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빌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3빌딩은 1985년 완공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여의도에 위치한 마천루이다. 지하 3층, 지상 60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테나를 포함한 전체 높이는 274m이다. 완공 당시에는 북아메리카를 제외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성화 봉송 장소로 사용되면서 유명해졌다. 현재는 롯데월드타워, 삼성 타워팰리스 등에 밀려 대한민국 최고층 빌딩의 지위는 상실했지만, 일반인이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건물 중에서는 세 번째로 높다. 63빌딩은 한화그룹 소유이며, 내부에는 전망대, 수족관, 레스토랑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 또한 매년 서울세계불꽃축제가 63빌딩 앞에서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3빌딩 - 아쿠아플라넷 63
아쿠아플라넷 63은 1985년 63빌딩 지하에 개장하여 전 세계 해양 서식지를 재현하고 20,000마리 이상의 동물과 400종 이상의 생물을 전시하며 물개 쇼와 바다사자 쇼를 진행하는 대한민국의 수족관이다. - 63빌딩 - 63스카이아트
63스카이아트는 서울특별시 63빌딩 60층에 위치한 전망대로, 1985년 63빌딩 완공 후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한화의 자회사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은 1975년 한양스토어 여의도점으로 시작하여 1985년 한화그룹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명품관, 타임월드점, 광교점, 센터시티점, 진주점, 고메이494 한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한화의 자회사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1985년 완공된 건축물 - 로스킬레 대성당
로스킬레 대성당은 덴마크 로스킬레에 위치한 벽돌 삼랑식 대성당으로,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건축되어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고딕 양식으로 변모했으며, 15세기 이후 덴마크 왕가의 가묘로 사용되어 38명의 왕과 왕족이 매장되어 있고 다양한 예배당과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 1985년 완공된 건축물 - 고려호텔
1985년 개관한 고려호텔은 평양에 위치한 45층 쌍둥이 타워 형태의 호텔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500여 개의 객실과 다양한 편의 시설, 회전 레스토랑, 영화관, 카지노 등을 갖추고 평양역 및 영광역과 인접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63빌딩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건물 이름 | 63빌딩 |
한국어 표기 | 63빌딩 |
한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 Yuksam Building |
영어 표기 | 63 Building |
기타 영어 표기 | 63 SQUARE Hanwha 63 City |
위치 | 여의 섬,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여의도동 60) |
좌표 | 37° 31′ 11″ N, 126° 56′ 24″ E |
용도 | 사무실 전망대 쇼핑 관광 (전망대, 미술관, 아쿠아리움) |
개장 | 1985년 7월 27일 (전면 개장) |
임시 개장 | 1985년 7월 5일 |
완공 | 1985년 5월 30일 |
착공 | 1980년 2월 |
기공식 | 1979년 |
건설 기간 | 1980년 2월 ~ 1985년 5월 30일 |
웹사이트 | 63빌딩 공식 웹사이트 |
건축 정보 | |
층수 | 지상 60층, 지하 3층 |
안테나/첨탑 높이 | 274m |
지붕 높이 | 249.6m |
최상층 높이 | 240m |
구조물 높이 | 249m |
연면적 | 166,207 m² |
건축 면적 | 166,430.50 m² |
주차 대수 | 1,055대 |
승강기 대수 | 37대 (승객용 35대, 비상용 2대) |
설계 |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 |
건축가 | 박춘명 |
구조 엔지니어 |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 |
건설 및 소유 | |
시공 | 신동아그룹 |
개발사 | 신동아그룹 |
소유주 | 한화그룹 |
관리 운영 | 한화 63 시티 |
계약자 | 대한생명 |
기타 정보 | |
건축 비용 | 1,800억원 |
특징 | 1985년 7월부터 1987년까지 아시아 최고층 빌딩이었으며, 2002년까지 대한민국 최고층 빌딩이었다. |
2. 역사
1980년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SOM)이 설계를 하여 착공하였다. 1985년 완공 당시, 8년간 아시아 최고층 건물이었던 일본 선샤인60(높이 239.7m, 지상 60층)을 제치고 1986년 싱가포르 OUB 센터 완공 전까지 아시아 최고층 건물이었다.[7]
건물 전체가 금색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나, 2000년대 이후 삼성타워팰리스 G동(264m), 목동 하이페리온(256m) 등 초고층 빌딩 건설 붐과 2017년 롯데월드타워(555m) 준공으로 한국 최고층 건물 지위를 잃었다. 600m급 초고층 빌딩 계획이 여러 개 진행 중이어서, 한국 대표 초고층 빌딩이라는 지위는 과거의 것이 되어가고 있다.
싸이(PSY)의 "Right Now" 가사에 등장한다.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신동아그룹이 해체되면서 한화그룹으로 소유권이 넘어갔다. 2002년 대한생명보험이 한화그룹에 인수되면서[7] 63빌딩도 한화그룹 소유가 되었다.
