 계속 격려하여 강동 지역에 대한 손책의 지배에 반대하도록 했다. 이후 엄백호는 해서에서 오군 태수를 자칭하는 진우와 제휴했으나, 손책에게 동생 엄여(嚴輿)가 살해당하고 여항에 있던 허소(許昭)에게 도망쳤다. 정보는 허소 공격을 제안했지만, 손책은 허소의 인품을 평가하여 공격하지 않았다.
손책이 유훈을 공격했을 때, 진등이 엄백호의 잔당을 선동하여 손책을 습격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엄백호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손파로토역전(孫破虜討逆伝)"이 인용하는 《강표전》). 엄백호는 적어도 손책이 사망할 때까지 생존했다.[1]
2. 3. 최후
196년, 손책이 엄여를 죽이자, 엄백호는 싸울 의욕을 잃고 여항에 있던 허소에게 몸을 의탁하였다.[3] 정보는 손책에게 허소를 공격할 것을 제안했으나, 손책은 허소의 인품을 높이 평가하여 공격하지 않았다.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엄백호는 스스로를 동오(東吳)의 '''덕왕'''(德王)이라 칭했다. 사실과 달리 손책은 엄백호를 먼저 공격했고, 엄백호는 엄여를 사자로 보냈으나 손책은 엄여를 죽였다. 이에 엄백호는 두려움을 느껴 친분이 있던 왕랑에게 의탁하여 다시 손책과 싸웠으나 패배했고, 손책의 부하 동습에게 죽임을 당했다.[1]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엄백호는 손책의 공격을 받고 왕랑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도망쳤다. 그러나 왕랑에게 도움을 청하는 동안 그의 군대는 능조와 그의 아들 능통에게 패배했다. 엄백호가 후퇴하는 동안 동습이 그를 따라잡아 죽였다. 동습은 상자에 엄백호의 머리를 담아 손책에게 보냈다.[2]
4. 도교에서의 엄백호
도홍경이 저술한 『진령위업도』에는 역사상의 인물이 도교의 신이나 그를 섬기는 관리로 기재되어 있는데, 그 안에 엄백호의 이름도 보인다.
5. 가족 관계
엄백호에게는 딸이 있었으며, 딸은 주숙렴(朱叔廉)과 혼인하였다. 주숙렴은 주성(朱城)을 쌓았고, 엄백호는 석성산(石城山) 위에 성을 쌓고 여몽과 대치하였다.[3]
참조
[1]
서적
Generals of the South: the foundation and early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tate of W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웹사이트
版面瀏覽--1360442
http://210.71.96.161[...]
[3]
서적
《호주부성지고(湖州府城池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