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중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중도는 하천의 흐름 속에 토사나 사력이 퇴적되어 형성되는 섬을 의미한다. 하천 하류에서 주로 형성되며, 홍수나 유로 변경에 따라 형태가 변하기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하중도는 브라질 아마존강 하구의 마라조섬이며, 인도 브라마푸트라강의 마줄리 섬은 세계에서 가장 큰 유인 하중도로 알려져 있다. 하중도는 도시 개발, 교통 요충지, 레저 및 관광, 생태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홍수에 취약하고 국경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한국에는 한강, 낙동강, 대동강, 압록강 등에 하중도가 있으며, 여의도, 밤섬, 릉라도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중도
지리 정보
정의
정의강 내에 노출된 땅 덩어리
특징하천의 흐름에 의해 형성된 퇴적 지형
형성 과정
형성 과정흐르는 물의 운반 작용으로 모래나 자갈 등이 쌓여 형성
하천의 흐름, 지형 조건, 퇴적물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띔
종류
종류하중도: 하천의 중간에 형성된 섬
사주: 하구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둑 모양의 지형
삼각주: 하천이 바다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하구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지형
특징
특징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
홍수 조절, 수질 정화 등 자연적인 기능 수행
농경지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함
예시
예시밤섬
여의도
중도
위례도
고수부지

2. 하중도의 형성

하중도는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 모래, 자갈 등이 쌓여 만들어진 이다. 이러한 퇴적 작용은 주로 강 하류 지역에서 활발하여 하중도가 형성되기 쉽다.

2. 1. 형성 과정

하중도는 강물이 흐르면서 토사모래, 자갈과 같은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지는 이다. 강물의 흐름이 느려지는 곳이나 상류에서 충분한 양의 토사와 사력이 공급되고, 이것이 일시적으로 퇴적될 수 있는 환경에서 형성된다. 퇴적물이 점차 쌓여 물 위로 드러나면 섬의 형태를 갖추게 되며, 주변은 강물에 의해 다른 강둑과 분리된다.

하중도는 주로 모래나 자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강물이 불어나는 증수 때마다 그 모습이 변하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하중도에는 식생이 거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되면 갈대나 키 작은 나무들이 자라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중도는 주로 하천의 하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사력 퇴적이 활발한 하류의 중주는 오랫동안 안정적인 형태로 존재하기도 한다. 때로는 강의 흐름이 바뀌면서 하중도가 강둑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하중도의 크기는 매우 다양해서, 세계적으로는 수 km에 달하는 큰 하중도도 드물지 않다.

2. 2. 형태 변화

하중도는 주로 모래자갈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강물이 불어나는 홍수 때마다 그 형태가 쉽게 변하며 때로는 완전히 사라지기도 한다. 또한 강의 흐름이 바뀌는 유로 변경으로 인해 더 이상 이 아니라 강둑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새롭게 만들어진 하중도에는 식생이 거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화되면 갈대나 키 작은 나무(관목)들이 무성하게 자라기도 한다.

