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국 모음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 모음곡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작곡한 6개의 건반 악기 모음곡으로, 프랑스 모음곡보다 앞서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모음곡은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를 기본으로 하며, 부레, 가보트, 미뉴에트, 파스피에 등의 춤곡과 지그로 구성된다. '영국'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불분명하며, 특정 영국인을 위해 작곡되었거나, 런던에서 활동한 프랑스 작곡가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쳄발로,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며, 여러 유명 연주자들의 음반으로도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프시코드 곡 - 사랑하는 형과의 이별에 부치는 카프리치오
    사랑하는 형과의 이별에 부치는 카프리치오는 형의 유학길을 주제로 한 6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표제 음악이며, 각 악장은 작별의 정서를 묘사하고 요한 쿠나우의 영향을 받았으며 파사칼리아, 푸가 등의 형식을 사용한다.
  • 하프시코드 곡 - 프랑스 모음곡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쾨텐에서 작곡한 6개의 건반악기 모음곡집인 프랑스 모음곡은 영국 모음곡이나 파르티타에 비해 연주가 용이하며 프랑스 및 이탈리아 양식이 혼합된 특징을 지니고 있고, 명칭 유래는 불분명하나 프랑스 양식 작곡 또는 영국 모음곡 유추 설 등이 있으며, 자필 청서보는 없고 필사본으로 전해진다.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1721년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에게 헌정한 여섯 곡의 협주곡 모음으로, 다양한 악기 편성과 쳄발로를 독주 악기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시도를 보였다.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 - 요한 수난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요한 복음 18, 19장을 토대로 작곡한 요한 수난곡은 루터교 성 금요일 예배를 위한 수난 오라토리오로, 예수 그리스도의 체포, 처형, 매장 이야기를 독창, 합창, 다양한 악기 편성으로 묘사하며 반유대주의 논쟁에도 불구하고 음악적, 예배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모음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모음곡 -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
    가브리엘 포레가 폴 베를렌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고 르네 포쇼아가 시나리오를 제공한 디베르티스망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는 1918년 초연 후 모음곡으로 편곡되어 포레의 대표작이 되었으며, 서곡, 미뉴에트, 가보트, 목가 등 8악장으로 구성되고 기존 곡들을 재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영국 모음곡
작품 정보
제목영어 모음곡
조성A장조, BWV 824
A단조, BWV 818
B♭장조, BWV 821
D장조, BWV 816
G단조, BWV 808
G장조, BWV 816a
작곡가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작곡 시기1715년 ~ 1720년경 (쾨텐 시대)
악기건반 악기
작품 번호BWV 806–811
구성
종류모음곡
악장 구성1번 A장조, BWV 806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I, II)
Sarabande (사라방드)
Bourrée I (부레 I)
Bourrée II (부레 II)
Gigue (지그)
2번 A단조, BWV 807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Sarabande (사라방드)
Bourrée I (부레 I)
Bourrée II (부레 II)
Gigue (지그)
3번 G단조, BWV 808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Sarabande (사라방드)
Gavotte I (가보트 I)
Gavotte II (가보트 II)
Gigue (지그)
4번 F장조, BWV 809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Sarabande (사라방드)
Menuet I (미뉴에트 I)
Menuet II (미뉴에트 II)
Gigue (지그)
5번 E단조, BWV 810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Sarabande (사라방드)
Passepied I (파스피에 I)
Passepied II (파스피에 II)
Gigue (지그)
6번 D단조, BWV 811
Prelude (프렐류드)
Allemande (알르망드)
Courante (쿠랑트)
Sarabande (사라방드)
Gavotte I (가보트 I)
Gavotte II (가보트 II)
Gigue (지그)
특징
개요바흐가 쾨텐 시대에 작곡한 건반 악기를 위한 모음곡집.
명칭 유래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18세기 말 바흐의 전기 작가 포르켈이 "영국인을 위해 작곡되었다"고 언급한 것에서 기인. 다른 설로는 바흐의 사후에 작품을 출판한 출판업자가 붙였다는 설도 있음.
영향프랑스 모음곡, 이탈리아 협주곡 양식의 영향을 받음.
출판바흐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고, 사후에 여러 출판사를 통해 출판됨.
참고 사항
연주 시간각 곡당 약 20-30분.
중요도바흐의 건반 작품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연주회 레퍼토리로 자주 연주됨.

