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 시장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1896년 인천미두취인소 개설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변천을 거쳐 200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코스피, 코스닥, 파생상품 시장의 운영, 상장, 공시, 시장 감시, 청산결제 등이며,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을 거래한다. 2005년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했으나, 서울 재이전 논란, 공공기관 지정 해제 논란,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경쟁 등 여러 사건과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증권거래소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증권거래소 - 한국증권거래소
1956년 대한증권거래소로 시작한 한국증권거래소는 주식회사 전환과 특수법인 설립, 여의도 이전을 거쳐 2005년 코스닥과 합병하여 한국거래소(KRX)로 통합된, 증권 및 장내파생상품의 공정한 가격 형성과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특수법인이다. - 한국거래소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한국거래소 - 코스닥협회
코스닥협회는 코스닥 시장 발전과 상장 법인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코스닥 기업 경쟁력 강화, 시장 분석 보고서 발간, 교육, 사회공헌 활동, 취업박람회 개최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기술보증기금법에 따라 기술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기관으로,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지원 및 기술 혁신 촉진을 주요 역할로 한다.
한국거래소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한국거래소 |
로마자 표기 | Hanguk Georaeso |
한자 표기 | 韓國去來所 |
영문 명칭 | Korea Exchange |
약칭 | KRX |
설립일 | 1956년 (실질적 출범: 2005년 1월 27일) |
설립 형태 | 주식회사 |
본사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 (BIFC)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6 (여의도동) |
통화 | 대한민국 원 |
주요 상품 | 증권, 파생상품 |
주요 인물 | |
이사장 | 손병두 |
CEO | 손병두 |
시장 정보 | |
상장 종목 수 | 2,445 (2021년 5월 기준) |
시가총액 | ₩2,604조 KRW ($2.3조 USD) |
주요 지수 | KOSPI KOSDAQ KRX 100 |
재무 정보 (2015년 기준) | |
자본금 | 100,000,000,000원 |
매출액 | 697,707,060,328원 |
영업 이익 | 106,124,532,741원 |
순이익 | 121,600,939,626원 |
자산 총액 | 6,936,923,908,011원 |
종업원 수 | 783명 |
주주 구성 | |
주요 주주 | 우리투자증권 외 35개사 88.18% |
중소기업진흥공단 | 3.03% |
한국증권금융주식회사 | 2.12% |
한국금융투자협회 | 2.05% |
자기주식 | 4.62% |
자회사 | |
자회사 | 주식회사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한국거래소 공식 웹사이트 한국거래소 글로벌 웹사이트 |
기타 | |
![]() | |
![]() | |
![]() |
2. 설립 근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15]
3. 연혁
4. 설립 과정
1990년대 이후 세계 증권 파생상품 시장은 규제 완화, 기관 투자자 증가, 금융 상품의 증권화, 국제 자본 자유화 등의 요인으로 국제적인 경쟁이 심화되었다.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미국에서는 ATS(대체거래시스템) 및 ECN(전자거래 네트워크)과 같은 소형 거래소들이 등장하여 거래소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러한 경쟁에 대응하여 전 세계 거래소들은 시장 통합, 전략적 제휴, 지분 양도 및 교환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직 형태를 주식회사로 전환하고 기업공개(IPO)도 추진했다.
한국에서도 자본시장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효율적인 시장 구조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증권거래소, 코스닥시장, 선물시장을 단일 운영 주체로 하는 주식회사 형태의 통합 거래소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3년 8월, 정부는 이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증권선물시장 선진화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2004년 1월,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이 제정되었고, 통합 실무 작업을 거쳐 2005년 1월 주식회사 한국증권선물거래소가 출범하였다.[3][11]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은 거래소에 대해 증권선물 관련 법령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법상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도록 했다.
이는 시장 참가권과 소유권이 일치하는 회원제 지배구조에서 시장 참가권과 소유권이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회원제하에서의 거래소 운영의 한계를 보완하고, 세계 주요 거래소의 주식회사 전환 추세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주식회사 형태의 거래소는 증가하는 전산 투자 비용 등 대규모 투자 자금 조달이나 거래소 간 전략적 제휴 추진에 유리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09년 2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한국증권선물거래소'라는 명칭은 현재의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로 변경되었다. 한국거래소는 한국증권거래소(KSE), 한국선물거래소, 코스닥 시장을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에 따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이전 거래소의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 시장은 현재 한국거래소의 사업 부문인 유가증권시장본부, 코스닥시장본부, 파생상품시장본부가 되었다.[3]
5. 조직
한국거래소는 증권거래시장, 코스닥 시장, 파생상품 거래 시장, 경영전략, 시장감시 및 글로벌 IT 비즈니스 부문 등 6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4]
5. 1. 이사장
2024년 2월 금융감독원 원장 출신 정은보 전 원장이 선임됐다.5. 2. 이사회
