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성알파시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성알파시티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05년 10월 18일 대공원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24년 10월 10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부역명은 삼성라이온즈파크이며,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대구스타디움, 대구미술관 등이 위치해 있으며, 대구 메트로 아트 센터가 역 내에 있다. 개통 초기에는 이용객이 적었으나,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수성알파시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수성알파시티(삼성라이온즈파크)(알파시티 DRT)
5번 출구 (대공원역 시절)
승강장 (문양 방면, 대공원역 시절)
소재지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지하2950 (연호동)
관할대구교통공사
역 구조2면 2선(상대식)
개업일2005년 10월 18일
역 번호238
승강장 구조2면 2선(상대식)
정보
영업 거리문양 기점 24.6㎞
역 번호216
전역237 연호
전역 간 거리1.0
후역239 고산
후역 간 거리1.2

2. 역사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대공원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4]

2016년 5월 31일 : 부역명을 '''삼성라이온즈파크'''로 변경하였다.[3]

2016년 7월 20일 :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4]

2024년 10월 10일 : 역명이 '''대공원역'''에서 '''수성알파시티역'''으로 변경되었다.[4]

2. 1. 대공원역 (2005년 ~ 2024년)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대공원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4] 2016년 5월 31일 부역명을 '''삼성라이온즈파크'''로 변경하였고,[3] 2016년 7월 20일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4] 2024년 10월 10일 수성알파시티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4]

2. 2. 수성알파시티역 (2024년 ~ 현재)

2024년 10월 10일 역명이 '''대공원역'''에서 '''수성알파시티역'''으로 개정되었다.[4]

3. 특징

부역명은 '''삼성라이온즈파크'''이다.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고,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 솔정고개가 있어서, 이 역은 이곡역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깊은 지하역이다.(31.4m)

한때 대구 FC의 홈 경기 등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리는 경기 및 공연이 있는 날, 출·퇴근 시간 때 경산 방향 출구 일대의 공터에 승용차를 주차하고 수성알파시티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다.[1] 2013년 3월 1일 부로 이 공터는 폐쇄되어 환승 주차장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의 건설과 함께 이쪽에는 야구전설로가 새로 생겼다.

개통 당시에는 대구 도시철도의 역들 중 이용객이 가장 적은 역인 연호역보다 역세권이 더 없어서 이용객이 훨씬 더 적었었으며, 연호역과 더불어 그린벨트로 묶여 있어 주변에 연계되는 시설이 적기 때문에 평균 이용객 수는 대구 1·2호선을 통틀어서 적은 편이었다. 과거 무정차 역이었던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처럼 영업하지 않는 무정차 역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가 무사히 위기를 모면한 바 있다.[2] 그 대신 영남대학교까지 운행하던 시내버스인 939번이 대공원역에서 대구스타디움을 거쳐 상대적으로 시내버스편이 부족한 경산시 옥산지구, 옥곡지구, 백천지구, 사동2지구 안동네로 운행하게 되어 이 지역 일대에서 환승을 위해 이용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역은 개통 당시 주변 유동인구에 비해 승강장이 제법 넓게 건설되었다.

2016년 2월 25일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가 준공된 이후, 이 역에서 이승엽 선수의 목소리가 안내방송에 나오기도 했었다. 현재는 삼성 라이온즈의 원태인이 방송한다. 2016년 3월 19일 개장 첫 날 이후 1만명 넘는 이용객들이 대공원역에 몰렸다.

4.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다.

상행대구 도시철도 2호선반월당, 용산, 문양 방면
하행신매, 사월, 영남대 방면



승강장 번호는 없으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4. 1. 승강장

연호



고산

상행반월당, 용산, 문양 방면
하행신매, 사월, 영남대 방면



승강장 번호는 없으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역 주변

5. 1.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대구광역시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대체할 야구장을 구장으로 포스코건설과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대구스타디움 일대와 함께 수성알파시티역 인근을 후보지로 검토했으나[7], 최종적으로는 일반형 야구장을 짓기로 결정했다.[8][9] 2012년 12월 27일 착공하여 2016년 3월 완공된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는 팔각 다이아몬드 형태로 동북동 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절기 관람석에 그늘을 최대한 확보하고, 독립된 스카이박스, 바비큐석, 패밀리석, 잔디석 등 다양한 이벤트석을 설치했다.[10] 대지면적 151,526m2,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45,000m2 규모로 고정 관람석 24,000석, 최대 수용 인원은 29,000명이며, 사업비는 부지매입비 등을 포함하여 1,620억 원이다.[10] 수성알파시티역 4번이나 5번 출구로 나가면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를 바로 볼 수 있다.

5. 2. 대구스타디움

대구스타디움은 대공원역에서 1.8km 떨어져 있어 도보로는 25분 정도 걸리므로, 대공원역 5번 출구 하차 후 시내버스(609번, 939번)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공원역 출구로 가는 계단에는 대구 FC 관련 조형물이 보인다.

5. 3. 대구미술관

대구미술관 셔틀버스 정류장이 대공원역 5번 출구 경산 방향 시내버스 정류장 앞에 있다.[5] 대공원역에서는 수성3(-1)번으로 환승하여 대구미술관을 오고갈 수 있다.[5]

5. 4. 대구 메트로 아트 센터

2009년 9월 22일 대공원역 지하 2층 유휴 공간에 연극 및 공연 전문 소극장인 대구 메트로 아트 센터가 개관하여 공연에 활용되고 있다.[5] 대공원역 5번 출구 경산방향 시내버스 정류장 앞에는 대구미술관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대공원역에서는 수성3(-1)번으로 환승하여 대구미술관을 오고갈 수 있다.

6. 승차량 변동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처럼 한때 이용률이 매우 적어 무정차역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으나, 무사히 위기를 모면하였다.[11]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개장 전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이용객이 800여명에도 못 미치다가,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개장 이후 10,000여명이 넘는 이용률을 보였다.[11]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개장 이후 야구 관중들로 인해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11] 평소 이용객은 현재 2,300~2,500여명 정도이며,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홈 경기가 있는 날에는 5,200~5,500명 정도의 승하차량을 기록하고 있다.[11] 이러한 이용객 증가로 인해 2016년에 스크린도어가 우선 설치되었다.[11]

노선승차 인원주석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2호선2674024925375125226608378337136791,614


7. 인접한 역


참조

[1] 문서 이러한 패턴으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을 Park and Ride라고 한다.
[2] 뉴스 400억짜리 지하철역, 유령역으로 전락?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2004-12-06
[3] 간행물 대구광역시공고 2016-449호 http://www.daegu.go.[...]
[4] 간행물 대구광역시 고시 제2024-220호 대구도시철도 역명 개정 결정 고시 https://sido.daegu.g[...]
[5] 뉴스 대구지하철 2호선 역에 소극장 개관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09-09-22
[6] 뉴스 "지하철 환승 편해요"…대공원역 환승 주차장 만원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06-11-13
[7] 뉴스 초대형 워터파크+다목적 공연시설 조성…대구 돔 야구장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09-10-28
[8] 뉴스 포스코, 대구 돔구장 건립 난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6-16
[9] 뉴스 새 대구 야구장 대공원역에 건립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1-02-02
[10] 뉴스 "<대구야구장 시공, 대우컨소시엄 선정…2015년 완공>] - mk 스포츠" http://mksports.co.k[...]
[11] 웨이백 알림판>지하철자료실>통계자료,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http://www.dtro.or.k[...]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