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체주의 건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체주의 건축은 1980년대 초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자크 데리다의 해체 이론, 러시아 구축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반발 등 다양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조각난 형태, 비선형적 설계, 비유클리드 기하학, 표면 조작 등을 특징으로 하며, 프랭크 게리, 자하 하디드, 렘 쿨하스 등 여러 건축가들이 이 양식을 대표한다. 비판으로는 사회적 의미의 부재, 엘리트주의, 형태주의적 경향 등이 지적되며, 일부 건축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해체주의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체주의 건축 -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한 지그재그 형태의 건물로, 독일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 해체주의 건축 - EMP 박물관
    EMP 박물관(MoPOP)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시애틀 센터의 팝 문화 박물관으로, 팝 문화 전시, 체험 활동, 지미 헨드릭스와 너바나 컬렉션, 과학소설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 운영,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대중문화 이해를 증진시킨다.
해체주의 건축

2. 역사적 배경 및 철학적 기반

해체주의 건축은 1982년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자크 데리다와 피터 아이젠만의 작품[2], 베르나르 슈미의 수상작이 주목받았다. 1988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열린 ''해체주의 건축'' 전시회는 필립 존슨과 마크 위글리가 기획했으며, 이 운동을 확고히 하고 주요 실천가들에게 명성을 안겨주었다. 슈미는 이러한 건축가들의 작품을 "운동"이나 새로운 "스타일"로 부르는 것은 맥락에 맞지 않으며, 해체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반발이라고 주장했다.[3]

에토레 소토사스가 디자인한 올리베티 발렌타인 타자기 (1969)




이 건축 운동의 초기 사례는 산업 디자인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1969년 에토레 소토사스가 디자인한 올리베티 발렌타인 타자기가 대표적이다. 이 타자기는 전형적인 외장을 해체하고 숨겨진 요소들을 드러냈다.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임페리얼 워 뮤지엄 노스(2002). 전쟁의 파괴를 상징하는 세 개의 파편화되고 교차하는 곡선형 볼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체주의 철학에서 건축 이론으로 이어지는 주요 경로는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피터 아이젠만에 대한 영향이었다. 아이젠만은 해체에서 철학적 기반을 얻었고, 라 빌레트 공원 경쟁 출품작에서 데리다와 직접 협력했다. 데리다, 아이젠만, 다니엘 리베스킨드[7]는 현전의 형이상학에 관심이 있었고, 이것이 해체주의 철학의 주요 주제였다. 건축은 의미를 전달하고 언어 철학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언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8] 현전과 부재의 변증법은 아이젠만의 프로젝트에서 많이 나타난다.[9]

데리다는 텍스트 해석은 고전적인 서사 구조를 사용할 때 가장 잘 수행된다고 보았다. 건축 해체주의는 확립된 관습적인 기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존재를 필요로 한다.[10] 프랭크 게리의 산타모니카 주택(1978)은 원형적인 해체주의 건물로 여겨진다. 게리는 전형적인 교외 주택에서 출발하여 질량, 공간 등을 전복시켜 "de"construction을 수행했다.[11]

해체주의는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형태의 순수성", "재료의 진실성"과 같은 모더니즘의 억압적인 '규칙'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한다.

2. 1. 자크 데리다의 해체 이론

자크 데리다해체 이론은 해체주의 건축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다. 피터 아이젠만은 문학 운동인 해체에서 철학적 기반을 얻었으며,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포함한 프로젝트에서 데리다와 직접 협력했다. 이들의 협력은 ''Chora l Works''에 기록되어 있다.[2] 데리다와 아이젠만, 그리고 다니엘 리베스킨드[7]는 현전의 형이상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건축 이론에서 해체주의 철학의 주요 주제였다. 건축은 의미를 전달하고 언어 철학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언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8] 현전과 부재, 고체와 공허의 변증법은 아이젠만의 프로젝트에서 많이 나타난다. 데리다와 아이젠만 모두 현전의 장소가 건축이라고 믿었으며, 현전과 부재의 변증법이 건설과 해체주의에서 발견된다고 보았다.[9]

