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산(수학)은 수학에서 정의된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피연산자로부터 새로운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연산은 집합 S 위의 n항 연산, 닫힘, 표기법, 연산의 종류, 유도되는 연산, 예시로 구성된다. 연산자, 단항 연산, 이항 연산 등이 있으며, 덧셈, 곱셈, 논리 연산 등이 연산의 예시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술 -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를 엄밀하게 정의하기 위해 주세페 페아노가 제시한 공리계로, 자연수 집합이 만족해야 할 5가지 성질(0의 존재, 따름수의 존재, 따름수의 0이 아님, 따름수 함수의 단사성, 수학적 귀납법)을 규정하며 현대 수학의 기초를 이룬다. - 산술 - 유효숫자
유효숫자는 측정값의 정확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으로, 0이 아닌 숫자, 0이 아닌 숫자 사이의 0, 소수점 아래 끝자리의 0을 유효숫자로 간주하며, 덧셈, 뺄셈, 곱셈 등 계산에서 유효숫자 규칙이 적용되어 측정값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 대수학 - 다항식
다항식은 변수, 계수, 상수항으로 구성되어 덧셈, 뺄셈, 곱셈, 거듭제곱 연산으로 결합된 항들의 유한한 합으로 표현되는 식이며, 대수 방정식 해를 구하는 데 중요하고 현대 수학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 대수학 - 상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수로, 함수에서 변수와 대비되며 수식 내에서 고정된 값을 갖고, 원주율, 자연로그의 밑, 허수 i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연산 (수학) | |
---|---|
개요 | |
분야 | 수학 |
하위 분야 | 대수학 해석학 집합론 |
기본적인 연산 | |
종류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
피연산자 | 피연산자(operand) |
설명 | 어떤 값을 계산하기 위한 작용 |
2. 정의
집합 와 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위의 '''항 연산'''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
이는 의 개 원소로 이루어진 순서쌍을 의 원소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영항 연산은 의 원소이고, 일항 연산은 에서 로 가는 함수이며, 이항 연산은 에서 로 가는 함수이다. 이항 연산은 덧셈 또는 곱셈이라고도 하며, 이항 연산을 갖춘 집합을 마그마라고 한다.
넓은 의미에서, '''항 연산'''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
무한 순서수 항수를 허용하여 연산의 개념을 일반화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항수가 유한한 연산을 '''유한항 연산''', 무한한 연산을 '''무한항 연산'''이라고 한다.
연산은 관계의 특수한 경우이다. 흔히 사용되는 연산 유형으로는 단항 연산과 이항 연산이 있다. 단항 연산은 부정과 삼각 함수처럼 하나의 값만 포함하며,[3] 이항 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지수 등과 같이 두 개의 값을 사용한다.[4]
연산은 숫자뿐만 아니라 진리값, 벡터, 집합,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연산을 사용하여 진리값을 결합하거나, 벡터의 덧셈과 뺄셈, 집합의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연산, 함수의 합성 및 컨볼루션 등이 있다.[5][6][7][8][9][10]
연산은 ''정의역''의 모든 값에 대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수에서는 0으로 나누거나[11] 음수의 제곱근을 구할 수 없다. 연산이 정의된 값은 ''정의역'' 또는 ''유효역''이라고 하며, 연산 결과값의 집합은 ''상'' 또는 ''치역''이라고 한다.[12]
연산은 결합 법칙, 교환 법칙, 반교환 법칙, 멱등성 등과 같은 특정 속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연산자'''는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과정을 의미하며, 연산과 유사하지만 관점이 다르다. 예를 들어, 피연산자와 결과에 초점을 맞출 때는 "덧셈 연산"이라고 하지만, 과정에 초점을 맞출 때는 "덧셈 연산자"라고 한다.
2. 1. 연산에 대한 닫힘
집합 S와 그 위에서 정의된 n항 연산 F가 주어졌을 때, S의 부분 집합 T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T는 F에 대해 '''닫혀있다'''고 한다.- T의 임의의 원소들에 대한 F 연산 결과가 항상 T에 속한다.
또한, T의 F에 대한 '''폐포'''는 F에 대하여 닫혀있는 최소 집합이다. 즉, 폐포는 T를 포함하며, T의 원소들에 F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원소들을 포함하는 집합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집합 S와 그 위의 연산들의 집합 F가 주어졌을 때, S의 부분집합 T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T는 F에 대해 '''닫혀있다'''고 한다.
- F의 임의의 연산 F에 대하여, T는 F에 대해 닫혀있다.
또한, T의 F에 대한 '''폐포'''는 F에 대하여 닫혀있는 최소 집합이다.
3. 표기
연산 표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주 사용되는 표기법으로는 연산자를 피연산자 앞에 배치하는 전위 표기법(폴란드 표기법),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배치하는 후위 표기법(역폴란드 표기법), 연산자를 두 피연산자 사이에 표기하는 중위 표기법 등이 있다.
