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과 (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과(filtration)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범주론, 대수학, 선형대수학, 측도론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정의된다. 범주론에서는 부분 대상의 순서 집합이나 몫 대상의 집합을 사용하여 오름 여과, 내림 여과, 쌍대 여과 등을 정의하며, 대수학에서는 환 위의 가군이나 대수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선형대수학에서는 벡터 공간의 부분 공간들의 증가 수열을, 측도론(확률론)에서는 시그마 대수의 증가하는 수열을 여과로 정의하며, 확률 과정 및 금융 공학에서 정보의 흐름을 모델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확률 과정 - 마르코프 연쇄
    마르코프 연쇄는 현재 상태가 주어졌을 때 과거와 미래 상태가 독립적인 확률 변수 순서열로, 시간 동질성, 상태 공간 유형, 시간 매개변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는 확률적 모델링 방법이다.
  • 확률 과정 - 브라운 운동
    브라운 운동은 액체나 기체 속 미세 입자가 매질 분자와 충돌하여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아인슈타인과 스몰루호프스키의 이론적 설명과 페랭의 실험적 검증을 통해 원자 존재 입증에 기여했으며, 확산/랑주뱅 방정식으로 모델링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추상대수학 - 직교
    직교는 수학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기하학적 개념에서 시작하여 내적 공간의 벡터 내적이 0이거나 가군과 쌍대 가군의 원소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성립하며, 직교 집합, 직교 기저, 직교 여공간 등의 구조를 정의하고 푸리에 급수,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뿐 아니라 컴퓨터 과학, 통계학, 법률, 예술 등에서도 독립적인 요소나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추상대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확률론 - 확률 밀도 함수
    확률 밀도 함수는 연속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로, 특정 구간에서 확률 변수가 값을 가질 확률은 해당 구간에 대한 함수의 적분으로 계산되며, 통계적 특성 계산 및 변수 변환 등에 활용되어 불확실성 모델링 및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확률론 - 체비쇼프 부등식
    체비쇼프 부등식은 확률 변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확률의 상한을 제공하는 부등식으로, 이레네-쥘 비네메가 처음 공식화하고 체비쇼프와 안드레이 마르코프에 의해 일반화 및 증명되었으며, 확률론적 표현 외에도 측도 공간에 대한 명제로 확장될 수 있다.
여과 (수학)
일반 정보
분야수학
하위 분야실해석학, 확률론
정의
정의부분 순서 집합에서 인덱스된 시그마 대수열
관련 개념
관련 개념확률 공간, 확률 변수, 마르팅게일

2. 정의

범주 \mathcal C의 대상 X\in\mathcal C이 주어졌을 때, 그 위의 부분 대상의 부분 순서 집합 \operatorname{Sub}(X)를 정의할 수 있다.

전순서 집합 I에 대하여, X 위의 I-여과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전순서 집합 (I,\le)
  • 순서 보존 함수 I\to\operatorname{Sub}(X), i\mapsto X_i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varinjlim_{i\in I}X_i=X

흔히 I의 경우 자연수의 전순서 집합 (\mathbb N,\le)이 사용된다.

2. 1. 오름 여과와 내림 여과

범주 \mathcal C의 대상 X\in\mathcal C이 주어졌을 때, 그 위의 부분 대상의 부분 순서 집합 \operatorname{Sub}(X)를 정의할 수 있다.

전순서 집합 I에 대하여, X 위의 I-'''오름 여과'''(ascending filtration영어)는 다음 데이터로 주어진다.

  • 전순서 집합 (I,\le)
  • 순서 보존 함수 I\to\operatorname{Sub}(X), i\mapsto X_i.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varinjlim_{i\in I}X_i=X

X 위의 I-'''내림 여과'''(descending filtration영어)는 I^{\operatorname{op}}-오름 여과와 같다.

흔히 I의 경우 보통 자연수의 전순서 집합 (\mathbb N,\le)이 사용된다.

2. 2. 쌍대 여과

몫 대상의 집합 \operatorname{Quot}(X)을 사용하면 '''쌍대 여과'''(cofiltration영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반대 범주 \mathcal C^{\operatorname{op}}에서의 여과와 같다.