데리다에 따르면, 텍스트 해석은 고전적인 서사 구조를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건축 해체주의는 특정한 원형적인 ''con''struction, 즉 확립된 관습적인 기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존재를 필요로 한다.[10] 프랭크 게리의 산타모니카 주택(1978년) 디자인은 원형적인 해체주의 건물로, 전형적인 사회적 의미를 지닌 교외 주택에서 출발하여 질량, 공간 봉투, 평면 등을 전복시켜 "de"construction을 수행했다.[11]

데리다의 현전의 형이상학과 해체주의 개념 외에도, 그의 흔적과 지움에 대한 철학[12]은 해체주의 기념비에 영향을 미쳤다. 다니엘 리베스킨드는 초기 프로젝트를 글쓰기 또는 글쓰기에 대한 담론의 형태로 생각하고, 구체시 형태로 작업했다. 그는 책으로 건축 조각을 만들고 모델에 텍스트를 입혀 건축이 글쓰기를 참조하도록 했다.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프로젝트에서 리베스킨드는 홀로코스트의 지움에 대한 흔적을 다루었다. 마야 린의 베트남 참전 용사 기념비와 피터 아이젠만의 유럽 유대인 학살 기념관도 흔적과 지움의 주제를 반영한다.

2. 2. 러시아 구축주의의 영향

일부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러시아 구축주의의 형식적 실험과 기하학적 불균형에 영향을 받았다. 해체주의는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상호 작용, 표현주의, 입체파(Cubism), 미니멀리즘(Minimalism) 및 현대 미술(Contemporary art) 등 20세기 운동을 추가적으로 언급한다.

20세기 초 구축주의와 러시아 미래주의 운동은 그래픽과 실제로는 거의 건설되지 않은 비전적인 건축 양식 모두에서 해체주의 건축에 영감을 주었다.

나움 가보, 엘 리시츠키,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산더 로드첸코와 같은 예술가들은 자하 하디드와 쿠프 힘멜블라우 같은 해체주의 건축가들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그래픽 감각에 영향을 미쳤다. 해체주의와 구축주의는 모두 추상적인 조립체 제작의 구조에 관심을 가졌다. 둘 다 그래픽, 조각 및 건축에서 표현되는 기하학적 형태의 근본적인 단순성을 주요 예술적 내용으로 여겼다. 그러나 구축주의의 순수주의 경향은 해체주의에는 없다. 건축이 해체될 때 형태는 종종 변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주의와 집산주의적 대의에 대한 옹호도 약화되거나 사라졌다.

구축주의의 주요 그래픽 모티브는 직사각형 막대와 삼각형 쐐기였으며, 정사각형과 원과 같은 더 기본적인 기하학도 있었다. 엘 리시츠키는 그의 "프라운" 시리즈에서 다양한 각도로 공간에 자유롭게 떠 다니는 기하학적 형태의 집합체를 조립했다. 이들은 느슨하게 부착되거나 쌓이거나 흩어져 있는 강철 막대 또는 톱질한 목재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 단위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종종 도면으로 그려졌으며, 기술 도면 및 공학 도면과 유사한 측면을 공유한다. 구성이 유사한 것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해체주의 시리즈 "미크로메가스"이다.

러시아 구성주의에 영향을 받은 건축가들은 기하학적이고 불균형적인 비대칭적 형태를 재현하려고 했다.

2. 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반발

"해체주의(Deconstructivism)"라는 용어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서 정연한 합리성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들과 초기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모두 「옵포지션(Oppositions)」(1973년부터 1984년까지 발행)지에 글을 발표했지만, 해당 저널의 내용은 두 운동 사이의 결정적인 단절을 보여준다. 해체주의는 건축을 "분해"하고자 하는 대립적인 태도를 건축사에 대해 취했다.[5]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이 배척했던 역사적 참고 자료들을 다시 받아들였지만, 해체주의는 그러한 참고 자료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과 장식을 사후적인 생각이나 꾸밈으로 여기는 개념을 모두 거부했다.

