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소 (류큐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소는 13세기 류큐국의 왕으로, 1260년에 즉위하여 1299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1235년부터 기혼왕의 섭정으로 활동했으며, 기근과 역병으로 고통받던 오키나와를 안정시키기 위해 세금 및 토지 개혁을 실시했다. 그의 치세 동안 주변 섬들이 조공을 바쳤으며, 불교가 류큐에 전래되었다. 에이소는 71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이세이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의 섭정 - 쇼 쇼켄
쇼 쇼켄은 17세기 류큐 왕국의 정치가이자 학자로서, 외교, 행정,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주잔세이칸》을 편찬하고 류큐 왕국의 발전에 기여했다. - 1299년 사망 - 에이리크 2세
에이리크 2세는 망누스 6세의 아들로 1280년부터 1299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하며 덴마크, 한자 동맹과의 갈등을 겪었고 스코틀랜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왕위는 동생에게 넘어갔다. - 1299년 사망 - 노가이 칸
노가이 칸은 13세기 황금 호르드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동유럽 원정과 비잔티움과의 외교, 칸국 내 권력 다툼을 통해 황금 호르드와 동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이소 (류큐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이소 |
일본어 | 英祖 |
신성한 이름 | 웨조-노-테다코 (英祖日子) |
통치 | |
재위 | 1260년–1299년 |
이전 | 기혼 |
이후 | 다이세이 |
왕조 | 류큐 국왕 |
개인 정보 | |
출생 | 1229년 |
사망 | 1299년 8월 31일 |
매장지 | 우라소에 요도레 |
아버지 | 에소 요노누시 |
어머니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다이세이 와카구와 왕자 나카구스쿠 왕자 차탄 왕자 오자토 왕자 |
기타 정보 | |
거주 성 | 우라소에 성 |
왕조 | 에이소 왕조 |
2. 생애
사타쿠의 《추잔 세이후(1701)》에 따르면 에이소는 창조의 여신에게서 유래했다고 하는 텐손 왕조의 후손인 에소 요노누시(恵祖世主)의 아들로 태어났다.[5] 《추잔 세이칸(1650)》은 에이소를 에소 요노누시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손자라고도 하는 등 관계에 대해 일관성이 없다.[5] 《추잔 세이칸》은 그의 어머니가 최고 신에 대한 꿈을 꾼 후에 출산했다고 주장한다. 《추잔 세이후》는 기적적인 출생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며, 그녀가 임신하게 된 꿈을 꿨는데, 그 꿈은 태양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녀가 출산했을 때, 방이 신비한 빛과 특별한 향기로 가득 찼다고 한다.[3]
에이소는 1235년부터 기혼왕의 섭정으로 섬겼다.[5] 기혼왕 통치 기간 동안 오키나와는 기근과 역병 발생으로 고통받았다.[5] 기혼은 퇴위를 표명했고, 그의 신하들은 에이소를 기혼의 후계자로 추천했다.[5] 그 결과, 에이소는 1260년에 왕위에 올랐다.[5]
에이소는 다양한 세금 및 토지 개혁을 실시했고, 오키나와는 이전 통치 기간 동안 휩쓸었던 기근 및 기타 문제로부터 회복되었다.[5] 사이 온의 《추잔 세이후》(1725)에서 구메지마, 케라마, 이헤야로 확인된 일부 북서부 섬들은 1264년에 처음으로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5] 《추잔 세이칸》은 또한 1266년에 아마미 오시마가 사절을 보내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고 주장한다.[5] 그들은 의사 소통을 위해 일련의 통역가가 필요했다.
에이소는 1299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이세이가 뒤를 이었다.[5] 그는 우라소에 요도레라는 묘소에 안장되었다.