한국거래소의 이사회는 공익대표와 업계대표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 현재 등기임원으로 등록된 공익대표 사외이사는 강태수 전 한국은행 부총재보, 이희길 전 부산MBC 사장,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전 부원장), 김정훈 UN SDGs 협회 대표,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 등 5명이다. 업계대표는 박현철 부국증권 사장, 이석기 교보증권 사장,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이다.5. 3. 상임감사위원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은 한국거래소 각 시장에 대한 감사업무를 수행한다.5. 4. 경영지원본부
경영지원본부는 한국거래소의 경영 전략 및 장기 비전과 같은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파생상품시장 및 시장감시를 담당하는 각 본부가 유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속 부서는 기획관리부, 미래전략부, 인사총무부, IT전략부, IT관리부, IT서비스TF, 정보사업부, 홍보부 등이다.[14]5. 5. 유가증권시장본부
1956년 유가증권시장이 개장되었다.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POSCO, 한국전력 등 대형 기업들과 채권, ETF(상장지수 펀드), ETN(상장지수증권) 등이 상장되어 있다. 유가증권시장본부는 상장심사, 시장운영, 상장기업 공시관리 및 상장폐지 등 유가증권시장 운영을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소속부서는 주식시장부, 채권시장부, 증권상품시장부, 상장부, 공시부 등이다.[14]5. 6. 코스닥시장본부
1996년 개설된 코스닥시장은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등 유망 벤처 중소기업에게 자금 조달 기회를 제공하며, 2013년 개설된 코넥스(KONEX)시장은 성장 초기 단계에 있는 중소기업을 위한 전용 주식시장이다.[14] 코스닥시장본부는 유가증권시장본부와 마찬가지로 상장심사, 주식시장 운영, 상장기업 공시 관리 및 상장 폐지 업무를 수행한다. 소속 부서는 코스닥시장부, 상장유치부, 상장심사부, 공시부, 코넥스시장부 등이다.[14]5. 7. 파생상품시장본부
파생상품시장본부는 주가지수, 금리, 통화, 개별주식 및 일반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한 선물 및 옵션 등을 거래하는 파생상품시장을 운영한다. 파생상품시장에서 거래되는 대표적 상품으로는 1996년 최초 도입된 코스피 200 선물, 국채선물, 미국 달러선물 등이 있다.[14] 소속부서는 파생상품제도부, 파생상품개발부, 파생상품시장부, 청산결제제도부, 청산결제운영부, 일반상품시장부, 증권·파생상품연구센터 등이다.5. 8. 시장감시위원회
시장감시위원회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증권시장, 파생상품시장에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 행위를 예방 또는 조치하고 회원 및 투자자 간 분쟁을 조정한다. 시장감시위원회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한국거래소 내에 설치되어 시장을 자율적으로 규제하는 기관이다. 주요 업무는 이상거래 종목 적출, 풍문 수집, 지분 변동 신고 접수 등 불공정거래 사전 예방 활동 및 시장에 대한 상시 감시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회원 및 투자자, 회원 상호 간 매매 거래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증권 파생상품 시장 전문가들의 구체적인 상담과 조정 절차도 밟아준다. 소속 부서는 시장감시제도부, 예방감시부, 시장감시부, 심리부, 특별심리부 및 감리부 등이다.[14]5. 9. 청산결제본부
증권시장(유가증권·코스닥·코넥스), 파생상품시장 및 장외파생상품 거래에 따른 청산·결제와 결제불이행 리스크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청산결제본부는 매매기능과 청산결제기능 간 이해상충을 방지하고 자본시장의 리스크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독립된 본부 조직으로 출범하였다.5. 10. 국제사업단
국제사업단은 해외 거래소, 국제기구 및 자본시장 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사업 추진, 정보 교환 및 해외 홍보 등을 담당하며, 시장 시스템의 해외수출, 신흥 증권시장 발전을 위한 지원 업무도 수행한다. 소속 부서는 국제업무부 및 해외사업부 등이다.5. 11. 사무소
한국거래소는 지방 소재 상장기업을 지원하고 유망 기업의 상장 유치, 일반 대중을 위한 증권시장 홍보 및 교육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광주사무소[16], 대구사무소[17]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외에는 중국 기업의 상장 유치 및 업무 지원을 위한 북경사무소[18]가 운영되고 있다.6. 회원/주주
자본시장법에 따라 투자매매업 또는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가 한국거래소(KRX영어)의 회원이 될 수 있다. 회원은 참가 시장 및 매매 가능 금융투자상품 종류에 따라 증권회원, 지분증권전문회원, 채무증권전문회원, 파생상품회원, 주권기초파생상품전문회원으로 구분된다. 2015년 12월 31일 현재 KRX영어의 납입자본금은 1조원이며, 주주는 40개 법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0.07%~5%의 지분을 갖는 증권회사 및 선물회사이다.
6. 1. 회원
자본시장법에 따라 투자매매업 또는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가 한국거래소의 회원이 될 수 있다. 회원은 참가하고자 하는 시장 및 매매거래할 수 있는 금융투자상품의 종류에 따라 증권회원, 지분증권전문회원, 채무증권전문회원, 파생상품회원, 주권기초파생상품전문회원으로 구분된다.6. 2. 주주
2015년 12월 31일 현재 한국거래소의 납입자본금 1조원을 출자하고 있는 주주는 40개 법인으로, 각각 0.07%~5%의 지분을 갖는 증권회사 및 선물회사로 구성되어 있다.7. 주요 업무
한국거래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주식매매거래''': 투자자는 증권회사에 매매거래계좌를 개설하고, 증권회사는 투자자의 주문을 거래소에 제출한다. 거래소는 주문을 모아 매매체결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회원에게 통보한다. 투자자는 매매체결일로부터 3일째 되는 날(T+2)까지 대금 또는 증권을 납부해야 한다.
- 유가증권시장 주식
- 코스닥시장 주식
- 코넥스시장 주식
- '''상장''': 거래소가 정한 요건을 충족한 기업이 발행한 주권을 증권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 '''공시''': 상장법인은 자사 주식 투자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시해야 한다.
- '''ETF 등 매매거래''': ETF(상장지수 펀드)는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ETN(상장지수증권)은 ETF와 유사하지만, 증권회사가 발행하고 만기가 있는 파생결함증권이다.
- '''채권매매거래''': 국채전문유통시장, Repo 시장, 소액채권시장 및 일반채권시장으로 구분하여 운영된다.
- '''파생상품거래''': 주가지수, 금융상품, 상품 선물 등을 거래한다.
- 주가지수 선물: KOSPI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및 옵션 거래 등.
