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필깎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필깎이는 연필의 나무와 심을 깎아 필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1828년 프랑스에서 최초의 특허가 등록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의 연필깎이가 개발되었다. 수동, 전동, 특수 연필깎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작동 방식과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필 - 색연필
색연필은 색깔 있는 심을 나무, 종이, 플라스틱 등으로 감싸 만든 필기구이자 미술 도구로,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지닌다. - 문방구 - 종이
종이는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기록 및 인쇄 매체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채륜에 의해 개량 및 보급되었고,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발전을 거듭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지만 지속 가능한 생산과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 문방구 - 고무줄
고무줄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띠로,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원료로 다양한 크기, 색상, 재질로 생산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비키니
여성용 투피스 수영복인 비키니는 1946년 루이 레아르가 고안하여 핵실험 장소인 비키니 환초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노출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극복하고 배우들의 착용과 영화 등장으로 대중화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스포츠 유니폼으로도 활용된다.
연필깎이 | |
---|---|
연필깎이 | |
명칭 | |
한국어 | 연필깎이 |
영어 | pencil sharpener |
일본어 | 鉛筆削り (えんぴつけずり, enpitsu kezuri) |
종류 | |
종류 | 수동 연필깎이 자동 연필깎이 |
작동 방식 | 손으로 돌리는 방식 전동 방식 |
역사 | |
최초 발명 | 프랑스의 수학자 베르나르 라시몬 (Bernard Lassimonne, 1828년) |
미국 특허 | 월터 포스터 (Walter K. Foster, 1855년) |
자동 연필깎이 | 1917년 |
구조 및 작동 원리 | |
일반적인 구조 | 칼날 연필 고정 장치 깎은 찌꺼기 수집통 |
작동 원리 | 칼날을 이용하여 연필 심을 깎아 날카롭게 만듦 |
사용 시 주의사항 | |
주의사항 | 칼날에 베이지 않도록 주의 너무 세게 힘을 주어 연필 심이 부러지지 않도록 주의 깎은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비워 줌 |
기타 | |
관련 도구 | 칼, 사포 (연필 심 다듬기) |
2. 역사
연필깎이가 개발되기 전에는 주로 칼을 사용하여 연필을 깎았다. 1828년 프랑스의 수학자 베르나르 라시몽이 처음으로 연필깎이 특허를 냈지만, 1847년 그의 동료인 프랑스의 티에리 데스 이스티보가 최초로 만들었다.[5][10][11]
1822년 프랑스에서는 C. A. 부셰가 판토그래프를 사용한 연필깎이를 발명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특허를 신청하지 않아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했다.[2][3][4]
1855년 메인주 방고어의 월터 키트리지 포스터는 최초의 미국 연필깎이 특허를 받았다.[12] 그는 세계 최초의 연필깎이 회사를 설립하여 대량의 소형 휴대용 연필깎이를 생산했고, 이는 "미국 연필깎이"라는 이름으로 유럽에서도 판매되었다.[13]
19세기 말, 특히 미국에서는 다양한 기계식 연필깎이가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무겁고 사무실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미국의 Perfect Pencil Pointer, GEM Pencil Sharpener, Planetary Pencil Sharpener, 독일의 Jupiter 등이 있었다.[14] 20세기 초, Automatic Pencil Sharpener Co.(APSCO)는 미국 자동 연필깎이를 출시하여 시장을 지배했고, 이후 밀링 메커니즘을 갖춘 Climax, Dexter, Wizard, Junior 등의 모델을 판매하며 세계 최대의 연필깎이 생산 업체가 되었다.[14][15]
사무실용 전기 연필깎이는 적어도 1917년부터 만들어졌다.[19] 2011년 5월, 오하이오주 로건의 관광 관계자들은 폴 존슨 목사가 수집한 수백 개의 연필깎이를 지역 환영 센터에 전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던 존슨은 3,400개 이상의 연필깎이 컬렉션을 오하이오주 카본 힐의 자택 외부에 있는 작은 창고에 보관했다.[16]
