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애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디 애덤스는 미국의 사진 작가로,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응우옌 응옥 론 장군이 베트콩 포로를 처형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유명해졌다. 그는 AP 통신, 타임, 라이프 등에서 활동하며 정치, 패션, 쇼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의 사진을 촬영했으며, 1977년에는 베트남 난민을 다룬 '웃음 없는 보트' 연작으로도 주목받았다. 1988년부터는 젊은 사진가들을 위한 워크숍을 열어 후진 양성에도 힘썼으며, 2004년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사진술 - 데이비드 더글러스 던컨
데이비드 더글러스 던컨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전쟁을 취재하며 전쟁의 참혹함을 기록한 미국의 사진작가이자 종군 기자이며, 특히 한국 전쟁 종군 사진가로 명성을 얻었고 파블로 피카소의 절친한 친구로서 그의 사적인 모습을 담은 사진을 출판하기도 했다. - 한국의 사진술 - 구와바라 시세이
구와바라 시세이는 1936년 시마네현에서 태어난 일본의 사진작가로, 미나마타병, 한국, 베트남, 러시아 등 사회 문제와 분쟁 지역을 취재하며 1962년 일본사진가협회 신인상 등을 수상했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 - 리처드 닉슨
리처드 닉슨은 제37대 미국 대통령으로, 외교 정책, 워터게이트 사건, 그리고 사임이라는 상반된 유산을 남겼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 - 존 F. 케네디
존 F. 케네디는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이자 최초의 가톨릭 대통령으로,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해군 복무, 상원 의원 활동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개척지" 정책을 추진했으나 1963년 암살당했다. - 미국의 사진가 - 제라드 말랑가
제라드 말랑가는 미국의 사진작가, 영화감독, 시인이자 편집자로서, 앤디 워홀과의 협업을 통해 팝아트와 실험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 제작, 사진 작업, 편집 활동, 시집 발간 등 다방면으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사진가 - 에드워드 웨스턴
에드워드 웨스턴은 20세기 미국의 사진작가로, 픽토리얼리즘을 버리고 스트레이트 사진을 통해 자연의 형태를 담아냈으며, F/64 그룹을 결성하고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진 작업을 이어가다가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에디 애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에드워드 토머스 아담스 |
출생 | 1933년 6월 12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뉴켄싱턴 |
사망 | 2004년 9월 19일 (향년 71세)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직업 | 보도 사진가 |
배우자 | 앤 페도차크 (이혼) 앨리사 애드킨스 (1989년 결혼) |
자녀 | 4명 |
수상 | 퓰리처상 스팟 뉴스 사진 부문 (1969년) |
경력 | |
주요 활동 | 전쟁 사진, 인물 사진 |
2. 초기 생애
에드워드 토머스 애덤스는 1933년 6월 12일, 펜실베이니아 주 뉴켄싱턴에서 태어났다.[1]
에디 애덤스는 보도 사진 작가로서 1950년대 한국 전쟁부터 1990년대 걸프 전쟁까지 총 13번의 전쟁을 취재했다.[34][35] 특히 베트남 전쟁에서 응우옌 반 렘의 처형 순간을 포착한 사진인 '사이공에서의 처형'으로 유명하며, 이 사진으로 1969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7] 인물 사진(포트레이트) 분야에서도 활약하여 수많은 유명 인사를 촬영했다.[34]
고등학교 시절부터 결혼식 등 행사에서 사진 작가로 활동하며 보수를 받았고,[4] 지역 신문인 『켄싱턴 데일리 디스패치』지에서 사진 촬영을 했다.
1951년에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여, 종군 사진 작가로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5]
3. 경력
1972년부터 1976년까지 타임사의 『타임』, 『라이프』에서 일했고, 1976년부터 1980년까지는 AP 통신 특파원을 맡았다. 1980년부터 2004년 사망할 때까지 『Parade|퍼레이드영어』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타임』, 『보그』, 『베니티 페어』 등 여러 잡지에 사진을 게재했다.
1977년, 베트남 전쟁 종결 후 베트남 난민 (보트 피플)을 촬영한 연작 사진 『'''웃음 없는 보트'''』(''Boat of No Smiles'')를 발표했다. 이 사진은 지미 카터 대통령을 움직여 미 해군이 태국만을 표류하던 난민들을 보호하게 했고, 미국 정부가 약 20만 명의 베트남 난민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Parade|퍼레이드영어』에서 그의 사진은 수백 차례 표지로 사용되었다. 리처드 닉슨부터 조지 H. W. 부시까지 6명의 미국 대통령,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덩샤오핑, 피델 카스트로,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 많은 원수급 인물들을 촬영했다.
