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바깥요도조임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 바깥요도조임근은 오줌이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근육으로, 몸신경계의 지배를 받아 소변을 수의적으로 조절한다. 오누프핵에서 시작하여 척수신경 S2-S4를 통과하는 음부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배뇨 시 다리뇌배뇨중추의 신호에 의해 이완된다.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요실금 방지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유류암컷생식계 - 황체
황체는 월경 또는 발정 주기의 황체기에 난포에서 생성되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 자궁내막을 유지하고 임신을 준비하며, 수정 여부에 따라 백색체로 퇴축하거나 임신황체로 유지되는 구조물이다. - 포유류암컷생식계 - 방사관
- 비뇨계 - 오줌
오줌은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여 생성되는 액체 노폐물로, 체내 수용성 노폐물 배출과 삼투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강 상태 지표가 될 수 있는 색깔, 냄새, pH, 비중 등을 가진다. - 비뇨계 - 방광
방광은 골반저에 위치하여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속이 빈 근육 기관으로, 요관과 요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뇨근으로 팽창과 수축을 하고, 뇌간의 배뇨 중추에 의해 배뇨가 조절된다. - 몸통 근육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몸통 근육 - 갈비사이근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가장 안쪽 갈비사이근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흡기와 날숨을 돕고 늑간신경과 늑간 동맥의 지배 및 공급을 받으며 사각근 또한 일부로 분류되어 흡기에 관여한다.
여성 바깥요도조임근 | |
---|---|
근육 정보 | |
이름 | 여성 바깥요도조임근 |
라틴어 이름 | musculus sphincter urethrae externus urethrae femininae |
신경 | 음부신경을 통한 S2-S4 몸신경 섬유 |
작용 | 요도와 질을 수축시켜 오줌 배설을 막음, 요실금 유지 |
해부학 용어 (TA) | A09.5.03.006F (여성), A09.5.03.005F |
기능적 근육 해부학 (FMA) | 30439 (여성), 30438 |
그림 | |
![]() | |
![]() |
2. 기능
바깥요도조임근은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소변이 새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5][7][10] 속요도조임근과는 달리 몸신경계의 통제를 받으므로, 자신의 의지에 따라 근육을 수축시켜 소변 배출을 막을 수 있다.[15] 이러한 수의적인 조절 능력은 요실금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7][10]
배뇨 과정은 바깥요도조임근을 의도적으로 이완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15] 이 이완 과정은 다리뇌배뇨중추에서 시작된 신호가 특정 신경 경로를 통해 전달되어 조절된다.[15]
2. 1. 신경 지배
바깥요도조임근은 오누프핵에서 시작하여 천골신경 S2-S4를 통과해 온 음부신경의 지배를 받는다.[15][7][10] 이 음부신경은 몸신경계에 속하며, 근육에 시냅스하여 바깥요도조임근을 긴장시켜 수축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변이 새는 것을 막는다.[15][7][10] 이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요도조임근과 달리,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소변이 나가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15]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을 의식적으로 이완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15] 이 과정은 다리뇌 배뇨 중추에서 발생한 신호가 내림그물척수신경로를 통해 전달되어 오누프핵에 있는 몸신경계 뉴런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15]
2. 2. 배뇨 과정
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의 수의적인 이완으로 시작된다. 이는 다리뇌배뇨중추에서 발생하여 내림그물척수신경로(descending reticulospinal tract)를 통해 이동하는 신호가 오누프핵에 있는 몸신경계 뉴런을 억제하면서 촉진된다. 이 억제 작용으로 인해 바깥요도조임근이 이완되면서 소변 배출이 가능해진다.참조
[1]
서적
Gross Anatomy (Board Review)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
논문
Anatomical path of the tension-free vaginal tape: reassessing current teachings
[3]
논문
The axial location of structural regions in the urethra: a magnetic resonance study in nulliparous women
[4]
Terminologia Anatomica
[5]
FMA
[6]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7]
논문
Clinical and Functional Anatomy of the Urethral Sphincter
2012-09
[8]
Terminologia Anatomica
[9]
FMA
[10]
논문
Continence and micturition: An anatomical basis
http://pure-oai.bham[...]
2014-11
[11]
서적
Gross Anatomy (Board Review)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
논문
Anatomical path of the tension-free vaginal tape: reassessing current teachings
[13]
논문
The axial location of structural regions in the urethra: a magnetic resonance study in nulliparous women
[1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5]
논문
Clinical and Functional Anatomy of the Urethral Sphincter
20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