2. 1. 건설
1979년에 기공식이 있었다. 이후 1980년 2월 착공하였고 1981년 2월 14일 건축법 허가가 났다. 1983년 5월 40층 이상 골조공사가 진행되고 같은 해 11월 5일에 상량식이 있었다. 1984년 7월 3일 외벽공사가 마무리되고 12월 18일 임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5년 5월에 완공되었다.[9]63빌딩의 건설은 한국 경제 호황기였던 1980년 2월에 착공되어, 1.8조원의 비용이 투입되었고, 1985년 5월에 공사가 완료되었다.[5] 당초에는 대한생명보험을 따서 DLI 63빌딩으로 명명되었다.[5] 1985년에 완공되어, 그때까지 8년간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던 일본의 선샤인60을 제치고, 1986년에 싱가포르의 OUB 센터가 완공될 때까지 몇 달 동안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2. 2. 63빌딩과 현재
1985년 7월 5일에 임시 개장했고 같은 해 7월 27일에 준공식을 거쳐 9월 30일에 전면 개장했다.[10] 완공 당시 일본 도쿄의 선샤인 60 빌딩을 제치고 북아메리카를 제외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으며, 1987년 싱가포르에 있는 OUB 센터와 1990년 홍콩에 있는 중국은행 타워가 건설되기 전까지 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빌딩이었다.[11][12]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63빌딩 앞 봉화대에서 성화를 밝히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원래 신동아그룹의 대한생명 본사였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공중분해가 되고 63빌딩의 운영 주체는 대한생명에서 한화그룹으로 넘어갔다. 2002년 대한생명보험이 한화그룹에 인수되면서 63빌딩도 한화그룹의 소유가 되었다.[7] 2000년에는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시작되었다.
2005년 2월부터 리모델링을 시작했다. 63빌딩의 창문은 원래 금이었으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외벽 유리 총 13,944장을 전면 교체하였다. 2012년에는 63빌딩 21층과 38층에 피난안전구역을 설치했고 2013년 4월에 새롭게 단장했다. 2015년 5월에는 63빌딩이 30주년을 맞이하여 63레스토랑 개관 30주년 기념 30% 특별 할인 이벤트를 열었다.[13] 리모델링은 2016년 7월에 완료되었다.
2000년대 이후 삼성타워팰리스 G동(264m)과 목동 하이페리온(256m)을 비롯한 초고층 빌딩 건설 붐이 일었고, 2017년에는 롯데월드타워(555m)가 준공되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서울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63스카이덱" 외에도 지하에는 수족관,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IMAX 극장, 푸드코트 등이 있다. 2015년, 한화그룹이 서울 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어 건물 내에 "갤러리아면세점 63"을 오픈했다.
2. 3. 소유권 변동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신동아그룹이 해체되면서 63빌딩의 소유권은 한화그룹으로 이전되었다. 2002년 대한생명보험이 한화그룹에 인수되면서[7] 63빌딩도 한화그룹 소유가 되었다.3. 건물
63빌딩은 1985년 7월 5일 임시 개장 후, 같은 해 9월 30일에 정식 개장하였다. 완공 당시에는 북아메리카를 제외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기간 중 63빌딩 앞 봉화대에서 성화가 점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원래 신동아그룹의 동아생명(현 한화생명) 본사였으나, IMF 외환 위기로 인해 한화그룹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63빌딩의 리모델링은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2단계 공사에서는 안전을 위해 외벽 유리 13,944장을 전면 교체하였다. 1단계 공사는 2005년 2월부터 2009년 7월까지, 2단계 공사는 2010년 3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진행되었다. 3단계 공사는 2011년 7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진행되었다. 2012년에는 63빌딩 21층과 38층에 피난안전구역을 설치하고 2013년 4월에 개보수하였다.
3. 1. 높이
63빌딩은 다양한 높이 기준을 가지고 있다.
63빌딩은 오랫동안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였으나, 목동 하이페리온(256m), 도곡동 삼성 타워팰리스(264m), IFC서울(285m) 등 더 높은 건물들이 건설되면서 순위가 밀려났다.[7] 하지만 일반인이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건물 중에서는 세 번째로 높다.
60층에 위치한 전망대에서는 서울 도심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맑은 날에는 인천 앞바다까지 볼 수 있다. 전망대의 시계 반경은 50km이다.
3. 2. 특징
건물 전체가 금색으로 보이는 것이 외관의 특징이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삼성타워팰리스 G동(264m)과 목동 하이페리온(256m)을 비롯한 초고층 빌딩 건설이 붐을 이루었고, 2017년에는 롯데월드타워(555m)가 준공되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더욱이 한국에서는 600m급 초고층 빌딩 계획이 여러 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을 대표하는 초고층 빌딩이라는 지위는 과거의 것이 되어가고 있다.싸이(PSY)의 음악 "Right Now"에 가사로 등장한다.
