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의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영등포 일대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포함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광복 이후 서울시 영등포구의 여의도동으로 변경되었다가 198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교육 시설, 주거 시설, 기업체, 종교 시설, 외교 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있으며, 대한민국 국회, KBS, MBC 본사, 63빌딩, 여의도 한강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며, 여의대로, 의사당로 등의 주요 도로와 지하철 5호선, 9호선, 버스 노선 등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동 - 영등포동
영등포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영등포본동의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되며,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울영원초등학교, 영원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지나간다.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동 - 문래동
문래동은 서울 영등포구의 법정동으로, 과거 철공소 밀집 지역이었으나 2000년대 이후 예술가들이 유입되어 산업 유산과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 중심지로 변화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문래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 구역 - 영등포동
영등포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영등포본동의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되며,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울영원초등학교, 영원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지나간다.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 구역 - 대림동 (서울)
대림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신대동과 신도림동의 글자를 합쳐 이름을 지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과 7호선 대림역이 위치해 있다. - 여의도 - 63빌딩
63빌딩은 1985년 완공된 대한민국의 초고층 빌딩으로, 한때 아시아 최고 높이였으며 현재는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다양한 시설과 문화 콘텐츠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 여의도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여의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여의동 |
한자 표기 | 汝矣洞 |
로마자 표기 | Yeoui-dong |
맥큔-라이샤워 표기 | Yŏŭi-dong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
자치구 | 영등포구 |
면적 | 8.40 km² |
인구 | 32,967 명 (2022년 2월 기준) |
세대 | 12,508 세대 (2012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밀도 | 3542.38 명/km² (2001년 기준) |
행정 정보 | |
법정동 | 여의도동 |
통 | 43 |
반 | 361 |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24 |
주민센터 홈페이지 | 여의동 주민센터 |
사진 | |
![]() |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두산백과 여의도동 |
유래 | 영등포구청 여의도동 유래 |
2. 역사
여의도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시대 | 행정 구역 |
---|---|
고구려 | 잉벌노(지금의 영등포 및 금천현 일대)[10] |
조선 | 한성부 성저십리 여의도 및 율도 |
1910년 10월 1일 | 경기도 경성부 연희면 여의도 및 서강면 율도 |
1914년 4월 1일 |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11] |
1936년 4월 1일 | 경기도 경성부 여의도정[12] |
1936년 7월 23일 | 경기도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여의도정 |
1943년 6월 10일 | 경기도 경성부 영등포구 여의도정 |
1945년 8월 15일 | 경기도 서울부 영등포구 여의도정 |
1946년 8월 15일 | 경기도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1946년 9월 28일 |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여의도동[13] |
1949년 8월 15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1971년 10월 10일 | 행정동 여의도동 신설 |
1980년 7월 1일 | 여의도동에서 여의동으로 개칭 |
2. 1. 고구려와 조선시대
고구려 시대에는 잉벌노(지금의 영등포 및 금천현 일대)에 속했다.[10]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했으며, 여의도와 율도가 포함되었다.2. 2.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경기도 경성부 연희면 여의도 및 서강면 율도로 편입되었다.[10]1914년 4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로 변경되었다.[11]
1936년 4월 1일: 경기도 경성부 여의도정이 되었고[12], 같은 해 7월 23일 영등포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영등포구 여의도정이 되었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경기도 서울부 영등포구 여의도정이 되었다.[13] 1946년 8월 15일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으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9월 28일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으로 변경되었다.[13]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이 되었다. 1971년 10월 10일 행정동 여의도동이 신설되었다. 1980년 7월 1일 여의도동에서 여의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시설
여의도에는 대한민국 국회, 문화방송(MBC), 한국방송공사(KBS), 63빌딩, 여의도 한강공원, 서울국제금융센터 등 다양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KBS 신관 공개홀은 ''뮤직뱅크''를 비롯한 많은 KBS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및 녹화 장소로 사용된다.[3] 서울국제금융센터는 2011년 IFC 오피스 타워[4], 2012년 8월 IFC몰 서울[5], 2012년 11월 콘래드 서울[6][7]이 차례로 개장하면서 완성되었다.
3. 1. 교육 시설
서울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 서울여의도초등학교, 여의도중학교, 여의도고등학교, 여의도여자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하여 교육 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3. 2. 주거 시설
GS건설의 브라이튼 여의도가 입주 예정이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주거 지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3. 3. 기업체
KBS (한국방송공사), CNTV, 국회방송, 머니투데이방송 (2008년 10월 ~ 현재), 한국HP 등 주요 언론사와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과거 한진해운, LG그룹, 현대상선의 본사도 여의도에 있었다.[8][9]3. 4. 종교 시설
여의도순복음교회, 메라부처님불교상절 등이 있다.3. 5. 외교 시설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 주한 콩고 민주 공화국 대사관 등 외국 공관이 위치해 있다.4. 명소
여의도에는 대한민국 국회, 문화방송(MBC), 한국방송공사(KBS), 63빌딩, 여의도 한강공원, 서울국제금융센터, 여의도순복음교회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3][4][5][6][7]
4. 1. 주요 시설
여의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이 있다.- 대한민국 국회
- 문화방송(MBC) 본사
- 한국방송공사(KBS) 본사 및 신관 공개홀 - KBS 신관 공개홀은 많은 KBS 프로그램의 방송 및 녹음 스튜디오이며, 특히 관객이 참여하는 주간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인 ''뮤직뱅크''의 녹화 장소로 사용된다.[3]
- 63빌딩
- 서울국제금융센터
- IFC 오피스 타워 - 2011년 개장[4]
- IFC몰 서울 - 2012년 8월 개장[5]
- 콘래드 서울 - 2012년 11월 12일 개장[6][7]
- 여의도순복음교회
4. 2. 복합 시설
서울국제금융센터(IFC)는 오피스 타워, IFC몰 서울, 콘래드 서울 호텔 등으로 구성된 복합 시설이다. IFC몰 서울은 2012년 8월에 개장했고,[5] 콘래드 서울은 2012년 11월 12일에 개장했다.[6][7]4. 3. 공원
여의도 한강공원은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5. 교통
여의도는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며, 여의대로, 의사당로, 여의서로, 여의동로, 국제금융로, 여의대방로 등의 도로가 있다. 여의도환승센터에서 다양한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여의나루역)과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샛강역)이 지난다.
5. 1. 교량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5. 2. 도로
5. 3. 대중교통
여의도환승센터를 통해 다양한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여의나루역)과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샛강역)이 지난다.참조
[1]
웹사이트
여의도동 (Yeouido-dong 汝矣島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0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Yeouido-dong
http://www.ydp.go.kr[...]
Yeongdeungpo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0
[3]
웹사이트
How to apply for K-Pop Music Shows
http://english.visit[...]
2012-06-03
[4]
뉴스
12 reasons to visit Korea in 2012
http://travel.cnn.co[...]
2013-03-25
[5]
뉴스
IFC Mall opens in Seoul
http://www.cnngo.com[...]
2012-10-15
[6]
뉴스
Conrad Hotel to Open in Seoul This Winter
http://english.chosu[...]
2013-03-25
[7]
뉴스
Conrad Seoul opens in Korea: For business travelers sick of competing for hotel rooms with tourists
http://travel.cnn.co[...]
2013-03-25
[8]
웹사이트
Company Info
http://www.hanjin.co[...]
2008-11-19
[9]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lg.com/gl[...]
2010-01-06
[10]
서적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경기도 고시 제32호
1936-03-23
[13]
법률
군정법률 제106호 서울특별시의설치
1946-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