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파뇰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파뇰라섬은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약 400만 년 전에 형성되어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스페인어로 "작은 스페인"을 의미하며, 킹 찰스 섬, 후드 섬으로 불리기도 했다. 에스파뇰라섬은 갈라파고스 알바트로스, 푸른발 부비새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특히 가드너 만과 수아레스 곶이 주요 관광지이다. 멸종 위기에 놓였던 에스파뇰라땅거북의 보전 노력을 통해 개체수를 회복시켰으며,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산타크루스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스섬은 중앙의 휴화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며, 찰스 다윈 연구소가 위치하여 제도 보존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고유종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이사벨라섬
    이사벨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6개의 순상 화산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활화산인 시에라 네그라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을 포함한 독특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에스파뇰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정보
위치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좌표(표시 안 함)
면적60 km²
명칭
스페인어 명칭Isla Española (이스라 에스파뇰라)
영어 명칭Hood Island (후드 아일랜드)
라틴어 별칭venustissimus (베누스티시무스)
일반 정보
소속 군도갈라파고스 제도
해역동태평양
국가에콰도르
최대 표고206 m

2. 명칭

'''에스파뇰라'''는 "작은 스페인"을 뜻하는 스페인어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첫 번째 항해에서 발견하여 카리브해히스파니올라섬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이름은 콜럼버스의 항해 400주년 기념 행사 때인 1892년에 다른 여러 섬들과 함께 변경되었다.

영국인 해적 윌리엄 앰브로시아 콜리는 1684년에 당시 통치했던 군주 찰스 2세를 기리기 위해 이 섬의 이름을 '''킹 찰스 섬'''으로 명명했다.[1] 그러나 영국 해군의 선장 제임스 콜넷은 나중에 콜리의 지도를 오해하여 실수로 그 이름을 현재 플로레아나섬으로 옮겼다.[2] 에스파뇰라를 그때까지 발견되지 않은 섬이라고 생각한 그는 1793년에 새뮤얼 후드 제독을 기리기 위해 섬의 이름을 '''후드 섬'''으로 개명했다.[3]

3. 지리

에스파뇰라섬은 에콰도르갈라파고스 제도에 속해 있으며[1], 이 제도의 최남동쪽에 위치한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건조하며, 연간 강수량은 몇 인치에 불과하다.

3. 1. 지형

산타페섬과 함께 약 400만 년 이상 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이다. 산타크루스섬에서 이곳을 관광하는 데 약 10~12시간이 소요된다.

에스파뇰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3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식생이 거의 없이 바위투성이와 황무지로 변하면서 죽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곳에는 많은 만과 모래, 수많은 건강한 갈라파고스 바다사자들을 끌어들이는 부드러운 조약돌이 있다. 아름다운 해변을 가진 〈바히아 가드너〉와 다양한 야생 조류가 있는 〈푼타 수아레스〉는 특히 인기 있는 장소이다.

에스파뇰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약 400만 년 전(300-500만 년 전[7])에 형성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여겨진다[8]。섬의 면적은 60km2이고, 해발고도는 206m이다[9]。일반 여행객이 방문하는 에스파뇰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산타 크루스 섬에서 배로 약 10-12시간 정도 소요된다.

에스파뇰라섬은 3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이다[10][11]。에스파뇰라섬은 활동을 멈추고 천천히 굳어져 단단한 암석으로 변하여, 식물이 거의 자라지 않는 불모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모래와 매끄러운 조약돌이 있는 큰 만이 형성되어 많은 갈라파고스 바다사자를 끌어들였다.

두 곳의 구역이 방문객들에게 특히 잘 알려져 있다. '''가드너 만'''(Gardner Bay|가드너 베이영어, Bahía Gardner|바히아 가드너es)은 아름다운 해변을 가지고 있으며, '''수아레스 곶'''(푼타 수아레스, Punta Suárez|푼타 수아레스es)은 바다사자 번식지이자 다양한 조류로 인해 관심을 끈다[12]。수아레스 곶 남쪽 절벽에서는 파도가 바위 틈새로 약 20m까지 뿜어져 나오는 푸에코 소프라돌도 볼 수 있다[12]

3. 2. 주요 관광지

에스파뇰라섬은 인기 있는 관광 목적지이며, 갈라파고스 제도 최남단에 자리 잡고 있다. 산타크루스섬에서 이곳을 관광하는 데는 약 10~12시간이 소요된다. 관광객들은 갈라파고스 알바트로스(3월~1월, 거의 전 세계 개체 전부가 이 섬에서 알을 깐다.)와 푸른발 부비의 짝짓기 춤을 볼 수 있다.

아름다운 해변을 가진 〈바히아 가드너〉와 다양한 야생 조류가 있는 〈푼타 수아레스〉는 특히 인기 있는 장소이다.[12] 이 섬에는 고유종 동물도 있는데, 에스파뇰라 앵무새는 중앙의 다른 섬들보다 더 길고 굽은 부리를 가지고 있다. 바다 이구아나의 아종인 《에스파뇰라 용암 도마뱀》은 등에 다른 종에 비해 붉은 점이 선명하다. 제비꼬리 갈매기와 다른 열대새도 관찰할 수 있다.