서울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63스카이덱" 외에도 지하에는 수족관,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IMAX 극장, 푸드코트 등이 있다.
2015년, 한화그룹이 서울 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어 건물 내에 "갤러리아면세점 63"을 오픈했다.
3. 3. 창문
63빌딩의 창문은 총 13,516장의 유리로 되어 있다. 이 창문은 이중 반사유리로 반사율 45%, 투과율 17~21%이며, 열에너지 절약 효과는 30%이다. 63빌딩의 유리는 태양의 각도와 기온에 따라 은색, 노란색, 황금색, 적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3. 4. 계단
63빌딩의 지상 1층부터 60층까지는 총 1,251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당 20개의 계단이 있다.1995년 63빌딩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63빌딩 계단 오르기 대회'가 처음 열렸다. 1997년에는 '63가족릴레이대회'가 개최되면서 가을에 열리는 행사로 자리 잡았고,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로도 참여가 가능해졌다. 이 대회는 '63빌딩 마라톤'이라고도 불린다.
3. 5. 엘리베이터
63빌딩에는 1985년 설치 당시 히타치의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으나[14], 2006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제품으로 교체되었다. 총 37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종류 | 대수 | 운행 구간 |
---|---|---|
저층부 엘리베이터 | 8대 | 1~20층 |
중층부 엘리베이터 | 8대 | 20~36층 |
고층부 엘리베이터 | 8대 | 36~60층 |
전망용 엘리베이터 | 2대 | |
기타 (주차장용, 화물용, 비상용) | 7대 |
지하 1층에서 지상 60층까지 운행되는 엘리베이터는 분속 540m의 속도를 가진 한국 미쓰비시 엘리베이터 제품이다. 이 엘리베이터는 오랫동안 일반인에게 공개적으로 이용되는 한국의 엘리베이터 중 가장 빠른 것이었다. 현재는 오티스엘리베이터 제작 롯데월드타워, 한국 미쓰비시 엘리베이터 제작 해운대 LCT 더 샵, 현대엘리베이터 제작 부산국제금융센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분속 600m로 공동 1위를 차지하고 있다.
3. 6. 소비량 및 사용량
종류 | 수량 및 사용량 |
---|---|
형광등 | 34,000여 개 |
엘리베이터 | 33대 |
에스컬레이터 | 8대 |
전기 · 공조 감지기 | 17,500여 개 |
월평균 전기소비량 | 370만kw 정도 |
한 달 평균 금액 | 4.3억원 |
월평균 물 사용량 | 330,000㎥ (5인 가정 약 8,200여 가구 사용량) |
쌀 | 20,520kg (40kg 기준, 약 513가마니) |
소고기 | 19,200kg (약 128마리 분량) |
돼지고기 | 4,153kg (약 104마리 분량) |
63빌딩의 엄청난 전기소비량 때문에 1985년 개관 당시, 의정부시의 전기 소비량과 유사하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사실은 당시 광명시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4. 시설
63빌딩에는 다양한 시설이 있다. 60층에는 미술관과 전망대가 있고, 59층과 58층에는 레스토랑이 있다. 전망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도시를 감상할 수 있으며, 저녁에는 커플 전용 '러브 엘리베이터'가 운행된다. 아래층에는 쇼핑몰, 아이맥스 영화관, 수족관이 있었고, 컨벤션 센터와 연회장도 있다.[10]
1985년 7월 27일에 개관한 63씨월드는 400종, 약 2만 마리의 해양 생물을 보유한 대형 수족관이었다. 펭귄, 수달 등 다양한 해양 생물과 갈치 박제도 전시되어 있었다.[1]
시설 | 19세 이상 | 13세 ~ 18세 | 36개월 이상 ~ 12세 |
---|---|---|---|
63아트 | 13000KRW | 12000KRW | 11000KRW |