2. 1. 출생과 혈통
사타쿠의 《추잔 세이후(1701)》에 따르면 에이소는 창조의 여신에게서 유래했다고 하는 텐손 왕조의 후손인 에소 요노누시(恵祖世主)의 아들로 태어났다.[5] 《추잔 세이칸(1650)》은 에이소를 에소 요노누시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손자라고도 하는 등 관계에 대해 일관성이 없다.[5] 《추잔 세이칸》은 그의 어머니가 최고 신에 대한 꿈을 꾼 후에 출산했다고 주장한다. 《추잔 세이후》는 기적적인 출생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며, 그녀가 임신하게 된 꿈을 꿨는데, 그 꿈은 태양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녀가 출산했을 때, 방이 신비한 빛과 특별한 향기로 가득 찼다고 한다.[3]일본 사서에 따르면, 에이소는 오키나와섬에서 최초로 왕조를 세운 신의 아들 왕통으로 여겨지는 천손씨의 후손이다.[10] 에이소는 천손씨의 마지막 왕의 넷째 아들인 니시하라 왕자의 세자인 이소성의 혜조세주의 아들이며, 순천 왕통의 의본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왕이 되었다. 또한, 그의 탄생 시 어머니가 태양을 삼키는 꿈을 꾼 데서 유래하여, "티다코(태양의 아이)"라고도 불렸다.
「고 류큐 삼산 유래기집」에 따르면 '''중고산 영조왕'''의 칭호이며 아버지인 혜조세주는 역시 천손씨 후예로 전해진다.[11]
2. 2. 섭정과 즉위
에이소는 1235년부터 기혼왕의 섭정으로 섬겼다.[5] 기혼왕 통치 기간 동안 오키나와는 기근과 역병 발생으로 고통받았다.[5] 기혼은 퇴위를 표명했고, 그의 신하들은 에이소를 기혼의 후계자로 추천했다.[5] 그 결과, 에이소는 1260년에 왕위에 올랐다.[5]2. 3. 통치와 업적
에이소는 다양한 세금 및 토지 개혁을 실시했고, 오키나와는 이전 통치 기간 동안 휩쓸었던 기근 및 기타 문제로부터 회복되었다.[5] 사이 온의 《추잔 세이후》(1725)에서 구메지마, 케라마, 이헤야로 확인된 일부 북서부 섬들은 1264년에 처음으로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5] 《추잔 세이칸》은 또한 1266년에 아마미 오시마가 사절을 보내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고 주장한다.[5] 그들은 의사 소통을 위해 일련의 통역가가 필요했다.13세기 중반, 함순 연간(1265년~1274년)에 젠칸이라는 선승이 오나하 항에 표류해 왔다. 젠칸은 보타락 승려라고 칭했다. 에이소는 그 덕을 존중하여 우라소에 성 서쪽에 보타락산 극락사를 건립, 류큐에서의 불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류큐국 유래기 권 10"・"류큐국 제사 구기 서")
"일본에 대한 두 차례의 원나라의 침략으로 일본 상륙에 실패한 원나라 군은 1291년에 오키나와에 상륙을 시도하여 오키나와로 쳐들어왔지만 에이소가 격퇴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1291년에 원나라 군이 습격한 "류큐"는 대만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 일화는 "류큐=류큐"로 오인한 데서 생긴 공상이라는 설이 있다[15]。
2. 4. 불교 장려
『류큐국유래기(琉球国由来記)』(1713)는 에이소 왕의 치세에 불교가 오키나와에 전래되었다고 추정한다.[13] 젠칸이라는 승려가 부다라쿠 도카이(Fudaraku tokai)를 행한 후 오키나와로 표류해왔다.[13] 부다라쿠 도카이는 보타락가산(Mount Potalaka)에 도달하기를 바라며 배를 타고 바다로 나아가는 희귀한 일본 불교 의식이다. 에이소는 젠칸을 맞이하여 조쿠라쿠지(Zokuraku-ji)라는 절을 지었다.[13] 우라소에 성(Urasoe Castle) 서쪽에 위치한 조쿠라쿠지는 쇼 엔(Shō En)왕의 치세까지 존속되었는데, 화재 이후 왕은 절을 우라소에 성 남쪽으로 이전하고 류후쿠지(Ryūfuku-ji)로 이름을 바꾸었다.[13]13세기 중반, 함순 연간(1265년~1274년)에 젠칸이라는 선승이 오나하 항에 표류해 왔으며, 젠칸은 보타락 승려라고 칭했다. 에이소는 그 덕을 존중하여 우라소에 성 서쪽에 보타락산 극락사를 건립, 류큐에서의 불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류큐국 유래기 권 10』・"류큐국 제사 구기 서")[13]
2. 5. 사망과 계승
에이소는 1299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이세이가 뒤를 이었다.[5] 그는 우라소에 요도레라는 묘소에 안장되었다.3. 원나라와의 관계