2. 1. 초기 발전
1828년, 프랑스의 수학자 베르나르 라시몬(리모주)이 연필깎이에 대한 세계 최초의 특허(프랑스 특허 #2444)를 신청했다.[5] 그의 특허를 사용한 연필깎이는 실제로 파리의 미술 용품 가게인 비낭에서 생산되어 판매되었다.[3] 1833년 영국에서는 쿠퍼 & 엑스타인이 소위 스티록시논을 특허받았는데, 이것은 작은 장미나무 블록에 직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날카로운 줄로 구성된 간단한 장치였다.[6][7] 이것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필깎이이다.[8]1830년대와 1840년대에 프랑스의 일부 사람들(모두 파리에 기반)은 프랑수아 조제프 라우스와 같은 간단한 연필깎이 도구 제작에 참여했다.[9] 이 장치들은 부분적으로 판매되었지만, 지역을 넘어서는 의미는 없었다. 1847년, 프랑스 귀족 [http://www.rupertwilloughby.co.uk/gleanings/constant-de-thierry-des-estivaux-marquis-de-faletans-inventeur-du-taille-crayon 티에리 데 에스티보]는 현대적인 형태의 간단한 휴대용 연필깎이를 발명했다.[10][11]
2. 2. 전동 연필깎이의 등장
1936년경에 소개된 보스턴 폴라 클럽(Boston Polar Club) 연필깎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전동 연필깎이이다.[30] 전동 연필깎이는 하나 이상의 일자형 또는 원통형 커터가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수동 연필깎이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 일부 전기 연필깎이는 건물의 전기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고 배터리로 구동되므로 휴대성이 더 좋다.자동정지 전동 연필깎이는 연필 끝이 충분히 길어지면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멈춘다. 기본적인 자동 연필깎이의 경우 심이 너무 길어져 부러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전동식은 깎는 구멍에 연필을 밀어 넣어 깎는 형식이다. 과거에는 전동 연필깎이는 깎는 정도를 보지 않으면 너무 많이 깎이는 단점이 있었지만, 현재는 적절한 깎임 정도가 되면 멈추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어린이가 손가락을 넣으면 위험하기 때문에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춘 제품도 있다. 일반적인 크기의 연필 외에는 깎을 수 없다. 콘센트에서 전기를 얻는 경우가 많지만, 휴대에 편리하도록 배터리식으로 된 제품도 볼 수 있다. 일본 최초의 전동 연필깎이는 엘름 인터내셔널이 발매했다.[30]
3. 종류
연필깎이는 작동 방식, 크기,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크게 수동 연필깎이와 전동 연필깎이로 나눌 수 있다. 수동 연필깎이는 소형, 기계식, 선형 칼날 연필깎이로 세분화된다.
소형 연필깎이는 휴대하기 간편하며, 칼날이 비스듬하게 장착된 원뿔 형태의 깎이 구멍에 연필을 꽂아 돌려 깎는다. 반면 기계식 연필깎이는 내부에 여러 개의 나선형 칼날이 있어, 손잡이를 돌리면 칼날이 회전하며 연필을 깎는다. 유성 기어 구조를 사용하여 연필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깎을 수 있다.
일본 산업 규격(日本産業規格, JIS)에서는 1960년에 수동 연필깎이 규격(JIS S 6018), 1971년에 상용 전원 전동식 규격(JIS S 6049)이 제정되었고, 1992년에 통합(JIS S 6049 "전기 연필깎이 및 수동 연필깎이")되었다.
- '''제조사'''
- 소형 연필깎이: 1908년 독일의 테오도어 파울 메비우스가 발명[20], 일본에서는 나카시마 시게히사도(NJK)[25][26], 카이(KAI) 등이 있다.
- 기계식 연필깎이: 일본에서는 주식회사 카니에(カニエ)[28]가 유일한 제조사이다.[29]
3. 1. 수동 연필깎이
수동 연필깎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연필을 돌리거나 칼날을 움직여 연필을 깎는 방식이다. 소형 연필깎이와 기계식 연필깎이, 선형 칼날 연필깎이로 나뉜다.소형 연필깎이는 휴대하기 간편하며, 칼날이 비스듬하게 장착된 원뿔 형태의 깎이 구멍에 연필을 꽂아 돌려 깎는다. 1908년 독일의 테오도어 파울 메비우스가 발명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는다.
기계식 연필깎이는 내부에 여러 개의 나선형 칼날이 있어, 손잡이를 돌리면 칼날이 회전하며 연필을 깎는다. 유성 기어 구조를 사용하여 연필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깎을 수 있다. 깎은 찌꺼기를 모으는 통이 부착되어 있으며, 주로 탁상용으로 사용되나 벽에 고정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1957년 미쓰비시 연필(三菱鉛筆)이 최초로 생산했고, 1960년 칼을 소지하지 않는 운동(刃物を持たない運動)을 배경으로 수요가 증가했다.