아쿠아플라넷 63 | 25000KRW | 23000KRW | 21000KRW |
1층부터 56층까지는 한화생명의 본사 겸 오피스로 사용되며, 57층부터 59층은 레스토랑, 60층은 전망대로 사용된다. 2층부터 54층은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별로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 사무실로 나뉜다. 61층부터 63층은 보안상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다.[1]
층수 | 용도 |
---|---|
61층, M61층(62층), 63층 | 기계실, 옥상(보안상 일반인 출입 불가) |
60층 | 스카이아트, 스카이아트 카페 |
59층 | 워킹 온 더 클라우드 |
58층 | 슈치쿠, 터치 더 스카이 |
57층 | 백리향 |
55층 ~ 56층 | 한국신용평가 |
53층 ~ 54층 | 고층부 사무실 |
52층 | 고층부 사무실, FA센터 |
50층 ~ 51층 | 고층부 사무실 |
49층 | 고층부 사무실, 한화인베스트먼트 |
48층 | 고층부 사무실, 한국신용평가 |
42층 ~ 47층 | 고층부 사무실 |
41층 | 고층부 사무실, 기술보증기금 서울지점 |
39층 ~ 40층 | 고층부 사무실 |
38층 | 고층부 사무실, 피난안전구역, 기계실 |
37층 | 고층부 사무실 |
22층 ~ 36층 | 중층부 사무실 |
21층 | 중층부 사무실 |
12층 ~ 20층 | 저층부 사무실 |
11층 | 저층부 사무실, 산경M&A캐피탈 |
7층 ~ 10층 | 저층부 사무실 |
6층 | 저층부 사무실, NH농협은행 63시티출장소, 한국교직원공제회 |
5층 | 저층부 사무실, 한국기술산업 |
4층 | 저층부 사무실, 베이즐, 라벤더, 로즈마리, 세아지, 드림플러스63 |
3층 | 저층부 사무실, 시더, 사이프러스, 주니퍼, 스프루스 |
2층 | 저층부 사무실, 그랜드 볼룸, 인포메이션, 파인, 세퀴이아 |
1층 | 로비, 하나은행, 한화금융플라자 |
지하 1층 | 63스퀘어, 게임장 |
지하 2층 | 한화생명 건강검진센터, 주차장 |
지하 3층 | 왁스뮤지엄, 주차장, 기계실, 전기실 |
4. 1. 주요 시설
63빌딩에는 다양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60층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술관인 63아트와 전망대가 있어 맑은 날에는 인천까지 볼 수 있다. 59층에는 국제 레스토랑, 58층에는 가족 레스토랑이 운영되고 있다. 전망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도시를 감상하며 전망대를 오갈 수 있고, 저녁에는 커플 전용 '러브 엘리베이터'가 1분 동안 운행된다.[10]아래층에는 실내 쇼핑몰, 아이맥스 영화관과 대형 수족관이 있었으나,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다. 컨벤션 센터와 연회장도 마련되어 있다.[10]
63빌딩의 주요 시설로는 63아트, 63레스토랑, 63왁스 뮤지엄(운영 종료), 63아트홀(운영 종료), 아쿠아플라넷 63(운영 종료) 등이 있다. 또한, 4~19층, 23~37층, 40~53층은 일반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1]
4. 1. 1. 63아트
63아트(63 Sky Art영어)는 지상 60층에 위치하고 있다. 63빌딩에는 약 540m/min 속도의 초고속 엘리베이터가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60층까지 운행된다.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기업은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이다. 이 엘리베이터는 민간인에게 개방된 한국의 엘리베이터 중 2번째로 속도가 빠르다.[1]63아트의 이용 시간은 2014년 기준으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이용 요금은 19세 이상은 13000KRW, 13세에서 18세는 12000KRW, 36개월 이상 12세 이하는 11000KRW이다. 63아트에서 여의도를 보면 여의도의 아파트 단지, 서울국제금융센터, LG트윈타워, 한강 등이 보인다. 2015년 9월 14일부터 21일까지는 리모델링 공사로 임시 휴관하였다.[1] 그러나 2024년 6월 30일 퐁피두아트센터로 공사로 인해 전망대가 문을 닫는다.
