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당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당은 1951년 이승만의 지시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이승만의 재선을 목표로 창당되었으며, 친이승만계 세력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일민주의를 내세우며 서구식 자유주의와는 거리가 있었다. 반공주의와 친미 노선을 강조했으며, 1952년, 1956년, 19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을 당선시켰으나, 1960년 3.15 부정선거로 인해 국민적 비판을 받았다. 4.19 혁명 이후 야당으로 전락했고,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었다가 재창당했으나 분열과 저조한 지지율로 1970년 신민당에 흡수되어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의 원내정당 -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은 1955년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여 창당되어 조병옥, 장면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다가 4·19 혁명 이후 집권당이 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4대 민의원의 원내정당 -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은 1955년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여 창당되어 조병옥, 장면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다가 4·19 혁명 이후 집권당이 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 원내정당 - 헌정동지회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 원내정당 - 사회대중당
    사회대중당은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얻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되었으며, 농어촌 진흥을 위한 정책을 제시했다.
자유당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자유당
원어 이름자유당(자유黨)
로마자 표기Jayudang
영어 이름Liberal Party
다른 번역자유당(Liberty Party), 자유당(Freedom Party)
자유당 로고
창당 및 해산
창당일1951년 12월 17일 (첫 번째 창당)
재창당일1963년 9월 7일 (두 번째 창당)
해산일1961년 5월 16일 (첫 번째 해산)
최종 해산일1970년 1월 24일 (두 번째 해산)
주요 인물
설립자이승만
당수이재학
당의 성향 및 이념
이념일민주의 (1952년까지)
보수주의
기독교입국론
한국 민족주의
정치 성향극우
관련 단체
전신대한민국청년단 (실질적)
국민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조합총연맹
대한부인회
합병 정당신민당
기타 정보
당 색상짙은 녹색
짙은 파란색
본부서울특별시
신문(정보 없음)
학생 조직(정보 없음)
청년 조직(정보 없음)
대한민국 국회의원 의석 (3대 총선)
의석수114 / 203석

2. 창당 과정

1951년부터 1961년까지 사용된 자유당 로고


195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승만은 자신의 재선을 위해 정당 창당을 결심한다. 1951년 8월 15일, 이승만은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정당 조직 의사를 밝혔다.[34] 친이승만계 공화민정회와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국민회), 대한노동조합총연맹, 농민조합연맹, 대한부인회 등 5개 단체가 창당의 주축이 되었다.[33]

이승만은 이범석에게 신당 창당을 맡겼고,[37] 이범석은 조선민족청년단의 조직 기반을 활용하였다.[38]

2. 1. 원내 자유당과 원외 자유당



친이승만계 공화민정회와 5개 기간사회단체인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국민회), 대한노동조합총연맹, 농민조합연맹, 대한부인회이 주축이 되어 자유당이 창당, 조직되었다.[33] 별도로 조선민족청년단 출신인 이범석 등의 원외세력이 원외 친여 세력이 역시 친이승만계 정당인 통일노농당을 발족시키고, 얼마 뒤 자유당으로 당명을 바꿔 두개의 자유당이 한 지도자 아래 탄생하였다.

195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승만은 1951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정당을 조직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34] 8월 25일 신당 조직에 관한 담화문을 발표하였다.[35] 8월 31일 주중 대사로 있던 이범석이 귀국하고,[36] 이승만은 이범석에게 신당 창당을 맡겼다.[37] 이것은 이범석의 탄탄한 조선민족청년단 조직 기반을 이용하고 여기에 가장 조직이 큰 5개 사회 단체(국민회, 대한청년단, 대한노동조합총연맹, 농민조합총연맹, 대한부인회)를 자유당 산하 기간 단체로 편입시키기 위함이었다.[38]

1951년 12월 17일 이범석을 중심으로 한 자유당("원외 자유당")이 탄생했다. 그러나 12월 23일 소장파 의원들이 중심이 된 또 다른 자유당("원내 자유당")이 탄생했다.[39] 원내 자유당은 장면을 리더로 하는 일파와 장택상을 리더로 하는 일파가 존재했고, 원외 자유당은 이범석을 부당수로 선출한다. 원내 자유당과 원외 자유당의 이중적인 구조는 후에 장면의 탈당, 장택상의 탈당 등 연이은 탈당 이후 이승만이 이범석을 평당원화 시키면서 강제로 일치시킨다.