두 곳의 구역이 방문객들에게 특히 잘 알려져 있다. '''가드너 만'''(Gardner Bay|가드너 만영어, Bahía Gardner|바히아 가드너es)은 아름다운 해변을 가지고 있으며, '''수아레스 곶'''(Punta Suárez|푼타 수아레스es)은 바다사자 번식지이자 다양한 조류로 인해 관심을 끈다.[12] 수아레스 곶 남쪽 절벽에서는 파도가 바위 틈새로 약 20m까지 뿜어져 나오는 푸에코 소프라돌도 볼 수 있다.[12]

4. 생물

에스파뇰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3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섬은 식생이 거의 없이 바위투성이와 황무지로 변하면서 죽어가고 있다. 하지만 섬의 큰 만에는 부드러운 모래가 있어 갈라파고스 바다사자를 끌어들인다. 이 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2] 2020년 1월에는 디에고라는 이름의 수컷 갈라파고스 거북이 섬 거북 개체군의 부활을 이끌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구출했다는 사실이 널리 보도되었다.[3]

4. 1. 주요 서식 동물

갈라파고스 알바트로스는 전 세계 개체 수의 대부분이 3월부터 1월까지 에스파뇰라 섬에서 번식하며[13], 나스카얼가니새와 푸른발얼가니새 2종의 얼가니새류가 서식하며 구애 춤도 관찰된다[12][14]

특유의 색채를 가진 에스파뇰라 섬의 고유 아종 ''A. c. venustissimus''


에스파뇰라 섬에는 용암 도마뱀류(''Microlophus'' 속)의 고유종 (''M. delanonis'')이나, 등에 붉은 반점이 있는 바다 이구아나의 아종 에스파뇰라바다이구아나(''A. c. venustissimus''), 그 외 중심에 있는 섬들의 종보다 더 길고 굽은 부리를 가진 후드흉내지빠귀와 같은 고유종이 특히 분포한다. 붉은부리갈매기나 그 외 열대 지방의 조류도 서식하고 있다[15]

에스파뇰라 섬에는 갈라파고스땅거북의 아종 또는 독립종(''Chelonoidis hoodensis'')으로 여겨지는 에스파뇰라땅거북이 분포하는데, 1957년 조사에서는 멸종이 우려되었다. 1960년부터 찰스 다윈 연구소의 조사에서 성체 14마리가 발견되었고, 1964년에 연구소가 완공되자[16] 서식지 외 보전을 위해 모든 14마리가 섬 밖으로 옮겨졌다.[17][18] 1970년에는 연구소에서 산란·부화에 성공하고, 1975년 처음으로 5세가 된 17마리가 에스파뇰라 섬으로 돌아갔다.[19] 땅거북의 보호·번식과 함께 야생화된 염소의 박멸도 시작되어 1976년에 완료되었다.[20] 그 후, 에스파뇰라 섬으로의 땅거북 복귀는 2000년에 통산 1,000마리가 넘게 되었다.[18][21]

4. 2. 보전 노력

1957년 조사에서 갈라파고스땅거북의 아종 또는 독립종(''Chelonoidis hoodensis'')으로 여겨지는 에스파뇰라땅거북의 멸종이 우려되었다. 1960년부터 찰스 다윈 연구소의 조사로 성체 14마리가 발견되었다. 1964년에 연구소가 완공되자[16], 서식지 외 보전을 위해 모든 14마리가 섬 밖으로 옮겨졌다[17][18]。 1970년에는 연구소에서 산란·부화에 성공하고, 1975년 처음으로 5세가 된 17마리가 에스파뇰라 섬으로 돌아갔다[19]。 땅거북의 보호·번식 시도와 함께 야생화된 염소의 박멸도 시작되어 1976년에 완료되었다[20]。 그 후, 에스파뇰라 섬으로의 땅거북 복귀는 2000년에 통산 1,000마리가 넘게 되었다[18][21]

5. 대중문화

미국 작가 허먼 멜빌은 1854년 그의 중편 소설 ''마법의 섬''에서 이 섬을 언급했다. 1982년 스페인 작가 알베르토 바스케스-피게로아의 소설 ''라 이구아나''는 이 섬을 배경으로 한다. 이 소설은 이후 미국 영화의 몬테 헬만 감독에 의해 1988년 영화 ''이구아나''로 각색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Española https://www.galapago[...] galapagos.org 2017-06-02
[2] 웹사이트 Isla Española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1-21
[3] 웹사이트 This tortoise had so much sex he saved his species. Now he's going home https://www.cnn.com/[...] 2020-01-11
[4] 웹사이트 Iguana http://www.slantmaga[...] slantmagazine.com 2014-10-02
[5] 문서 伊藤 (1983)、2頁
[6] 문서 藤原 (2001)、6頁
[7] 문서 Newton『ガラパゴス』 (2003)、11頁
[8] 문서 伊藤 (1983)、133-136頁
[9] 문서 新版 ガラパゴス諸島 (1983) 、9頁
[10] 문서 伊藤 (1983)、136頁
[11] 문서 Newton『ガラパゴス』 (2003)、9頁
[12] 문서 藤原 (2001)、188-189頁
[13] 문서 藤原 (2001)、64-67頁
[14] 문서 伊藤 (1983)、105頁
[15] 문서 伊藤 (1983)、104-111頁
[16] 문서 伊藤 (2002)、210-211頁
[17] 문서 伊藤 (2002)、25-26・213頁
[18] 문서 水口 (1999)、194頁
[19] 문서 伊藤 (2002)、28頁
[20] 문서 伊藤 (2002)、213-214・240頁
[21] 문서 伊藤 (2002)、217・222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