구분 | 19세 이상 | 13세 ~ 18세 | 36개월 이상 ~ 12세 |
---|---|---|---|
입장료 | 13000KRW | 12000KRW | 11000KRW |
4. 1. 2. 63레스토랑
59층에는 '구름 위를 걷다'라는 국제 레스토랑이, 58층에는 '하늘에 닿다'라는 가족 레스토랑이 있다.[1]4. 1. 3. 63왁스 뮤지엄
63왁스 뮤지엄은 대한민국 최초의 밀랍인형 박물관이다. 2015년 8월 23일까지 영업했으며, 2015년 8월 24일부터 운영이 중단되었다.4. 1. 4. 63아트홀
1985년 7월 27일에 개관하여 첫 작품 '창공을 날아라'(원제 To Fly!)를 상영하였다. 63아트홀(구 63 아이맥스, 63 I MAX영어)은 영국 아이맥스 영화관의 체인점이기도 했다.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최고급 다큐 영화관으로 꼽혔으나, 2012년 IFC 서울에 'IFC 몰 CGV'가 개관하면서 관객이 점차 줄었다. 2015년 8월 2일 마지막 영화 갈라파고스(원작 Galapagos : Nature's Wonderland 3D)를 상영하고 2015년 8월 3일부로 문을 닫았다.[1]4. 1. 5. 아쿠아플라넷 63
아쿠아플라넷 63(Aqua Planet 63영어)은 63빌딩 지하 1층에 1985년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 있었던 대형 수족관이다.[1] 1985년 7월 27일에 개관하였으며, 총면적 1078평(약 3564㎡) 시설에 400종, 약 2만 마리의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있었다.[1] 펭귄, 전기뱀장어, 피라냐, 곰치, 수달, 솔방울물고기, 악어 등이 있었으며, 갈치 박제도 전시되어 있었다.[1]
4. 1. 6. 사무실
63빌딩의 일반 사무실은 4~19층, 23~37층, 40~53층에 있다. 나머지는 사무실 기능을 보조하는 각종 부대시설과 전망대·수족관 등 초고층 건물의 이점을 활용한 관광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1] 건물 구조는 전체적으로 탄력성을 지녀 초속 30m 내외의 태풍이나 진도 7 정도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다. 이때 좌우 진동의 유연성은 60cm이며, 상층부가 바람에 의해 움직이는 범위는 좌우 40cm인데, 이는 건물 내부의 사람이 느낄 수 없는 정도의 흔들림이다.[1]4. 2. 내부 시설
1층부터 56층까지 한화생명의 본사 겸 오피스로 채워져 있으며, 57층 ~ 59층에는 레스토랑과 60층에는 전망대가 있다. 전망대(63 스카이 아트), 수족관(63씨월드), 아이맥스 63아트홀(63 아이맥스) 등 다양한 편의시설들을 갖추고 있다.[1]2층 ~ 54층은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2층 ~ 20층은 저층부, 20층 ~ 36층은 중층부, 36층 ~ 54층은 고층부 사무실이다. 60층의 스카이아트는 전망대라고 부를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60층(비상용 제외)까지 운행하고 61층 ~ 63층은 입주 직원만 사용하므로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다. 62층은 M61층이라고 하고 63층은 옥상이 있다. 지하주차장의 주차 대수는 1550대다.[1]
층수 | 용도 |
---|---|
61층, M61층(62층), 63층 | 기계실, 옥상(보안상 일반인 출입 불가) |
60층 | 스카이아트, 스카이아트 카페 |
59층 | 워킹 온 더 클라우드 |
58층 | 슈치쿠, 터치 더 스카이 |
57층 | 백리향 |
55층 ~ 56층 | 한국신용평가 |
53층 ~ 54층 | 고층부 사무실 |
52층 | 고층부 사무실, FA센터 |
50층 ~ 51층 | 고층부 사무실 |
49층 | 고층부 사무실, 한화인베스트먼트 |
48층 | 고층부 사무실, 한국신용평가 |
42층 ~ 47층 | 고층부 사무실 |
41층 | 고층부 사무실, 기술보증기금 서울지점 |
39층 ~ 40층 | 고층부 사무실 |
38층 | 고층부 사무실, 피난안전구역, 기계실 |
37층 | 고층부 사무실 |
22층 ~ 36층 | 중층부 사무실 |
21층 | 중층부 사무실 |
12층 ~ 20층 | 저층부 사무실 |
11층 | 저층부 사무실, 산경M&A캐피탈 |
7층 ~ 10층 | 저층부 사무실 |
6층 | 저층부 사무실, NH농협은행 63시티출장소, 한국교직원공제회 |
5층 | 저층부 사무실, 한국기술산업 |
4층 | 저층부 사무실, 베이즐, 라벤더, 로즈마리, 세아지, 드림플러스63 |
3층 | 저층부 사무실, 시더, 사이프러스, 주니퍼, 스프루스 |
2층 | 저층부 사무실, 그랜드 볼룸, 인포메이션, 파인, 세퀴이아 |
1층 | 로비, 하나은행, 한화금융플라자 |
지하 1층 | 63스퀘어, 게임장 |
지하 2층 | 한화생명 건강검진센터, 주차장 |
지하 3층 | 왁스뮤지엄, 주차장, 기계실, 전기실 |
[1]
60층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술관과 63 빌딩 전망대로 알려진 전망대가 있어, 날씨가 맑으면 인천까지 볼 수 있다. 59층에는 '구름 위를 걷다'라는 국제 레스토랑이 있으며, 58층에는 '하늘에 닿다'라는 가족 레스토랑이 있다. 창문이 달린 전망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전망대를 오가는 동안 도시를 감상할 수 있다. 저녁에는 커플 전용 엘리베이터가 운영된다. 이 엘리베이터는 '러브 엘리베이터'로 알려져 있으며, 1분 동안 운행된다. 아래층에는 약 90개의 매장이 있는 실내 쇼핑몰, 아이맥스 영화관, 그리고 대형 수족관이 있다. 건물 내부에는 컨벤션 센터와 연회장도 있다.[1]
5. 논란
1985년 63빌딩 완공 당시, 일본 도쿄의 선샤인 60을 제치고 북아메리카를 제외한 세계 최고층 빌딩이라는 명칭을 얻기 위해 실제 층수와 다른 '63'이라는 숫자를 사용했다는 논란이 있다.
