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엄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여는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로, 엄백호의 부하이다. 손책에게 화친을 청하러 갔다가 손책에게 살해당했다. 정사에서는 손책에게 죽임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소설에서는 손책에게 강동을 나눠 갖자는 제안을 했지만 거절당하고 살해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년 사망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196년 사망 - 황소 (후한)
    황소는 후한 말 황건적 잔당의 수괴로, 원술과 손견에게 협력하다가 조조에게 야습을 시도했으나 패하여 참수되었으며,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에게 토벌당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후한말 사람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후한말 사람 - 유표 (흉노)
    유표는 남흉노 선우 우부라의 아들이자 연제씨 일족으로, 흉노 출신 최초로 유씨 성을 사용했으며, 남흉노가 다섯 부로 나뉘었을 때 좌부를 통괄했고, 그의 아들 유연은 한조를 건국했다.
  • 암살된 사람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암살된 사람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엄여
인물 정보
이름엄여
한자 표기嚴輿
로마자 표기Eom Yeo
출생 연도생년 미상
출생지양주 오군 오정현
사망 연도건안 원년 (196년)
사망지미상
주군엄백호
가족 관계
엄백호

2. 생애

건안 원년(196년),[1] 손책(孫策)이 엄백호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자 엄백호는 엄여를 사신으로 보내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엄여가 들어오자 손책이 칼로 좌석을 부수니 엄여가 움찔하였다. 손책이 엄여의 행동을 조롱하자, 엄여는 칼이 두려워 그랬다고 변명했다. 손책은 더 말하려 들지 않고 창을 던져 엄여를 죽였다.[2]

엄백호와 그의 세력은 엄여가 죽자 기가 꺾였고, 끝내 패하여 허소(許昭)에게로 달아났다.[2]

2. 1. 정사

건안 원년(196년),[1] 손책(孫策)이 엄백호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자 엄백호는 엄여를 사신으로 보내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엄여가 들어오자 손책이 칼로 좌석을 부수니 엄여가 움찔하였다. 손책이 엄여의 행동을 조롱하자, 엄여는 칼이 두려워 그랬다고 변명했다. 손책은 더 말하려 들지 않고 창을 던져 엄여를 죽였다.[2]

엄백호와 그의 세력은 엄여가 죽자 기가 꺾였고, 끝내 패하여 허소(許昭)에게로 달아났다.[2] 이 내용은 『삼국지』 본문에는 없고,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오록』에만 있다.

무용이 뛰어났던 엄여가 죽자 엄백호의 군대는 동요했고, 곧 손책에게 격파당했다.

2. 2. 소설 《삼국지연의》

손책이 쳐들어오자 엄백호의 명령을 받고 풍교(楓橋)에서 한당(韓當)이 이끄는 손책군과 싸웠으나 패하여 오군으로 달아났다. 궁지에 몰린 엄백호는 엄여를 손책에게 보내 강동을 둘이 나눠 다스리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손책은 "이 몸이 어찌하여 너희들같은 조무래기들과 동급이냐?"라는 말과 함께 엄여에게 수극을 던져 죽였다. 엄여의 목은 엄백호가 있는 성 안에 던져졌다.

요시카와 에이지나,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삼국지』에서는 "'''엄여'''"라고 표기되어 있다.

3. 평가

4. 친족 관계

wikitext

엄여

5. 대중문화 속의 엄여

참조

[1] 서적 자치통감
[2] 서적 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