3. 예

여과는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 집합: 집합의 극대 여과는 집합의 정렬과 같다. 예를 들어, 여과 \{0\} \subseteq \{0,1\} \subseteq \{0,1,2\}는 정렬 (0,1,2)에 해당한다.
  • 파레이 수열은 집합 여과의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
  • 선형대수학에서 원소 1개짜리 체 위의 벡터 공간을 집합으로 간주할 때, 집합의 극대 여과는 집합의 정렬과 같으며, 이는 원소 1개짜리 체 위의 벡터 공간에서의 극대 깃발에 해당한다.
  • 대수: , , 가군에서의 여과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 측도론 (확률론): 측도론과 확률 과정 이론에서 여과는 가측 공간에 대한 증가하는 시그마 대수들의 수열이다. 수리 금융에서 여과는 각 시간 t까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5]

3. 1. 집합

집합의 극대 여과는 집합의 정렬(즉, 순열)과 같다. 예를 들어, 여과 \{0\} \subseteq \{0,1\} \subseteq \{0,1,2\}는 정렬 (0,1,2)에 해당한다.

3. 1. 1. 파레이 수열

파레이 수열은 집합 여과의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

3. 1. 2. 원소 1개짜리 체

선형대수학에서 원소 1개짜리 체 위의 벡터 공간을 집합으로 간주할 때, 집합의 극대 여과(maximal filtration)는 집합의 정렬(ordering), 즉 순열과 같다. 예를 들어 여과 \{0\} \subseteq \{0,1\} \subseteq \{0,1,2\}는 정렬 (0,1,2)에 해당한다. 이는 원소 1개짜리 체 위의 벡터 공간에서의 극대 깃발(벡터 공간에서의 여과)에 해당한다.

3. 2. 대수

가환환 R 위의 결합 대수 AR-가군으로서의 \mathbb N-올림 여과

:A_0\subseteq A_1\subseteq\cdots A_\infty=A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여과가 결합 대수 구조와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고 가정한다.

:A_iA_j\subseteq A_{i+j}\qquad\forall i,j\in\mathbb N

(특히, 1_A\in A_0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R-등급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6]

:\operatorname{gr}A=A_0\oplus\bigoplus_{i\in\mathbb N}\frac{A_{i+1}}{A_i}

그 위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a+A_i)(b+A_j)=ab+A_{i+j}\qquad\forall i,j\in\mathbb N,\;a\in A_{i+1},\;b\in A_{j+1}

:(a+A_i)b=ab+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b(a+A_i)=ba+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이 경우

:1_{\operatorname{gr}A}=1_A

이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결합 대수 사상

:A\to\operatorname{gr}A

:a\mapsto a+A_{i-1}\qquad\forall a\in A_i

을 '''기호 사상'''(symbol map영어)이라고 한다.[6]

, , 가군에서의 여과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2. 1. 군

대수학에서 군의 여과는 자연수 집합 \mathbb{N}으로 집합화된 정규 부분군들의 중첩된 수열 G_n이다 (즉, 모든 n에 대해 G_{n+1} \subseteq G_n).

G와 여과 G_n이 주어지면, 여과에 ''연관된'' G위상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위상의 기저는 여과에 나타나는 부분군의 모든 잉여류 집합이다. 즉, a \in G이고 n이 자연수인 형태의 집합 aG_n의 합집합이면 G의 부분 집합은 열린 집합으로 정의된다.

G의 여과와 관련된 위상은 G위상군으로 만든다.

G의 여과 G_n에 관련된 위상은 \bigcap G_n=\{1\}인 경우에만 하우스도르프이다.

두 개의 여과 G_nG'_n이 군 G에 정의된 경우, G에서 G로의 항등 사상은 첫 번째 복사본 GG_n-위상이 주어지고 두 번째 복사본에는 G'_n-위상이 주어질때, 모든 n에 대해 G_m \subseteq G'_n이 되도록 하는 m이 있는 경우에만 연속적이다. 즉, 항등 사상이 1에서 연속적인 경우에만 연속적이다. 특히, 두 여과는 한쪽에 나타나는 모든 부분군에 다른 쪽에 나타나는 더 작거나 같은 부분이 있는 경우에만 동일한 위상을 정의한다.

3. 2. 2. 환과 가군

R 위의 왼쪽 가군 _RM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mathbb N-감소 여과가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M=M_0\supseteq M_1\supseteq M_2\cdots M

이 경우, M에는 기저로 정의되는 자연스러운 위상이 부여될 수 있다.

:\left\{

m+M_i\colon i\in\mathbb N,\;m\in M\right\}

이 위상이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은 다음과 같다.

:\bigcap_{i\in\mathbb N}M_i=\{0\}

특히, R의 양쪽 아이디얼 \mathfrak i가 주어졌을 때, 다음 여과에 대응되는 위상을 '''\mathfrak i진 위상'''(\mathfrak i-adic topology영어)이라고 한다.

