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스파니올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파니올라섬은 카리브해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현재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 두 국가가 위치해 있다. 타이노족이 섬에 거주하며 여러 이름으로 불렀으며, 콜럼버스가 '히스파니올라'로 명명했다. 17세기에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경쟁으로 섬이 분할되었고, 1804년 아이티 혁명으로 아이티가 독립했다. 이후 도미니카 공화국이 독립했으며, 20세기에는 미국의 개입과 독재 시대를 거쳤다. 현재 섬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산맥과 기후를 보이며, 생태적으로도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한다. 경제적으로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아이티보다 훨씬 발전했으며, 인간 개발 지수 또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스파니올라섬 -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은 히스파니올라섬 동쪽 5/8을 차지하는 카리브해 섬나라로, 격변의 역사를 거쳐 아이티로부터 독립 후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으나 경제 성장과 함께 대통령제를 채택한 대의민주주의 국가이며, 독특한 문화와 스포츠, 관광업을 주요 산업으로 가지고 있지만 사회 문제도 존재한다.
  • 히스파니올라섬 - 아이티
    아이티 공화국은 카리브해 히스파니올라 섬 서쪽 3/8을 차지하며, "높은 산의 땅"이라는 뜻의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공화국으로 독립했으나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어려움, 자연재해, 갱단 폭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프랑스어와 아이티 크레올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이다.
  • 대앤틸리스 제도 - 나배사섬
    나바사섬은 아이티 남서쪽 자메이카 해협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미국령으로 편입 후 구아노 채굴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이티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히스파니올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히스파니올라섬 지도
기본 정보
이름히스파니올라섬
스페인어 이름라 에스파뇰라
프랑스어 이름이스파니올라
아이티어 이름이스파욜라
타이노어 이름아이티 또는 키스키야
위치카리브해
군도대앤틸리스 제도
주요 섬고나브섬
사오나섬
나바사섬
베아타섬
일아바슈
카탈리나섬 (도미니카 공화국)
토르투가섬 (아이티)
알토벨로섬
면적76,192 km²
순위22위
해안선 길이3,059 km
최고봉피코 두아르테
최고점 높이3,175 m
국가 정보
국가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인구10,815,857명
도미니카 공화국 면적48,445 km²
도미니카 공화국 수도 및 최대 도시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 최대 도시 인구1,029,117명
국가1아이티
아이티 인구11,753,943명
아이티 면적27,747 km²
아이티 수도 및 최대 도시포르토프랭스
아이티 최대 도시 인구1,234,742명
총인구22,569,800명
인구 기준2024년 (두 국가 추정치 합산)
인구 밀도280.8 명/km²
민족도미니카인
아이티인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법ˌhɪspəˈnjoʊlə
영국식 로마자 표기법-pænˈ-

2. 어원

섬의 원주민인 타이노족은 섬을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 타이노족은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이탈리아의 페트로 마르티르 댕기에라, 스페인의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그리고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 이 발데스 세 명의 유럽 역사가들을 통해 전해진다.[16] 1508년 안드레스 데 모랄레스가 작성한 종합적인 조사 및 지도를 바탕으로, 마르티르는 섬 전체를 '퀴스켈라'(Quizquella) 또는 '키스케야'(Quisqueya)라고 불렀고, '아이티'(Ayiti)는 섬 서쪽 끝의 험준한 산악 지대를 가리켰다고 보고했다.[16] 콜럼버스의 두 번째 항해에 참여했던 의사 디에고 알바레스 찬카는 또한 "아이티"(Ayiti) 또는 '아이티'(Haïti)가 섬의 동쪽 끝, 도미니카 공화국에 있는 "로스 아이티세스" 국립공원 지역이었다고 기록했다. 반면, 오비에도와 라스 카사스는 모두 타이노족이 섬 전체를 '아이티'(Ayiti)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17]

1492년 콜럼버스가 섬을 점령했을 때, 그는 라틴어로 '인술라 히스파나'(Insula Hispania)[18], 스페인어로 '라 이슬라 에스파뇰라'(La Isla Española)[19]라고 명명했는데, 모두 "스페인 섬"을 의미한다. 라스 카사스는 이름을 '에스파뇰라'(Española)로 줄였고, 페트로 마르티르가 라틴어로 섬에 대한 기록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섬의 이름을 '히스파니올라'(Hispaniola)라고 표기했다.[19]

타이노족, 스페인, 프랑스의 영향으로 역사적으로 이 섬 전체는 종종 '아이티'(Haïti), '아이티'(Hayti), 산토 도밍고 총독령(Santo Domingo), 또는 생도맹그(Saint-Domingue)[20]로 불렸다. 마르티르의 저술은 집필 직후 영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히스파니올라는 영어권 국가에서 과학 및 지도 제작 작품에서 섬을 지칭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1918년 해리 셰퍼드 냅이 이끄는 미국의 점령 정부는 섬에서 히스파니올라라는 이름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에 그 이름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21]

"아이티"(Haïti)라는 이름은 1804년 아이티 혁명가 장 자크 드살랭이 아메리카 원주민 조상을 기리기 위해 독립한 생도맹그의 공식 이름으로 채택했다. 또한 1821년 11월부터 1822년 2월 아이티에 합병될 때까지 존재했던 스페인령 아이티 공화국이라는 독립적인 산토도밍고의 공식 이름으로도 채택되었다.[22][23]

3. 역사

히스파니올라섬은 타이노족이 '아이티' 등으로 부르던 곳으로,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히스파니올라'로 명명하면서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16][17][18][19] 역사적으로 '아이티', '산토 도밍고', '생도맹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20] 1918년 미국의 점령 기간 동안 '히스파니올라'라는 이름이 공식화되었다.[21] 1804년 아이티 혁명 이후 '아이티'라는 이름이 독립국의 국명으로 채택되었고,[22] 1821년에는 스페인령 아이티 공화국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23]

히스파니올라섬과 푸에르토리코의 초기 지도


콜럼버스는 1492년 12월 6일 현재 아이티 북쪽 해안의 산 니콜라스 만에 처음 상륙했다. 원주민 타이노족은 콜럼버스를 우호적으로 맞이했고, 무역을 통해 금을 얻었다. 콜럼버스는 내륙에 더 많은 금이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그의 기함 산타 마리아호가 좌초되면서, 라 나비다드(La Navidad) 요새를 건설하고 21명의 선원을 남겨두었다.[32]

1493년 11월, 콜럼버스는 1,300명의 사람들과 함께 돌아와 영구 정착지를 건설하려 했으나, 나비다드는 파괴되었고 선원들은 모두 살해당했다. 콜럼버스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1494년 1월, 현재 도미니카 공화국에 라 이사벨라(La Isabela)를 건설했다.[33]

오사마 요새(Fortaleza Ozama)


1496년, 누에바 이사벨라(Nueva Isabela)라는 도시가 건설되었으나 허리케인으로 파괴된 후, 오사마 강 반대편에 재건되어 산토 도밍고(Santo Domingo)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곳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영구적인 유럽인 정착지이다.[34] 이 섬은 이후 라틴 아메리카 식민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스페인 제국의 ''콘키스타도르''들의 군사적 요새이자 아메리카로의 추가적인 식민지 확장을 위한 본부 역할을 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타이노족에 대한 강제 노동과 노예 제도를 시행했고, 이는 타이노 인구의 사망률과 출산율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35] 1503년, 스페인은 아프리카 노예를 들여오기 시작했다.[36] 1519년부터 1533년까지 타이노족 카시케(cacique)인 엔리키요(Enriquillo)가 이끈 반란이 일어났다.[36]