- 금융상품 선물: 변동성 지수선물, 개별 주식종목을 기초로 하는 주식선물 및 옵션, 국채선물, 달러 등 통화 관련 파생상품 시장.
- 상품 선물: 금(Gold)선물, 미니금선물, 돈육선물 등.
- '''탄소배출권 거래''': 기업별로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Cap)을 기준으로, 잉여 배출량을 판매하거나 초과 배출량을 구매할 수 있다.[1]
- '''청산 및 결제''': 매도 및 매수 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모든 매도자에 대해서는 매수자, 모든 매수자에 대해서는 매도자가 되는 중앙거래당사자(CCP) 기능을 한다.
- 장외파생상품 청산서비스: 원화 이자율스왑(IRS) 거래에 대한 의무청산서비스, 달러 이자율스왑 거래에 대한 자율청산서비스 등.
- '''시장감시''': 불공정거래를 감시하고 예방하며, 투자자와 증권회사 간 분쟁 발생 시 중립적인 입장에서 분쟁 해결을 돕는다.[1]
- '''지수발표''': 코스피(KOSPI), KOSPI 200 등 다양한 지수를 발표한다.
7. 1. 주식매매거래
투자자는 거래소 시장에서 매매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증권회사에 매매거래계좌를 개설해야 하며, 투자자로부터 주문을 위탁받은 거래소 회원인 증권회사는 그 주문을 거래소에 제출(호가)한다.거래소는 회원(증권회사)이 제출한 주문을 모두 모아 규정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매매체결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회원에게 통보하고, 회원은 이를 다시 해당 고객에게 통지한다. 투자자는 매매체결된 주문에 대하여 매매체결일로부터 3일째 되는 날(T+2) 회원이 정한 시간까지 주문 처리된 매수대금 또는 매도증권을 해당 증권회사에 납부하여야 한다.
- '''유가증권시장 주식'''
- '''코스닥시장 주식'''
- '''코넥스시장 주식''' 코넥스(KONEX)시장은 설립 초기 단계에 있는 중소기업에게 자금 조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창조경제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고자 2013년 7월 개설된 시장이다.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이 거래소시장에 상장을 원할 경우 주식 공모, 사모, 직상장 등 다양한 진입 방법이 열려있다. 상장 이후에는 정기보고서 제출이 면제되며 수시공시사항도 간소화되어 있다. 법률적으로 사외이사와 상근감사 설치 의무가 면제되는 등 지배구조 부담도 완화되어 있다.
7. 2. 상장
상장은 거래소가 정한 요건을 충족한 기업이 발행한 주권을 증권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한국거래소는 상장된 주권에 대해 그 가치를 보증하지는 않는다. 다만 거래소는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가격이 공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주권 발행기업을 절차에 따라 심사하여 주권을 상장함으로써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며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7. 3. 공시
상장법인은 자사 주식 투자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시해야 한다. 투자자는 기업이 공시하는 정보를 참고하여 자유로운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 결정을 내린다. 공시는 기업과 투자자 간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 증권시장의 공정성을 확보하여 투자자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7. 4. ETF 등 매매거래
'''ETF'''(상장지수 펀드, Exchange Traded Funds영어)는 증권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증권상품이다. 자산운용사들이 발행하는 금융상품으로서 여러 주식에 투자하여 만들어지는 상품이기 때문에 상장지수 집합투자증권이라고도 한다. 펀드의 일종으로서 분산투자 효과와 아울러 한국거래소에 상장되므로 투자와 환금이 편리하여 매매 편의성과 낮은 거래비용의 장점이 있다.'''ETN'''(상장지수증권, Exchange Traded Notes영어)은 ETF와 유사하게 기초지수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한 상품인데 증권회사가 발행하고 1년에서 20년까지 만기가 있는 파생결함증권이다. ETF와 ETN은 모두 인덱스 상품으로 경제적인 실체는 동일하나 발행자, 신용위험, 만기, 기초자산 운용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7. 5. 채권매매거래
한국거래소 채권시장은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 모두 참여가 가능하다. 국채전문유통시장, Repo 시장, 소액채권시장 및 일반채권시장으로 구분하여 운영된다.7. 6. 파생상품거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은 주가지수, 금융상품, 상품 선물 등을 거래한다.- 주가지수 선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200개 종목의 주가로 산출되는 KOSPI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및 옵션 거래이다. KOSPI200 섹터지수선물과 코스닥 상장 종목을 기초로 하는 '스타지수' 선물도 거래된다.
- 금융상품 선물: KOSPI200의 변동성을 기초로 하는 변동성 지수선물, 개별 주식종목을 기초로 하는 주식선물 및 옵션, 국채선물, 달러 등 통화 관련 파생상품 시장이 있다.
- 상품 선물: 금(Gold)선물, 미니금선물, 돈육선물이 주요 상품(Commodity)선물이다.