3. 이념 및 정책

자유당은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했지만, 서구식 자유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일민주의를 내세우며 '한국식 자유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제시했다.[13] 일민주의의 주요 가치 중 하나는 전통적 보수주의에 기반한 ''홍익인간''이었다. 학도호국단한국어은 ''히틀러 유겐트''와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 오늘날까지도 대한민국에서의 ''자유민주주의''는 서구의 자유민주주의와 같은 의미보다는 대한민국 보수 진영에서 "반공 체제" 또는 "공산주의에 맞선 자유 세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3][14]

집권 기간 동안 자유당은 국가적 가치로 "반공 및 반일" 정서를 내세웠다.[14][18][19] 동시에 자유당은 매우 친미적인 경향을 보였으며,[15][16][17] 따라서 우익 포퓰리즘에 더 가까웠고 저항 민족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18][19] 자유당은 화교에 대한 차별 정책을 한국 민족 우월주의와 반중국 정서에 기반하여 지지했다.[20]

3. 1. 일민주의

자유당은 일민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내세웠으며, 서구식 자유주의개인주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한국식 자유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제시했다.[13] 일민주의는 홍익인간을 주요 가치 중 하나로 삼았다.[13] 학도호국단은 히틀러 유겐트와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3] 오늘날까지도 대한민국에서 ''자유민주주의''는 서구의 자유민주주의와 같은 의미보다는 대한민국 보수 진영에서 "반공 체제" 또는 "공산주의에 맞선 자유 세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3][14]

4. 주요 사건

4. 1. 1952년 정·부통령 선거

1952년 7월 19일 대전에서 열린 자유당 전당대회에서는 대통령 후보로 이승만, 부통령 후보로 이범석이 공천되었다.[40] 이승만은 후보 지명을 사양하는 듯한 메시지를 보냈으나, 이는 민의를 가장한 연출이었다.[41] 이승만은 재출마를 요구하는 민의에 굴복하는 모양새를 취하며 입후보를 허락하였다.[41]

이승만은 이범석을 제거하기 위해, 선거 일주일 전 함태영을 부통령 후보로 지지한다고 발표하였다.[42] 함태영은 무소속으로 부통령 후보에 입후보하였다.[42]

정·부통령 선거에는 자유당 당원인 이갑성, 백성욱, 정기원(鄭基元)이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자유당의 표가 분산되었다.[42] 이범석은 낙선하고 무소속 함태영이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한편, 원내자유당의 핵심 지도자였던 장면1952년 제2대 대통령 선거에서 일부 원내자유당 의원들의 대통령 후보 및 국무총리 추대 시도가 실패한 후 자유당을 탈당, 1954년 호헌동지회에 참여했다.

4. 2. 발췌 개헌과 사사오입 개헌

4. 3.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

5. 여당 시절

자유당은 1952년 발췌 개헌을 통해 이승만에게 독재의 길을 터주게 되어 야당과 여론의 크나큰 비난을 받게 되었다. 창당 초기에는 장택상 일파가 제거된 뒤 이범석의 족청계가 당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은 이범석과 민족청년단계열의 영향력을 우려하여, 자유당 공천으로 제3대 부통령 후보로 출마한 이범석 대신 장택상을 시켜 무소속의 함태영을 밀었다. 이후 이승만은 족청을 기반으로 당내 세력을 넓혀가는 이범석을 견제하기 위해, 이범석을 부당수에서 평당원으로 격하시키고, 이기붕을 당내 2인자로 끌어올렸다.

장택상1954년 호헌동지회에 참가하였으나 호헌동지회에 속한 민국당 계열 의원들의 조봉암 입당 반대에 실망하여 다시 자유당으로 되돌아왔다. 이범석은 탈당하여 1956년 1월 공화당을 조직했으나 제4대 부통령 후보 출마를 고집하는 바람에 당이 와해되면서 다시 자유당으로 복귀했다.