:M_i=\mathfrak i^iM

이는 대수기하학에서 사용된다.

RR-가군 M이 주어졌을 때, M의 ''내림 여과''는 부분 가군 M_n의 감소 수열이다. 이는 군에 대한 개념의 특수한 경우이며, 부분군이 부분 가군이어야 한다는 추가 조건이 있다. 연관된 위상은 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I-아딕 위상 (J-아딕 위상 등)은 중요한 특수한 경우로 알려져 있다. R가환환으로, IR의 아이디얼이라고 할 때, R-가군 M의 부분 가군 수열 I^n MM의 여과를 형성한다(''I-아딕 여과''). M에 대한 ''I-아딕 위상''은 이 여과와 관련된 위상이다. M이 환 R 자체라면, R에 대한 ''I-아딕 위상''을 정의한 것이다.

RI-아딕 위상이 주어지면, R위상환이 된다. R-가군 MI-아딕 위상이 주어지면, R에 주어진 위상에 상대적으로 위상 R-가군이 된다.

RR-가군 M이 주어졌을 때, M의 ''상승 여과''는 부분 가군 M_n의 증가 수열이다. R이 체일 경우, R-벡터 공간 M의 상승 여과는 M의 벡터 부분 공간의 증가 수열이다. 깃발은 이러한 여과의 중요한 한 부류이다.

3. 2. 3. 결합 대수

가환환 R 위의 결합 대수 AR-가군으로서의 \mathbb N-올림 여과

:A_0\subseteq A_1\subseteq\cdots A_\infty=A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R-결합 대수로서의 여과가 아닐 수 있다.) 이 여과가 결합 대수 구조와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고 하자.

:A_iA_j\subseteq A_{i+j}\qquad\forall i,j\in\mathbb N

(특히, 1_A\in A_0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R-등급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6]

:\operatorname{gr}A=A_0\oplus\bigoplus_{i\in\mathbb N}\frac{A_{i+1}}{A_i}

그 위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a+A_i)(b+A_j)=ab+A_{i+j}\qquad\forall i,j\in\mathbb N,\;a\in A_{i+1},\;b\in A_{j+1}

:(a+A_i)b=ab+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b(a+A_i)=ba+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이 경우

:1_{\operatorname{gr}A}=1_A

이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결합 대수 사상

:A\to\operatorname{gr}A

:a\mapsto a+A_{i-1}\qquad\forall a\in A_i

을 '''기호 사상'''(symbol map영어)이라고 한다.[6]

3. 2. 4. 여과 대수

가환환 R 위의 결합 대수 A가 주어졌으며, 그 위에 R-가군으로서의 \mathbb N-올림 여과

:A_0\subseteq A_1\subseteq\cdots A_\infty=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나 이는 R-결합 대수로서의 여과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이 여과가 결합 대수 구조와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고 하자.

:A_iA_j\subseteq A_{i+j}\qquad\forall i,j\in\mathbb N

(특히, 1_A\in A_0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R-등급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6]

:\operatorname{gr}A=A_0\oplus\bigoplus_{i\in\mathbb N}\frac{A_{i+1}}{A_i}

그 위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a+A_i)(b+A_j)=ab+A_{i+j}\qquad\forall i,j\in\mathbb N,\;a\in A_{i+1},\;b\in A_{j+1}

:(a+A_i)b=ab+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b(a+A_i)=ba+A_i\quad\forall i\in\mathbb N,\;a\in A_{i+1},\;b\in A_0

이 경우

:1_{\operatorname{gr}A}=1_A

이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결합 대수 사상

:A\to\operatorname{gr}A

:a\mapsto a+A_{i-1}\qquad\forall a\in A_i

을 '''기호 사상'''(記號寫像, symbol map영어)이라고 한다.[6]

3. 3. 벡터 공간

선형대수학에서, K 위의 벡터 공간 V의 오름 여과

:V_0\subseteq V_1\subseteq\cdots\subseteq V

에서, 만약 모든 포함 관계가 자명하지 않다면, 즉

:V_0\subsetneq V_1\subsetneq\cdots

이라면, 이를 '''기'''(flag영어)라고 한다.

3. 4. 측도론 (확률론)

측도론과 확률 과정 이론에서 여과는 가측 공간에 대한 증가하는 시그마 대수들의 수열이다. 즉, 가측 공간 (\Omega, \mathcal{F})가 주어졌을 때, 여과는 각 t가 음이 아닌 실수이고 \mathcal{F}_{t} \subseteq \mathcal{F}를 만족하는 \sigma-대수 \{ \mathcal{F}_{t} \}_{t \geq 0}의 수열이다.

