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성군은 조선 선조와 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로, 1606년에 태어났다. 인조 재위 기간에 종의 비행과 본인의 불참 등으로 여러 차례 논란을 겪었으며, 1649년에 4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효경의 시호를 받았다. 부인은 창원 황씨이며, 회원군 등을 자녀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9년 사망 - 존 윈스럽
    존 윈스럽은 잉글랜드 청교도 지도자이자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초대 총독으로서, "산 위의 도시" 건설을 주창하며 식민지 건설과 통치에 기여했고, 법률 제정, 정치적 갈등 해결, 원주민 관계, 노예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으며, 그의 유산은 미국 예외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향과 원주민 착취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649년 사망 - 인조 (조선)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왕으로, 인조반정으로 즉위했으나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외침과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청나라의 신하국이 되었다.
  • 1606년 출생 - 샤쿠샤인
    샤쿠샤인은 17세기 중반 홋카이도 히다카 지방의 메나시쿨 집단 소을명으로, 마쓰마에 번의 착취에 저항하여 1669년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의 봉기는 아이누 민족 저항과 마쓰마에 번의 억압적 지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고 있다.
  • 1606년 출생 - 윤문거
    윤문거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효종 때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성리학에 비판적인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영성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영성군
寧城君
작위조선 선조의 왕자
시호효경(孝景)
이계(李㻑)
부왕선조
어머니온빈 한씨
배우자회산군부인 창원 황씨
자녀2남 2녀
출생일1606년 12월 24일
사망일1649년 9월 19일
능묘영성군 이계 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2. 생애

영성군 이계(㻑중국어)는 1606년(선조 39년) 음력 12월 24일 선조와 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 은 이, 이름은 계(㻑), 본관전주이다. 흥안군, 경평군, 정화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 정원군과는 이복 형제이다.

1632년(인조 10년) 음력 6월 15일 영성군의 종이 무단으로 감옥에 들어가 갇혀있던 죄수들을 시켜 관원들을 욕보이게 하여 물의를 빚었다. 당시 대간들은 영성군의 종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였으나, 인조는 별다른 처벌 없이 지나갔다.[2] 이듬해 인목왕후 연제[3]에는 경평군과 함께 병을 핑계로 불참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의 배려로 무사히 넘어갈 수 있었다.[4]

1649년(효종 원년) 4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에 있다.[5] 사후 효경(孝景)의 시호를 받았다.[1]

2. 1. 출생과 가계

영성군 이계(㻑중국어)는 1606년(선조 39년) 음력 12월 24일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 은 이, 이름은 계(㻑), 본관전주이다. 흥안군, 경평군, 정화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 정원군과는 이복 형제이다.

2. 2. 논란과 사망

1632년(인조 10년) 음력 6월 15일 영성군의 종이 무단으로 감옥에 들어가 갇혀있던 죄수들을 시켜 관원들을 욕보이게 하여 물의를 빚었다. 당시 대간들은 영성군의 종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였으나, 인조는 별다른 처벌 없이 지나갔다.[2] 이듬해 인목왕후 연제[3]에는 경평군과 함께 병을 핑계로 불참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의 배려로 무사히 넘어갈 수 있었다.[4]

1649년(효종 원년) 4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에 있다.[5] 사후 효경(孝景)의 시호를 받았다.[1]

3. 가족 관계

창원 황씨(昌原 黃氏) 황이중(黃履中)의 딸과 혼인하여 딸 둘과 적자 회원군을 낳았고, 노비 출신 측실인 승춘에게서 서자 회천도정 이선을 낳았다. 정부인 황씨는 회산군부인(檜山郡夫人)에 봉해졌다.[1]

3. 1. 왕실과의 관계


구 분성 명출생사망비 고
적장녀이덕이(李德伊)1629년?전의 이씨 이양원(李養源)에게 출가, 양외손자 이만익(李萬榏)
적차녀전주 이씨1633년?남양 홍씨 홍수범(洪受範)에게 출가, 외손자 홍우협(洪禹協, 1655 ~ ?), 홍우채(洪禹采, 1658 ~ ?), 외손녀 여흥 민씨 민사성(閔思誠)의 처(1663 ~ ?)
적장남회원군 이윤(李倫)1636년1731년며느리 함풍군부인(咸豊郡夫人) 함평 이씨는 이초로(李楚老)의 딸, 친손자 이규령(李奎齡, 1654 ~ 1664)
측실(노비)승춘(承春)
서장남회천도정 이선(李僎)1645년?며느리 함평 이씨는 함릉부원군(咸陵府院君) 이해(李澥)의 서녀, 손녀 이영애(李穎愛, 1665 ~ ?), 이우애(李又愛, 1667 ~ ?), 이남징(李男徵, 1669 ~ ?), 이우징(李又徵, 1674 ~ ?)


  • '''적장남 회원군 이윤(李倫)의 양손자''' : 함평군(咸平君) 이홍(李泓, 1675 ~ 1738)[8]

3. 2. 배우자와 자녀

夫人중국어 창원 황씨 황이중(黃履中)의 딸과 결혼하여 딸 2명과 적자 회원군을 낳았으며, 노비 출신 측실인 승춘에게서 서자 회천도정 이선을 낳았다. 정부인 황씨는 회산군부인(檜山郡夫人)에 봉해졌다.[1]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정부인회산군부인 창원 황씨(檜山郡夫人 昌原 黃氏)? ~ ?황이중(黃履中)의 딸
측실(노비)승춘(承春)? ~ ?
적장녀이덕이(李德伊)1629 ~ ?전의 이씨 이양원(李養源)에게 출가
적차녀전주 이씨1633 ~ ?남양 홍씨 홍수범(洪受範)에게 출가
적장남회원군 이윤(李倫)1636 ~ 1731
며느리함풍군부인 함평 이씨? ~ ?이초로(李楚老)의 딸
서장남회천도정 이선(李僎)1645 ~ ?
며느리함평 이씨? ~ ?함릉부원군 이해(李澥)의 서녀


4. 후손

회원군은 1636년에 태어나 영조 재위 기간까지 살면서 사옹원, 종친부, 도총부 등에서 관직을 두루 거쳤다.[1] 1724년(영조 즉위년) 회원군의 나이가 90세에 가까워지자 영조는 그의 손자들을 가자하였고,[6] 1731년(영조 7년) 음력 8월 6일 96세로 사망하자 조정에서는 관으로 쓸 재료와 3년분의 녹미를 지급하였다.[7]

회원군은 아들 하나를 두었으나 일찍 죽는 바람에 세종의 5남 광평대군의 7대손을 양자로 들여 함평군에 봉하여 후사를 이었다. 함평군은 아들을 6명이나 두었으나, 현재 영성군파는 총 200세대 미만으로 그 수가 적은 편이다.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이재항 등이 영성군의 후손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영성군 약사 http://www.rfo.co.kr[...]
[2] 문헌 조선왕조실록 인조 26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 5년) 6월 15일(신사) 1번째기사
[3] 사전 변제 https://terms.naver.[...] 한국고전용어사전
[4] 문헌 조선왕조실록 인조 28권, 11년(1633 계유 / 명 숭정 6년) 7월 6일(병신) 2번째기사
[5] 두피디아 영성군이계묘
[6] 문헌 조선왕조실록 영조 2권, 즉위년(1724 갑진 / 청 옹정 2년) 11월 21일(신유) 2번째기사
[7] 문헌 조선왕조실록 영조 30권, 7년(1731 신해 / 청 옹정 9년) 8월 6일(병신) 2번째기사
[8] 문서 광평대군 7대손 이시황(李時煌)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