이승만의 비서 출신으로 야심을 보이지 않던 이기붕이 자유당의 당권을 장악하였고, 이승만에 의해 인위적으로 거세, 세력이 위축되었던 이범석 일파 및 족청계열과 대립하였다.

6. 야당 시절과 소멸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 이후 자유당은 야당으로 전락했다.[43] 자유당을 강력한 반공주의 야당으로 키우려던 미국은 자유당 대신 민주당의 장면을 지지하게 되었다.

제5대 총선을 앞두고 당명 개칭 논의가 있었으나, 1960년 6월 12일 임시 전대에서 반대 의견으로 무산되어 자유당은 당명을 지키게 되었다.[43]

이승만 퇴진 후에도 자유당은 제2공화국, 제3공화국에서 야당으로 존재하였다.[44]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해산됐지만, 1963년 정치활동이 허용되면서 장택상을 총재로 하여 재창당했다.[44] 그러나 자유당은 여러 갈래로 분열된 상태였고, 장택상을 필두로 창당된 자유당은 구 자유당 세력의 일부만을 대표했다. 제6대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 41명, 전국구 후보 4명을 내는 등 야당으로 활동했으나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였고,[45] 1964년 장택상의 탈당 이후 겨우 명맥을 유지하였다. 제6대 대선 때는 이범석 등을 대통령 후보로 낼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으나[46] 무산되었고,[47] 제7대 총선에서도 참패했다. 1970년 신민당에 흡수되어 해체되었다.

1963년부터 1970년까지 사용된 자유당 로고

7. 역대 지도부

이승만은 1952년 3월 20일부터 1952년 9월 26일까지 당수를 역임했고, 1952년 9월 26일부터 1960년 4월 24일까지 총재를 역임했다. 4.19 혁명으로 사퇴한 이후, 조경규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대표전권위원을 역임했다. 5.16 쿠데타로 정당이 해산되었다. 1963년 9월 7일, 장택상이 수석최고위원을 맡았고, 이후 남송학이 대표를 역임했다. 1966년 12월 16일, 이재학이 의장에 취임하여 1970년 1월 24일까지 재직하다가 신민당에 흡수합당되었다.

8.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후보자당락
대통령 선거
1952년8월 5일제2대 대통령 선거이승만당선
1956년5월 15일제3대 대통령 선거이승만당선
1960년3월 15일제4대 대통령 선거이승만당선



년월일의석득표율
총선거
1954년5월 20일제3대 총선거11436.8%
1958년5월 2일제4대 총선거12642.1%
1960년7월 29일제5대 총선거22.7%


8. 1. 대통령 선거

자유당은 1952년, 1956년, 19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을 후보로 내세워 당선시켰다. 그러나 1960년 3·15 부정선거의 결과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는 무효화되었다.

선거후보득표수득표율 (%)결과
1952년이승만5,238,76974.62
1956년5,046,43769.99
1960년 3월9,633,376100


8. 2. 부통령 선거

1952년 부통령 선거에서 이범석이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1,815,692표(25.5%)를 얻어 낙선하였다. 이 외에도 이갑성, 임영신, 정기원 등이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1956년 부통령 선거에는 이기붕이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3,805,502표(44%)를 득표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60년 부통령 선거에도 이기붕이 출마하여 8,337,059표(79.2%)를 얻었으나, 부정선거로 인해 무효화되었다.

8. 3.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선거득표수득표율 (%)의석수순위비고
제3대 총선2,756,08136.8114 / 2031위여당
제4대 총선3,607,09242.1126 / 2331위여당
제5대 총선249,9602.82 / 233 (민의원)3위야당
제5대 총선653,7486.124 / 58 (참의원)2위야당
제6대 총선271,8202.90 / 1757위원외정당
제7대 총선393,4483.60 / 1753위원외정당


8. 4. 지방선거

자유당은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 의석을 확보하였다.