:t_{1} \leq t_{2} \implies \mathcal{F}_{t_{1}} \subseteq \mathcal{F}_{t_{2}}.

"시간" ''t''의 정확한 범위는 문맥에 따라 달라지며, t의 값 집합은 이산적이거나 연속적이며, 유계 또는 비유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 \in \{ 0, 1, \dots, N \}, \mathbb{N}_{0}, [0, T] \mbox{ 또는 } [0, + \infty).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과된 확률 공간''' ('''확률적 기저'''라고도 함) \left(\Omega, \mathcal{F}, \left\{\mathcal{F}_{t}\right\}_{t\geq 0}, \mathbb{P}\right)\sigma-대수 \mathcal{F}의 여과 \left\{\mathcal{F}_t\right\}_{t\geq 0}가 있는 확률 공간이다. 여과된 확률 공간이 완비이고 우연속인 경우 ''일반적인 조건''을 만족한다고 한다.

비유계 인덱스 집합의 경우, \mathcal{F}_{\infty}\mathcal{F}_{t}의 무한 합집합에 의해 생성된 \sigma-대수로 정의하는 것도 유용하며, 이는 \mathcal{F}에 포함된다.

:\mathcal{F}_{\infty} = \sigma\left(\bigcup_{t \geq 0} \mathcal{F}_{t}\right) \subseteq \mathcal{F}.

''σ''-대수는 측정될 수 있는 사건의 집합을 정의하며, 이는 확률 맥락에서 구별될 수 있는 사건, 즉 "시간 t에 답할 수 있는 질문"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과는 정보의 획득 또는 손실을 통해 측정될 수 있는 사건 집합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수리 금융에서 여과는 각 시간 t까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며, 주식 가격의 변동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수록 점점 더 정확해진다(측정 가능한 사건의 집합은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함)는 예시가 있다.[5]

3. 4. 1. 멈춤 시간

\left(\Omega, \mathcal{F}, \left\{\mathcal{F}_{t}\right\}_{t\geq 0}, \mathbb{P}\right)를 여과된 확률 공간이라고 하자. 모든 t\geq 0에 대해 \{\tau \leq t\} \in \mathcal{F}_t이면, 여과 \left\{\mathcal{F}_{t}\right\}_{t\geq 0}에 대한 멈춤 시각 \tau : \Omega \rightarrow [0, \infty]이다.

멈춤 시각 \sigma-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5]

:\mathcal{F}_{\tau} := \{A\in\mathcal{F} \vert \forall t\geq 0 \colon A\cap\{\tau \leq t\}\in\mathcal{F}_t\}.

\mathcal{F}_{\tau}\sigma-대수임을 보이는 것은 어렵지 않다.

\mathcal{F}_{\tau} 집합은 여과된 확률 공간이 무작위 실험으로 해석될 때, 무작위 시간 \tau까지 실험을 임의로 반복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정보가 \mathcal{F}_{\tau}라는 의미에서 ''무작위'' 시간 \tau까지의 정보를 담고있다.[5] 특히, 기초 확률 공간이 유한하면(즉, \mathcal{F}가 유한하면), \mathcal{F}_{\tau}의 최소 집합(집합 포함 관계와 관련하여)은 \{\tau = t\} 에 있는 \mathcal{F}_{t}의 최소 집합들의 모든 t\geq 0에 대한 합집합으로 주어진다.[5]

\tau\mathcal{F}_{\tau}에서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sigma(\tau) \neq \mathcal{F}_{\tau}임을 보여주는 간단한 예가 있다.[5] 만약 \tau_ 1\tau_ 2\left(\Omega, \mathcal{F}, \left\{\mathcal{F}_{t}\right\}_{t\geq 0}, \mathbb{P}\right) 위의 멈춤 시각이고, \tau_1 \leq \tau_2 거의 확실히라면, \mathcal{F}_{\tau_1} \subseteq \mathcal{F}_{\tau_2}이다.

참조

[1] 서적 Arbitrage Theory in Continuous Time
[2] 웹사이트 Stochastic Processes: A very simple introduction http://medvegyev.uni[...] 2009-01
[3] 서적 Probabilities and Potential Elsevier
[4] 웹사이트 Filtrations and Adapted Processes http://almostsure.wo[...] 2009-11-08
[5] 논문 On simple representations of stopping times and stopping time sigma-algebras
[6] 서적 Heat kernels and Dirac operators http://www.springer.[...] Springer-Verlag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