일항 연산은 전위 표기법 (반수), (부정) 또는 후위 표기법 (계승)이나 함수 표기법 (사인) 등을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연산자를 위 첨자 표기하는 방법 (전치 행렬)도 있다. 제곱근 의 경우, 연산자가 피연산자의 왼쪽과 위쪽에 걸쳐 위치한다.
이항 연산은 보통 함수 표기법 대신 중위 표기법 , 를 사용하거나 연산자를 생략하는 방식 를 사용한다. 거듭제곱 의 경우, 연산자를 생략하되 두 번째 변수인 지수를 위 첨자 표기한다. 전위 표기법 , 이나 후위 표기법 , 을 사용하기도 한다.
4. 연산의 종류
단항 연산은 제곱근, 부정 연산처럼 하나의 피연산자를 갖는 연산이다. 이항 연산은 덧셈, 곱셈 등과 같이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갖는 연산이다.[3][4] 세 개의 피연산자를 갖는 삼항 연산도 있으며, 여러 개의 피연산자를 갖는 연산을 다항 연산이라고 한다.
연산은 숫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학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리값은 논리 연산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벡터는 더하거나 뺄 수 있다.[5] 회전은 함수 합성 연산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집합에 대한 연산에는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등이 있다.[6][7][8] 함수에 대한 연산에는 합성 및 컨볼루션이 포함된다.[9][10]
연산은 함수의 정의역의 모든 값에 대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수에서는 0으로 나눌 수 없거나[11] 음수의 제곱근을 구할 수 없다.
4. 1. 연산자의 형식적 분류
단항 연산과 이항 연산은 연산의 흔한 두 가지 유형이다. 단항 연산은 부정 연산이나 삼각 함수처럼 하나의 값만을 다룬다.[3] 반면, 이항 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지수 연산과 같이 두 개의 값을 다룬다.[4]'''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하나뿐인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자이다. 보통 피연산자 앞에 연산자를 쓰는 전위 표기법을 사용하며, 괄호 "()"를 함께 쓰기도 한다.
몇몇 단항 연산자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제곱근을 나타내는 근호 "√"[2]
- 음수를 나타내는 음수 부호 (예: -3)
- 절댓값을 나타내는 두 개의 세로선 (예: |''x''|)
- 계승을 나타내는 느낌표 (예: ''n''!)(후위 표기법)
함수 ''f''(''x'')의 "''f''()"도 단항 연산자이며, 문자열 "''f''"는 '''함수자'''라고도 한다. 함수자로는 삼각 함수 "sin", "cos", "tan" 등이 있다. 미분 연산자 "''d''/''dx''" 또는 "''D''"나, 차분 연산자 "Δ"도 단항 연산자이다. 함수에 대한 "′"도 미분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f''(''x'')의 미분은 ''f''′(''x'')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수 ''a''가 주어질 때마다 로그 함수 log''a'' ''x''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 log''a''는 상수 하나를 포함하는 단항 연산자로 작용한다.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얻는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자이다. 수학에서는 보통 전위 표기법을 사용하지만, 이항 연산자는 중위 표기법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즉, "''k'' + 3"과 같이 연산자를 두 피연산자 사이에 둔다.
이항 연산을 2변수 함수로, ''B''(·, ·)와 같이 함수자와 괄호, 쉼표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명시적인 함수자를 갖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내적 "⟨·, ·⟩", 리 대수의 괄호곱(리 괄호) "[·, ·]", 푸아송 괄호 "{·, ·}", 르장드르 기호 "(· / ·)" 등이 있다.
이항 연산자가 취하는 두 피연산자 중 하나를 고정하면, 단항 연산자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여러 피연산자를 갖는 다항 연산자 중 일부 피연산자를 고정하여, 피연산자 수가 더 적은 연산자족으로 바꿀 수 있다. (\커리화)
4. 2. 연산자의 의미적 분류
연산자는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나 과정을 의미하며, 피연산자와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연산 과정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산술 연산자는 사칙 연산 등을 나타내는 연산자로, 예를 들어 덧셈의 , 곱셈의 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이며, 피연산자와 결과는 같은 대수계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관계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는 연산을 나타낸다. 수리 논리학에서는 두 수식으로부터 진리값을 얻는 연산으로 간주된다. 관계 연산자는 대부분 이항 연산자이며, 중위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등호 , 부등호 , , , , 등이 관계 연산자에 해당한다.
논리 연산자는 진리값(참/거짓)에 대한 논리곱 , 논리합 등의 논리 연산을 나타내며, 중위 표기법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부정을 나타내는 전치 단항 연산자 도 논리 연산자에 포함된다.
5. 유도되는 연산
주어진 연산으로부터 새로운 연산을 유도할 수 있다.