선형 칼날 연필깎이는 연필과 칼날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와 모양으로 연필심을 깎을 수 있다.
3. 1. 1. 소형 연필깎이 (프리즘 연필깎이)

소형 연필깎이는 깎기 위한 칼날이 비스듬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칼날을 중심으로 한 원뿔 형태의 깎이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깎이 구멍에 연필을 꽂아 연필을 회전시켜 연필을 깎는다. 간단한 구조이므로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며, 칼날은 연필깎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깎인 연필심과 축은 연필깎이의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깎인 찌꺼기는 대패로 깎은 얇은 나무 조각과 같은 형태로 얇게 부채꼴 모양으로 깎인다.
배출되는 깎인 찌꺼기를 모으는 작은 상자가 있는 것, 깎은 후의 날카로움이 다른 깎이 구멍이 있는 것, 심은 깎지 않는 것, 칼날의 각도를 바꿔 깎는 날카로움을 바꿀 수 있는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재질은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하다.
일부 프리즘 연필깎이는 수동 크랭크 방식으로, 연필을 돌리는 대신 절삭 칼날을 회전시킨다.
- '''제조사'''
1908년에 독일의 기술자 테오도어 파울 메비우스(Theodore Paul Möbius)에 의해 발명되었다[20]. 독일에서는 메비우스에 의해 제조사인 "DUX사[21]" 및 "M+R사[22]"가 설립되었으며, 전통적인 제조사로 "KUM사[23]" "EISEN사[24]"가 있다. 일본의 연필깎이 칼날 제조사로는, 국내 약 80%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나카시마 시게히사도(NJK)[25][26]와 대형 칼날 제조업체인 카이(KAI)가 있다.
3. 1. 2. 기계식 연필깎이 (유성 연필깎이)
내부에 여러 개의 나선형 칼날이 장착되어 있어, 손잡이를 돌리면 칼날이 회전하면서 연필을 깎는 방식이다. 유성 기어 구조를 사용하여 연필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깎을 수 있다.[17] 대부분 유성 연필깎이는 두 개 이상의 나선형 절삭날 원통을 가지고 있다.일반적으로 한 손으로 연필을 연필깎이에 넣고 다른 손으로 크랭크를 돌려 작동시킨다. 고급 모델은 연필을 깎는 동안 자동으로 기어 방식 안으로 밀어 넣는 스프링 구동 홀더를 사용하기도 한다. 깎은 찌꺼기를 모으는 통이 부착되어 있으며, 주로 탁상용으로 사용되나, 벽에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기계식 연필깎이는 구조상 소형 연필깎이보다 연필을 깊숙이 꽂아야 하며, 짧은 연필은 깎기 어렵다. 또한, 힘 조절이 어려워 색연필 등을 깎는 데는 소형 연필깎이가 더 적합하다.
일본에서는 1957년 미쓰비시 연필(三菱鉛筆)이 최초의 국산품을 생산했다. 1960년에는 칼을 소지하지 않는 운동(刃物を持たない運動)을 배경으로 수요가 증가하여, 12개 회사에 의해 연필 샤프너 공업회가 설립되었다.[27]
일본 산업 규격(日本産業規格, JIS)에서는 1960년에 수동 연필깎이 규격(JIS S 6018), 1971년에 상용 전원 전동식 규격(JIS S 6049)이 제정되었고, 1992년에 통합(JIS S 6049 "전기 연필깎이 및 수동 연필깎이")되었다.