7. 7. 탄소배출권 거래
정부는 2014년 1월 15일 한국거래소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소로 지정하였고, 배출권 시장은 2015년 1월에 개설되었다.[1] 배출권 시장에서는 기업별로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Cap)을 기준으로, 기업의 배출량이 적을 경우 잉여 배출량을 시장에서 팔 수 있고, 배출 허용량보다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한 배출량만큼을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1] 배출량 거래 제도는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기업의 녹색 기술 개발 유인을 극대화하는 장치이다.[1] 탄소 배출권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시장 참가자는 배출권이 할당되는 기업체,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 공적 금융 기관 및 정부이다.[1] 일반 개인 투자자는 매매 거래에 참여할 수 없다.[1]7. 8. 청산 및 결제
청산(淸算, Clearing)은 매도 및 매수 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모든 매도자에 대해서는 매수자, 모든 매수자에 대해서는 매도자가 되는 중앙거래당사자(CCP, Central Counterparty)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청산은 CCP의 지위에서 매도자, 매수자 간 채권 채무를 차감하여 확정하고 결제기관에 결제지시를 하며 결제이행을 보증한다. 결제(Settlement)는 청산을 통해 확정된 채권 채무를 증권 인도 및 대금 지급의 방법으로 이행하여 매매거래를 종결시키는 절차이다.- '''장외파생상품 청산서비스''' 2013년 9월, 한국거래소는 국내 최초로 장외파생상품 청산기관 인가를 정부로부터 취득함에 따라 2014년 6월부터 장외파생상품의 하나인 원화 이자율스왑(IRS, Interest Rate Swap) 거래에 대한 의무청산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16년 12월부터는 달러 이자율스왑 거래에 대한 자율청산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7. 9. 시장감시
한국거래소의 시장감시위원회는 불공정거래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거래에 대해 해당 투자매매업자(증권회사)에 예방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투자매매업자가 자체적으로 불공정거래 방지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위원회는 시세조종, 미공개정보이용, 단기매매차익 등 불공정거래를 신고할 수 있는 불공정거래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1]거래소는 시장에서 유가증권의 가격 또는 거래량에 현저한 변동을 가져온 거래, 유가증권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시, 풍문, 보도 등과 관련하여 불공정매매 혐의가 있는 거래를 조사하는 심리활동을 한다. 또한 투자매매업자 및 투자중개업자 등 회원의 의무이행 및 업무관련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감리업무도 수행한다.[1]
투자자와 증권회사 또는 선물회사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시장감시위원회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투자자들이 신속하게 비용 부담 없이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분쟁 해결을 돕는다. 분쟁조정대상은 시장에서 매매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권리의무 또는 이해관계에 관한 분쟁이며, 위원회의 조정안을 당사자들이 수락하면 민법상 화해계약의 효력이 발생한다.[1]
7. 10. 지수발표
한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는 코스피(KOSPI)이다. KOSPI 200은 대표적인 우량주(블루칩) 지수로서 선물, 옵션, ETF, 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의 기초지수로 이용된다. 한국거래소는 1964년 수정주가평균식 주가지수를 발표한 이후 현재까지 주가지수, 채권지수, 파생상품지수, 전략형지수 등 다양한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2014년 말 현재 총 130여 종의 지수를 산출하고 있으며,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의 규모는 약 15조원 규모이다.8. 거래 시간
한국거래소의 정규 거래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이다.[8] 장 시작 전 시간 외 거래는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까지이며, 장 마감 후 시간 외 거래는 오후 3시 40분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호가는 회원사가 고객을 대신하여 제출하며, 호가 접수 시간에만 거래소에 제출할 수 있다.
세션 | 거래 시간 | 호가 접수 시간 |
---|---|---|
정규장 | 09:00 ∼ 15:30 | 08:30 ∼ 15:30 |
장외거래 세션 (장 시작 전) | 08:00 ∼ 09:00 | 08:00 ∼ 09:00 |
장외거래 세션 (장 마감 후) | 15:40 ∼ 18:00 | 15:30 ∼ 18:00 |
KRX 코스피 시장의 거래일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이며, 다음의 경우에는 거래 및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5]
- 정부 규정에 따른 공휴일 (일요일, 국회의원 선거일 등 포함)
- 근로자의 날 (5월 1일)
- 토요일
- 12월 31일이 공휴일 또는 토요일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12월 31일에 가장 가까운 직전 영업일
- 시장 상황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특정일
9. 상장 상품
한국거래소에는 다음과 같은 상품들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다.[13]
시장 | 상품 |
---|---|
코스피 시장 | 주식, 채권, ETF, ELW, REITs |
코스닥 시장 | 주식 |
파생상품 시장 | 코스피200 선물, 코스타 선물, 코스피200 옵션, 개별 주식 선물, 주식 옵션, 3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5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10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USD/KRW 선물, JPY/KRW 선물, EUR/KRW 선물, USD/KRW 옵션, 금 선물, 금 미니 선물, 돼지고기 앞다리살 선물 |
9. 1. 코스피 시장
코스피 시장에는 다음과 같은 상품들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다.종목 | 종목코드 | 상장일 |
---|---|---|
AJ네트웍스 | 095570 | 2015년 8월 |
AJ렌터카 | 068400 | 2012년 7월 |
AK홀딩스 | 006840 | 1999년 8월 |
BGF리테일 | 027410 | 2014년 5월 |
BNK금융지주 | 138930 | 2011년 3월 30일 |
BYC | 001460 | 1975년 6월 2일 |
CJ | 001040 | 1973년 6월 |
CJ CGV | 079160 | 2004년 12월 24일 |
CJ대한통운 | 000120 | 1956년 7월 2일 |
CJ씨푸드 | 011150 | 1988년 11월 |
코스피 시장의 상품 구분은 다음과 같다.