3. 세계의 하중도

세계에는 다양한 크기와 특징을 가진 하중도가 존재한다. 주요 하중도의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이름면적
(km2)
국가
마라조40100km2브라질아마존강 / 파라강
바나날 섬19162km2브라질아라과이아강
리버라인 평원, 몰라메인, 콜람발리, 헤이, 발라날드18000km2오스트레일리아뉴사우스웨일스의 빌라봉강, 에드워드강, 머럼비지강에 의해 형성됨.
투피남바라나11850km2브라질아마존강
바르 알 자발 섬7929km2남수단바르 알 자발 바르 엘 제라프
홀란드/위트레흐트7361km2네덜란드라인강 아이설강
구루파 대섬4864km2브라질아마존강
마르가리타 섬2832km2[4]콜롬비아마그달레나강
우아리니 섬2339km2브라질우아리니강, 아마존강
보번 디굴2171km2인도네시아디굴강, 카와가강
리처드 섬2165km2캐나다매켄지강
크라스노슬로보츠크2002km2러시아볼가강, 아흐투바강
벨키 지트니 오스트로프1885.2km2[5]슬로바키아다뉴브강, 리틀 다뉴브강
하티야 섬1508.23km2방글라데시메그나강
레테아 섬1480km2루마니아다뉴브강
카마르그1453km2프랑스그랑 론강, 프티 론강
볼라 섬1441km2방글라데시메그나강
충밍 섬1267km2[6]중국양쯔강
일 아 모르필1250km2세네갈세네갈강
중산 섬1055.42km2중국주강
디브루 사이코와765km2인도브라마푸트라강
샌드위프 섬762.42km2방글라데시메그나강
그레이트 브라일라 섬720.2km2루마니아다뉴브강
마줄리553km2인도브라마푸트라강
숨바 섬500km2[7]콩고 민주 공화국콩고강
몬트리올499km2캐나다세인트로렌스강, 프레리강
시게토코즈375km2헝가리, 슬로바키아다뉴브강
만푸라 섬373km2방글라데시메그나강
인하캄바340km2모잠비크잠베지강
후크세 바르트323.74km2네덜란드아우데 마스강, 니우에 마스강
양중 섬320km2중국양쯔강
건보어 섬264km2오스트레일리아머레이강
체펠 섬257km2헝가리다뉴브강
제쥐 섬242km2캐나다밀 섬강, 프레리강
보르네-푸턴220km2네덜란드아우데 마스강, 니우에 마스강
히싱겐199km2스웨덴예타 엘브강
모스케이루191km2브라질아마존강
음바무 섬180km2[8]콩고 공화국콩고강
돈 콩144km2라오스메콩강
로버츠 섬133km2[9]미국샌 호아킨강
유니온 섬130km2[9]미국샌 호아킨강
데비스 섬120km2미국미시시피강
타이아마 섬115.55km2브라질파라과이강
룰루 섬112.4km2캐나다프레이저강
사르핀스키 섬110km2러시아볼가강
소비 섬84.8km2미국컬럼비아강
투뇌야82km2노르웨이글로마강
도르드레흐트 섬79.53km2네덜란드아우데 마스강, 홀란드스 디프
스리랑감74.4km2인도카베리강[10]
그랜드 아일랜드73.8km2미국나이아가라강
랑기타타 섬뉴질랜드랑기타타강
오스트로보60km2세르비아다뉴브강
호그 섬59km2가이아나에세퀴보강
맨해튼 섬59km2미국허드슨강/이스트강/할렘 크릭
헝사 섬55.74km2중국양쯔강
루스네 섬45km2리투아니아네만강
와케넘 섬45km2가이아나에세퀴보강
벨레네 섬41km2불가리아다뉴브강
우드포드 섬37km2오스트레일리아클래런스강
빌헬름스부르크35.3km2독일엘베강
레건 섬31km2가이아나에세퀴보강
그라베 디 파파도폴리18km2이탈리아피아베강
테하 섬15km2칠레카우카우강/크루세스강/발디비아강
스리랑가파트나13km2인도카베리강
시바나사무드람인도카베리강
그로스 일25km2미국디트로이트강
인치 클루타뉴질랜드클루타강
호르티차23.59km2우크라이나드네프르강
샤렌그라드 섬9km2분쟁 지역 (세르비아/크로아티아)다뉴브강
여의도8.4km2대한민국한강
타티셰프7km2러시아예니세이강
세두두/카시킬리5km2보츠와나콰은도강
아다 보야나4.81km2몬테네그로보야나강
헤이든 섬4.4km2미국윌라멧강
난지도2.8km2대한민국한강의 지류
오트디카 섬2.5km2러시아예니세이강
휠링 섬1.5km2미국오하이오강
릉라도1.3km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동강
양각도1.2km2[1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동강
나카노시마0.7km2일본규요도강
전바오 섬0.7km2중국우수리강
바바니 섬0.53km2인도크리슈나강
밤섬0.24km2대한민국한강
시테 섬프랑스센강
나카스일본나카가와강
프린스 아일랜드 공원0.2km2캐나다보우강
부코바르 섬0.032km2분쟁 지역 (세르비아/크로아티아)다뉴브강
우마난다 섬0.02km2인도브라마푸트라강
햇필드 섬0.17km2미국가이앤도트강
세빛섬
(가빛, 채빛, 솔빛, 예빛)
0.0104km2
(0.0048km2,0.0034km2,0.0012km2,0.0008km2)
대한민국한강
꿩 섬0.00682km2콘도미니엄 (프랑스스페인)비다소아강



:* ''참고: 바다와 접해있는 일부 하중도 포함.''

