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성질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는 여러 중요한 성질들을 가진다.
우선,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에서 라플라스형 연산자는 항상 유일한 열핵을 갖는다.[3]
열핵의 적분은 부분 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킨다.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실수 값 매끄러운 함수에 대한 라플라스형 연산자
:
를 생각하자. 여기서 는 위의 임의의 벡터장이며, 는 임의의 스칼라장이다. 이 경우,
:
이다. 즉,
:
로 놓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
특히, 만약 이라고 하면, 는 에 의존하지 않으며, 이 경우 에서의 경계 조건에 의하여 상수 함수
:
가 된다.
열핵은 반군 성질을 갖는다.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 의 열핵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
즉, 이는 양의 실수들의 덧셈 반군 에 대한 반군 준동형 을 정의한다. 이는 항등원 0을 갖지 않으므로 모노이드가 아니다.
열핵은 다음과 같은 점근적 전개를 갖는다.[3][4] 콤팩트 차원 리만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 의 열핵 는
:
와 같이 전개된다. 여기서
:
)\boxtimes (E^*\otimes\sqrt)\right)
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
와 같은 전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4] 위 합에서는 오직 짝수 만이 등장하며, 이 콤팩트 경계다양체인 경우 (적절한 경계 조건 아래) 홀수 역시 등장할 수 있다.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이 콤팩트 다양체이며, 가 에르미트 작용소라면, 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에 확장시킬 수 있으며, 스펙트럼 정리에 의하여 그 실수 고윳값들이 존재한다. 만약 의 고윳값들이 모두 양이 아닌 실수라면, 이 고윳값들은 0을 제외하고 모두 음의 실수이다.
:
이에 대응하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의 정규 직교 기저를 라고 하면, 열핵은
:
와 같은 점근적 급수로 주어진다. 그러나 이 급수가 수렴하는지 여부는 일반적으로 복잡하다.
3. 1. 존재 조건
만약 콤팩트 리만 다양체라면, 그 위의 임의의 라플라스형 연산자는 열핵을 가지며, 이는 유일하다.[3]
3. 2. 적분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실수 값 매끄러운 함수에 대한 라플라스형 연산자
:
를 생각하자. 여기서 는 위의 임의의 벡터장이며, 는 임의의 스칼라장이다.
이 경우, 열핵의 적분은 부분 적분을 통해 다음 성질을 만족시킨다.
:
즉,
:
로 놓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
특히, 만약 이라고 하면, 는 에 의존하지 않으며, 이 경우 에서의 경계 조건에 의하여 상수 함수
:
가 된다.
3. 3. 반군 성질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 의 열핵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
즉, 이는 반군 준동형
:
:
을 정의한다. 여기서 는 양의 실수들의 덧셈 반군이다. 이는 항등원 0을 갖지 않으므로 모노이드가 아니다. 이를 열핵의 '''반군 성질'''(semigroup property영어)이라고 한다.
이를 사용하여 열핵의 다양한 성질들을 증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자명한 선다발이고, 라플라스형 연산자가 상수항을 갖지 않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시각 에서, 콤팩트 공간 위의 실수 값 연속 함수 는 최댓값
:
을 갖는다. 그렇다면, 초과의 임의의 시각 , 에서,
:
이다.
따라서, 함수
:
:
는 항상 감소 함수이다.
3. 4. 점근적 전개
콤팩트 차원 리만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의 라플라스형 연산자 가 주어졌을 때, 그 열핵 는 다음과 같은 꼴로 전개된다.[3][4]
:
여기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