- 주식
- 채권
- ETF
- ELW
- REITs
9. 2. 코스닥 시장
주식9. 3. 파생상품 시장
한국거래소(KRX) 파생상품시장(KOFEX)의 상품은 다음과 같다.구분 | 상품 |
---|---|
주가지수 | 코스피200 선물, 코스타 선물, 코스피200 옵션 |
개별 주식 | 개별 주식 선물, 주식 옵션 |
금리 | 3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5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10년 만기 한국국채 선물 |
외환 | USD/KRW 선물, JPY/KRW 선물, EUR/KRW 선물, USD/KRW 옵션 |
원자재 | 금 선물, 금 미니 선물, 돼지고기 앞다리살 선물 |
10. 사건·사고 및 논란
2005년 1월, 한국거래소는 거래소시장, 코스닥시장, 한국증권선물거래소를 통합하면서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했다. 그러나 세종특별자치시 논란과 함께 정치권 등에서 서울 재이전론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19] 한국거래소 단일노조도 본사의 서울 이전을 요구했으며, 경영지원본부와 파생상품시장본부의 업무 효율성 저하 문제가 지적되었다.[19]
2008년 9월, 감사원은 한국증권선물거래소(현 한국거래소)의 방만 경영을 지적하며 공공기관 지정을 권고했으나,[20] 거래소 측은 민영화된 거래소의 공공기관화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다고 반박했다.[20] 2009년 1월, 기획재정부는 한국거래소를 공공기관으로 지정했다.[22] 2014년 2월, 한국거래소 노동조합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를 요구하며, 지정 이후 기획재정부 출신 낙하산 인사가 증가하고 거래소의 글로벌 경쟁력이 하락했다고 주장했다.[27][28]
2007년 11월,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는 탄소배출권 거래소 설립 추진을 발표했다.[29] 이후 서울, 대구, 부산, 광주, 전남, 전북, 경북 등 여러 지역이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경쟁을 벌였다. 2014년 1월,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 녹색성장위원회는 탄소배출권거래소를 한국거래소에 설치하기로 의결했다.[83]
10. 1. 이원화로 인한 비효율성 및 서울 재이전 논란
2005년 1월 한국거래소는 거래소시장·코스닥시장·한국증권선물거래소가 통합하면서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했다. 총 700명의 직원 중 약 300명은 부산에서, 400명 정도는 서울에서 근무하고 있다. 부산 본사에 있는 기획·인사·총무 등 경영지원본부 임원들은 일주일에 평균 두 번 부산과 서울을 오가며, 1년이면 100번 이상 서울과 부산을 왕복한다. 그러나 세종특별자치시 논란 속에 정치권 등에서 서울 재이전론이 제기되면서 한국거래소 직원들은 물론 지역경제계 전체가 혼란을 겪었다. 부산 지역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한국거래소가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한 지 4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한국거래소 본사가 완전히 부산에 안착했다고 받아들이는 지역경제인들은 별로 없다"라며 우려를 표했다.[19]한국거래소의 서울 재이전 문제는 2009년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해 제기되었고, 한국거래소 단일노조도 본사를 부산에서 서울로 이전할 것을 요구하였다. 경영지원본부는 한국거래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므로 외부와의 활발한 소통이 필수적이며, 파생상품시장본부도 선물업체들과의 수시 접촉이 필요하지만 물리적인 거리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19]
한국거래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사장과 각 본부별 의사소통은 '화상회의 장비' 도입으로 개선되었지만, 금융투자업계 인사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는 어렵다"라며 서울과 부산을 오가는 업무 처리가 낭비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직원들에게 주택을 제공하는 비용과 직원들의 '두 집 살림'으로 인한 지출 증가를 언급했다. 실제로 부산 근무 임직원들은 서울 방문 시 항공편이나 KTX를 이용하며, 교통비 부담이 적지 않다. 한국거래소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본사 이전 전인 2004년에는 국내 여비로 270580000KRW을 지출했지만, 2008년에는 1606850000KRW으로 늘어났다. 부산 본사에서 여의도 사옥까지 이동 시간도 항공편 이용 시 2시간 30분, KTX 이용 시 4시간 30분가량 소요된다. 한국거래소는 부산 근무 직원들에게 주택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9년 8월 말 기준으로 소유·임차한 사택 226채(276억 8,300만 원) 가운데 206채가 부산에 있었다.[19]
10. 2. 공공기관 지정 해제 논란
감사원은 2008년 9월 21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현 한국거래소)의 방만 경영을 지적하며 공공기관 지정을 권고했다. 감사원은 한국증권선물거래소가 사실상 공적 기능을 수행함에도 감독 장치가 미흡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20] 그러나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측은 민영화된 거래소의 공공기관화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하며, 금융감독원의 감사를 받고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20]2009년 1월, 한국증권법학회 후원으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한양대학교 정호경 교수는 정부 지분이 없는 민간 기업인 거래소를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독점적 사업 수입을 기준으로 공공기관을 지정하는 것은 헌법상 영업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9년 1월 29일, 기획재정부는 한국거래소를 공공기관으로 신규 지정했다.[22]
2010년 4월,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거래소 공공기관 지정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제 기준에 맞지 않고 민간 기관을 통제하려는 시도라며 비판했다. 반면 한나라당 의원들은 거래소의 공공성을 강조하며 국정감사의 필요성을 옹호했다.[23] 김봉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공공기관 지정이 국제 경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24]
2013년,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와 김태혁 부산대학교 교수는 한국거래소의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부산 금융중심지 활성화에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거래소 간 글로벌 경쟁 심화 상황에서 공공기관 지정이 조직 유연성을 저해하고 한국 자본시장 발전을 어렵게 한다고 우려했다.[25]
2013년 10월,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한국거래소의 독점적 지위가 약화되었음을 인정하며, 2014년에 공공기관 지정 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26]
2014년 2월, 한국거래소 노동조합은 기획재정부가 법치주의를 훼손하고 있다며 공공기관 지정 해제를 요구했다. 노조는 공공기관 지정 이후 기획재정부 출신 낙하산 인사가 증가하고, 거래소의 글로벌 경쟁력이 하락했다고 주장했다.[27][28]
10. 3.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경쟁
2007년 11월 14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는 탄소배출권 거래소 설립 추진을 발표하고 개설준비단을 설치했다.[29] 2008년 10월 7일에는 환경부와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운영에 관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33][34]이후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를 위한 각 지역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 전라남도: 2008년 12월 13일, 국제포럼을 개최하고, 한국전력거래소의 정도영 전력계획처장은 전력산업과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한국전력거래소 유치를 주장했다.[36]
