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천군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천군은 1949년 여수군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된 후 남은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다. 이후 1960년 여수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수시·여천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황병규, 김철주, 이은태, 김우평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천군 - 여수시·여천군·광양군
    여수시·여천군·광양군은 1973년 중대선거구제 실시로 신설되어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어 폐지되었다.
  • 여천군 - 씨프린스호 사고
    1995년 씨프린스호가 태안군 해상에서 좌초되어 13만 5천 톤의 원유가 유출된 이 사고는 대한민국 환경 보호 인식 변화와 해양 안전 및 환경 보호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야기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여천군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여천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남도
연도1950
폐지196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여수군 갑
여수군 을
이후 선거구여수시·여천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9년 8월, 여수군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되고, 여수군 잔여 지역이 여천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천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수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수시·여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1950년 대한국민당 소속 황병규 의원이 당선되었다.

3. 2. 제3대 국회의원 (1954년)

1954년 무소속 김철주가 당선되었다.

3. 3.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1958년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한 이은태 의원이 당선되었다. 이은태 의원은 자유당 소속으로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3. 4.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960년 선거에서 민주당 김우평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우평 의원은 4.19 혁명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민주당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여천군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각 선거별 당선자와 득표율은 하위 섹션에서 표로 확인할 수 있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황병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병규대한국민당11,62827.09%
유성한무소속11,47826.74%
김철주무소속11,40526.57%
서일선무소속4,32010.06%
김재갑무소속3,0607.12%
정영선무소속9002.09%
강의수무소속1280.29%
합계42,919100%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김철주무소속16,06433.78
황병규자유당11,60924.41
명창순대한독립촉성국민회8,29417.44
서일선무소속4,3179.07
조석래민주국민당3,5027.36
장원석무소속2,0814.37
김병길민주국민당1,6823.53
합계47,5491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은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은태자유당16,15332.63
김우평민주당15,18730.68
홍용구대한독립촉성국민회9,45119.09
이경근무소속8,69817.57
합계49,489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우평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우평민주당34,62566.22
곽봉수무소속10,99821.03
류지용무소속6,66012.73
합계52,283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