- '''제조사'''
일본의 기계식 연필깎이용 커터 칼날 제조사로는 "주식회사 카니에(カニエ)"[28]가 있으며, 국내 시장 점유율 100%를 차지하고 있다.[29]
3. 1. 3. 선형 칼날 연필깎이
프리즘 연필깎이와 달리, 선형 칼날 연필깎이는 연필을 깎을 때 연필과 칼날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면도날을 사용하는 선형 연필깎이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기계식 가이드가 있는 특수한 형태의 칼로 볼 수 있다.[17] 일부 모델은 교체 가능한 면도날을 사용하고, 다른 모델은 영구적으로 고정된 칼날을 사용한다. 선형 칼날 연필깎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와 모양으로 연필심을 깎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프리즘 연필깎이가 고정된 깎기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원형 대칭을 만들어내는 것에 비해, 선형 칼날 연필깎이는 더 많은 기술을 요구하지만 연필 심의 모양과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17]대부분의 선형 칼날 연필깎이는 손으로 직접 조작하지만, 과거에는 크랭크 회전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크랭크로 작동하는 장치도 있었다.[17]
3. 2. 전동 연필깎이
전동 연필깎이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일자형 또는 원통형 칼날을 회전시켜 연필을 깎는다.[19] 일부 전동 연필깎이는 건물의 전기 시스템에 연결하는 대신 배터리로 구동되어 휴대성이 더 좋다.자동 정지 기능이 있는 전동 연필깎이는 연필심이 충분히 길어지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춘다. 그러나 기본적인 자동 연필깎이는 심이 너무 길어져 부러질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전동식은 깎는 구멍에 연필을 밀어 넣어 깎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깎는 정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너무 많이 깎이는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적절하게 깎이면 자동으로 멈추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어린이가 손가락을 넣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춘 제품도 있다. 일반적인 크기의 연필 외에는 깎을 수 없다. 콘센트에서 전기를 얻는 경우가 많지만, 배터리식으로 된 제품도 있어 휴대하기 편리하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전동 연필깎이는 1936년경에 소개된 보스턴 폴라 클럽(Boston Polar Club) 연필깎이이다.[18] 일본 최초의 전동 연필깎이는 엘름 인터내셔널이 발매했다.[30]
3. 3. 특수 연필깎이
일반적인 연필 외에 다른 종류의 필기구를 깎기 위한 특수 연필깎이도 존재한다.- 크레용 연필깎이: 크레용과 같이 왁스 재질로 된 필기구를 깎을 수 있다. 일반 연필용 구멍과 큰 크레용용 구멍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으며, 크레용 상자에 포함된 경우도 있다. 주로 플라스틱 칼날을 사용한다.
- 미술용/제도용 연필깎이: 흑연 심은 그대로 두고 나무만 깎아낸다. 이후 흑연 심은 심깎이(리드 포인터)를 사용하여 날카롭게 만든다.
- 심깎이(리드 포인터): 심 연필깎이]/심깎이]는
4. 주요 제조사
독일의 기술자 테오도어 파울 메비우스는 1908년에 소형 연필깎이를 발명하고 DUX사와 M+R사를 설립했다.[20][21][22] 이 외에도 KUM사, EISEN사 등이 소형 연필깎이 제조사로 알려져 있다.[23][24] 일본에서는 나카시마 시게히사도(NJK)가 소형 연필깎이 칼날 시장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으며,[25][26] 카이(KAI)는 대형 칼날 제조사이다.
4. 1. 한국
일본에서는 1957년에 미쓰비시 연필(三菱鉛筆)이 최초로 국산품을 생산했고, 1960년에는 칼을 소지하지 않는 운동(刃物を持たない運動)을 배경으로 칼 대신 연필깎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12개 회사에 의해 연필 샤프너 공업회가 설립되었다.[27]
일본 산업 규격(日本産業規格, JIS)에서는 1960년에 수동 연필깎이 규격(JIS S 6018)이 제정되었고, 1971년에는 상용 전원 전동식 규격(JIS S 6049)이 제정되었으며, 1992년에 통합 규격(JIS S 6049 "전기 연필깎이 및 수동 연필깎이")이 제정되었다. 해당 규격에는 대상 연필의 굵기, 절삭 각도, 규정 회전수, 규정 시간 이내의 절삭 시험, 한쪽 깎임 및 심 부러짐의 한계 등 다양한 품질 요건이 규정되어 있다.
- '''제조사'''
일본의 기계식 연필깎이용 커터 칼날 제조사로는 "주식회사 카니에(カニエ)"[28]가 국내 유일의 제조사이다. 연간 생산 능력은 5천만 개이며, 창업 이후 1억 5백만 개의 생산 실적을 자랑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 100%를 차지하고 있다.[29]
4. 2. 해외
소형 연필깎이는 깎기 위한 칼날이 비스듬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칼날을 중심으로 한 원뿔 형태의 깎이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깎이 구멍에 연필을 꽂아 연필을 회전시켜 연필을 깎는다. 간단한 구조이므로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며, 칼날은 연필깎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1908년 독일의 기술자 테오도어 파울 메비우스(Theodore Paul Möbius)가 발명하였다.[20] 독일에서는 메비우스에 의해 "DUX사[21]" 및 "M+R사[22]"가 설립되었으며, 전통적인 제조사로 "KUM사[23]", "EISEN사[24]"가 있다. 일본의 연필깎이 칼날 제조사로는, 국내 약 80%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나카시마 시게히사도(NJK)[25][26]와 대형 칼날 제조업체인 카이(KAI)가 있다.