콜럼버스가 도착한 후 귀금속은 이 섬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콜럼버스는 야케 델 노르테 강(Yaque del Norte River)을 발견하고 "금가루가 풍부하다"하여 리오 데 오로(금강)라고 이름 붙였다.[37] 1494년, 콜럼버스는 시바오 광산을 방문하고 산토 토마스 요새를 건설했다.[37] 1495년, 콜럼버스는 카오나보에 대한 복수 전쟁을 시작하여 그와 그의 가족을 사로잡았다.[37] 이후 14세 이상은 매 3개월마다 금가루로 된 ''매의 방울''[38]을 지불해야 했다.[38][37]

히스파니올라섬의 금 채굴은 원주민 강제 노역을 이용하여 시작되었다. 1496년, 프란시스코 데 가라이는 하이나 강 하류에서 큰 금괴를 발견했다. 1499년, 중앙 산맥에서 최초의 대규모 금 발견이 이루어지면서 광산 붐이 일었다. 1501년까지 콜럼버스의 사촌인 조반니 콜롬보가 부에나벤투라 근처에서 금을 발견했다. 그 결과 산 크리스토발-부에나벤투라 지역과 라 베가-코투이-보나오 삼각지대의 시바오 지역의 두 개의 주요 광산 지역이 생겨났으며,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 콘셉시온, 그리고 보나오는 광산 마을이 되었다. 1500년부터 1508년까지 금광 열풍이 이어졌다.[39]

왕립 총독 니콜라스 데 오반도 치하에서 원주민들은 금광에서 강제 노역을 했다. 1503년까지 스페인 왕관은 ''엔코미엔다'' 시스템을 통해 원주민 노동력 할당을 합법화했다. 1508년까지 타이노 인구는 6만 명으로 줄었고, 1514년에는 2만 6334명만 남았다. 1514년의 레파르티미엔토는 광산 고갈과 함께 스페인 식민지 주민들의 이주를 가속화했다.[40][39] 1518년 12월, 천연두의 최초 발병이 기록되었다.[35][41] 1519년 5월까지 남은 타이노인의 3분의 1이 사망했다.[41] 스페인이 히스파니올라에 도착한 후 1세기 동안 타이노 인구는 최대 95% 감소했다.[44][45][46] 많은 저술가들이 스페인 제국 시대 히스파니올라 섬의 타이노인에 대한 대우를 집단 학살로 묘사했다.[47]

사탕수수카나리아 제도 정착민들에 의해 히스파니올라에 도입되었고, 신세계 최초의 설탕 공장은 1516년 히스파니올라에 세워졌다.[48]

이후 프랑스와의 경쟁, 분할, 아이티 혁명과 독립,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립, 미국의 개입과 독재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콜럼버스 이전 시대

약 6,000년 전, 고고학적 시대의 사람들이 중앙아메리카 본토 또는 남아메리카 북부에서 히스파니올라섬으로 와서 수렵 채집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1천년 경에는 타이노족의 조상인 아라와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카리브해로 이주해 왔는데, 이들은 도자기 생산과 농업을 실천했다.[24] 타이노족은 유럽과 접촉할 당시 섬의 지배적인 집단이었다.[25]

콜럼버스 도착 이전 히스파니올라섬의 세력 분포. 카시케(추장)가 이끄는 타이노족의 5개 부족 집단이 히스파니올라섬을 지배하고 있었다.


1492년, 타이노족의 전성기에는 섬에 5개의 왕국이 있었다. 각 왕국은 카시케라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작은 독립 왕국이었다.[26] 왕국의 이름은 자라과(Xaragua), 이구에이(Higuey, Caizcimu), 마구아(Magua, Huhabo), 시구아요스(Ciguayos, Cayabo 또는 Maguana), 그리고 마리엔(Marien, Bainoa)이었다.[26] 당시 히스파니올라섬에 살았던 타이노족의 인구는 수만 명 이하[28][29]에서 최대 75만 명[30]까지 추정된다.

타이노족은 엮은 짚과 야자수 잎으로 지붕을 덮은 원형 건물에서 살았다.[26] 대부분 해먹에서 잠을 잤지만 풀 침대도 사용했다.[25] 카시케는 더 큰 직사각형 벽과 현관이 있는 건물에 살았다.[26] 타이노족 마을에는 공놀이와 축제를 위한 평평한 광장도 있었다.[26] 타이노족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그들의 신을 제미(Zemí)라고 불렀다. 종교 의식과 춤이 일반적이었고, 의사나 사제들은 공공 행사에서 제미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타이노족은 고기와 생선을 주된 단백질 공급원으로 삼았고,[31] 섬에서는 작은 포유류 외에 뱀, 지렁이, 새도 사냥했다. 호수와 바다에서는 오리와 거북을 잡았다.[26] 농업도 주된 식량 공급원이었는데,[31] 히스파니올라섬 원주민들은 잎과 고정된 작물을 채워 침식을 방지하는 큰 둔덕인 코누코(conuco)에서 작물을 재배했다.[26] 카사바, 옥수수, 스쿼시, 콩, 고추, 땅콩, 목화, 담배 등이 일반적인 농산물이었으며, 담배는 사회생활과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다.[26]

타이노족은 낚시나 이주를 위해 노가 달린 카누를 타고 여행했으며,[26] 한 카누에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탈 수 있었다.[25] 이들은 다른 원주민 부족인 칼리나고족(Kalinago)|카리브족]]과 자주 접촉했고,[26] 독화살과 활, 전투용 곤봉으로 자신을 방어했다.[26]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히스파니올라섬에 상륙했을 때, 많은 타이노족 지도자들은 카리브족으로부터 보호를 원했다.[26]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92년 12월 5일에 이 섬에 도착하여 라 나비다드(La Navidad)를 건설했다.[32] 1493년 두 번째 항해에서는 남동부 강 어귀에 신대륙 최초의 스페인 식민지 거주지인 라 이사벨라를 건설했다.[33] 1496년 신대륙 최초의 서양인에 의한 도시 누에바 이사벨라(Nueva Isabela)가 건설되었지만, 곧 허리케인으로 파괴되어 강 건너편에 산토도밍고 도시를 건설했다.[34]

아라와크계 원주민 타이노족은 카시케라 불리는 추장이 이끄는 사회에서 살았다. 이들은 이 섬을 키스케야(Quisqueya 또는 Kiskeya, "모든 대지의 어머니"라는 의미로 추정됨)라고 불렀다. 이 이름은 아이티 공화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지명에 남아 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가는 『키스케야의 용감한 아들들』(Quisqueyanos valientes)이라고 불린다. 다른 원주민들이 부른 섬의 이름으로는 아이티(Ayiti, "높은 산의 땅"), 보히오(Bohio) 등이 있었는데, 아이티는 1804년 아이티 공화국 독립 시 국명으로 사용되었다. 아이티는 섬 중앙 산맥의 모습에서 유래하며, 원래는 섬 전체의 이름이었고, 서쪽 아이티 공화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이 있는 동쪽도 예전에는 스페인령 아이티라고 불렸다. 스페인인들은 이 섬을 성 도미니코를 따라 산토 도밍고 섬(Santo Domingo)이라고 명명했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이름과 섬 서쪽에 있었던 프랑스 식민지(현재의 아이티 공화국) 생도맹(Saint-Domingue)의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15세기 스페인인이 만든 지도


스페인인들의 광산 노동 등으로 타이노족은 혹사당했고, 유입된 전염병 피해까지 더해져, 추정 25만 명에 달하는 콜럼버스 이전 인구는 급감하여 멸망의 길을 걸었다.[29][46][45] 그 자리를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 노예들이 대량으로 채웠다. 초기 스페인의 전섬 지배에 맞서, 방비가 허술한 서쪽에 프랑스인 등의 해적이 침입하여, 북서쪽 해안의 섬 토르튀가 섬은 해적들의 소굴이 되었다. 무역선과 이주지를 자주 공격하는 해적들의 위협에, 1606년 스페인은 이주민들에게 산토도밍고 주변에 모여 살도록 명령했고, 그 결과 빈 땅이 된 섬의 나머지 지역에는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의 세력이 몰려들었다. 1660년대 이후 프랑스는 섬 서부의 영유를 주장하며 이주지를 건설했고, 1697년 라이스와이크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섬의 서쪽 3분의 1이 프랑스령이 되었다.