5. 1. 최상층 논란
63빌딩의 층수는 일반적으로 지상 60층, 지하 3층으로 총 63층이기 때문에 63빌딩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 알려진 사실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12년 7월 YTN 사이언스의 '지식실험 Q'에서는 63빌딩이 실제로는 지상 63층, 지하 3층으로 총 66층이라고 방송했다. 방송에서는 일반인의 출입은 지하 1, 2, 3층, 1층, 57층, 58층, 59층, 60층만 허용되고, 61층 이상은 관리실에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지만, 실제로 6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도 설치되어 있다고 밝혔다.[1]그러나 YTN 지식 실험과 달리, 건축법에 따르면 63빌딩은 설계상 지상 60층, 지하 3층이 맞다. 건축법에서는 지하층을 층수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지상 60층이 정확하다. 현재 60층 전망대는 실제로는 59층인데, 44층이 없고 43층 위에는 바로 45층이기 때문이다. 또한 61층을 두 칸으로 나누어 61층과 m61층(62층)으로 구분했지만, 이는 건축 설계 층수상 1층으로 보아야 하므로 61층은 60층이 된다. 옥상에 송신탑을 받치고 있는 부분은 층수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63빌딩은 지상층은 총 61층 중에서 44층이 빠져있기 때문에 60층이 된다.
63빌딩이 60층이 아닌 63빌딩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1985년 5월 완공 당시 일본 도쿄의 선샤인 60을 제치고 북아메리카를 제외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라는 명칭을 얻기 위해서였다. 실제로는 일본과 같은 60층이었지만, 63빌딩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방송 당시 63빌딩의 건물 관계자가 개그맨 김경진과 함께 60층 스카이 아트 전망대에서부터 63층까지 계단으로 함께 오르고 61~63층은 직원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라고 인터뷰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63빌딩이 설계상 지하 3층, 지상 60층이라고 알려져 있다. 44층이 없기 때문에[2] 60층인 전망대가 실제로는 지상 59층이어서 61층(실제로는 지상 60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존재한다. 또한 61층이 61층과 m61층(62층)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고(지상 60층에 해당), 옥상에 송신탑을 받치고 있는 건물(63층)이 있다.
따라서 옥상의 건물층을 포함하여 63층(실제로는 옥상층이 지상 61층이나 44층이 없고 지상 60층이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이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3]
6. 사건 및 사고
7. 대중문화
63빌딩은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했다.
드라마
- MBC 전원일기: 1986년 방영된 301회[10], 1988년 방영된 358회, 1992년 방영된 592회에 등장했다.
- SBS 마이걸(2005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SBS 추적자(2012년): 6회에서 63빌딩 층수가 화제가 되는 장면이 나오는데, 지상 60층이 맞다고 한다.[17]
- KBS2 미래의 선택(2013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KBS2 총리와 나(2013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투니버스 벼락맞은 문방구 시즌2(2014년): 4-4화에 나온다.
- SBS 피노키오(2014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JTBC 디데이(2015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MBC 내 딸, 금사월(2016년): 46회에 나온다.
- MBC 가화만사성(2016년): 27회에 나온다.
- MBC 몬스터(2016년): 50회에 나온다.
- SBS 푸른 바다의 전설(2016년): 지하 1층 63빌딩 수족관 직원 역할로 서동원이 출연했다.
- KBS2 김과장(2017년): 8회에 나온다.
- MBC 자체발광 오피스(2017년): 나온다.
- tvN 써클: 이어진 두 세계(2017년): 2037년 서울 일반지구가 나온다.
- MBC 파수꾼(2017년): 나온다.
- GMA 한국인 자기야(2017년): 나온다.
- tvN 변혁의 사랑(2017년): 나온다.
- MBC 투깝스(2017년): 나온다.
- tvN 드라마 스테이지(2017년): 나온다.
- JTBC 미스티(2018년): 나온다.
- SBS 훈남정음(2018년): 나온다.
- tvN 김비서가 왜 그럴까(2018년): 나온다.
- KBS2 국민 여러분!(2019년): 나온다.
- 웹드라마 당신과 나의 거리, 63피트(2019년): 나온다.
- POWER MOVIE 드라마 남과 북(2019년): 나온다.
- SBS 더 킹 : 영원의 군주(2020년): 대한민국, 1994년 겨울 장면이 나온다.
- JTBC 시지프스 : the myth(2021년): 나온다.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021년): 2화에 나오는데 버려진 장소를 알려주는 역할이다.