「옵포지션」 외에도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모두를 위한 결정적인 저술로는 로버트 벤트러리의 「건축의 복잡성과 모순(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1966)이 있다. 이 책은 모더니즘의 순수성, 명료성, 단순성에 반박한다. 이 책의 출판과 함께 모더니즘의 두 주요 분파인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는 패러다임으로서 뒤집어졌다. 포스트모더니스트 벤트러리의 해석은 장식과 역사적 연상이 모더니즘이 포기했던 풍요로움을 건축에 더했다는 것이다. 일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들은 벤트러리가 "장식된 창고"라고 묘사한 경제적이고 최소한의 건물에도 장식을 재적용하려고 노력했다. 설계의 합리주의는 기각되었지만 건물의 기능주의는 어느 정도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 이것은 벤트러리의 다음 주요 저작[6]의 논제와 가까운데, 기호와 장식은 실용적인 건축에 적용되어 기호학의 철학적 복잡성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해체주의적인 「건축의 복잡성과 모순」 해석은 상당히 다르다. 기본적인 건물은 해체주의에서 문제점과 복잡성의 주제였으며, 장식에 대한 분리는 없었다. 벤트러리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처럼 장식과 기능을 분리하는 대신 건물의 기능적 측면에 의문을 제기했다. 기하학은 포스트모더니스트에게 있어서 장식과 같은 것이었고, 해체주의자들에게는 복잡성의 주제였으며, 이러한 기하학적 복잡성은 차례로 해체주의 건물의 기능적, 구조적, 공간적 측면에 적용되었다. 해체주의적 복잡성의 한 예로 바일암라인에 있는 프랭크 게리의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Vitra Design Museum)이 있는데, 이는 모더니즘 미술관의 전형적인 장식 없는 흰색 큐브를 가져와 입체파와 추상 표현주의를 연상시키는 기하학을 사용하여 해체한다. 이것은 모더니즘의 단순성의 기능적 측면을 전복하는 동시에, 특히 그 흰색 회반죽 외피가 연상시키는 국제적인 스타일과 같은 모더니즘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건축의 복잡성과 모순」에 대한 해체주의적 해석의 또 다른 예는 피터 아이젠만의 웨크너 예술센터(Wexner Center for the Arts)이다. 웨크너 센터는 의 원형 형태를 취하여 일련의 절단과 단편화를 통해 복잡성을 불어넣는다. 3차원 격자는 건물을 다소 임의적으로 통과한다. 모더니즘의 장식인 격자는 중세 고대 성의 고대성과 충돌한다. 일부 격자 기둥은 의도적으로 바닥에 닿지 않고 계단 위에 떠 있어 신경증적인 불안감을 조성하고 기둥의 구조적 목적과 모순된다. 웹스너 센터는 성의 원형을 해체하고 그 공간과 구조를 갈등과 차이로 렌더링한다.

일부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영향을 받았다. 아이젠만은 데리다의 친구였지만, 그의 건축 디자인에 대한 접근 방식은 해체주의자가 되기 훨씬 전에 개발되었다. 그에게 해체주의는 급진적 형식주의에 대한 그의 관심의 연장선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해체주의를 실천하는 일부 건축가들은 러시아 구축주의의 형식적 실험과 기하학적 불균형의 영향도 받았다. 해체주의에는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상호 작용, 표현주의, 입체파, 미니멀리즘, 현대 미술 등 20세기 운동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이 포함된다. 해체주의는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형태의 순수성", "재료의 진실성"과 같은 모더니즘의 억압적인 '규칙'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한다.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모더니즘 건축의 억압적인 '철칙'으로부터 건축을 멀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체주의자로 여겨지는 건축가 중에는 자신의 건축을 해체주의적이라고 분류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다양한 과거 건축 양식이나 장식을 인용하는 절충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강하게 거부하고, 보다 순수하게 새로운 건축을 창조하려고 해왔다.

3. 주요 특징

컴퓨터 지원 설계는 현대 건축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지만, 해체주의의 특수한 성격 때문에 컴퓨터 사용이 특히 중요해졌다. 3차원 모델링과 애니메이션(가상 및 물리적)은 매우 복잡한 공간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컴퓨터 지원 제조(CAM)를 통해 미묘하게 다른 모듈식 요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19] 프랭크 게리는 설계 과정에서 물리적 모델과 컴퓨터 모델을 모두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컴퓨터가 복잡한 형태의 설계를 쉽게 만들었다고 해서 이상하게 보이는 모든 것이 "해체주의적"인 것은 아니다.

해체주의 건축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보인다.