2. 역사적 배경

영국 모음곡은 바흐의 초기 건반 악기 모음곡 중 하나로, 프랑스 모음곡보다 앞서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3] 1710년대 말 쾨텐 시대에 작곡되어 1725년경까지 개정이 이루어졌으며,[3] 제1번 모음곡(BWV 806)의 초고는 바이마르 시대인 1712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20세기 중반까지는 프랑스 모음곡 이후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흐의 클라비어 작품집 중에서는 초기, 특히 모음곡으로서는 최초의 작품에 해당한다.[3]

이 모음곡은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과 파르티타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순차적인 춤곡 구조와 장식 처리가 그렇다. 또한 장-앙리 당글베르를 포함한 작곡가 세대가 전형적으로 사용한 바로크 프랑스 키보드 모음곡과 그 이전의 프랑스 류트 연주자들의 춤곡 전통과 유사하다. 특히 영국 모음곡에서 바흐는 각 모음곡에 전주곡을 포함시켜 프랑스 류트 음악과의 친밀함을 보여준다.

'영국'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전기 작가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은 "어떤 고귀한 영국인을 위해 쓰여졌다"고 보고했다.[4]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가 전승한 필사본의 제1 모음곡(BWV 806)의 표제에는 "영국인을 위해 작곡"(pour les Anglois)이라는 문구가 있다.[4] 다른 설로는, 런던에서 활약한 프랑스 작곡가 샤를 디에파르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도 있다.[2] 그의 "클라브생을 위한 6개의 모음곡(Six Suittes de clavessin)"(1701년)은 "프랑스풍 서곡(ouverture)"을 클라비어 모음곡의 도입 악장에 도입한 선구적인 작품이었다. 제1 모음곡 프렐류드의 주제는 뒤파르의 모음곡의 모티프를 인용한 것이다.

3. 특징

영국 모음곡은 프랑스 모음곡 및 파르티타와 유사한 춤곡 구조와 장식 처리를 보인다. 장-앙리 당글베르를 비롯한 프랑스 바로크 건반 모음곡과 프랑스 류트 연주자들의 춤곡 전통과 유사하다. 각 모음곡에 전주곡(Prélude)을 포함시켜 프랑스 류트 음악과의 친밀함을 보여준다. 전주곡은 엄격한 박자로 작곡되어, 무계량 전주곡을 사용한 프랑스 스타일과는 차이가 있다.

프랑스 모음곡에 비해 연주 기술이 더 요구되며, 장대한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각 모음곡은 6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이름의 춤곡은 1곡으로 계산한다. 샤를 디외파르(Charles Dieupart)의 "클라브생을 위한 6개의 모음곡(Six Suittes de clavessin)"(1701년)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제1번 모음곡의 전주곡 주제는 디외파르의 모음곡에서 가져온 것이다.

조성은 코랄 "예수, 나의 기쁨"과 동일한 음렬을 따르는데, 이것이 우연의 일치인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쳄발로 등의 고악기나 모던 피아노로도 빈번하게 연주되며, 아코디언 등으로도 연주되고 있다.

4. 구성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영국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모음곡은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를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선택적인 춤곡(부레, 가보트, 미뉴에트, 파스피에 등)과 지그로 구성된다.