- 넷플릭스 고요의 바다(2021년): 나온다.
-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2022년): 나온다.
- JTBC 재벌집 막내아들(2022년): 나온다.
영화
- 자귀모(1999년): 나온다.
- 후 아 유(2002년): 63빌딩 30층에 게임회사가 나오고 63빌딩 옥상이 나온다.
- 가문의 영광(2002년): 나온다.
- 광복절 특사(2002년): 나온다.
- 야수(2006년): 나온다.
- 괴물(2006년): 나온다.
- 다세포 소녀(2006년): 나온다.
- 그놈 목소리(2007년): 1991년의 서울이 나온다.
- 김씨표류기(2009년): 나온다.
- 수상한 고객들(2011년): 나온다.
- 연가시(2012년): 나온다.
- R2B: 리턴투베이스(2012년): 63빌딩의 유리가 깨지는 장면과 사무실 내부가 나온다.
- 타워(2012년): 타워스카이 주변에 63빌딩이 나온다.
- 고령화가족(2013년): 나온다.
- 더 테러 라이브(2013년): 범인의 표적이 되어 폭발사고가 일어난 곳의 배경이 마포대교다.
- 내부자들(2014년): 나온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2015년): 나온다.
- 돌연변이(2015년): 나온다.
- 더 폰(2015년): 63빌딩과 서울국제금융센터의 야경이 나온다.
- 그날의 분위기(2016년): 여의도의 63빌딩과 서울국제금융센터가 나온다.
- 럭키(2016년): 여의도의 63빌딩과 LG트윈타워가 나온다.
- 공조(2017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콜로설(2017년): 여의도의 63빌딩이 나온다.
- 아일라(2017년): 여의도 건물들이 나온다.
- 리얼(2017년): 나온다.
- 승리호(2021년): 63빌딩과 높은 건물이 나온다.
애니메이션
- 달려라 하니(1988년): 오프닝에 등장한다.
- 영심이(1990년): 오프닝에 등장한다.
- 스피드왕 번개(1998년): 6화에서 스피드팀과 액션팀이 한강 둔치에서 대결할 때 배경으로 등장한다.
- 태권왕 강태풍(2000년): 나온다.
- 내 친구 해치(2010년): 나온다.
- 검정 고무신 4기(2015년): 11-2화 마지막 장면에 등장한다.
- 심슨 가족(2019년): 나온다.
- 갓 오브 하이스쿨(2020년): 나온다.
웹툰
- 노루(2012년): 나온다.
- 조의 영역(2012년): 5화에 나온다.
- 더 게이머(2013년): 수수께끼의 기업인 어비스가 63빌딩 지하층에 위치하고 있다.
- 여의도(2020년): 나온다.
게임
- 왕중왕(1994년): 등장한다.
- 심시티 3000(1999년): 언리미티드 버전과 코리아 버전의 랜드마크로 등장한다.
- KOF 2002(2002년): 한국 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 아쿠아스토리(2014년): 게임 이벤트를 통해 63씨월드를 구매할 수 있다.
- 상하이 애니팡(2015년): 2017년 업데이트된 월드투어의 에피소드 16 "세계의 중심 서울(스테이지 301 ~ 320)"에 나온다.
- 랜드마크 시티: 도시 키우기(2017년): 나온다.
예능
- 런닝맨: 2011년 7월 31일 방영된 54회 '보스를 지켜라', 2014년 3월 23일 방영된 190회에 나왔다.
- 남자의 자격(2012년): 2012년 11월 25일에 나왔다.
- 무한도전: 2013년 4월 6일 방영된 '술래잡기'(촬영 날짜는 2013년 3월 28일), 2014년 11월 방영된 '63빌딩 창문청소', 2016년 방영된 '무도리 GO'에 나왔다.
음악
- 여행스케치 정규 4집 타이틀곡 '산다는 건 다 그런게 아니겠니'(1994년):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다.
- 코요태 2집 '실연'(1999년): 뮤직비디오 시작 부분에 나온다.
- 싸이의 'Right Now'(2010년): 가사에 등장한다.
- 40(포티)의 '63빌딩'(2015년): 노래이다.
- 폴 아웃 보이의 '피닉스 - 엔터테인먼트'(2013년): 나온다.
기타
8. 서울세계불꽃축제
2000년 이후 매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열리는 축제 중 하나이다. 63빌딩을 운영하고 있는 한화그룹의 주최로 열리며, 63빌딩 앞에 있는 한강시민공원 여의도지구에서 저녁 시간에 시작된다. 2001년, 2006년, 2009년은 행사가 취소되었었다.[18]
서울세계불꽃축제는 2000년에 시작되었고 2001년에는 9·11 테러 여파로, 2002년에는 한일 월드컵 개최를 고려하여 행사일을 조정하였다.