다음은 인구 25,000명 이상의 하중도를 순위별로 나열한 목록이다.

이름인구면적
(km2)
국가도시
살세테 섬15,111,974619km2인도뭄바이타네바사이 크릭/타네 크릭
몽레알 섬1,942,044 (2016)[12]499km2캐나다몬트리올프레리강/세인트로렌스강
맨해튼 섬1,628,701 (2018)[13]59km2미국뉴욕허드슨강/이스트강
충밍 섬660,000 (2010)1267km2중국상하이양쯔강
제쉬 섬422,993 (2016)[14]242km2캐나다라발밀 섬강/프레리강
벨키 지트니 오스트로프226,446 (2001)1885km2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 코마르노, 두나이스카 스트레다 및 기타다뉴브강, 소 다뉴브강
바실리에프스키 섬209,188 (2017)10.9km2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볼샤야 네바/말라야 네바
룰루 섬198,309 (2016)[15]122.4km2캐나다리치먼드프레이저강
스리랑감181,556 (2001)13km2인도스리랑감카베리강
방콕노이179,814 (2017)18km2태국방콕짜오프라야강
마줄리167,304 (2011)422km2인도바이슈나비테 사원브라마푸트라강
체펠 섬166,953 (2012)257km2헝가리여러 개다뉴브강
히싱겐130,000199km2스웨덴예테보리예타 엘브
나보타스 섬117,1961.95km2필리핀나보타스, 메트로 마닐라툴라한강
빌헬름스부르크49,132 (2006)35.3km2독일함부르크엘베강
여의도30,988 (2006)8.4km2대한민국서울한강
모스케이루27,000191km2브라질벨렘아마존강


3. 1. 주요 하중도

세계에서 가장 넓은 하중도는 브라질아마존강 하구(河口)에 있는 마라조섬으로, 면적은 40100km2에 이른다. 이는 남한 면적의 약 5분의 2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는 바다에 접하지 않는 섬을 기준으로 인도 아삼 주 브라마푸트라강에 위치한 마줄리를 세계 최대의 하중도로 등재하고 있는데, 이 섬의 면적은 352km2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마줄리 섬의 면적을 880km2로 언급하며, 세계에서 가장 큰 유인 하중도로 인정하기도 한다.[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브라질 중부 토칸칭스 주의 아라과이아강에 위치한 바나날섬을 세계에서 가장 큰 하중도로 인용한다. 이 섬은 강을 약 320km 길이의 두 지류로 나누며 면적은 19162km2이다.[2] 그러나 일부 지질학자들은 바나날섬이 강이 두 개의 지류를 형성하면서 그 사이에 생긴 육지라는 점에서 하중도로 간주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어떤 지점에서도 본토와 닿지 않기 때문에 섬으로 볼 수 있다.

우마난다섬은 인도 브라마푸트라강에 위치하며, 면적은 0.02km2이다. 사람이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가장 작은 하중도 또는 작은 섬 중 하나이다. 우마난다와 비슷하거나 더 작은 크기의 많은 섬들이 아마존 분지방글라데시에 존재한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 가이앤도트 강에 있는 햇필드 섬은 영구적인 인구는 없지만, 로건시와 그 주변 지역을 위한 K–12 학교와 로건군 공립 도서관의 주요 분관 같은 영구 건물이 있다.[3]

프라이데이 섬은 견고한 기반의 이 있는 매우 작은 섬의 예시이다.