프랑스령 생도맹그는 북부 캡프랑세(현 카페이앵)를 중심으로 사탕수수·커피 농장이 건설되어 프랑스 식민지 중에서도 가장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 식민지가 되었지만, 아프리카에서 끌려와 혹사당하는 흑인 노예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

3. 3. 프랑스와의 경쟁 및 분할

아메리카 최초의 주요 노예 반란은 1521년 산토 도밍고에서 발생했는데, 볼로프 민족의 노예가 된 무슬림들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들인 제독 디에고 콜론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봉기를 일으켰다. 이 반란군 중 많은 수가 섬 남쪽에 독립적인 마룬 공동체를 형성한 곳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1520년대부터 카리브해는 점점 더 많은 프랑스 해적들의 습격을 받았다. 1541년 스페인은 산토 도밍고의 요새화된 성벽 건설을 승인했고, 1560년에는 해상 여행을 거대하고 무장이 잘 된 호송대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히스파니올라의 설탕 산업을 파괴할 또 다른 조치로, 1561년 걸프 스트림과 관련하여 전략적으로 더 유리한 위치에 있는 하바나가 아메리카와의 상업에 대한 왕실 독점을 가진 상인 ''플로타''의 지정된 기착지로 선정되었다. 1564년 섬의 주요 내륙 도시인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와 콘셉시온 데 라 베가가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1560년대에는 영국의 사략선이 프랑스에 합류하여 아메리카의 스페인 선박을 정기적으로 습격했다.

17세기 초 스페인의 주요 도시와 마을


17세기 아메리카 총독령의 스페인령 카리브 제도


17세기 초, 히스파니올라섬과 주변 섬들(특히 토르투가(Tortuga))은 카리브 해 해적들의 정기적인 기항지가 되었다. 1606년, 필립 3세의 정부는 해적 행위에 맞서 싸우기 위해 히스파니올라섬의 모든 주민들이 산토도밍고 근처로 이주하도록 명령했다. 하지만 이 조치는 섬을 안전하게 지키는 대신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해적들이 인구가 적은 섬의 북쪽과 서쪽 해안에 기지를 세우게 되었다.

1625년, 프랑스인(French people)과 영국 해적들이 히스파니올라섬 북서쪽 해안에 있는 토르투가(Tortuga) 섬에 상륙했다. 이 섬에는 소수의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살고 있었다. 1629년, 파드리케 알바레스 데 톨레도(Fadrique Álvarez de Toledo, 1st Marquis of Villanueva de Valdueza)가 이끄는 스페인군이 해적들을 공격하여 섬을 요새화하고 프랑스인과 영국인을 축출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스페인 군대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을 몰아내기 위해 히스파니올라섬 본토로 이동하자, 프랑스인들은 1630년에 토르투가로 돌아와 수십 년 동안 끊임없는 전투를 벌였다. 1654년, 스페인은 포르트 로셰 함락(Capture of Fort Rocher)을 통해 마지막으로 토르투가를 탈환했다.[50]

17세기 해적 활동의 중심지였던 토르투가 섬(토르투가(Tortuga island))은 히스파니올라섬을 해적 활동의 중심지로 만들었습니다.


1655년, 토르투가 섬은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재점령되었다. 1660년, 영국은 프랑스인을 총독으로 임명했고, 그는 프랑스 국왕을 선포하고 프랑스 국기를 게양했으며, 섬을 되찾으려는 영국의 여러 시도를 물리쳤다.[50] 1665년, 루이 14세(Louis XIV) 국왕은 토르투가 섬에 대한 프랑스 식민지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프랑스 식민지는 생도밍그(Saint-Domingue)라는 이름을 얻었다. 1670년, 웨일스 출신 사략선 선장 헨리 모건(Henry Morgan)은 토르투가 섬의 해적들을 초청하여 자신 휘하에서 항해하도록 했다. 그들은 프랑스에 의해 카리브해 지역에서 프랑스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타격 부대로 고용되었고, 결과적으로 해적들은 섬을 실질적으로 통제하지 못하고 토르투가를 중립적인 은신처로 유지했다. 1676년, 생도밍그(Saint-Domingue) 프랑스 식민지의 수도는 토르투가에서 히스파니올라섬 본토의 포르드페이(Port-de-Paix)로 옮겨졌다.

1680년, 영국 의회(Parliament of England)의 새로운 법률은 (이전 관행과 반대로) 외국 깃발(flag) 아래 항해(sailing)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것은 카리브 해 해적들에게 큰 법적 타격이었다. 유럽 열강들이 체결한 1684년 라티스본 조약(Treaty of Ratisbon)에서 해적 행위를 종식시키는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대부분의 해적들은 전직 바커니어 동맹을 진압하기 위해 왕실에 고용되었다. 1697년 리스위크 조약(Treaty of Ryswick)에서 스페인은 공식적으로 섬의 서쪽 3분의 1을 프랑스에 할양했다.[51][52] 생도밍그는 부와 인구 모두에서 동쪽을 빠르게 압도했다. "앤틸리스의 진주"라는 별명을 가진 생도밍그는 유럽의 설탕 수요가 높았던 시기에 설탕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데 사용된 인간 노예 제도를 통해 서인도 제도에서 가장 번영하는 식민지가 되었다. 노예 제도는 비용을 낮추고 이윤을 극대화했다. 생도밍그는 프랑스와 유럽을 오가는 상품과 물품의 중요한 아메리카 항구였다.

프랑스령 생도맹그의 포르토프랭스 저택

3. 4. 아이티 혁명과 독립

1791년 생도맹의 노예 반란


18세기 후반, 유럽 식민 개척자들은 열대열병과 격렬한 노예 저항으로 인해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프랑스 혁명 기간 중인 1791년, 생도맹그에서 대규모 노예 반란이 일어났다. 프랑스 공화국이 1794년 2월 4일 식민지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했을 때, 이는 유럽 최초의 사례였다.[53] 흑인 노예 출신 군대는 유럽 이웃 국가들과의 전쟁에서 프랑스와 연합했다. 1795년 두 번째 바젤 조약(7월 22일)에서 스페인은 히스파니올라 섬의 동쪽 3분의 2를 할양했는데, 이 지역은 나중에 도미니카 공화국이 되었다. 프랑스 정착민들은 스페인 영토 지역의 일부 지역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했다.

나폴레옹 통치하에 프랑스는 1802년 카리브해 섬 대부분에서 노예 제도를 재도입하고 섬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 그러나 프랑스군 수천 명이 여름철 황열병으로 사망했고, 질병으로 인해 프랑스군의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54] 양측 모두 잔혹 행위를 저지른 극도로 잔혹한 전쟁 후, 프랑스는 1803년 말 생존한 7,000명의 군대를 철수시켰고, 혁명 지도자들은 1804년 초 서쪽 히스파니올라를 독립 국가 아이티로 선포했다. 프랑스는 스페인령 산토 도밍고를 계속 통치했다. 1805년, 산토 도밍고의 프랑스 정부와의 새로운 적대 행위 이후, 장 자크 데살랭 장군의 아이티군은 히스파니올라 전역을 정복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산토 도밍고 침공을 감행하여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모카 도시를 약탈하고 주민 대부분을 살해했지만, 아이티로 항해하는 프랑스 함대의 소식에 침략군은 동쪽에서 철수하여 프랑스의 손에 남겨두었다.