- 대구: 2008년 12월 23일, 금융경제선물연구원은 세미나를 개최하고 탄소배출권거래소 대구 유치를 위한 논리 개발에 착수했다. 대구은행 진병용 본부장은 대구경북의 에너지 환경 중심지로서의 타당성을 강조했다.[37]
- 서울: 2009년 4월 1일, 서울특별시청은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은 금융경쟁력 강화를 기대했지만, 수도권 집중 심화라는 우려도 제기되었다.[39]
- 전라북도: 2009년 8월 19일,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를 위해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경상북도/포항: 2009년 9월 19일, 탄소배출권 거래 및 탄소 금융추진전략 워크숍을 개최하고,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와 함께 탄소거래 전문회사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44]
- 부산: 2009년 10월 13일, 부산광역시청과 부산상공회의소는 유치위원회를 출범시키고, 한국거래소의 시스템 활용을 통한 효율적인 거래소 설립을 주장했다.[46][47] 2010년 4월 7일에는 부산시와 한국거래소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53]
- 광주/전남: 2009년 11월 19일, 광주광역시청과 전라남도청, 한국전력거래소가 공동유치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다.[48] 2010년 2월 17일, 주승용 의원은 탄소배출권거래제도 도입 시 호남권의 경제적 손실을 우려하며 한국전력거래소 설치를 주장했다.[50]
2010년 6월, 삼성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전력거래소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했다.[55] 한국거래소는 파생상품시장, IT 기술, 유동성 등에서, 한국전력거래소는 배출권 측정 능력과 전문성에서 강점을 보였다.[56][57]
2010년 11월, 부산발전연구원은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 유치 시 동남권에 4천54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58]
2012년 5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64]
2013년, 전라남도는 탄소배출권거래소 광주·전남 공동유치를 위한 범 시·도민연대회를 발족하고,[65] 국회포럼을 개최하여 한국전력거래소 지정 당위성을 설명했다.[73][74]
2014년 1월,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 녹색성장위원회는 탄소배출권거래소를 한국거래소에 설치하기로 의결했다.[83] 환경부는 한국거래소를 최종 운영자로 확정했다.[91][92][93] 부산시는 환영의 뜻을 표하며, 탄소 관련 산업 집적을 기대했다.[98] 반면, 전라남도와 나주시청은 유치 무산에 유감을 표명했다.[102][104]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유치 실패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었다.[105]
11. 전산 시스템
한국거래소(KRX)는 대한민국 자본 시장 거래 시스템 최초로 2014년에 리눅스 시스템을 도입하였다.[112]
참조
[1]
웹사이트
Global KRX
http://global.krx.co[...]
2021-05-25
[2]
웹사이트
"시가총액"
http://www.krx.co.kr[...]
2021-02-10
[3]
웹사이트
Market Hours, Korea Exchange via Wikinvest
[4]
웹사이트
UN Secretary-General Joins Business Leaders in Seoul, Calls for Urgent Action on Poverty, Climate Change and Conflict
https://www.unglobal[...]
2015-05-23
[5]
웹사이트
Global KRX | Regulation | Stocks | KOSPI Market | Trading
https://global.krx.c[...]
[6]
웹사이트
CEO Message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7]
웹사이트
Korea Exchange
http://www.sseinitia[...]
Sustainable Stock Exchanges Initiative
2015-05-14
[8]
웹사이트
韓国取引所、8月から取引時間を30分延長へ 日本時間午後3時半まで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7-04-02
[9]
웹사이트
Locations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10]
웹사이트
Locations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11]
웹사이트
Consolidation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12]
웹사이트
UN Secretary-General Joins Business Leaders in Seoul, Calls for Urgent Action on Poverty, Climate Change and Conflict
https://www.unglobal[...]
UN Global Compact
2015-05-23
[13]
웹사이트
Listed Company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14]
웹사이트
Organization
http://global.krx.co[...]
Korea Exchange
2017-04-02
[15]
법률
[16]
주소
[17]
주소
[18]
뉴스
KRX, 中國 북경사무소 개소
http://newswire.seou[...]
뉴스와이어
2008-04-21
[19]
뉴스
아산 탕정·한국거래소 부산 본사를 통해 본 '세종시 해법'은…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9-11-22
[20]
뉴스
감사원 “증권거래소, 공공기관 지정해야”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9-21
[21]
뉴스
“거래소 공공기관 지정은 위헌”
http://www.kbanker.c[...]
대한금융신문
2009-01-18
[22]
뉴스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지정...금감원은 해제
http://www.ittoday.c[...]
아이티투데이
2009-01-29
[23]
뉴스
여야,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지정 놓고 공방
http://www.idomin.co[...]
뉴시스
2010-04-25
[24]
뉴스
'신의 직장' 한국거래소, 대대적 개혁 예고…공공기관 해제 때문?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4-01-08
[25]
뉴스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해제 재추진 운동
http://www.ujeil.com[...]
울산제일일보
2013-02-04
[26]
뉴스
현오석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지정해제 내년 검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0-31
[27]
뉴스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지정 후폭풍...노조 반발
http://www.ytn.co.kr[...]
YTN
2014-02-10
[28]
뉴스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지정 유지 후폭풍 거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2-10
[29]
뉴스
KRX, 탄소 거래소 개설 준비반 가동
http://www.ebuzz.co.[...]
전자신문
2007-11-15
[30]
뉴스
거래소. 탄소배출권시장 개설 준비
http://www.seoulfn.c[...]
서울파이낸스
2007-11-14
[31]
뉴스
KRX 탄소배출권시장 개설 준비
http://ksdaily.co.kr[...]
한국증권신문
2007-11-14
[32]
뉴스
내년 중 탄소배출거래소 설립
http://www.koenergy.[...]
한국에너지신문
2007-11-19
[33]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국내에도 설립된다
http://www.newszero.[...]