년도시장읍장면장도의원시의원읍의원면의원
19521471142744056
19562828224915751010823



참조

[1] 서적 키워드 로 읽는 한국 현대사 - 1권 이매진 2007
[2] 서적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 ~ 2011
[3] 뉴스 파시즘의 재현(2): 자유당의 지배이데올로기 http://www.agoranews[...] 2015-12-18
[4]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1950년대편 2 : 6·25 전쟁에서 4·19 전야까지 https://books.google[...] 인물과사상사 2004
[5]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개정) https://books.google[...] 웅진지 (Woongjin Books)
[6] 서적 Building Ships, Building a Nation: Korea's Democratic Unionism Under Park Chung Hee (Korean Studies of the Henry M.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9
[7] 논문 Evangelicals and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Since 1987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New York 2009-03-05
[8] 논문 Sociological Elements of a Theory of Terror and Violence http://www.jstor.org[...] 1962
[9] 논문 The Fragility of Liberal Democracy: A Schmittian Response to the Constitutional Crisis in South Korea (1948–79) https://read.dukeupr[...] 2022-05
[10] 웹사이트 Hyodang http://anthony.sogan[...]
[11] 논문 'Overdeveloped' State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in the 1950s: A Reinterpretation http://www.jstor.org[...] Lynne Rienner Publishers
[12] 논문 The Korean War and Rise in Power of the Rhee Syngman Regime 1990
[13] 논문 Excessive Nation' and 'Indiscoverable Individual': 'One-people principle' and particularity of Korean nationalism https://www.kci.go.k[...] 2015
[14] 뉴스 한국 보수가 사랑한 '자유'···그들이 외친 '자유'는 따로 있었다 :자유주의란 무엇인가? https://www.joongang[...] 2020-04-19
[15] 서적 이 승만 의 정치 이데올로기 https://books.google[...] 역사비평사
[16] 웹사이트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https://www.pressian[...] 2018-04-11
[17] 서적 鄭鑑錄: 우리 민족 의 삶 과 역사
[18] 서적 분단 한국 의 매카시즘 형성사 2004
[19] 서적 우리 어머님: 한 가족사 에 비낀 현대 한국 의 사회 와 문화 지식 산업사 2008
[20] 뉴스 한국은 어떻게 화교를 혐오해왔나 '137년의 기록' https://www.hani.co.[...] 2018-10-26
[21] 서적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 ~ 2011
[22]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1950년대편 2 : 6·25 전쟁에서 4·19 전야까지 https://books.google[...] 인물과사상사 2004
[23]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개정) https://books.google[...] 웅진지 (Woongjin Books)
[24] 서적 Building Ships, Building a Nation: Korea's Democratic Unionism Under Park Chung Hee (Korean Studies of the Henry M.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9
[25] 서적 이 승만 의 정치 이데올로기 https://books.google[...]
[26] 서적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 ~ 2011
[27] 논문 'Overdeveloped' State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in the 1950s: A Reinterpretation http://www.jstor.org[...] Lynne Rienner Publishers
[28] 뉴스 파시즘의 재현(2): 자유당의 지배이데올로기 http://www.agoranews[...] 2015-12-18
[29]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1950년대편 2 : 6·25 전쟁에서 4·19 전야까지 https://books.google[...] 인물과사상사 2004
[30]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개정) https://books.google[...] 웅진지 (Woongjin Books)
[31] 서적 Building Ships, Building a Nation: Korea's Democratic Unionism Under Park Chung Hee (Korean Studies of the Henry M.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9
[32] 웹사이트 (21세기 정치학대사전)자유당 https://terms.naver.[...]
[33] 웹사이트 한민족문화대백과-자유당 https://terms.naver.[...]
[34] 논문 한국전쟁과 이승만정권의 권력강화 1990
[35] 서적 한국정당정치실록2:6·25전쟁부터 장면 정권까지 지와사랑
[36]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37]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38] 간행물 자유당의 기구와 역할 나남 1990
[39]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40]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41] 간행물 자유당의 기구와 역할 나남 1990
[42] 서적 분단한국사 동녘 1985
[43]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5-03
[44]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20
[45] 간행물 대한민국 선거사 제1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46]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20
[47]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