아이티에 대한 독립 전쟁


스페인에 대한 복고 전쟁


1808년, 섬에서 프랑스에 대한 두 번째 혁명이 일어났다. 나폴레옹의 스페인 침공 이후, 산토 도밍고의 크리오요들은 프랑스 지배에 반항했고, 영국의 도움으로 산토 도밍고는 스페인의 통치하에 돌아왔다. 프랑스는 결코 섬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지 못했고, 약 12년간의 스페인 지배 후, 산토 도밍고의 지도자들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고, 동쪽 히스파니올라는 1821년 스페인령 아이티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포했다. 노예들이 성공적으로 주인들에게 반란을 일으킨 사회의 영향을 우려하여 미국과 유럽 열강은 아이티를 인정하지 않았고, 아이티는 서반구의 두 번째 공화국이었다. 프랑스는 재산을 잃은 노예 소유주들에게 보상금을 요구했고, 아이티는 수십 년 동안 감당할 수 없는 빚에 시달렸다.[55] 이 시점에서 두 국가는 아이티의 통제하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도미니카 문화의 억압은 도미니카 독립 전쟁과 1844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립으로 이어졌다.(이것이 오늘날 두 국가 간의 긴장의 원인 중 하나이다). 수년간의 전쟁, 정치적 혼란, 경제 위기는 낙담한 정치 지도자들의 요청에 따라 1861년 도미니카 공화국이 스페인 통치하에 재통합되면서 종식되었다. 그러나 에스파냐 보바 시대와 마찬가지로 세금, 부패, 도미니카인에 대한 차별 대우로 인해 정권에 대한 지지가 줄어들었고, 새로운 독립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863년 8월, 도미니카 복고 전쟁이 섬에서 발발했고, 막대한 패배를 당한 후 스페인 왕실은 항복했다. 왕실 칙령인 엘 카르멜로 조약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고, 스페인은 1865년에 완전히 추방되었다. 미국에 대한 새로운 합병 계획은 의회에서 부결되었고, 주모자들은 1874년 봉기에서 축출되었습니다. 두 국가는 그 이후로 독립 국가로 남아 있다.

프랑스 혁명을 틈타 흑인과 혼혈(뮬라토) 세력이 봉기하여 '''아이티 혁명'''이 일어났고, 1804년에는 서반구 최초의 흑인 국가 아이티 제국 (1804년-1806년)이 탄생하여 플랜테이션을 해체하고 소작농을 다수 탄생시켰다. 하지만 독립 이후 아이티는 프랑스로부터 포기한 플랜테이션 등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하라는 강요를 받아 재정과 경제가 혼란에 빠졌다.

스페인령 산토도밍고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스페인과 프랑스의 강화(바젤 조약)에 의해 1795년에 프랑스에 할양되었고, 이후 생드망의 아이티 혁명의 풍파를 겪었다. 아이티 흑인군의 침입에 의한 노예 제도 폐지와 나폴레옹 군의 침입에 의한 노예 부활, 아이티 공화국군에 대한 프랑스군의 주둔 지속이 이어져,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4년에 스페인 지배가 부활할 때까지 완전히 황폐해졌다. 원래 산토 도밍고를 방치했던 스페인인들에 대해, 중남미에서 독립 전쟁이 격렬하게 일어나던 1821년, 부총독 호세 누녜스 데 카세레스는 스패니시 아이티 독립을 선포하고 시몬 볼리바르의 대콜롬비아에 병합을 제안했다. 그러나 아이티 공화국 대통령 장 피에르 보와이에에 의해 침공당한 인구가 적은 스패니시 아이티는 패배하고, 전섬이 아이티 영토가 되었다.

아이티 지배하에서 요직은 아이티인이 차지하고, 프랑스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기 위한 세금이 산토 도밍고 측에 부과되는 등의 굴욕적인 상황에서, 스페인인메스티소들은 독립 운동을 모색했다. 1838년에 후안 파블로 두아르테가 비밀 결사 라 트리니타리아를 결성하고, 1844년도미니카 공화국 독립을 달성했다. 이때 아이티에 대한 결전의 공적으로 마티아스 라몬 멜라와 프란시스코 델 로사리오 산체스는 두아르테와 마찬가지로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라 트리니타리아를 지원한 부유한 목장주 페드로 산타나가 초대 대통령이 되어 미국 헌법을 본떠 헌법을 제정했다.

아이티 측에서는 흑인 노예 출신 장군 포스탱 1세가 사태를 수습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이에 아이티의 침공을 우려한 도미니카 공화국은 1861년, 보호를 요청하여 스페인 식민지로 되돌아가지만 다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발도 강해졌다. 아이티는 독립 운동을 재정 및 거점 측면에서 지원하여, 1865년 도미니카 공화국은 재독립했다. 도미니카 공화국 측에서는 스페인이라는 큰 악보다 아이티라는 작은 악을 선택한 형태였지만, 아이티를 두려워하여 미국 보호령이 되는 제안도 냈지만 미국이 거부하여 실패했다. 도미니카 공화국 측에서는 재독립 전쟁에서 승리한 흑인 군인 울리세스 에레우가 도미니카의 대통령으로 군림했다. 19세기 말에는 아이티와 도미니카 모두 안정되고, 엘리트층과 농민층의 대립은 남아 있었지만, 근대화를 향한 발걸음을 시작했다.

3. 5.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립

나폴레옹의 스페인 침공 이후, 산토 도밍고의 크리오요들은 프랑스 지배에 반항했고, 영국의 도움으로 산토 도밍고는 스페인의 통치하에 돌아왔다.[54] 프랑스는 섬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지 못했고, 약 12년간의 스페인 지배 후, 산토 도밍고의 지도자들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으며, 동쪽 히스파니올라는 1821년 스페인령 아이티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포했다.

아이티 지배하에서는 요직은 아이티인이 차지하고, 프랑스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기 위한 세금이 산토 도밍고 측에 부과되는 등의 굴욕적인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페인인메스티소들은 독립 운동을 모색했다.[55] 1838년에 후안 파블로 두아르테가 비밀 결사 라 트리니타리아 (도미니카 공화국)를 결성하고, 1844년도미니카 공화국 독립을 달성했다. 이때 아이티에 대한 결전의 공적으로 마티아스 라몬 멜라와 프란시스코 델 로사리오 산체스는 두아르테와 마찬가지로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라 트리니타리아를 지원한 부유한 목장주 페드로 산타나가 초대 대통령이 되어 미국 헌법을 본떠 헌법을 제정했다.