10만 발의 불꽃이 발사되며, 매년 100만 명 이상의 대규모 인파가 운집하여 관람하는 서울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2010년 행사에는 여의도 주행사장 약 20만 명[19], 원효대교와 한강대교 근처, 한강공원 이촌지구 등에 약 백만 명 등, 총 약 120만 명이 관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20][21][22] 1팀당 발사 비용은 약 2억원 정도이다. 부대비용까지 포함해 한화그룹에서 지출하는 비용은 대략 70억원[23] 정도로 알려져 있다.
발사포 내에 불꽃 장전이 완료되면 비가 내려도 발사가 가능하다. 때문에 우천으로 행사 자체가 취소되는 일은 거의 없다.[24] 서울세계불꽃축제가 바로 앞 한강에서 열린다. 불꽃이 터지는 모습이 63빌딩 표면에 이지러지며 반사되는 모습은 운치가 있다.
불꽃축제 때 VIP 한정으로 63빌딩 중간층 오피스를 통째로 대관해서 디너쇼를 한다.
9. 교통
63빌딩은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편리하다.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이나 지하철 9호선 샛강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버스는 간선버스 261번, 지선버스 5534, 5633, 7611번을 이용하면 된다.
9. 1. 지하철
9. 2. 버스
구분 | 노선 번호 |
---|---|
간선버스 | 261번 |
지선버스 | 5534, 5633, 7611번 |
참조
[1]
웹사이트
Entry for the KLI 63 Building on The Skyscraper Center (database)
http://skyscrapercen[...]
[2]
웹사이트
KLI 63 Building
http://www.skyscrape[...]
CTBUH
2017-12-14
[3]
웹사이트
63스퀘어
http://www.63art.co.[...]
2017-06-01
[4]
웹사이트
Mok-dong Hyperion Towers, Seoul
http://skyscraperpag[...]
SkyscraperPage.com
2009-03-10
[5]
웹사이트
DLI 63 Building, Seoul - SkyscraperPage.com
http://skyscraperpag[...]
[6]
웹사이트
63빌딩
http://100.naver.com[...]
[7]
뉴스
韓和の大韓生命買収が確定
http://japanese.chos[...]
朝鮮日報
2002-09-23
[8]
웹인용
대한생명 63층 빌딩
http://scienceon.kis[...]
대한건축사협회
2021-04-02
[9]
뉴스
大韓生命(대한생명)63층빌딩준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05-30
[10]
뉴스
[어제의 오늘]1985년 63빌딩 준공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7-26
[11]
뉴스
초고층이 도시 살린다 <1> 세계는 마천루 경쟁 중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4-01-20
[12]
뉴스
전지현의 호텔프리즘] 30년 역사 63빌딩의 '탈바꿈 뷔페' 선사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2016-05-09
[13]
뉴스
63레스토랑, 개관 30주년 기념 30% 특별 할인 이벤트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5-05-29
[14]
기타
[15]
뉴스
63빌딩 2차례 방화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2-03-20
[16]
뉴스
63빌딩 어제화재 10여분만에 진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6-05-09
[17]
뉴스
63빌딩 숨겨진 진실 '알고보면 실제 60층?'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2-06-14
[18]
뉴스
가을밤 수놓은 불꽃축제…시민 백만 명 '북적'
http://news.sbs.co.k[...]
SBS
2007-10-13
[19]
뉴스
서울 세계불꽃 축제 열려...20만 명 몰려
http://media.daum.ne[...]
YTN
2010-10-09
[20]
뉴스
여의도 세계불꽃축제보러 120만 인파 몰려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0-10-09
[21]
뉴스
'서울세계불꽃축제' 120만 인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10-09
[22]
뉴스
여의도 '서울세계불꽃축제' 120만 인파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0-10-09
[23]
뉴스
가을밤 수놓는 화려한 불꽃쇼...2017 여의도 불꽃축제
https://news.naver.c[...]
YTN
[24]
뉴스
불꽃축제 취소로 열받는 한화 “하루만 참을걸…”
http://biz.heraldm.c[...]
헤럴드 경제
2009-09-14
[25]
뉴스
"63빌딩이 테러당했다" 낚싯글에 네티즌 발칵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03-25
[26]
뉴스
'63빌딩 해킹 UCC' 알고보니 코카콜라 CF, 주인공은 슈퍼키드
http://hei.hankyung.[...]
한국경제
2009-09-19
[27]
뉴스
63빌딩 옥상의 비밀, “군인이 지키고 있을 줄이야...”
http://entertain.nav[...]
매일경제
2012-04-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문정현대 리모델링 허가…쌍용 리모델링 7호 예정
11번가, 간편식 버티컬 서비스 ‘간편밥상’ 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