5. 갤러리
참조
[1]
서적
Irish Languag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
서적
Recueil de la Société polytechnique: ou Recueil industriel, manufacturier, agricole et commercial, de la salubrité publique, ...
https://books.google[...]
Société polytechnique
1822
[3]
웹사이트
History of pencil sharpeners and pointers −1850 Lassimone, Cooper/Eckstein, Lahausse
https://web.archive.[...]
2019-03-01
[4]
서적
Allgemeine Maschinen-Encyclopädie: A – Beu
https://books.google[...]
Voss
1841
[5]
서적
Description des machines et procédés spécifiés dans les brevets d'invention, publ. par C.P. Molard. [With] Table générale des vingt premiers volumes...
https://books.google[...]
1835
[6]
서적
Repertory of patent inventions and other discoveries and improvements in arts, manufactures and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Macintosh
1833
[7]
서적
The Mechanics' Magazine, Museum, Register, Journal & Gazette
https://books.google[...]
Knight and Lacey
1837
[8]
웹사이트
RARE ANTIQUE EARLY PATENT PENCIL SHARPENER 1830s – COOPER & ECKSTEIN STYLOXYNON
https://web.archive.[...]
2019-03-01
[9]
서적
Bulletin de la Société d'encouragement pour l'industrie nationale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ncouragement pour l'industrie nationale
1834
[10]
서적
Description des machines et procédés pour lesquels des brevets d'invention ont été pris sous le régime ...
https://books.google[...]
L'Imprimerie Nationale
1852
[11]
간행물
2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Pencils
http://discovermagaz[...]
2007-05
[12]
웹사이트
Handheld Pencil Sharpeners
https://web.archive.[...]
2011-07-09
[13]
서적
Neueste Nachrichten aus dem Gebiete der Politik: 1858
https://books.google[...]
Wolf
1858
[14]
웹사이트
Mechanical Pencil Sharpeners ~ 1900–1909
https://www.officemu[...]
2019-03-03
[15]
웹사이트
Mechanical Pencil Sharpeners ~ 1910–1919
https://www.officemu[...]
2019-03-03
[16]
웹사이트
New home for Ohio man's pencil sharpener 'museum'
https://abc7.com/arc[...]
[17]
웹사이트
Pencil Sharpeners
http://www.officemus[...]
2011-07-09
[18]
웹사이트
The Antikey Chop
https://www.antikeyc[...]
2019-08-28
[19]
웹사이트
Electric Pencil Sharpeners
http://www.officemus[...]
2011-07-09
[20]
웹사이트
DUX
https://momentscompa[...]
moments
2024-10-30
[21]
웹사이트
Standardgraph Zeichentechnik
https://www.geotec.g[...]
2024-05-07
[22]
웹사이트
Home
https://www.moebius-[...]
2024-10-30
[23]
웹사이트
Start
https://kum.net/
2024-10-30
[24]
웹사이트
Eisen Spitzer - Die Wahl für alle Büro- und Kosmetikstifte
https://eisen-sharpe[...]
2024-10-31
[25]
웹사이트
Home {{!}} 中島重久堂
https://njk-brand.co[...]
2021-05-16
[26]
웹사이트
"Vol.09 尖りすぎてもはやアートの鉛筆削り「NJK JAPAN」 「中島重久堂」中島潤也社長(大阪府松原市)"
https://courrier.jp/[...]
講談社
2016-11-15
[27]
웹사이트
鉛筆削り器がいつ頃日本に伝わり、どう開発され、普及していったかがわかる児童書を見たい。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3-30
[28]
웹사이트
株式会社 カニエ
http://www.kanie.com[...]
2024-10-31
[29]
웹사이트
株式会社 カニエ {{!}} 川崎市産業振興会館
https://kawasaki-san[...]
2024-10-31
[30]
뉴스
わが国初の電動鉛筆削り器メーカー「エルム」が事業停止 資金繰り悪化で廃業
https://www.sankei.c[...]
2015-04-03
[31]
웹사이트
芯研器
http://zokeifile.mus[...]
武蔵野美術大学
2017-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