3. 6. 미국의 개입과 독재 시대

1906년 도미니카 공화국은 우로 대통령 이후의 혼란 수습과 열강에 대한 채무 상환을 위해, 미국이 50년에 걸쳐 도미니카 공화국의 관세 징수를 대신하는 대가로 채무 상환을 보장한다는 제안을 받아들여, 사실상 보호국이 되었다. 이 시기 아이티 또한 프랑스에 대한 배상금과 여러 나라에 대한 채무를 갚지 못해 재정난과 혼란이 계속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두 나라의 내정 혼란을 틈타 열강(특히 독일 제국)이 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군은 1915년 아이티에, 1916년 도미니카 공화국에 출병하여 두 나라를 점령했다.[1] 두 나라는 미국군 지배하에 채무를 상환하고, 경제 기반과 정치를 개선하며 대규모 농업을 도입하고, 유력자의 사병과 군벌을 대신하여 강력하고 통일된 경찰과 국군을 만들었지만, 이것이 후에 두 나라의 군부 독재의 씨앗이 되었다.[1]

두 나라에서 미국군에 대한 반발이 높아지고, 미국도 두 나라를 유지하는 경제력과 이익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재정을 관리하고 보호국 상태를 유지한 채 군대는 철수했다.[1] 도미니카 공화국은 1924년, 아이티는 1934년에 미국군 지배에서 벗어나 선거가 부활했지만,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1930년 육군 참모총장 라파엘 트루히요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이후 30년에 걸쳐 국가를 사유화했다.[1] 트루히요는 1937년, 영내의 아이티인 농장 노동자 파업을 계기로 아이티인들의 학살을 지시하여 하루 만에 1만 7천 명에서 3만 5천 명이 살해되었다(파슬리 학살).[1] 도미니카 공화국은 아이티에 750000USD의 배상금을 지불했지만, 가톨릭 교회와 엘리트층의 지지를 받고 반공적인 태도를 보인 트루히요의 지배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흔들리지 않았다.[1]

한편 아이티에서는 엘리트층을 구성하는 뮬라토의 정권이 계속되었지만, 다수파인 흑인들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쿠데타와 정쟁이 계속되었다.[1] 1957년, 흑인 서민 출신 프랑수아 뒤발리에가 대통령이 되었지만, 그는 독재 권력을 휘두르게 되어 1986년까지 부자 두 대에 걸친 독재 정권이 아이티를 침체시켰다.[1] 그와는 반대로,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트루히요 정권이 무너졌다.[1] 반독재 운동 속에서 제2의 쿠바 혁명 발발을 우려한 미국은 트루히요를 버렸고, 트루히요는 1961년에 암살되었다.[1] 1965년 도미니카 침공 이후에도 군사 정권은 계속되었지만 호아킨 발라게르 대통령이 강권적인 방법으로 정치와 경제를 안정시키고, 도미니카 경제는 미국의 지원도 있어 회복되어 갔다.[1]

3. 7. 민주화 이후

20세기 말 이후, 도미니카 공화국은 매우 안정된 정치 아래 경제 발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한편 아이티뒤발리에 정권 붕괴 후에도 불안정한 정세가 계속되어 세계 최빈국 중 하나가 되었다.

4. 지리

히스파니올라섬은 쿠바 다음으로 카리브해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면적은 76192km2이다. 섬의 동쪽 48440km2[56]도미니카 공화국이, 서쪽 27750km2[13]아이티가 차지하고 있다.

쿠바(Cuba)섬은 윈드워드 해협을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 80km 떨어져 있으며, 남서쪽에는 자메이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자메이카(Jamaica), 케이맨 제도(Cayman Islands) 및 나바사 섬(Navassa Island)이 위치해 있다.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는 모나 해협을 사이에 두고 히스파니올라섬의 동쪽으로 130km 떨어져 있다. 바하마(The Bahamas)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Turks and Caicos Islands)는 북쪽에 위치한다. 히스파니올라섬의 서쪽 끝은 캡 카르카스(Cap Carcasse)로 알려져 있다. 쿠바, 케이맨 제도, 나바사 섬, 히스파니올라섬, 자메이카, 푸에르토리코는 통틀어 대앤틸리스 제도(Greater Antilles)로 알려져 있다. 히스파니올라섬은 또한 앤틸리스 제도(Antilles)와 서인도 제도(West Indies)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 섬에는 5개의 주요 산맥이 있다.


  • 코르디예라 중앙 산맥(Cordillera Central): 섬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도미니카 공화국의 남해안에서 아이티 북서부까지 뻗어 있으며, 아이티에서는 마시프 뒤 노르(Massif du Nord)로 알려져 있다. 이 산맥에는 앤틸리스 제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피코 두아르테(Pico Duarte)가 있으며, 해발 3101m이다.[57]
  • 코르디예라 세프트렌트리오날 산맥(Cordillera Septentrional): 도미니카 공화국의 북쪽 끝을 가로질러 중앙 산맥과 평행하게 달리며, 사마나 반도(Samaná Peninsula)로 대서양으로 뻗어 있다.
  • 코르디예라 오리엔탈(Cordillera Oriental): 도미니카 공화국의 동부에 위치한 가장 낮은 산맥이다.[58]
  • 네이바 산맥(Sierra de Neiba): 도미니카 공화국의 남서쪽에서 시작하여 북서쪽으로 아이티까지 이어지며, 코르디예라 중앙 산맥과 평행하게 몽타뉴 누아르(Montagnes Noires), 셰인 데 마튀(Chaîne des Matheux), 몽타뉴 뒤 트루 도(Montagnes du Trou d'Eau)로 이어진다.
  • 남쪽 산맥: 도미니카 공화국의 남서쪽 끝에서 시에라 데 바오루코(Sierra de Bahoruco)로 시작하여 서쪽으로 아이티까지 이어지며, 마시프 드 라 셀(Massif de la Selle)과 마시프 드 라 옷(Massif de la Hotte)를 형성하여 아이티 남부 반도의 산악 지대를 이룬다. 피크 드 라 셀(Pic de la Selle)은 남쪽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앤틸리스 제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자 아이티에서 가장 높은 지점으로 해발 2680m이다.


플라토 센트랄(Plateau Central)은 마시프 뒤 노르(Massif du Nord)과 몽타뉴 누아르(Montagnes Noires) 사이에 위치하며, 플랭 드 랄티보닛(Plaine de l'Artibonite)은 몽타뉴 누아르와 셰인 데 마튀 사이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고나브 만(Gulf of Gonâve) 즉, 앤틸리스 제도에서 가장 큰 만으로 열려 있다.[58]

함몰지(depression)는 남쪽 산맥과 셰인 데 마튀-네이바 산맥 사이에 남쪽 산맥과 평행하게 이어져 있다. 이것은 아이티에서는 플랭 뒤 퀼드삭(Plaine du Cul-de-Sac)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는 서쪽 끝에 위치한다. 이 함몰지에는 염호(salt lake) 사슬이 있으며, 여기에는 아이티의 아주이 호(Lake Azuei)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엔리키요 호(Lake Enriquillo)가 포함된다.[58]

이 섬에는 네 개의 뚜렷한 생태계(ecoregion)가 있다.

  • 히스파니올라 습윤림(Hispaniolan moist forests): 섬의 약 50%를 차지하며, 특히 북부와 동부 지역, 주로 저지대에 분포하지만 해발 2100m까지 이어진다.
  • 히스파니올라 건조림(Hispaniolan dry forests): 섬의 약 20%를 차지하며, 섬의 남부와 서부 지역 산맥의 우림의 그늘(rain shadow)과 섬 중앙 북부의 시바오(Cibao) 계곡에 위치한다.
  • 히스파니올라 소나무림(Hispaniolan pine forests): 해발 850m 이상의 산악지대 15%를 차지한다.
  • 범람 초원 및 사바나(flooded grasslands and savannas): 섬 중앙 남부 지역의 호수와 석호 사슬을 둘러싸고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으로 아이티의 아주이 호(Lake Azuei)와 트루 카이망(Trou Caïman)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인근 엔리키요 호(Lake Enriquillo)[59]가 있다. 이 호수는 섬의 가장 낮은 지점일 뿐만 아니라 섬나라의 가장 낮은 지점이기도 하다.[60]


히스파니올라섬의 기후는 다양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상당한 변화를 보이며, 모든 앤틸리스 제도 중 가장 다양한 기후를 가진 섬이다.[61] 북반구 여름철을 제외하고 히스파니올라섬을 지배하는 바람은 북동쪽 무역풍이다. 자메이카와 쿠바와 마찬가지로 이 바람은 북쪽 산맥에 수분을 내려놓고 남쪽 해안에 뚜렷한 비 그늘을 만들어 일부 지역은 강수량이 400mm에 불과하고 반건조 기후를 나타낸다. 600mm 미만의 연 강수량은 아이티 북서부 반도의 남쪽 해안과 플랭 뒤 쿨드삭의 아수아 중앙 지역에서도 발생한다. 게다가 이 지역에서는 8월부터 10월까지 허리케인 시즌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강우량이 거의 없으며, 허리케인이 오지 않으면 가뭄이 드물지 않다.[62]