뉴스제로
2008-10-08
[34]
뉴스
환경부ㆍ증권선물거래소 탄소거래 손잡는다
http://www.hkbs.co.k[...]
환경일보
2008-10-09
[35]
뉴스
국내에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만든다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8-10-07
[36]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유치 발빠른 행보 한국전력거래소 정도영 전력계획처장
http://www.epj.co.kr[...]
일렉트릭파워
2008-12-12
[37]
뉴스
道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손놓았나
http://www.jjn.co.kr[...]
전북중앙신문
2009-05-03
[38]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대구 유치를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12-24
[39]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후보에 전력거래소 포함돼
http://elecreview.co[...]
전기평론
2013-04-01
[40]
뉴스
“황금알 낳는 탄소거래소 잡아라”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4-02
[41]
뉴스
국제적 탄소거래소 설립 위한 첫걸음
http://gnetimes.co.k[...]
지앤이타임스
2009-06-16
[42]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설립 ‘절실’
http://www.kbanker.c[...]
대한금융신문
2009-11-29
[43]
뉴스
전북, 탄소배출권·금 거래소 최적지
http://www.mjbnews.c[...]
전북매일신문
2009-08-19
[44]
뉴스
경북도-포항시-포스텍,탄소배출권거래소 포항유치 손잡았다
http://www.hidomin.c[...]
경북도민일보
2009-02-19
[45]
뉴스
경북도-포항시,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에 나서
http://greendaily.et[...]
전자신문
2009-02-18
[46]
뉴스
부산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委 20일 출범
http://www.e2news.co[...]
이투뉴스
2009-10-13
[47]
뉴스
탄소거래소 부산 유치 급하다
https://archive.toda[...]
부산일보
2009-04-29
[48]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광주·전남 유치 추진위원회 출범
http://www.taxinews.[...]
한국택시신문
2009-11-20
[49]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광주·전남 유치 추진위원회 출범
http://www.ejanews.c[...]
중앙뉴스
2009-11-18
[50]
뉴스
주 의원, “탄소거래소 나주 혁신도시에 설치해야”
http://www.nhanews.c[...]
남해안신문
2010-02-18
[51]
뉴스
주승용 의원,"탄소거래소 광주.전남 설치는 순리다"
http://gj.local.cbs.[...]
노컷뉴스
2010-02-17
[52]
뉴스
전남도,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총력전 돌입
http://www.energytim[...]
에너지타임즈
2009-04-06
[53]
뉴스
부산시-KRX, 탄소거래소 부산유치 ‘협력’
http://bizeco.kr/new[...]
환경매일신문
2010-04-06
[54]
뉴스
부산시,탄소거래소 유치 시동 본격화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6-01
[55]
뉴스
삼성경제연구소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의 의의와 과제’
http://press.daejeon[...]
뉴스와이어
2010-06-29
[56]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적임 기관은? KPX vs KRX
http://www.ekn.kr/ne[...]
에너지경제신문
2009-07-22
[57]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어디로 가나
http://m.todayenergy[...]
투데이에너지
2010-10-11
[58]
뉴스
탄소거래소 유치땐 동남권에 4천500억 생산유발
http://m.sbs.co.kr/n[...]
연합뉴스
2010-11-12
[59]
간행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법률 제정(안) 입법예고
http://making.law.go[...]
정부입법지원센터
2010-11-17
[60]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기반 마련
http://www.kyilbo.co[...]
울산광역매일
2010-11-17
[61]
뉴스
탄소배출권 임시거래소 거래 활발
http://m.iusm.co.kr/[...]
울산매일
2011-06-22
[62]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유치를 위해 - 부산시, 부산국제탄소금융포럼 개최
http://alimynews.com[...]
알리미뉴스
2011-11-17
[63]
뉴스
김재균 후보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할 것"
http://honam.newsway[...]
뉴스웨이
2012-03-27
[64]
뉴스
법제처,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국회 통과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12-05-11
[65]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나주 유치, 범 시도민 연대 출범
http://www.m-i.kr/ne[...]
매일일보
2013-07-09
[66]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내년 초 결정
http://www.ysmbc.co.[...]
MBC
2013-12-26
[67]
뉴스
광주·전남,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총력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2-07-19
[68]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나주혁신도시에 유치해야”
http://naewoeilbo.co[...]
내외일보
2013-06-05
[69]
뉴스
탄소거래소 ‘범 시·도민연대회’ 떴다
http://m.namdonews.c[...]
남도일보
2013-06-04
[70]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이 ‘최적’
http://news.zum.com/[...]
노컷뉴스
2013-10-23
[71]
뉴스
거래소,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유치 위한 정책세미나 개최
http://www.moneyweek[...]
머니위크
2013-10-22
[72]
뉴스
탄소거래소 입지 선정 자꾸 미뤄선 안 된다
http://www.kricccs.c[...]
국제신문
2013-12-24
[73]
뉴스
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 총력
http://www.honammaei[...]
호남매일신문
2013-12-05
[74]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전력거래소서 운영돼야
http://www.honamtoda[...]
호남투데이
2013-12-01
[75]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혁신도시에 유치하자!
http://www.najutimes[...]
나주타임스
2013-12-09
[76]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광주·전남으로
http://www.namdotoda[...]
남도투데이
2013-12-04
[77]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전 뜨겁다
http://www.displaypl[...]
Display Plus
2013-12-09
[78]
뉴스
전남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 총력
http://www.shilbo.co[...]
새한일보
2013-12-05
[79]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반드시 유치해야
http://www.najunews.[...]
나주뉴스
2013-12-06
[80]
뉴스
전남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 총력
http://news11.sports[...]
뉴스1
2013-12-04
[81]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지정 연기
http://www.wowtv.co.[...]