  • 모음곡 1번 A장조, BWV 806: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I, 쿠랑트 II, 더블 I, 더블 II, 사라방드, 부레 I, 부레 II, 지그
  • 모음곡 2번 A단조, BWV 807: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부레 I, 부레 II, 지그
  • 모음곡 3번 G단조, BWV 808: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가보트 I, 가보트 II, 지그
  • 모음곡 4번 F장조, BWV 809: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미뉴에트 I, 미뉴에트 II, 지그
  • 모음곡 5번 E단조, BWV 810: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파스피에 I, 파스피에 II, 지그
  • 모음곡 6번 D단조, BWV 811: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더블, 가보트 I, 가보트 II, 지그


첫 번째 모음곡은 두 개의 쿠랑트와 두 번째 쿠랑트에 대한 두 개의 더블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모음곡들과 구별된다. 또한, 이 모음곡의 전주곡은 짧고, 디에파르의 모음곡에서 가져온 주제를 기반으로 한다. 반면, 다른 다섯 모음곡의 전주곡은 합주 협주곡 형식의 알레그로를 기반으로 한다.

조성은 코랄 "예수, 나의 기쁨"과 동일한 음렬을 따르는데, 이것이 우연의 일치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4. 1. 제1번 가장조, BWV 806



영국 모음곡 제1번 가장조, BWV 806은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I, 쿠랑트 II (더블 I, 더블 II 포함), 사라방드, 부레 I, 부레 II, 지그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쿠랑트와 두 번째 쿠랑트에 대한 두 개의 더블이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전주곡은 샤를 디에파르의 모음곡에서 가져온 주제를 기반으로 한다. 단조 작품이 제2, 제3, 제5, 제6번으로 있는 가운데, 바장조의 제4번과 함께 밝은 곡상이다. 부레 II는 부레 I의 트리오로 연주한다.

4. 2. 제2번 가단조, BWV 807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영국 모음곡 2번 가단조, BWV 807은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장식 포함), 부레 I, 부레 II, 지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은 바로크 시대의 특징적인 춤곡 양식을 따르며, 사라방드는 장식이 포함된 형태로 연주된다. 부레 I은 알테르나티브망(alternativement)으로 연주된다.

4. 3. 제3번 사단조, BWV 808



마르타 골드스타인(2006년)

영국 모음곡 3번 사단조(BWV 808)는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장식 포함), 가보트 I, 가보트 II (뮈제트), 지그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가보트가 유명하다.

4. 4. 제4번 바장조, BWV 809

영국 모음곡 4번 바장조, BWV 809는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미뉴에트 I, 미뉴에트 II, 지그로 구성되어 있다.

4. 5. 제5번 마단조, BWV 810

영국 모음곡 5번 마단조, BWV 810은 전주곡,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파스피에 I (론도 형식), 파스피에 II, 지그로 구성되어 있다. 론도에 의한 파스피에 I이 포함되어 있다.

4. 6. 제6번 라단조, BWV 811

영국 모음곡 6번 라단조 BWV 811은 전주곡으로 시작하여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더블 포함), 가보트 I, 가보트 II (뮈제트), 지그로 이어진다. 특히 가보트가 유명하다.

5. 연주 및 녹음

영국 모음곡은 쳄발로, 피아노 등 다양한 건반 악기로 연주된다. 반다 란도프스카, 랄프 커크패트릭, 헬무트 발하, 케네스 길버트,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등 여러 하프시코드 연주자들이 이 곡을 녹음했다.

글렌 굴드, 안드라스 쉬프, 머레이 페라이어, 마르타 아르헤리치 등 유명 피아니스트들의 음반도 찾아볼 수 있다. 파블로 카잘스는 첼로로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Bach: The Music
[2] 서적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1954
[3] 서적 ウィーン原典版 J. S. バッハ イギリス組曲 音楽之友社 1999
[4] 간행물 Bach, Johann Sebastian: 5 Suiten; cemb : Englische Suiten , 1735-1750 (ca.) https://digital.staa[...] Digitalisierte Sammlungen, Staatsbibliothek zu Ber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