운하화된 강인 템스강센강에는 영구적인 자재로 건설된 주택이 있는 1가구 섬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몽키 섬, 프라이데이 섬, 홀름 섬, 도일리 카르트 섬 등이 있다. 운하화는 섬의 침식을 줄이고 특히 홍수의 높이를 제한하며, 를 통해 상당한 수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한국의 하중도

한국에는 한강, 낙동강, 대동강, 압록강, 두만강 등 주요 강을 중심으로 여러 하중도가 발달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의 중도 역시 잘 알려진 하중도 중 하나이다. 각 강의 대표적인 하중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한강

서울특별시한강에는 여러 하중도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섬들은 다음과 같다.

  • 여의도: 정치, 금융, 언론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섬이다.
  • 밤섬: 철새 도래지로 알려져 있으며 생태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 노들섬: 현재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선유도: 과거 정수장 시설을 활용하여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난지도: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으나, 현재는 월드컵공원 등 생태공원으로 복원되었다.

4. 2. 낙동강

4. 3. 대동강

평양직할시에 위치한 대동강의 주요 하중도는 다음과 같다.

4. 4. 압록강

평안북도 신도군에 속하는 압록강 하중도는 다음과 같다.

  • '''비단섬''': 신도(薪島)와 마안도 등 압록강 하구 서쪽의 여러 섬을 1958년에 둑으로 연결하여 만든 인공섬이다.
  • '''황금평'''(黃金坪): 옛 이름은 황초평(黃草平)이며, 중국 영토와 육지로 붙어 있다.


평안북도 의주군에 속하는 압록강 하중도는 다음과 같다.

  • '''다지도'''(多智島): 과거 검동도(黔同島), 난자도(蘭子島), 다지도(多智島), 마도(麻島) 등의 섬들이 퇴적 작용으로 합쳐져 형성된 섬이다. 이 섬의 북부인 서호리(옛 검동도 지역)가 의주군에 속한다.
  • '''어적도'''(於赤島): 옛 어적도와 승아도(勝阿島)[16]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이다. 섬의 북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좁은 개천을 경계로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 '''구리도'''(九里島): 옛 구리도와 소구리도(小九里島)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이다. 의주군 룡운리(해방 당시 의주군 수진면 룡운동)의 본섬에 해당한다.
  • '''관마도'''(官馬島): 구리도의 동북쪽에 있는 부속섬이다. 서쪽에는 작은 섬인 소관마도(小官馬島, 새알섬)가 있다. 두 섬 모두 룡운리에 속한다.
  • '''수구도'''(水口島, 웃섬): 의주군 대화리 북쪽에 위치한 섬이다. 해방 당시에는 의주군 수진면 수구동이었다. 섬의 동쪽과 서쪽 양 끝이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평안북도 신의주시에 속하는 압록강 하중도는 다음과 같다.

  • '''위화도'''(威化島): 조선 태조 이성계가 1388년 이곳에서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여 정권을 장악하고, 이후 조선 왕조를 개창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섬 서쪽 중국과의 경계 지역에는 추도(楸島) 등 작은 부속 섬들이 있다.
  • '''임도'''(荏島, 깨섬): 옛 임도[17]와 서쪽에 있던 신도(薪島)[18]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이다. 신의주시 선상동에 속하며, 퇴적 작용으로 인해 신의주시의 육지와 연결되어 현재는 섬의 형태를 거의 잃었다.
  • '''다지도'''(多智島): 섬의 남부인 다지리 지역(옛 다지도 등)이 신의주시에 속한다.
  • '''류초도'''(柳草島) 및 '''동류초도'''(東柳草島)

4. 5. 두만강

5. 하중도와 인간 활동

하중도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강에서의 레저 활동 공간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지리적 이점을 살려 교량 건설을 용이하게 하여 교통의 요충지가 되거나 도시 형성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한국 서울여의도미국 뉴욕맨해튼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그러나 하중도는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강이 범람할 경우 쉽게 침수될 수 있는 홍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강이 국경 역할을 하는 지역에서는 하중도의 소유권을 둘러싸고 국가 간 국경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중앙 정부의 통치권이나 관리가 미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5. 1. 긍정적 측면

하중도는 강 유역에서 다양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강에서의 레저 활동 공간을 제공하며,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교통망 발달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안정적인 하중도는 도시 형성의 기반이 되어 지역 발전을 이끌기도 한다.