특징설명
조각난 듯한 형태건축물이 여러 조각으로 나뉜 듯한 인상을 준다.
비선형적 설계설계 과정에서 직선적인 논리보다는 자유로운 형태를 추구한다.
표면과 피복에 대한 관심건축물의 외부 표면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비유클리드 기하학 응용구조나 외피 등 건축 요소에 왜곡과 혼란을 일으키는 기하학을 사용한다.[19]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해체주의 건축은 전통적인 건축 양식이나 모더니즘 건축의 상자형과는 달리 불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자극적인, 통제된 혼돈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19]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자크 데리다의 '해체' 사상이나 러시아 구성주의의 기하학적이고 불균형적인 비대칭적 형태에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소재에 충실할 것"과 같은 모더니즘 건축의 억압적인 '철칙'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그러나 자신의 건축이 해체주의적으로 분류되는 것을 거부하는 건축가도 있다.

해체주의 건축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절충주의를 강하게 거부하며, 보다 순수하게 새로운 건축을 창조하려고 했다.

3. 1. 비선형적 디자인

미니멀리즘과 큐비즘이라는 현대 미술의 두 가지 경향이 해체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분석적 큐비즘은 형태와 내용이 해체되어 여러 관점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해체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프랭크 게리와 베르나르 슈미의 여러 작품에서 이러한 비연속적인 공간의 동시성이 나타난다. 종합적 큐비즘은 레디메이드 오브제 미술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분석적 큐비즘만큼은 아니지만, 프랭크 게리의 초기 작품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해체주의는 미니멀리즘처럼 문화적 참고 자료를 배제한다.

해체주의는 변형과 전위의 경향을 띄며, 표현주의표현주의 건축과도 관련이 있다. 때로는 다양한 표현주의, 신표현주의, 추상 표현주의를 반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쿠프 힘멜블라우(Coop Himmelb(l)au)의 우파 시네마 센터(Ufa Cinema Center)의 각진 형태는 프란츠 클라인의 번호가 매겨진 그림들의 추상 기하학을 연상시킨다.[14] 우파 시네마 센터는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가 묘사한 도시 독일 거리 풍경의 각진 인물들에게 적합한 배경이 되기도 한다.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도 해체주의 건축과 유사하다. 그의 추상 표현주의로의 전환과 구상 작품에서의 탈피는 기하학을 위해 장식을 거부하는 해체주의 정신과 일맥상통한다.[14]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여러 예술가들은 해체주의에 영향을 주거나 참여했다. 마야 린과 레이첼 화이트레드가 대표적인 예이다. 린의 1982년 베트남 참전 용사 기념비(Vietnam Veterans Memorial)는 화강암 판이 지면을 절단하는 형태로, 파편적인 형태와 내용을 미니멀리스트적인 텍스트로 축소하여 해체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레이첼 화이트레드의 주조된 건축 공간은 현대 미술이 건축과 합류하는 또 다른 사례이다. "고스트"(Ghost, 1990)는 석고로 주조된 전체 생활 공간으로, 공허함을 고정시켜 데리다의 건축적 존재 개념을 암시한다. 고든 마타 클락의 "건물 절단"은 미술관에 전시된 건물의 해체된 부분이었다.

컴퓨터 지원 설계는 현대 건축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으며, 해체주의의 특성상 그 사용이 더욱 두드러진다. 3차원 모델링과 애니메이션(가상 및 물리적)은 복잡한 공간 개념을 돕고, 컴퓨터 모델을 제조 지그(컴퓨터 지원 제조)에 연결하여 미묘하게 다른 모듈식 요소의 대량 생산을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하게 한다. 게리(Gehry)는 설계 과정에서 물리적 모델과 컴퓨터 모델을 모두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컴퓨터가 복잡한 형태의 설계를 쉽게 만들었다고 해서 이상하게 보이는 모든 것이 "해체주의적"인 것은 아니다.

해체주의 건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조각난 듯한 건축물의 형태
  • 설계 과정에서의 비선형적 기법
  • 건축물의 표면·피복에 대한 관심
  • 구조나 외피와 같은 건축 요소에 왜곡과 혼란을 일으키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응용[19]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해체주의 건축은 전통적인 건축 양식이나 모더니즘 건축의 상자형과는 달리 불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자극적인, 통제된 혼돈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19]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저서와 "해체" 사상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러시아 구성주의의 기하학적이고 불균형적인 비대칭적 형태를 재현하려고도 한다.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소재에 충실할 것"과 같은 모더니즘 건축의 억압적인 '철칙'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그러나 해체주의자로 여겨지는 건축가 중에는 자신의 건축이 해체주의적으로 분류되는 것을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해체주의 건축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과거 건축 양식이나 장식을 인용하는 절충주의를 강하게 거부하며, 보다 순수하게 새로운 건축을 창조하려고 노력했다.