1988년부터 매년 뉴욕주 자신의 농장에서 젊은 사진가를 위한 "에디 애덤스 워크숍"을 주최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걸프 전쟁 (1990년 - 1991년)까지 종군 사진 작가로 활동했다.
3. 1. 초기 경력
펜실베이니아주 뉴 켄싱턴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결혼식 등 행사에서 사진 작가로 활동하며 보수를 받았고, 지역 신문인 『켄싱턴 데일리 디스패치』지에서 사진 촬영을 했다.[34]
1951년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여 한국 전쟁에 종군 사진 작가로 참전했다.[34] 그의 임무 중 하나는 전쟁 직후 비무장 지대 전체를 촬영하는 것이었는데, 이 작업은 한 달 이상 걸렸다.
3년 정도의 종군 생활을 마치고 퇴역한 후, 고향인 뉴 켄싱턴의 신문사나, 『필라델피아 불레틴』지에서 근무했으며, 1962년에 AP 통신에 입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AP 통신 내에서도 최고의 사진 작가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3. 2. "사이공식 처형" (1968)
1968년 2월 1일, AP 통신의 에디 애덤스는 베트남 전쟁 보도 중 가장 유명한 사진을 찍었다. 테트 공세 초기, 사이공 거리에서 경찰서장 응우옌 응옥 론 장군이 베트콩 전쟁 포로 응우옌 반 렘을 즉결 처형하는 장면이었다.[7][8]
이 사진으로 아담스는 1969년 보도사진 부문 퓰리처상[9]과 월드 프레스 포토 상을 수상했다.[10] 작가이자 평론가 데이비드 D. 퍼뮤터는 "어떤 영상도 AP 사진작가 에디 아담스의 35mm 사진만큼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사람들이 [테트 공세]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글을 쓸 때, 적어도 한 문장은 (종종 삽화와 함께) 에디 아담스의 사진에 할애된다"고 평가했다.[11]
뉴욕 타임스 편집자들은 사진의 영향력을 예상하고 균형을 맞추려 노력했다. 존 G. 모리스는 편집 부국장 테오도르 M. 번스타인이 아담스의 사진을 크게 싣는 대신, 베트콩에 의해 살해된 아이의 사진으로 이를 상쇄했다고 회상한다.[12] 그러나 아담스의 사진은 더 큰 악명을 얻었다.
맥스 헤이스팅스는 2018년에 렘이 응우옌 뚜안 대령 가족을 살해했다고 비난했지만,[13] 미국의 역사가 에드 모이즈는 렘의 가족 살해 혐의는 전후에 만들어진 이야기이며 진실은 알 수 없다고 썼다.[13]
수전 손택은 타인의 고통에 관하여(2003)에서 론이 언론을 위해 처형을 연출한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14] 그러나 뉴욕 타임스의 도널드 윈슬로는 아담스가 이 사진을 "반사적인 사진"이라 묘사했으며, 필름을 현상하기 전까지 무엇을 찍었는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전했다.[9]
아담스는 훗날 사진의 영향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15] 1998년 타임에 그는 론과 사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Two people died in that photograph: the recipient of the bullet and General Nguyen Ngoc Loan. The general killed the Viet Cong; I killed the general with my camera. Still photographs are the most powerful weapon in the world. People believe them; but photographs do lie, even without manipulation. They are only half-truths. ... What the photograph didn't say was,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the general at that time and place on that hot day, and you caught the so-called bad guy after he blew away one, two or three American people?'.... This picture really messed up his life. He never blamed me. He told me if I hadn't taken the picture, someone else would have, but I've felt bad for him and his family for a long time.... I sent flowers when I heard that he had died and wrote, 'I'm sorry. There are tears in my eyes.'|그 사진에는 두 사람이 죽었다. 총알을 받은 사람과 응우옌 응옥 론 장군이다. 장군은 베트콩을 죽였고, 나는 내 카메라로 장군을 죽였다. 정지된 사진은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사람들은 그것을 믿지만, 사진은 조작 없이도 거짓말을 한다. 그것들은 단지 반쪽 진실일 뿐이다.... 사진이 말하지 않은 것은 "만약 당신이 그 더운 날 그 장소에서 장군이었다면, 그 나쁜 놈이 한두 명 또는 세 명의 미국인을 날려 버린 후 당신은 무엇을 하겠는가?"라는 것이다.... 이 사진은 그의 삶을 정말 망쳤다. 그는 나를 탓하지 않았다. 그는 만약 내가 그 사진을 찍지 않았다면 다른 사람이 찍었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나는 오랫동안 그와 그의 가족에 대해 미안함을 느꼈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꽃을 보냈고 "미안하다. 눈물이 맺힌다"라고 썼다.영어 [16]