5. 1. 1. 도시 개발

하중도가 있는 부분은 강의 폭이 좁아져 교량 건설이 쉬워 교통의 요충지가 되기도 한다.

넓고 안정된 하중도 위에는 시가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5. 1. 2. 교통 요충지

하중도가 있는 부분은 강의 폭이 좁아져 교량을 건설하기 쉽고 교통의 요충지가 된다. 넓고 안정된 하중도 위에는 시가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나카스, 오사카시 기타구 나카노시마, 대한민국 서울여의도, 프랑스 파리의 시테 섬, 미국 뉴욕맨해튼 등이 있다.

5. 1. 3. 레저 및 관광

작은 하중도(중주)는 강에서 물놀이 장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북한 평양의 대동강에 있는 릉라도가 있다. 하지만 강이 범람할 경우에는 위험한 장소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 2. 부정적 측면

하중도는 강 가운데에 위치하는 지형적 특성 때문에 홍수가 발생하면 쉽게 침수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강이 국경 역할을 하는 지역에서는 하중도의 소유권을 둘러싸고 국경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중앙 정부의 통치나 관리가 섬까지 미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5. 2. 1. 홍수 취약성

하중도는 강 가운데에 위치한 지형적 특성상 강물이 불어나 범람할 경우 침수되기 쉬워 위험할 수 있다. 관련 사고 사례로 현창천 수난 사고가 있다.

5. 2. 2. 국경 분쟁

하천이 자연적인 국경 역할을 할 때, 그 안에 있는 하중도는 중앙 정부의 통치권이나 관리가 미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국경 분쟁의 원인이 되거나 분쟁의 무대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중국러시아 국경에 있는 진보 섬(다만스키 섬)은 대표적인 국경 분쟁 지역이었다. 또한, 프랑스스페인 국경의 페잔 섬처럼 그 귀속에 관해 공동 통치라는 특수한 형태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의 고르냐 시가(리베르랜드)와 같이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는 무주지가 되어 버리는 사례도 존재한다.

6. 하중도에 서식하는 조류

하중도에는 왜가리, 제비갈매기, 댕기물떼새, 오리 등 다양한 조류가 서식한다.

7. 지역별 명칭

미국 중서부에서는 강(주로 미시시피강) 안에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진 작은 섬 또는 여울을 '''토우헤드'''(towhead)라고 부른다. 이 용어는 마크 트웨인의 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영국에서는 템스강에 있는 강 섬을 '''아이트'''(ait 또는 eyot)라고 부른다.

참조

[1] 웹사이트 Largest river island http://www.guinnessw[...] 2016-09-06
[2] 웹사이트 Bananal Island http://www.britannic[...] 2020-08-05
[3] 백과사전 Hatfield Island https://www.wvencycl[...] 2012-02-21
[4] 웹사이트 Río Grande de la Magdalena - Colección Ecológica del Banco http://www.imeditore[...] 2015-01-03
[5] 웹사이트 Žitný ostrov http://www.zitnyostr[...] 2015-01-03
[6] 웹사이트 崇明县 http://www.shanghai.[...]
[7] 웹사이트 Largest Islands of Countries http://www.worldisla[...] 2015-01-03
[8] Britannica Malebo Pool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7-06
[9] 웹사이트 SUMMARY REPORT ROBERTS ISLAND AND UNION ISLAND RIPARIAN WATER RIGHTS INVESTIGATION, SAN JOAQUIN COUNTY, CA, JUNE 2008 http://www.baydeltal[...]
[10] 간행물 Gazetteer of South India 1906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12] 웹사이트 2016 Census Profile - Montréal, Territoire équivalent (Census division)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7-02-08
[13]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QuickFacts: New York County (Manhattan Borough), New York; United States https://www.census.g[...] 2019-09-12
[14] 웹사이트 2016 Census Profile - Laval, Territoire équivalent (Census divisio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7-02-08
[15] 웹사이트 2016 Census Profile - Richmond (Census divisio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7-02-08
[16] 지도 승애도(勝艾島) 조선총독부 1917
[17] 지도 任島 대동여지도
[18] 지도 新島 대동여지도
[19] 서적 발해 가는 길 아이필드 2004-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