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산강은 대한민국 남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담양군 월산면 병풍산 북쪽 용흥사 계곡을 공식적인 발원지로 한다. 나주의 영산창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광주광역시에서는 극락강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요 지류로는 황룡강, 지석천, 고막원천, 함평천 등이 있으며, 담양읍부터 영산강 하굿둑까지 구간은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영산강 유역은 강수량의 계절적 변화가 크고 홍수 발생이 잦으며, 광주광역시를 관통하며 여러 하중도를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산강 권역 - 나주천
- 영산강 -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영산강물환경연구소는 영산강 유역의 수질 환경 보전 및 개선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수질 오염 특성 조사, 오염 물질 배출원 조사, 수질 오염 사고 대응, 상수원 보호 및 수질 개선 연구, 조류 발생 제어 연구, 수질오염총량제 연구, 환경 생태 교육 및 홍보, 방사성 물질 조사, 물환경 측정망 운영 등을 수행하며,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하동군·남해군, 제주특별자치도의 수질 환경을 관할한다. - 영산강 - 영산강유역환경청
영산강유역환경청은 1980년 광주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시작하여 환경 보전 계획 수립 및 시행, 환경오염 감시 등을 수행하며 광주광역시 등 4개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환경부 산하 기관이다.
영산강 | |
---|---|
개요 | |
![]() | |
한국어 이름 | 영산강 (Yeongsangang) |
한자 이름 | 榮山江 (영산강) |
구분 | 국가하천 |
지리 | |
위치 | 전라남도, 광주 |
발원지 | 전라남도 담양군 병풍산 부하천 |
하구 | 황해, 전라남도 영암군 에스추어리 둑 |
길이 | 129km |
유역 면적 | 3467km² |
수문 정보 | |
나주교 (나주) 지점 평균 유량 (2004-2013) | 48m³/s |
지류 | |
왼쪽 지류 | 지석천 |
오른쪽 지류 | 황룡강, 고막원천, 함평천 |
2. 발원지
그동안 오랫동안 영산강의 발원지를 담양군 용면 용연리 가막골에 있는 용소(龍沼)로 알려져 왔으나, 정부 발행 《한국하천일람》에는 수문학적 관점에서 영산강 본류보다 더 길다고 측량된 제1지류인 장성군 황룡강의 발원지인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병풍산(屛風山) 북쪽 용흥사 계곡을 공식적인 발원지로 기록하고 있다.
'영산강'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나주의 영산창(지금의 영산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영산창이 언급되며, 고려 시대부터 이곳에 조창이 설치되어 인근 전라도 지역의 세금을 모아 서울로 운반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흑산도 사람들이 육지로 나와 영산포에 정착하면서 영산현이라 불렀다는 기록도 있다. 지금의 흑산면 영산도와 그 해역을 영산포라고 부른다. 따라서 '영산'이라는 지명은 흑산도에서 옮겨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영산포 영산동의 효부였던 영산 신씨를 기리는 영산사, 또는 영산서원과 관련하여 지명이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영산강을 '극락강'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영산강의 지류는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나뉜다. 국가하천에는 황룡강, 지석천, 고막원천, 함평천 등이 있으며, 지방하천에는 광주천 등이 있다.[1]
3. 지명의 유래
4. 영산강의 주요 지류
4. 1. 국가하천
황룡강, 지석천, 고막원천, 함평천은 국가하천이다.[1]
4. 2. 지방1급하천
광주천[1]
4. 3. 지방2급하천
영산강의 지방2급하천에는 제1지류와 제2지류가 있다.
4. 3. 1. 제1지류
제1지류 |
---|
4. 3. 2. 제2지류
5. 유역의 수문
영산강 유역의 연간 강수량은 1249.6mm로, 강수량의 연 변화와 계절 변화가 크다. 홍수 발생이 잦다는 것은 영산강의 하상 계수가 1:682에 달한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된다. 하계 집중 호우기인 7~9월의 유출량은 전체의 58.1%를 차지하며, 유량의 계절 변동이 심하다.
6. 섬
6. 1. 광주광역시
순서 | 위치 |
---|---|
제1하중도 |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566 |
제2하중도 | 광주광역시 북구 지야동 610, 691-6 |
제3하중도 |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 567-1 |
제4하중도 |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46 |
제5하중도 |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730 |
제6하중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 824 |
제7하중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 762-3 |
제8하중도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132-1 |
참조
[1]
문서
Discharge average from 2004 to 2013.
[2]
웹사이트
Monthly Status & Predictions Report on Water Resources, January 2014
http://www.hrfco.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4-01-13
[3]
문서
Discharge average from 2004 to 2013.
[4]
웹사이트
Monthly Status & Predictions Report on Water Resources, January 2014
http://www.hrfco.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4-01-13
[5]
문서
Byeongpung Mountain (병풍산)
[6]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7]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정과제 채택된 ‘하굿둑 개방’ 본격화한다
[단독] 4대강 사업 뒤 녹조 발생, 74%가 낙동강에서
보성~목포 82.5㎞ 새 철도 27일 개통···“국토 균형발전 이정표”
이재명 정부도 ‘재논의’…차일피일 미뤄지는 4대강 재자연화
'올해 처음 보는 폭우' 군산 시간당 152㎜…전라선 열차 멈추고 도로 유실
[단독] '강릉 가뭄' 해결책 나오나…도암댐 24년 만 방류?
네이버로 주요 공항 출국 소요시간 확인…주유소엔 ‘내일의 가격’ 표시키로
하천부지에 조성한 지자체 ‘파크골프장’, 집중호우로 쑥대밭…복구비만 수 억원
“4대강 사업 처리, 일정·내용 밝혀라”…환경단체, 이재명 정부 압박
[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고인 물은 썩는다는 진실…이명박의 ‘사기극’ 17년을 파헤쳤죠”
영산강에 이어 섬진강과 탐진강 수질 악화 ‘우려’…“가축분뇨 유입 차단 필요”
극한호우에 수문 닫고 6시간 뒤 펌프가동…광주 북구 피해 키워
“물난리 겪었는데 철거하겠다고?”...환경장관, 4대강사업 원상복귀 고집
물난리 겪고도 …환경장관, 4대강 재자연화 고집
천마리 백로떼에 갇힌 신축 아파트…‘공존이냐, 생존이냐’ 갈림길
'극한 호우'로 전남서 축구장 1만 900개 농작물 피해
'극한호우' 떠내려온 쓰레기로 목포항 뒤덮여
폭우 지나가니 쓰레기 산더미…영산강 하류 몸살
피해복구에 구슬땀 흘리는 광주…“폭우 때마다 수해 반복” 분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