한국경제TV
2013-12-26
[82]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전력거래소서 운영돼야
http://www.tonghabne[...]
통합뉴스
2013-12-02
[83]
뉴스
부산에 탄소거래소 설립 확정
http://news.knn.co.k[...]
KNN
2014-01-09
[84]
뉴스
'부산 vs 나주' 탄소거래소 유치전, 이번주 결론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4-01-06
[85]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나주혁신도시로~
http://www.gjdaily.n[...]
광주데일리뉴스
2014-01-09
[86]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나주혁신도시로 꼭 와야 ”
http://news.invil.or[...]
인빌뉴스
2014-01-09
[87]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는 나주에 세워야 한다.
http://m.nocutnews.c[...]
노컷뉴스
2014-01-09
[88]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나주혁신도시로 꼭 와야 ”
http://www.jndaily.n[...]
전남데일리
2014-01-13
[89]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최종입지 부산 확정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4-01-14
[90]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한국거래소로 확정
http://www.energy-ne[...]
에너지경제신문
[91]
뉴스
KRX, 탄소배출권거래소 운영자로 확정··· 시너지 효과 상승
https://www.econovil[...]
이코노믹리뷰
2014-01-14
[92]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 유치 확정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4-01-14
[93]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 한국거래소가 운영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4-01-15
[94]
뉴스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 한국거래소로
http://www.ecomedia.[...]
환경미디어
2014-01-14
[95]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行
http://vip.mk.co.kr/[...]
매일경제
2014-01-14
[96]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부산 유치…내년 1월부터 거래
http://www.dailybusa[...]
데일리부산
2014-01-14
[97]
뉴스
거래소(KRX), “탄소거래소 기존 주식시장과 유사하다”
http://www.asiatime.[...]
아시아타임즈
2014-01-15
[98]
뉴스
부산, 글로벌 탄소금융 메카로 떠오른다
http://m.donga.com/L[...]
동아일보
2014-01-16
[99]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부산으로… 4500억 생산유발효과는 과장?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4-01-14
[100]
뉴스
부산 ‘글로벌 탄소 금융도시’로 키운다
http://heraldk.com/2[...]
헤럴드경제
2014-01-13
[101]
뉴스
부산,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http://news.busan.go[...]
부산시인터넷뉴스
2014-01-22
[102]
뉴스
전남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실패
http://www.gjnewston[...]
연합뉴스
2014-01-15
[103]
뉴스
전남도,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실패 '아쉬움'
http://www.ekn.kr/ne[...]
에너지경제
2014-01-15
[104]
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소 나주유치 실패
http://www.najutoday[...]
나주투데이
2014-01-19
[105]
뉴스
탄소거래소 나주 유치에 모든 역량 집중해야
http://www.najunews.[...]
나주신문
2013-12-09
[106]
뉴스
"안이했다" 탄소배출권거래소 무산 책임론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1-14
[107]
뉴스
주승용 의원, 탄소배출권거래소 전남 유치 무산 규탄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4-01-16
[108]
뉴스
공들였던 ‘탄소배출권 거래소’ 결국 부산으로
http://www.jntimes.k[...]
전남타임스
2014-01-21
[109]
뉴스
주승용 "탄소거래소 부산 지정, 노골적 영남 밀어주기"
http://news1.kr/arti[...]
뉴스1
2014-01-16
[110]
뉴스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성공한 부산 ‘희색’, 무산된 광주·전남은 ‘울상’…책임론 대두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1-15
[111]
뉴스
주승용, 탄소배출거래소 전남유치무산 규탄.."전남도 책임론 거론"
http://ikbc.net/news[...]
중앙통신뉴스
2014-01-16
[112]
뉴스
“리눅스 x86 시스템 구축, 너무 겁먹지 마라”…한국거래소의 조언
http://www.ddaily.co[...]
디지털데일리
2014-09-18
[113]
뉴스
[S리포트⑦] 접속폭주 견뎌낸 카카오뱅크…리눅스는 신뢰할만한가?
http://www.ddaily.co[...]
디지털데일리
2017-09-12
[114]
뉴스
3000억 KB국민은행 차세대, 메인프레임-리눅스 투트랙...IBM과 다음달 계약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8-05-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형주 라인업 바뀐다”…코스피 지수 정기변경, 투자 전략은?
거래소, '중대재해' 상장사 공시의무 신설 규정개정 예고
거래소, 코스피 상장사 대상 공시제도 지역설명회 개최
금융당국, NXT 거래 한도 규제 일시 유예…개선방안 마련
대체거래소 거래한도 규제 유예…“개선 방안 마련”
거래 정지인데 무더기 체결 … 한국거래소·NXT는 '네 탓'
10대 그룹 모두 밸류업 공시… 주가도 훨훨
한국거래소 금 1돈에 60만원…사상 최고치 근접
“주주가치 제고 위해”...‘소각 의무화’ 앞두고 상장사들 자사주 매입 러시
"주주가치 제고"…자사주 매입·소각 급증
넥스트레이드, 거래량 감소에도 거래대금 지켜내
“오를 만하면 떨어지는데 누가 장투하나”...기관·외국인도 배당일 전후 박스피 단타
한국거래소, 내달 주식선물·옵션 추가 상장…한화오션 거래 가능
‘상장폐지 확정’ 이화전기·이트론, 정리매매 첫날 폭락
‘역대급 과징금’에도 개미 픽은 SK텔레콤…외국인 사들이는 LG유플러스와 승패는
[단독] S-Oil·코오롱인더 … 넥스트레이드서 거래 막히나
[단독] 넥스트레이드 ‘30% 캡’ 초과 종목 4개 발생
코스피 이전 효과 없네 … 9개 중 7개 하락
‘불닭볶음면’ 불티난 인기에 삼양식품 주가 160만원 넘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