3. 2. 비유클리드 기하학

컴퓨터 지원 설계는 현대 건축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지만, 해체주의의 특수한 성격 때문에 컴퓨터 사용이 특히 중요해졌다. 3차원 모델링과 애니메이션(가상 및 물리적)은 매우 복잡한 공간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컴퓨터 모델을 제조 지그(CAM—컴퓨터 지원 제조)에 연결하는 기능을 통해 미묘하게 다른 모듈식 요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19] 게리(Gehry)는 설계 과정에서 많은 물리적 모델과 컴퓨터 모델을 모두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컴퓨터가 복잡한 형태의 설계를 훨씬 쉽게 만들었지만, 이상하게 보이는 모든 것이 "해체주의적"인 것은 아니다.[19]

해체주의 건축은 구조나 외피와 같은 건축 요소에 왜곡과 혼란을 일으키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응용한다.[19]

3. 3. 파편화와 해체



일부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영향을 받았다. 피터 아이젠만은 데리다의 친구였지만, 그의 건축 디자인 접근 방식은 해체주의자가 되기 훨씬 전에 개발되었다. 아이젠만에게 해체주의는 급진적 형식주의에 대한 그의 관심의 연장선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해체주의를 실천하는 일부 건축가들은 러시아 구축주의 건축의 형식적 실험과 기하학적 불균형의 영향도 받았다. 해체주의에는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상호 작용, 표현주의 건축, 입체파, 미니멀리즘현대 미술 등 20세기 운동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이 있다. 해체주의는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형태의 순수성", "재료의 진실성"과 같은 모더니즘의 억압적인 '규칙'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한다.

해체주의 철학에서 건축 이론으로 이어지는 주요 경로는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피터 아이젠만에 대한 영향을 통해 이루어졌다. 아이젠만은 문학 운동인 해체에서 일부 철학적 기반을 이끌어냈고, 라 빌레트 공원 경쟁 출품작을 포함한 프로젝트에서 데리다와 직접 협력했다. 데리다와 아이젠만, 그리고 다니엘 리베스킨드[7]는 모두 "현전의 형이상학"에 관심이 있었고, 이것이 건축 이론에서 해체주의 철학의 주요 주제이다. 건축은 의미를 전달하고 언어 철학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언어라는 전제가 있다.[8] 현전과 부재, 또는 고체와 공허의 변증법은 아이젠만의 건설된 프로젝트와 건설되지 않은 프로젝트 모두에서 많이 나타난다. 데리다와 아이젠만 모두 현전의 장소 또는 위치가 건축이라고 믿고 있으며, 현전과 부재의 동일한 변증법이 건설과 해체주의에서 발견된다.[9]

데리다에 따르면, 텍스트에 대한 해석은 고전적인 서사 구조를 사용할 때 가장 잘 수행된다. 건축 해체주의는 특정한 원형적인 ''con''struction, 즉 강력하게 확립된 관습적인 기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존재를 필요로 한다.[10] 프랭크 게리 자신의 산타모니카 주택(1978년부터) 디자인은 원형적인 해체주의 건물로 여겨져 왔다. 그의 출발점은 전형적인 사회적 의미를 지닌 전형적인 교외 주택이었다. 게리는 그 건물의 질량, 공간 봉투, 평면 및 기타 기대치를 장난스럽게 전복시켜 "de"construction을 수행했다.[11]

데리다의 현전의 형이상학과 해체주의 개념 외에도, 그의 글쓰기와 원시 글쓰기에 대한 철학[12]에 구체화된 그의 흔적과 지움에 대한 개념은 해체주의 기념비에 영향을 미쳤다. 다니엘 리베스킨드는 그의 초기 프로젝트의 많은 부분을 글쓰기 또는 글쓰기에 대한 담론의 형태로 생각했고, 종종 구체시의 형태로 작업했다. 그는 책으로 건축 조각을 만들었고 종종 모델에 텍스트를 입혀 그의 건축이 글쓰기를 참조하도록 공개적으로 만들었다. 흔적과 지움의 개념은 리베스킨드가 에세이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프로젝트에서 다룬 내용이다. 이 박물관은 홀로코스트의 지움에 대한 흔적으로서, 그 주제를 명확하고 감동적으로 만들도록 의도되었다. 마야 린의 베트남 참전 용사 기념비와 피터 아이젠만의 유럽 유대인 학살 기념관과 같은 기념관들도 흔적과 지움의 주제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초의 구축주의와 러시아 미래주의 운동은 그래픽과 실제로는 거의 건설되지 않은 비전적인 건축 양식 모두에서 해체주의 건축의 주요한 또 다른 흐름에 영감을 주었다.