반면 북쪽 해안에서는 강수량이 12월과 2월 사이에 최고조에 달할 수 있지만, 일 년 내내 비가 내린다. 북쪽 해안 저지대의 연간 강수량은 일반적으로 1700mm에서 2000mm 범위이다.[61] 코르디예라 세프트렌트리오날에는 훨씬 더 많은 강수량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데이터가 없다. 산토도밍고를 중심으로 한 남동쪽 해안과 함께 히스파니올라섬의 내륙은 일반적으로 연간 1400mm 정도의 강수량을 받으며, 5월부터 10월까지 뚜렷한 계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우기에는 5월경과 허리케인 시즌경 두 번의 강수량 최고치가 나타난다. 내륙 고지대에서는 연간 3100mm 정도로 강수량이 훨씬 많지만, 중앙 저지대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기온의 변화는 고도에 따라 달라지며, 섬의 강수량 변화보다 훨씬 덜 두드러진다. 히스파니올라섬의 저지대는 일반적으로 더 덥고 습하며, 낮에는 평균 28°C이고 습도가 높으며, 밤에는 약 20°C이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은 꾸준히 떨어져서, 최고 기온이 18°C를 넘지 않는 가장 높은 봉우리에서는 건조기에 서리가 발생한다.

5개의 주요 산맥

산맥 이름위치 및 특징
코르디예라 중앙 산맥(Cordillera Central)섬 중앙부 가로지름, 도미니카 공화국 남해안에서 아이티 북서부까지 뻗음 (아이티에서는 마시프 뒤 노르(Massif du Nord)로 불림), 피코 두아르테(Pico Duarte) (3101m) 위치[57]
코르디예라 세프트렌트리오날 산맥(Cordillera Septentrional)도미니카 공화국 북쪽 끝, 중앙 산맥과 평행, 사마나 반도(Samaná Peninsula)로 뻗음
코르디예라 오리엔탈(Cordillera Oriental)도미니카 공화국 동부, 가장 낮은 산맥[58]
네이바 산맥(Sierra de Neiba)도미니카 공화국 남서쪽에서 아이티까지 이어짐, 몽타뉴 누아르(Montagnes Noires), 셰인 데 마튀(Chaîne des Matheux), 몽타뉴 뒤 트루 도(Montagnes du Trou d'Eau)로 이어짐
남쪽 산맥도미니카 공화국 남서쪽 끝 시에라 데 바오루코(Sierra de Bahoruco)에서 아이티까지 이어짐, 마시프 드 라 셀(Massif de la Selle), 마시프 드 라 옷(Massif de la Hotte) 형성, 피크 드 라 셀(Pic de la Selle) (2680m) 위치



플라토 센트랄(Plateau Central)은 마시프 뒤 노르(Massif du Nord)과 몽타뉴 누아르(Montagnes Noires) 사이에, 플랭 드 랄티보닛(Plaine de l'Artibonite)은 몽타뉴 누아르와 셰인 데 마튀 사이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고나브 만(Gulf of Gonâve)으로 열려 있다.[58]

남쪽 산맥과 셰인 데 마튀-네이바 산맥 사이의 함몰지(depression)는 아이티에서 플랭 뒤 퀼드삭(Plaine du Cul-de-Sac)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가 서쪽 끝에 위치한다. 이 함몰지에는 염호(salt lake)인 아주이 호(Lake Azuei) (아이티)와 엔리키요 호(Lake Enriquillo) (도미니카 공화국)가 있다.[58]

4개의 뚜렷한 생태계(ecoregion)

생태계 이름분포 지역 및 특징
히스파니올라 습윤림(Hispaniolan moist forests)섬의 약 50%, 북부와 동부 지역, 저지대, 해발 2100m까지 분포
히스파니올라 건조림(Hispaniolan dry forests)섬의 약 20%, 남부와 서부 지역 산맥의 우림의 그늘(rain shadow), 섬 중앙 북부 시바오(Cibao) 계곡
히스파니올라 소나무림(Hispaniolan pine forests)해발 850m 이상 산악지대 15%
범람 초원 및 사바나(flooded grasslands and savannas)섬 중앙 남부, 호수와 석호 사슬, 아주이 호(Lake Azuei), 트루 카이망(Trou Caïman), 엔리키요 호(Lake Enriquillo)[59] 주변 (섬나라의 가장 낮은 지점)[60]



히스파니올라섬은 다양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다양한 기후를 보이며, 앤틸리스 제도 중 가장 다양한 기후를 가진 섬이다.[61] 북동쪽 무역풍의 영향으로 북쪽 산맥에는 많은 비가 내리고, 남쪽 해안은 비 그늘로 인해 일부 지역은 강수량이 400mm에 불과한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600mm 미만의 연 강수량은 아이티 북서부 반도 남쪽 해안과 플랭 뒤 쿨드삭의 아수아 중앙 지역에서 발생하며, 허리케인 시즌(8~10월)을 제외하면 가뭄이 드물지 않다.[62]

북쪽 해안은 12월과 2월에 강수량이 최고조에 달하며, 연 강수량은 1700mm~2000mm이다.[61] 산토도밍고 중심 남동쪽 해안과 내륙은 연간 1400mm 정도의 강수량을 보이며, 5월경과 허리케인 시즌에 두 번의 강수량 최고치가 나타난다. 내륙 고지대는 연간 3100mm 정도의 강수량을 보인다.

히스파니올라섬 저지대는 덥고 습하며(낮 평균 28°C, 밤 평균 20°C),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떨어져 가장 높은 봉우리에서는 건조기에 서리가 발생한다.

5. 생태

히스파니올라섬에는 조류 종과 양서류 종이 다양하다. 곤충, 무척추동물, 파충류, 양서류, 어류, 조류, 포유류 등 섬 고유종이 많으며, 가축, 운송 동물, 애완동물 등 도입된 동물도 있다. 섬에 서식하는 고유 육상 포유류는 히스파니올라후티아(''Plagiodontia aedium'')와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Solenodon paradoxus'') 두 종류이다.[63] 섬에는 칼립토필루스속, 두루스속, 네소크티테스속, 파에니코필루스속, 크세놀리게아속, 미크롤리게아속 등 6개의 고유 속을 포함한 많은 조류 종이 있다.[63] 서식지 파괴로 인해 원래 생태 지역 분포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고, 기후 변화, 인간의 사냥, 서식지 파괴, 도입종 등으로 인해 일부 동물은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멸종되었다.[63]

아이티(왼쪽)와 도미니카 공화국(오른쪽)의 국경을 보여주는 위성 이미지


섬에는 네 가지 생물지리구가 있다.

  • 히스파니올라 습윤림: 섬의 약 50%를 차지하며, 북부와 동부 지역 저지대와 2100m 고도까지 분포한다.
  • 히스파니올라 건조림: 섬의 약 20%를 차지하며, 남부와 서부 산맥의 비 그늘 지역과 중북부 시바오 계곡에 위치한다.
  • 히스파니올라 소나무림: 850m 고도 이상의 산악 지대인 섬의 15%를 차지한다.
  • 범람 초원 및 사바나: 섬 중남부 지역의 에탕 소마트르, 트루 카이만(아이티), 엔리키요 호(도미니카 공화국) 등 호수와 석호를 둘러싸고 있다.