채온의 《추잔세보》(1725)는 에이소 시대에 원나라가 1292년과 1297년 두 차례에 걸쳐 류큐를 정복하려 했다고 주장한다.[7] 1292년, 쿠빌라이 칸의 원 제국 조정은 류큐가 제국의 봉신이 되도록 요구하는 사절을 보냈다. 원정 중 그들은 한 섬에 도착하여 섬 주민들과의 교전에 휘말렸다. 그 결과, 오키나와를 방문하지 못하고 돌아갔다.[7] 1297년, 쿠빌라이의 후계자 테무르 칸은 군대를 파견하여 류큐를 침략했다.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기 때문에 류큐인 130명을 포로로 데려갔다.[7]
이 사건들은 《추잔정간》(1650)이나 채탁의 《추잔세보》(1701) 판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사실, 채온이 중국 자료에서 베껴온 것이다.[7]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자료에 나오는 류큐(瑠求)가 오키나와 섬이 아닌 타이완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7] 실제로, 《원사》에는 펑후 제도와 류큐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1292년 사절단이 류큐로 가는 길에 펑후를 방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3. 1. 원나라의 침입 시도
채온의 《추잔세보》(1725)는 에이소 시대에 원나라가 1292년과 1297년 두 차례에 걸쳐 류큐를 정복하려 했다고 주장한다.[7] 1292년, 쿠빌라이 칸의 원 제국 조정은 류큐가 제국의 봉신이 되도록 요구하는 사절을 보냈으나, 원정 중 한 섬에 도착하여 섬 주민들과 교전을 벌인 결과 오키나와를 방문하지 못하고 돌아갔다.[7] 1297년, 쿠빌라이의 후계자 테무르 칸은 군대를 파견하여 류큐를 침략했으나, 격렬한 저항에 직면하여 류큐인 130명을 포로로 데려갔다.[7]이러한 사건들은 《추잔정간》(1650)이나 채탁의 《추잔세보》(1701) 판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채온이 중국 자료에서 베껴온 것이다.[7]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자료에 나오는 류큐(瑠求)가 오키나와 섬이 아닌 타이완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7] 실제로 《원사》에는 펑후 제도와 류큐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1292년 사절단이 류큐로 가는 길에 펑후를 방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일본에 대한 두 차례의 원나라의 침략으로 일본 상륙에 실패한 원나라 군은 1291년에 오키나와에 상륙을 시도하여 오키나와로 쳐들어왔지만 에이소가 격퇴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1291년에 원나라 군이 습격한 "류큐"는 대만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 일화는 "류큐=류큐"로 오인한 데서 생긴 공상이라는 설이 있다.[15]
3. 2. 원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논란
채온의 《추잔세보》(1725)는 에이소 시대에 원나라가 1292년과 1297년 두 차례에 걸쳐 류큐를 정복하려 했다고 주장한다. 1292년, 쿠빌라이 칸의 원 제국 조정은 류큐가 제국의 봉신이 되도록 요구하는 사절을 보냈으나, 원정 중 한 섬에 도착하여 섬 주민들과 교전을 벌인 결과 오키나와를 방문하지 못하고 돌아갔다. 1297년, 쿠빌라이의 후계자 테무르 칸은 군대를 파견하여 류큐를 침략했으나, 격렬한 저항에 직면하여 류큐인 130명을 포로로 데려갔다.[7]이러한 사건들은 《추잔정간》(1650)이나 채탁의 《추잔세보》(1701) 판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채온이 중국 자료에서 베껴온 것으로,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자료에 나오는 류큐(瑠求)가 오키나와 섬이 아닌 타이완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실제로, 《원사》에는 펑후 제도와 류큐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1292년 사절단이 류큐로 가는 길에 펑후를 방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일본에 대한 두 차례의 원나라의 침략으로 일본 상륙에 실패한 원나라 군은 1291년에 오키나와에 상륙을 시도하여 오키나와로 쳐들어왔지만 에이소가 격퇴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1291년에 원나라 군이 습격한 "류큐"는 대만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 일화는 "류큐=류큐"로 오인한 데서 생긴 공상이라는 설이 있다.[15]