나움 가보, 엘 리시츠키,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산더 로드첸코와 같은 예술가들은 자하 하디드와 쿠프 힘멜블라우와 같은 해체주의 건축가들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그래픽 감각에 영향을 미쳤다. 해체주의와 구축주의는 모두 추상적인 조립체 제작의 구조에 관심을 가져왔다. 둘 다 그래픽, 조각 및 건축에서 표현되는 기하학적 형태의 근본적인 단순성을 주요 예술적 내용으로 여겼다. 그러나 구축주의의 순수주의 경향은 해체주의에는 없다. 건축이 해체될 때 형태는 종종 변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주의와 집산주의적 대의에 대한 옹호도 약화되거나 사라졌다.

구축주의의 주요 그래픽 모티브는 직사각형 막대와 삼각형 쐐기였으며, 다른 것들은 정사각형과 원과 같은 더 기본적인 기하학이었다. 엘 리시츠키는 그의 "프라운" 시리즈에서 다양한 각도로 공간에 자유롭게 떠 다니는 기하학적 형태의 집합체를 조립했다. 이들은 느슨하게 부착되거나 쌓이거나 흩어져 있는 강철 막대 또는 톱질한 목재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 단위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종종 기술 도면 및 공학 도면과 유사한 측면을 공유한다. 구성이 유사한 것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해체주의 시리즈 "미크로메가스"이다.

upright


현대 미술의 두 가지 경향인 미니멀리즘과 큐비즘은 해체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분석적 큐비즘은 형태와 내용이 해체되어 동시에 여러 관점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해체주의에 확실한 영향을 주었다. 프랭크 게리와 베르나르 슈미의 많은 작품에서 비연속적인 공간의 동시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종합적 큐비즘은 레디메이드 오브제 미술의 적용과 관련하여 분석적 큐비즘만큼 해체주의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프랭크 게리의 초기 및 보다 대중적인 작품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해체주의는 미니멀리즘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참고 자료와의 단절을 공유한다.

변형과 전위의 경향으로 인해, 해체주의와 관련된 표현주의표현주의 건축의 측면도 있다. 해체주의는 때때로 다양한 표현주의, 신표현주의, 그리고 추상 표현주의를 반영하기도 한다. 쿠프 힘멜블라우의 우파 시네마 센터의 각진 형태는 프란츠 클라인의 번호가 매겨진 그림들의 추상 기하학을, 장식이 없는 질량으로 상기시킨다. 우파 시네마 센터는 또한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가 도시 독일 거리 풍경에 묘사한 각진 인물들을 위한 적합한 배경이 될 것이다.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 또한 해체주의 건축과 유사점을 보인다. 그의 추상 표현주의로의 전환과 구상 작품에서 벗어남[14]은 기하학을 위해 장식을 거부하는 해체주의의 정신과 같은 맥락에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여러 예술가들은 해체주의에 영향을 미치거나 해체주의에 참여한 작품을 기여했다. 마야 린과 레이첼 화이트레드가 두 가지 예이다. 린의 1982년 베트남 참전 용사 기념비 프로젝트는 화강암 판이 지면을 절단하는 것으로, 파편적인 형태와 내용을 미니멀리스트적인 텍스트로 축소하여 해체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이 기념비는 단편화와 기념비 해석에 대한 강조를 보여준다. 린은 아이젠만의 웨크너 센터의 작품에도 기여했다. 레이첼 화이트레드의 주조된 건축 공간은 현대 미술이 건축과 합류하는 또 다른 사례이다. 석고로 주조된 전체 생활 공간인 "고스트"(1990)는 공허함을 고정시켜 데리다의 건축적 존재 개념을 암시한다. 고든 마타 클락의 "건물 절단"은 미술관에 전시된 건물의 해체된 부분이었다.