아이티의 삼림 벌채는 오랜 생태 위기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목재 산업은 프랑스 식민 통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4] 의 과도한 사용으로 삼림이 크게 감소했다.[64] 언론에서는 산림 피복률이 2%라고 보도했지만, 연구 결과와는 다르다.[64]

핑구이쿨라 카사비토아나(식충식물), 고노칼릭스 테트라프테라, 게스네리아 실비콜라, 리오니아 알라이니, 미르시아 살리아나, 팔로 데 비엔토, 재이키, 피노 크리시오리오, 상그레 데 폴로, 팔로 산토 등도 중요한 식물 종이다.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 보고에 따르면, 자연 보호 지역 식물상은 621종의 관속 식물로 구성되며, 그중 153종은 히스파니올라섬 고유종이다. 멸종 위기 고급 경재인 마그놀리아 팔레센스(에바노 베르데, 녹색 에베노)가 대표적인 고유 식물종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이티의 수목 피복률은 약 30%이다.[65] 1925년 60%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지난 50년간 삼림 벌채로 인해 사막화가 진행되었다. 가난한 시민들이 요리에 나무를 태우거나 숯을 만들어 연료로 사용하면서 나무 손실이 심각하다. 아이티 소비 연료의 71%가 나무 또는 숯이다.[66] 1968년부터 전국에 보호 지역을 조성하여 현재 국토의 약 7%, 수역의 1.5%를 차지한다.[67]

도미니카 공화국은 산림 피복률이 증가했다. 2003년 32%에서 2011년 প্রায় 40%로 증가했다. 이는 정부 정책, 민간 단체의 노력, 국민들의 산림 중요성 인식 제고 덕분이다.[68]

엔리키요 호

6. 인구

도미니카 공화국의 사람들


아이티 포르드파의 아이티 사람들


히스파니올라섬은 2023년 7월 기준으로 총 23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카리브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이다.[69]

도미니카 공화국은 약 11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스페인어권 국가이다. 거의 모든 도미니카 공화국 국민이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로마 가톨릭교는 주요 종교이며, 복음주의 및 프로테스탄트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아프리카 종교, 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 아이티 부두교, 도미니카 부두교, 도미니카 산테리아, 콩고스 델 에스피리투 산토, 도미니카 프로테스탄트, 오순절주의, 유대교, 이슬람교, 바하이교, 힌두교, 불교,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 여호와의 증인 등 기타 소수 종교도 존재한다.

도미니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아이티계 사람들


2000년 아이티 인구 밀도


아이티는 약 1170만 명의 인구를 가진 크레올어 사용 국가이다. 교육받은 부유층 소수는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만, 거의 모든 인구가 아이티 크레올어를 사용한다. 로마 가톨릭교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실천하는 주요 종교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아이티 부두교 신앙과 결합하여 실천되기도 한다. 인구의 25%는 프로테스탄트 교회에 속한다.[70]

도미니카 공화국 인구의 민족 구성은 혼혈이 73%,[71] 백인이 16%, 흑인이 11%이다. 초기 스페인 정착민들과 서아프리카 출신 흑인 노예들의 후손들이 두 가지 주요 인종 계통을 구성한다. 아이티의 민족 구성은 흑인이 95%, 백인과 멀라토가 5%로 추정된다.

최근 도미니카 공화국과 푸에르토리코 연구자들은 현재 도미니카 공화국 인구에서 카나리아 제도(일반적으로 과안체라고 함) 원주민에 속하는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했다.[72] 이러한 유전자는 푸에르토리코에서도 발견되었다.[73]

7. 경제

도미니카 공화국과 아이티의 1인당 GDP 개발 역사


히스파니올라섬은 대앤틸리스 제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지만, 경제 개발의 대부분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제 규모는 아이티의 경제 규모보다 거의 800% 더 크다. 2018년 기준 아이티의 추정 연간 1인당 소득은 868달러이고, 도미니카 공화국은 8,050달러이다.[74][75]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제 개발 수준 차이는 그 국경을 서쪽 육지 국경 중 가장 큰 대조를 이루는 곳으로 만들었다.[76]

히스파니올라섬은 귀금속과 관련된 경제적 역사와 현재의 관심 및 참여를 가지고 있다. 1860년, 이 섬에 초기 스페인 사람들이 거의 개발하지 않은 대량의 금이 매장되어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77] 1919년, 콘딧(Condit)과 로스(Ross)는 이 섬의 상당 부분이 다양한 종류의 광물 채굴을 위한 정부 허가 지역으로 덮여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금 외에도 은, 망간, 구리, 자철광, 철, 니켈 등의 광물이 있었다.[78]

2016년 채굴 작업은 마이몬(Maimón) 주변의 화산성 대규모 황화물 광상을 활용했다. 북동쪽에는 푸에블로 비에호 금광(Pueblo Viejo Gold Mine)이 1975년부터 1991년까지 국영 로사리오 도미니카나(Rosario Dominicana)에 의해 운영되었다. 2009년, 베릭 골드(Barrick Gold)와 골드코프(Goldcorp)이 설립한 푸에블로 비에호 도미니카나 코퍼레이션(Pueblo Viejo Dominicana Corporation)은 몬테 네그로(Monte Negro)와 무어(Moore) 산화광상에 대한 광산 채굴 작업을 시작했다. 채굴된 광석은 시안화 금 추출 방법으로 처리된다. 황철석섬아연석은 두께 120미터의 화산성 역암과 응회암에서 발견되는 주요 황화광물이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화 금 광상을 구성한다.[79]

보나오(Bonao)와 마이몬(Maimón) 사이에는 팰컨브리지 도미니카나(Falconbridge Dominicana)가 1971년부터 니켈 라테라이트를 채굴해왔다. 마이몬(Maimón) 남동쪽에 있는 세로 데 마이몬(Cerro de Maimon) 구리/금 광산은 2006년부터 페릴리아(Perilya)에 의해 운영되어 왔다. 구리는 황화 광석에서 추출되고, 금과 은은 황화 광석과 산화 광석 모두에서 추출된다. 처리 과정은 거품 부상법과 시안화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광석은 VMS 초기 백악기 마이몬 층에 위치한다. 금과 은이 풍부한 수침철석은 두께 30미터의 산화층 상부에서 발견된다. 그 아래에는 표토대가 있으며, 여기에는 황철석, 황동석, 그리고 섬아연석이 포함되어 있다. 표토대 아래에는 변형되지 않은 대규모 황화 광물이 발견된다.[80]

8. 인간 개발

2018년 기준, 히스파니올라섬의 도미니카 공화국아이티 지역별 인간개발지수(HDI)는 다음과 같다.[81]

순위지역2018 HDI국가
높은 인간개발 수준
1남부 대도시권0.764도미니카 공화국
시바오 북부0.755도미니카 공화국
북동부0.745도미니카 공화국
발데시아0.744도미니카 공화국
중부0.737도미니카 공화국
유마0.728도미니카 공화국
7엔리키요0.706도미니카 공화국
중간 인간개발 수준
8엘 바예0.697도미니카 공화국
9북서부0.694도미니카 공화국
낮은 인간개발 수준
10서부 대도시권0.535아이티
11북부0.516아이티
12북서부0.493아이티
13북동부0.492아이티
14남부0.487아이티
15남동부0.481아이티
16그랑드앙스0.471아이티
17아르티보니트0.469아이티
18중부0.454아이티