론은 이후 미국으로 이주했고, 1978년 그의 영주권 취소 시도가 있었다.[15] 아담스는 론을 옹호하고 직접 사과했다. 론 사망 후, 아담스는 그를 "정당한 대의"의 "영웅"이라고 칭찬했다.[17]
3. 3. "웃음 없는 보트" (1977)
1977년, 베트남 전쟁 종결 2년 후, 공산주의 세력 (베트남)에 의해 조국에서 쫓겨난 베트남 난민 (보트 피플)을 촬영한 연작 사진 『'''웃음 없는 보트'''』(''Boat of No Smiles'')를 발표했다. 이 사진은 당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를 움직여, 미 해군에 태국만을 표류하던 난민들을 보호하게 했고, 미국 정부가 약 20만 명의 베트남 난민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훗날 애덤스는 많은 베트남 난민을 돕는 데 기여한 『웃음 없는 보트』를 자신의 작품 중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3. 4. 인물 사진
Parade|퍼레이드영어지를 중심으로 인물 사진(포트레이트)에서도 활약하며 수많은 유명 인사를 촬영했다. 1980년에 Parade|퍼레이드영어 지로 옮겨, 이후 사망한 2004년까지 동 지의 특파원으로 활동하면서, 타임, 보그, 베니티 페어 등 수많은 잡지에 애덤스의 사진이 게재되었다.
Parade|퍼레이드영어 지에서는 애덤스의 사진이 수백 차례에 걸쳐 표지로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정치, 패션, 쇼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촬영을 진행했으며, 리처드 닉슨부터 조지 H. W. 부시까지 6명의 미국 대통령,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덩샤오핑, 피델 카스트로,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 원수급 인물만 해도 다수의 인물이 촬영 대상이 되었다.
3. 5. 후진 양성
애덤스는 1988년에 사진 저널리즘 워크숍인 에디 애덤스 워크숍(일명, Barnstorm)을 시작했다.[25][26] 이 워크숍은 2017년에 30주년을 맞았다.[27][28]
4. 개인사
에드워드 토머스 애덤스는 1933년 6월 12일 펜실베이니아주 뉴켄싱턴에서 태어났다.
애덤스는 앤 페도르착과 처음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 이혼 후 1989년 앨리사 앳킨스와 재혼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33]
2004년 9월 19일,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합병증으로 뉴욕에서 71세로 사망했다.[6][34]
2009년, 그의 미망인이 사진 아카이브를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 기증했다.[35][36][37]
5. 사망
애덤스는 1989년에 앨리사 앳킨스와 결혼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33]
2004년 9월 19일, 애덤스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의 합병증으로 71세의 나이로 뉴욕시에서 사망했다.[6][34]
2009년, 그의 미망인은 그의 사진 아카이브를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 기증했다.[35][36][37]
6. 유산
에디 애덤스의 사진을 비평하는 것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악곡이나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를 비평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들의 작품은 시간의 시험을 견뎌내고, 작품의 대체 가능성으로 인해 사람들을 놀라운 위치에 놓이게 한다. 애덤스는 시정(市井)의 밑바닥 사람들부터 각국의 최고위층에 이르기까지, 속보 사진에서 인물 사진까지, 피사체의 존엄성을 존중하면서 촬영했다. 이 사진들은 또한 애덤스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의 사진은 렌즈 앞에 있는 실물 이상의 것을 전달했다. 애덤스는 반드시 사진과 연결되지 않는 감정을 우리에게 느끼게 하는 어떤 종류의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1]
Parade (magazine)|퍼레이드영어지를 발행했던 출판사의 회장인 Walter Anderson (editor)|월터 앤더슨영어은 애덤스에 대해 절충적이고, 비할 데 없고, 까다로운 인물이며, 그 사진은 긴장감을 잘 포착했다고 평가했다.[2]
AP통신의 사진 편집부장으로 함께 일했던 Hal Buell|할 뷰엘영어은 애덤스에 대해 (연예 분야의 인물 사진 작가로도 대성했지만) 본질적으로 "딱딱한 뉴스"에 적합한 사진 작가였고, 항상 스토리를 이야기하는 사진을 찍는 데 날카롭게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완벽주의자였고, 촬영에 임해서 기회를 놓치거나, 자신이 설정한 높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그 점에 대해 매우 자기 비판적이었다고 평가했다.[2]
7. 수상 경력
상 | 연도 | 부문 | 작품 | 비고 |
---|---|---|---|---|
월드 프레스 포토 | 1968년 | 사이공에서의 처형 | [10] | |
조지 폴크상 | 1968년 | 사진 부문 | 사이공에서의 처형 | |
퓰리처상 | 1969년 | 속보 사진 부문 | 사이공에서의 처형 | [9] |
조지 폴크상 | 1977년 | 사진 부문 | ||
로버트 카파 골드 메달영어 | 1977년 | 미소 없는 보트 | [20] | |
조지 폴크상 | 1978년 | 사진 부문 |
- 기타 수상: 전국 언론 사진가 협회, 시그마 델타 치상, 해외 언론 클럽 등에서 500개 이상의 상을 수상.