3. 4. 표면 조작

해체주의 건축은 조각난 듯한 형태, 설계 과정의 비선형적 기법, 건축물 표면과 피복에 대한 관심을 특징으로 한다. 구조나 외피 같은 건축 요소에 왜곡과 혼란을 일으키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응용한다.[19] 이렇게 지어진 해체주의 건축물은 전통적인 건축 양식이나 모더니즘 건축의 상자형과는 다르게 불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자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비틀리거나 어긋나거나 기울어지는 등, 통제된 혼돈이라고 할 만한 양상을 띤다.[19]

일부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저서와 그의 '해체'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또 다른 건축가들은 러시아 구성주의의 기하학적이고 불균형적인 비대칭적 형태를 재현하려고 했다.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소재에 충실할 것"과 같은 모더니즘 건축의 억압적인 '철칙'으로부터 건축을 멀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체주의자로 여겨지는 건축가 중에는 자신의 건축이 해체주의적으로 분류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다양한 과거 건축 양식이나 장식을 인용하는 절충주의적 사고방식을 강하게 거부하고, 보다 순수하게 새로운 건축을 창조하려고 했다.

4. 주요 건축가 및 작품

1988년 뉴욕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필립 존슨과 마크 위글리가 기획한 ''해체주의 건축''(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전시회는 이 운동을 확고히 하고 주요 건축가들에게 명성과 악명을 안겨주었다. 이 전시회에 참여한 건축가는 피터 아이젠만, 프랭크 게리, 자하 하디드, 쿠프 힘멜블라우, 렘 쿨하스, 다니엘 리베스킨드, 베르나르 슈미였다.

이 건축 운동의 초기 선례는 산업 디자인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1969년 에토레 소토사스가 디자인한 올리베티 발렌타인 타자기가 대표적이다. 이 비전형적인 디자인은 전형적인 타자기의 외장을 해체하여 일반적으로 감춰져 있던 요소들을 드러냈고, '떠 있는 키'와 스페이스바 앞의 본체 색상 플라스틱 '레일'을 사용하여 타자기 본체에서 시각적으로 분리하였다.

마크 위글리는 전시회 도록에 수록된 글에서 서로 다른 점으로 주목받았던 여러 건축가들의 작품 속 공통점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

해체주의 건축은 1982년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대중의 주목을 받았는데, 특히 자크 데리다와 피터 아이젠만의 작품[2]과 베르나르 슈미의 수상작이 주목할 만하다.

다른 영향력 있는 전시회로는 피터 아이젠만이 설계한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있는 웨크너 예술센터(1989년 개관)가 있다.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독일


키츠뷔엘(오스트리아)의 알프스 해체주의 건축, 크리스티네 & 호르스트 레히너(Christine & Horst Lechner) 작품


쿠프 힘멜블라우(Coop Himmelb(l)au)가 설계한 우파 팔라스트(UFA-Palast), 드레스덴(드레스덴, 독일)

4. 1. 프랭크 게리

198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필립 존슨이 기획한 『'''탈구조주의 건축가들'''』전에는 프랭크 게리를 포함한 여러 건축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이 전시회를 통해 '탈구조주의'라는 용어와 함께 유명해졌다.[2]

분석적 큐비즘은 형태와 내용이 해체되어 동시에 여러 관점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해체주의에 확실한 영향을 주었다. 종합적 큐비즘은 레디메이드 오브제 미술의 적용과 관련하여 분석적 큐비즘만큼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프랭크 게리의 초기 및 보다 대중적인 작품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14]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바일암라인(독일)

4. 1. 1.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CAD를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건물 어디에도 평평한 면이 없다.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프랭크 게리가 설계했으며, 스페인 빌바오에 위치하고 있다.

4. 2. 자하 하디드

자하 하디드198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필립 존슨이 기획한 『'''탈구조주의 건축가들'''』전에 소개되어 '탈구조주의'라는 용어와 함께 유명해졌다. 프랭크 게리, 다니엘 리베스킨드, 렘 쿨하스, 피터 아이젠만, 쿠프 힘멜블라우, 베르나르 슈미 등이 이 전시회에 함께 참여했다.

