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곡선 형태의 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7년 5월 13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역명은 인근 마을에 연못이 많아 연호라고 불린 데에서 유래했다. 인근에 군부대가 위치하여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 전체 역 중 승객 수가 가장 적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수성못역
수성못역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인근 수성못과 TBC 대구방송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시민들의 이용이 잦은 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다사역
다사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위치하며, 스크린도어가 재시공된 최초의 역이고, 주변에는 다사읍 행정복지센터, 다사고등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연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명 | 연호역 |
한자 표기 | 蓮湖驛 |
로마자 표기 | Yeonho yeok |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지하2870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37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문양역 기점 23.6 km |
이전 역 | 담티역 |
이전 역 간 거리 | 1.8 km |
다음 역 | 수성알파시티역 |
다음 역 간 거리 | 1.0 km |
![]() |
2. 역 구조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하여 역 깊이가 깊은 편이며, 곡선 형태로 인해 승강장 사이에 단차가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열차 진행 방향 기준으로 내리는 문은 왼쪽이다. 출구는 시내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있고, 연호동과 가천동에 걸쳐 있다.
2. 1. 승강장
지하역이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승강장에서 반대 방향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마을에 연못이 많이 있어 연지 또는 연호라고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를 모두 합쳐 '''연호'''라고 하였다.
3. 역명의 유래
4. 역사
5. 역 주변
역 주변은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으며, 인근에 대한민국 육군 방공포병학교 외에는 특별한 연계 시설이 부족하여 1호선과 2호선 전체 역 중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적다. 대구 도시철도 전체 역 중에서는 3호선 학정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은 수준이다. 담티역과 연호역 사이의 역간 거리는 1.8km로, 문양역과 다사역 구간 다음으로 대구 도시철도에서 길다.
역이 위치한 연호네거리 위로는 범안로 고가도로가 지나가며, 이 도로는 율하역 인근에서 끝난다. 출구는 시내 방향(서쪽)으로만 나 있으며, 4번 출구 근처 고모역 방향으로 범안로 요금소가 위치해 있다. 역 앞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삼덕동, 이천동, 고모역, 팔현마을, 율하동 등으로 갈 수 있다. 연호역과 율하역을 직접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이 생긴 이후에는 연호역에서 내려 율하지구로 환승하는 이용객도 일부 생겨났다.
하지만 인근 대공원역 옆에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가 개장하면서 대공원역의 이용객이 크게 늘어나, 연호역은 여전히 2호선에서 이용률이 가장 낮은 역으로 남아 있다. 다만, 최근 연호동 일대의 개발제한구역이 일부 해제되고 연호공공주택지구 개발과 함께 대구법조타운 이전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신도시가 조성되면 이용객 수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1]
문양역과 사월역을 제외하면, 2호선의 섬식 승강장이 설치된 구간이 이 역에서 시작하고 끝난다. 문양 방면으로는 이 역부터 성서산업단지역까지 계속 섬식 승강장이며, 영남대 방면으로는 사월역을 제외하고 대공원역부터 영남대역까지 상대식 승강장이다.
6. 이용 현황
주변 지역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고, 인근 방공포병학교 외에는 특별히 연계되는 시설이 없어 이용객이 매우 적다. 대구 도시철도 전체 역 중에서는 3호선 학정역 다음으로 이용객 수가 적으며, 대공원역 옆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 이후 대공원역 이용객이 크게 늘면서 2호선 내에서는 이용률 최하위 역이 되었다.[1]
담티역에서 연호역까지의 역간 거리는 1.8km로, 문양역 ~ 다사역 구간 다음으로 대구 도시철도에서 길다. 연호역이 위치한 연호네거리 위로는 범안로 고가도로가 지나가며, 이 고가도로는 1호선 율하역 인근에서 끝난다. 출구는 시내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있고, 4번 출구 고모역 방면으로는 범안로 요금소가 보인다. 삼덕동, 이천동, 고모역, 팔현마을, 율하동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와 연계된다. 또한 연호역과 율하역을 직접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 생긴 후에는 율하지구로 환승하려는 이용객도 일부 생겼다.[1]
승강장 구조는 문양역과 사월역을 제외하고 2호선의 섬식 승강장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문양 방면으로는 이 역부터 성서산업단지역까지 계속 섬식 승강장이며, 영남대 방면으로는 사월역을 제외하고 대공원역부터 영남대역까지 상대식 승강장이다.
최근 연호동 일대의 그린벨트가 일부 해제되고, 연호공공주택지구 개발과 대구법조타운의 연호동 이전이 예정되어 있어, 향후 신도시가 조성되면 이용객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1]
6. 1. 승차량 변동
인근 방공포병학교의 영향으로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1호선과 2호선의 모든 역을 통틀어 승객이 가장 적다. 하루 평균 이용객 수가 1,000명을 넘지 못하는 유일한 역이다.노선 | 승차 인원[2] | 주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호선 | 422 | 482 | 503 | 562 | 564 | 550 | 597 | 673 | 769 | 821 | 785 | 775 |
7. 인접한 역
수성알파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