8. 작품집
- ''에디 애덤스: 베트남'' (엄브리지, 2008). 앨리사 애덤스 저/편집. .
- ''에디 애덤스: 프레임보다 더 크게'' (텍사스 대학교 출판부, 2017). 에디 아담스 저. . 돈 칼튼 서문, 앨리사 아담스 서문, 앤 윌크스 터커 에세이 포함.
9. 관련 작품
에디 애덤스는 베트남 전쟁을 AP 통신에 보도하면서 가장 유명한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은 경찰서장 응우옌 응옥 론 장군이 응우옌 반 렘이라는 베트콩 전쟁 포로를 즉결 처형하는 모습을 담고 있었다. 이 사건은 1968년 2월 1일[7][8] 사이공 거리에서 일어났으며, 테트 공세 초기에 벌어진 일이었다.
아담스는 이 사진으로 1969년 보도사진 부문 퓰리처상[9]과 월드 프레스 포토 상을 수상했다.[10] 작가이자 평론가인 데이비드 D. 퍼뮤터는 "어떤 영상도 AP 사진작가 에디 아담스의 35mm 사진만큼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사람들이 [테트 공세]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글을 쓸 때, 적어도 한 문장은 (종종 삽화와 함께) 에디 아담스의 사진에 할애된다"고 말했다.[11]
아담스의 사진이 미칠 영향을 예상한 ''뉴욕 타임스'' 편집자들은 균형을 맞추려 했다. 존 G. 모리스는 회고록에서 편집 부국장인 테오도르 M. 번스타인이 "미국의 동맹이 보여준 잔혹성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아담스의 사진을 크게 싣기로 결정했지만, 거의 같은 시기에 AP에서 전달된 베트콩에 의해 살해된 아이의 사진으로 이를 상쇄했다"고 회상한다.[12] 그러나 아담스의 사진은 더욱 오래 지속되는 악명을 얻었다.
수전 손택은 ''타인의 고통에 관하여''(2003)에서 론이 저널리스트들의 사진을 위해 거리에서 처형을 연출한 것으로 보이는 것에 대해 불안해했다. 그녀는 "그들[저널리스트]이 그것을 목격할 수 없었다면 그는 그곳에서 약식 처형을 실행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썼으며, 죄수를 카메라를 향해 옆모습으로 배치했다.[14] 그러나 ''뉴욕 타임스''의 도널드 윈슬로는 아담스가 이 사진을 "반사적인 사진"이라고 묘사했으며 "필름이 현상될 때까지 그가 무엇을 촬영했는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인용했다. 또한 윈슬로는 아담스가 "'사이공 처형'이 그의 가장 중요한 사진이 아니며, 그의 부고가 '에디 아담스, 그의 상징적인 베트남 사진 "사이공 처형"으로 가장 잘 알려진 사진작가'로 시작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9]
아담스는 나중에 사진의 영향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했다.[15]
그는 한때 "나는 30피트 보트에서 태국 해병대에 의해 열린 바다로 끌려가기 전에 태국으로 항해하는 데 성공한 베트남 난민 48명의 사진 시리즈로 더 잘 알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사진들과 관련 보고서는 당시 지미 카터 대통령이 거의 20만 명의 베트남 보트피플에게 망명을 허용하도록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9] 그는 이 사진 시리즈로 1977년 해외 언론 클럽에서 로버트 카파 골드 메달을 수상했다. 아담스는 "미소 없는 보트"(AP에서 발행)라고 칭했으며, "그것은 약간의 좋은 일을 했고 아무도 다치지 않았다"고 말했다.[19][21]
- ''뜻밖의 무기''(2009) - 수잔 모건 쿠퍼와 타리크 버넷이 감독하고 키퍼 서덜랜드가 내레이션을 맡은 다큐멘터리 영화.[38]
- 『뜻밖의 무기』(2008년) - 에디 애덤스를 다룬 다큐멘터리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Vietnam Execution
http://www.famouspic[...]