4. 가족 관계
아버지 혜조 세주는 우라소에 아지·이조 성주였다.[11] 어머니와 비는 알려져 있지 않다.[11] 슬하에 다이세이(2대 국왕), 와키가와 왕자(나키진 성주, 북산왕(호쿠잔 세주)), 나카구스쿠 왕자, 기타야 왕자, 오자토 왕자 등 다섯 아들을 두었다.[11] 차남 와키가와 왕자의 증손은 파니시(하지 아지, 초대 후호쿠잔왕)이고, 내손은 민(2대 후호쿠잔왕), 곤손은 판안치(3대 후호쿠잔왕)이다.[11] 5남 오자토 왕자의 현손은 오 에이시(오시로 아지, 난잔왕)이고, 내손은 오 오소(난잔왕), 곤손은 타루미(난잔왕)이다.[11]
5. 평가 및 의의
에이소 왕은 류큐 왕국의 기틀을 다진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류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크게 발전했다.[5] 에이소 왕의 업적은 류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의 통치 철학은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추잔 세이후》(1701)에 따르면 에이소는 텐손 왕조의 후손인 에소 요노누시(恵祖世主)의 아들로 태어났다. 《추잔 세이칸》(1650)은 그들의 관계에 대해 일관성이 없는데, 기혼 부분에서는 에이소를 에소 요노누시의 아들로 취급하는 반면, 에이소 부분에서는 그가 에소 요노누시의 손자라고 언급하고 있다.[5] 《추잔 세이칸》은 그의 어머니가 최고 신에 대한 꿈을 꾼 후에 출산했다고 주장한다. 《추잔 세이후》는 기적적인 출생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며, 그녀가 임신하게 된 꿈을 꿨는데, 그 꿈은 태양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녀가 출산했을 때, 방이 신비한 빛과 특별한 향기로 가득 찼다고 한다.[3]
그는 1235년부터 기혼왕의 섭정으로 섬겼다. 기혼왕 통치 기간 동안 오키나와는 기근과 역병 발생으로 고통받았다. 기혼은 퇴위를 표명했고, 그의 신하들은 에이소를 기혼의 후계자로 추천했다. 그 결과, 그는 1260년에 왕위에 올랐다.[5]
에이소는 다양한 세금 및 토지 개혁을 실시했고, 오키나와는 이전 통치 기간 동안 휩쓸었던 기근 및 기타 문제로부터 회복되었다.[5] 사이 온의 《추잔 세이후》(1725)에서 구메지마, 케라마, 이헤야로 확인된 일부 북서부 섬들은 1264년에 처음으로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 《추잔 세이칸》은 또한 1266년에 아마미 오시마가 사절을 보내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의사 소통을 위해 일련의 통역가가 필요했다.[5] 그는 1299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이세이가 뒤를 이었다.[5] 그는 우라소에 요도레라는 묘소에 안장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中山世譜」全文テキストデータベース
http://www.tulips.ts[...]
[2]
웹사이트
http://ir.lib.u-ryuk[...]
2021-02-16
[3]
서적
Ryūkyū-shi bunka ron
Kasama Shoin 笠間書院
[4]
서적
Ryūkyū no rekishi to bunka: "Omoro Sōshi" no sekai
Kadokawa Gakugei Shuppan 角川学芸出版
[5]
서적
Yakuchū Chūzan Seikan
Yōju Shorin 榕樹書林
[6]
서적
Ryūkyū bukkyō shi no kenkyū
Yōju Shorin 榕樹書林
[7]
서적
Ryūkyū to Okinawa no meishō no hensen
Ryūkyū Shimpōsha 琉球新報社
[8]
웹사이트
沖縄の歴史 舜天・英祖王統
http://www.okinawain[...]
[9]
간행물
琉球国王の神号と『おもろさうし』
https://hdl.handle.n[...]
琉球大学法文学部
2005-03
[10]
문서
恩金松兼王とも
[11]
문서
東江長太郎「古琉球三山由来記集」(1989年) 那覇出版社、通俗琉球北山由来記の系譜
[12]
뉴스
令和四年二月二十日、二十七日、三月六日、八重山日報、談話連載「小チャイナと大世界」
https://www.shimbun-[...]
[13]
서적
古代王権の誕生 Ⅰ 東アジア編
角川書店
[14]
문서
沖縄門中大辞典・那覇出版社
[15]
간행물
琉球と沖縄という名称の由来
https://www.gakushik[...]
학사회
2012-03
[16]
웹인용
http://ir.lib.u-ryuk[...]
2021-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