산토도밍고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

참조

[1] 웹사이트 Field Listing—Elevation extreme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 세계사실책 2024-12-05
[3] 웹사이트 Provincias Dominicanas https://www.one.gob.[...] 2024-12-05
[4] 세계사실책 2024-12-05
[5] 미국유산사전 Hispaniola 2019-07-22
[6] 웹사이트 Hispaniol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22
[7] Merriam-Webster Hispaniola 2019-07-22
[8] 백과사전 Hispaniol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9] 문서 Hispaniola의 다국어 명칭
[10] 서적 Décadas del Nuevo Mundo, Tercera Década, Libro VII Editorial Bajel
[11] 서적 Apologética Histórica Sumaria UNAM
[12] 웹사이트 Embassy of the Dominican Republic, in the United States http://www.domrep.or[...] 2009-02-27
[13] 웹사이트 Haiti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10-06
[14] 학술지 The Loss of the Santa Maria Christmas Day, 1492
[15] 웹사이트 The Lost Fort of Columbus http://www.smithsoni[...] 2008-01-24
[16] 서적 The Early Spanish Mai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학술지 The Naming of Haiti 1997
[18] 웹사이트 Epistola De Insulis Nuper Repertis http://www.thelatinl[...]
[19] 서적 The Piri Reis Map of 151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 서적 The Butterflies of Hispaniol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015-04-12
[21] 서적 La Nacionalidad Dominicana https://books.google[...] Editora Nacional, Ministerio de Cultura 2015-06-15
[22] 웹사이트 The Conflict Between Haiti and the Dominican Republic http://www.allempire[...] 2018-11-13
[23] 웹사이트 Haiti – Historical Flags http://www.flag.de/F[...] 2007-12-24
[24] 학술지 A genetic history of the pre-contact Caribbean 2021-02-04
[25] 학술지 What Became of the Taíno? 2011
[2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aiti http://www.hartford-[...] 2018-11-20
[27] 학술지 The Greater Antilles and Bahamas 2008
[28] 뉴스 Opinion {{!}} Ancient DNA Is Changing How We Think About the Caribbean https://www.nytimes.[...] 2020-12-24
[29] 학술지 A genetic history of the pre-contact Caribbean 2020-12-23
[30] 서적 21st Century Anthropology: A Reference Handbook Sage Publications
[31] 학술지 Taino (Arawak) Indians http://go.galegroup.[...] 2005
[32] 서적 The European Discovery of America: The Southern Voy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33] 서적 The worlds of Christopher Columb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4] 웹사이트 Colonial City of Santo Domingo https://whc.unesco.o[...] 2018-10-04
[35] 학술지 The Depopulation of Hispanic America after the Conquest
[36] 웹사이트 The Early Trans-Atlantic Slave Trade: Nicolas Ovando · African Laborers for a New Empire: Iberia, Slavery, and the Atlantic World · Lowcountry Digital History Initiative http://ldhi.library.[...] 2018-10-04
[37] 서적 The Life of the Admiral Christopher Columbus by his son Ferdinand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1959
[38] 뉴스 Columbus' Confusion About the New World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09-10-01
[39] 서적 The Columbus Dynasty in the Caribbean, 1492–1526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73
[40] 서적 The Dominican Republic, A Na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Hispaniola Books 1995
[41] 서적 The Greatest Killer: Smallpox in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09-15
[42] 웹사이트 History of Smallpox – Smallpox Through the Ages http://www.dshs.stat[...] Texas Department of State Health Services
[43] 서적 A pest in the land: new world epidemics in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44] 서적 Is the Holocaust Unique?: Perspectives on Comparative Genocide Westview Press
[45] 웹사이트 American holocaust : the conquest of the New World http://archive.org/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93-10-14
[46] 학술지 Us and Them: Identity and Genocide https://doi.org/10.1[...] 2007-05-15
[47] 다중출처
[48] 웹사이트 Ethnobotanical Leaflets https://web.archive.[...]
[49] 서적 From Columbus to Castro: The History of the Caribbean https://archive.org/[...] Vintage 1984
[50] 서적 THE BUCCANEERS IN THE WEST INDIES IN THE XVII CENTURY http://www.thepirate[...]
[51] 백과사전 Hispaniola Article https://www.britanni[...]
[52] 웹사이트 Dominican Republic 2014 http://cardiostart.o[...]
[53] 서적 Facing Racial Revolution: Eyewitness Accounts of the Haitian Insurrection 2008
[54] 서적 Plagues and Poxes: The Impact of Human History on Epidemic Disease https://archive.org/[...] Demos Medical Publishing
[55] 서적 Natural Experiments of History 2011
[56]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1-11-18
[57] 뉴스 El Pico Duarte es apenas 4 metros más alto que La Pelona https://ojala.do/cie[...] ojala.do 2021
[58] 서적 The Geology of Hispaniola, in The Ocean Basins and Margin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LLC 1975
[59] 웹사이트 Caribbean: Island of Hispaniola {{!}} Ecoregions {{!}} WWF https://www.worldwil[...]
[60] 웹사이트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2021-05-20
[61] 학술지 The Areal Distribution of Mean Annual Rainfall Over the Island of Hispaniola
[62] 학술지 More variable tropical climates have a slower demographic growth http://hal.archives-[...]
[63] 웹사이트 The island of Hispaniola in the Caribbean https://www.worldwil[...]
[64] 웹사이트 One of the Most Repeated Facts about Haiti is a Lie https://news.vice.co[...] Vice News 2016-10-13
[65] 웹사이트 Haiti is Covered with Trees http://www.envirosoc[...] Tarter, Andrew 2016-05-19
[66] 학술지 After the earthquake: Haiti's deforestation needs attention https://www.csmonito[...]
[67] 웹사이트 In Haiti, communities take aim at deforestation https://www.unep.org[...] 2021-06-03
[68] 웹사이트 República Dominicana aumenta su cobertura boscosa a 39.7% - Fundación Global Democracia y Desarrollo https://web.archive.[...]
[69]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3 Revision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Population Estimates and Projections Section 2022-07-11
[7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1-11-22
[71] 웹사이트 DOMINICAN REPUBLIC http://www.nationsen[...]
[72] 웹사이트 Un estudio descubre la presencia de genes guanches en la República Dominicana | soitu.es http://www.soitu.es/[...]
[73] 웹사이트 La Comunidad » DOCUMENTALES GRATIS » UN ESTUDIO DEL GENOMA TAINO Y GUANCHE. ADN o DNA. Primera parte http://lacomunidad.e[...] 2010-02-06
[74] 뉴스 Hispaniola comparison https://www.usatoday[...] 2016-10-09
[75]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 Haiti Data https://data.worldba[...] 2020-04-05
[76] 웹사이트 The Dominican Republic and Haiti: one island riven by an unresolved past https://www.theguard[...] 2018-11-13
[77] 서적 The Gold Fields of St. Domingo https://archive.org/[...] Anson P. Norton 1860
[78] 서적 Economic Geology, Chapter X, in A Geological Reconnaissance of the Dominican Republ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21
[79] 웹사이트 Pueblo Viejo Gold Mine, Dominican Republic http://www.mining-te[...] mining-technology.com 2016-12-28
[80] 웹사이트 Cerro de Maimon http://www.perilya.c[...] Perilya.com 2016-12-28
[8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82] 웹사이트 Haiti & The Dominican Republic http://www.imf.org/e[...]
[83] 뉴스 「プレート衝突で大地震がくる」…米国学者の警告が現実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84] 웹사이트 USGS Centroid Moment Tensor Solution http://neic.usgs.gov[...]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0-01-14
[85] 웹사이트 遠地実体波によるモーメント解 http://neic.usgs.gov[...]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0-01-14
[86] 웹사이트 NGY地震学ノート No.24 http://www.seis.nago[...] 名古屋大学地震火山・防災研究センター 2010-01-14
[87] 뉴스 ハイチの地震、専門家が事前に警告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0-01-14
[88] 웹사이트 2010年1月13日 ハイチの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0-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