- '''제한''': 위의 항 연산 은 그에 대하여 닫혀있는 부분 집합 위에 새로운 항 연산 , 을 유도한다. 이를 의 에서의 제한(restriction영어)이라고 한다.
- '''점별 연산''': 항 연산 은 함수 집합 위에 항 연산 , 를 유도한다. 이를 에 대한 점별 연산(pointwise operation영어)이라고 한다.
6. 예
연산에는 단항 연산과 이항 연산 두 가지 흔한 유형이 있다. 단항 연산은 부정 연산과 삼각 함수와 같이 하나의 값만 포함한다.[3] 반면에, 이항 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지수 연산 등과 같이 두 개의 값을 사용한다.[4]
연산은 숫자 외에도 진리값, 벡터, 회전, 집합,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리값 ''참''과 ''거짓''은 논리 연산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벡터는 더하거나 뺄 수 있으며, 회전은 함수 합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집합에 대한 연산에는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이 있고, 함수에 대한 연산에는 합성 및 컨볼루션이 있다.[6][7][8][9][10]
연산은 ''정의역''의 모든 가능한 값에 대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수에서는 0으로 나눌 수 없거나[11] 음수의 제곱근을 구할 수 없다. 연산이 정의된 값은 ''정의역'' 또는 ''유효역''이라고 하며, 연산에 의해 생성된 값의 집합은 ''상'' 또는 ''치역''이다.[12]
연산은 서로 다른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스칼라를 곱하여 다른 벡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스칼라 곱)[13], 두 벡터에 대한 내적 연산은 스칼라인 양을 생성한다.[14][15] 연산은 결합 법칙, 교환 법칙, 반교환 법칙, 멱등성 등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된 값을 ''피연산자'', ''인자'' 또는 ''입력''이라고 하며, 생성된 값을 ''값'', ''결과'' 또는 ''출력''이라고 한다. 연산은 두 개 미만의 입력을 가질 수 있다.
'''연산자'''는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6. 1. 사칙 연산
실수에서 덧셈, 뺄셈, 곱셈은 이항 연산이다.[4] 나눗셈은 0을 제외한 실수 집합에서 이항 연산인데, 0으로 나누기는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11]-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자연수 집합이 사칙 연산에 대해 닫혀 있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다.
연산 | 닫혀 있는지 여부 | 설명 |
---|---|---|
덧셈 (+) | O |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해, 도 자연수이다. |
뺄셈 (-) | X | 예를 들어, 는 자연수이지만, 는 자연수가 아니다. |
곱셈 (·) | O |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해, 도 자연수이다. |
나눗셈 (/) | X | 예를 들어, 는 자연수이지만, 는 자연수가 아니다. |
6. 2. 논리 연산
논리합과 논리곱은 논리식 집합 위의 이항 연산이고, 부정은 논리식 집합 위의 일항 연산이다.[3] 진리값 ''참''과 ''거짓''은 ''and'', ''or'', ''not''과 같은 논리 연산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6. 3. 군 위의 연산
군 위에 정의된 연산에는 다음이 있다.- 항등원 는 위의 영항 연산이다.
- 곱셈 , 는 위의 이항 연산이다.
이들에 의해 멱집합에 유도되는 연산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 자명군
- 임의의 에 대하여,
- * 특히, 임의의 에 대하여,
6. 4. 벡터 공간 위의 연산
체 위의 벡터 공간 에서 정의되는 벡터 덧셈은 , 와 같이 위의 이항 연산이다.[4] 스칼라 곱셈은 , 와 같이 정의되는데, 이는 이항 연산은 아니지만 넓은 의미에서 이항 연산으로 볼 수 있다.[13] 스칼라 곱셈은 벡터에 스칼라를 곱하여 다른 벡터를 만들어내는 연산이다.6. 5. 관계
n항 관계 은 다음과 같은 특수한 n항 연산으로 여길 수 있다.:
:
참조
[1]
웹사이트
Algebraic operation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https://www.encyclop[...]
2019-12-10
[2]
웹사이트
Universal Algebra Notes
2010-08-26
[3]
Mathworld
Unary Operation
[4]
Mathworld
Binary Operation
[5]
Mathworld
Vector
[6]
웹사이트
Un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7]
웹사이트
Intersect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8]
웹사이트
Complementat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9]
웹사이트
Composit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10]
웹사이트
Convolut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11]
웹사이트
Division by Zero
https://mathworld.wo[...]
2020-07-27
[12]
Mathworld
Coomain
[13]
웹사이트
Scalar Multiplication
https://mathworld.wo[...]
2020-07-27
[14]
서적
Functional Analysis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1995
[15]
웹사이트
Inner Product
https://mathworld.wo[...]
2020-07-27
[16]
서적
A Course in Universal Algebra
http://www.math.uwat[...]
Springer
1981
[17]
간행물
Power algebras: clones and relations
https://wwwpub.zih.t[...]
199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