The Famous Pictures Collection
2013-05-07
[2]
웹사이트
"Saigon Execution": The Consequences of Eddie Adams Pulitzer Prize Winning Photograph
http://rbp2013.wordp[...]
2013-09-19
[3]
뉴스
Eddie Adams, Journalist Who Showed Violence of Vietnam, Dies at 71
https://www.nytimes.[...]
2004-09-09
[4]
웹사이트
The Vietnam War, Through Eddie Adams' Lens
https://www.npr.org/[...]
NPR
2009-03-24
[5]
뉴스
How this photographer took one of the Vietnam War's most famous photo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7-09-30
[6]
뉴스
Photographer Eddie Adams
https://www.yahoo.co[...]
2018-07-07
[7]
뉴스
Eddie Adams' iconic Vietnam War photo: What happened next
https://www.bbc.com/[...]
2018-01-29
[8]
뉴스
A Photo That Changed the Course of the Vietnam War (Published 2018)
https://www.nytimes.[...]
2018-02-01
[9]
뉴스
The Pulitzer Eddie Adams Didn't Want
http://lens.blogs.ny[...]
2011-04-19
[10]
뉴스
1968 Eddie Adams SN1
https://www.worldpre[...]
2018-07-05
[11]
서적
Visions of War: Picturing Warfare from the Stone Age to the Cyber Age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999-11-29
[12]
서적
Get the Picture: A Personal History of Photojourn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06-15
[13]
서적
Vietnam: An Epic Tragedy, 1945-1975
Harper
[14]
서적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https://archive.org/[...]
Picador/Farrar, Straus and Giroux
[15]
뉴스
A Photo That Changed the Course of the Vietnam War
https://www.nytimes.[...]
2018-02-01
[16]
뉴스
Eulogy: General Nguyen Ngoc Loan
http://content.time.[...]
1998-07-27
[17]
문서
Image Canon – Historic Images
http://www.cs.brown.[...]
[18]
뉴스
An American Hero: Eddie Adams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01-30
[19]
웹사이트
Nguyễn Ngọc Loan và Eddie Adams
http://www.ethonglua[...]
Thông Luận
2011-11-30
[20]
웹사이트
The OPC's Robert Capa Gold Medal
http://www.opcofamer[...]
[21]
웹사이트
Interview for PBS
https://www.pbs.org/[...]
[22]
뉴스
The Price of a Picture
https://www.bbc.co.u[...]
BBC News
2010-01-18
[23]
뉴스
Huan Nguyen becomes first Vietnamese U.S. Navy Rear Admiral
https://www.navsea.n[...]
2019-10-10
[24]
웹사이트
The Navy's First Vietnamese Admiral Saw His Family Killed by an Infamous Viet Cong Guerrilla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7-19
[25]
간행물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 The Eddie Adams Workshop at 25 Years
https://time.com/379[...]
[26]
뉴스
Barnstorming for 25 Years
https://lens.blogs.n[...]
2012-05-16
[27]
뉴스
Perspective
https://www.washingt[...]
[28]
뉴스
Paying It Forward at the Eddie Adams Workshop
https://lens.blogs.n[...]
2017-10-04
[29]
뉴스
The photojournalism of Eddie Adams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17-04-01
[30]
웹사이트
Past Winners of the George Polk Awards
http://www.liu.edu/P[...]
Long Island University
[31]
뉴스
Eddie Adams
https://www.worldpre[...]
[32]
웹사이트
A Guide to the Eddie Adams Photographic Archive, ca. 1950–2004
https://legacy.lib.u[...]
University of Texas
[33]
뉴스
Eddie Adams
https://www.independ[...]
2011-10-23
[34]
뉴스
Photographer Eddie Adams Dies
https://www.cbsnews.[...]
[35]
뉴스
Eddie Adams' Archive Donated To University Of Texas Briscoe Center
https://nppa.org/new[...]
2009-09-01
[36]
웹사이트
Eddie Adams – Photojournalism – Strengths – Collections
https://www.cah.utex[...]
2014-08-04
[37]
웹사이트
Eddie Adams
https://www.cah.utex[...]
2009-09-02
[38]
웹사이트
An Unlikely Weapon
http://www.anunlik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