4. 2. 1.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자하 하디드는 해체주의 건축가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는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4. 3. 피터 아이젠만

피터 아이젠만은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친구였으며, 데리다의 해체 철학에서 영향을 받았다.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에 함께 참여하기도 했다.[2] 아이젠만은 문학 운동인 해체에서 철학적 기반을 이끌어냈고, 데리다와 직접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이들의 협력은 ''Chora l Works''에 기록되어 있다.

아이젠만은 현전의 형이상학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건축 이론에서 해체주의 철학의 주요 주제이다. 그는 건축이 의미를 전달하며 언어 철학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언어라고 보았다.[8] 현전과 부재, 고체와 공허의 변증법은 아이젠만의 건설된 프로젝트와 건설되지 않은 프로젝트 모두에서 나타난다. 아이젠만과 데리다는 현전의 장소 또는 위치가 건축이라고 믿었으며, 현전과 부재의 동일한 변증법이 건설과 해체주의에서 발견된다고 보았다.[9]

아이젠만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웨크너 예술센터가 있다. 이 건물은 의 원형 형태를 취하여 일련의 절단과 단편화를 통해 복잡성을 불어넣었다. 3차원 격자는 건물을 다소 임의적으로 통과하며, 일부 격자 기둥은 의도적으로 바닥에 닿지 않고 계단 위에 떠 있어 신경증적인 불안감을 조성하고 기둥의 구조적 목적과 모순된다. 웹스너 센터는 성의 원형을 해체하고 그 공간과 구조를 갈등과 차이로 표현한다.

또한 아이젠만은 유럽 유대인 학살 기념관을 설계하여 흔적과 지움의 주제를 반영하였다.

4. 4. 렘 쿨하스



렘 쿨하스는 탈구조주의와 관련된 유명한 건축가 중 한 명이다. 198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필립 존슨이 기획한 『'''탈구조주의 건축가들'''』전에 소개되면서 '탈구조주의'라는 용어와 함께 유명해졌다.

4. 5. 베르나르 추미

베르나르 추미는 라 빌레트 공원 건축 디자인 공모전(1982년) 수상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2] 그는 해체주의 건축가들의 작품을 "운동"이나 새로운 "스타일"로 부르는 것은 맥락에 맞지 않고 그들의 사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또한 해체주의는 단순히 포스트모더니즘의 관행에 대한 반발이며, 포스트모더니즘이 "합판으로 도리아 양식의 신전 형태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고 말했다.[3] 1988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필립 존슨이 기획한 『'''탈구조주의 건축가들'''』전에 프랭크 게리, 다니엘 리베스킨드, 렘 쿨하스, 피터 아이젠만, 자하 하디드, 쿠프 힘멜블라우와 함께 참여했다.

5. 비판

해체주의 건축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서 정연한 합리성에 반대하며, 건축을 "분해"하고자 하는 대립적인 태도를 취한다.[5]

케네스 프램프턴은 해체주의를 "엘리트적이고 초연하다"고 비판했다.[16] 니코스 살링가로스는 해체주의를 파괴된 형태를 건설하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침범하는 "바이러스성 표현"이라고 비난했다.[17] 이러한 비판은 해체주의가 사회적 중요성이 거의 없는 순전히 형식적인 연습이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소자키 아라타자하 하디드를 공모전에서 발굴하는 등 해체주의 건축가들의 평가에 크게 관여했지만, 디자인의 참신함만을 추구하는 것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파괴된 건물을 본 충격 이후에는, 데콘스트럭션이라는 유행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해체주의 행위가 경험적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건축가가 원하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오늘날 이 운동의 시작 부분의 철학적 기반이 상실되었고, 남은 것은 해체주의의 미학뿐이라는 인식도 존재한다.[18]

일부는 건축이 언어 철학의 주제가 될 수 있는 언어라는 전제를 거부하거나, 과거에는 언어였을지라도 더 이상은 아니라고 주장한다.[8] 과거를 거부하면서도 대체할 명확한 가치를 제시하지 않고, 인간의 감각에 의도적으로 공격적인 전략을 추구하는 건축의 지혜와 미래 세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비판도 있다.[8]

5. 1. 형태주의적 경향

현대 건축에서 "해체주의"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서 정연한 합리성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들과 초기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모두 「옵포지션(Oppositions)」지에 글을 발표했지만, 해당 저널의 내용은 두 운동 사이의 결정적인 단절을 보여준다. 해체주의는 건축을 "분해"하고자 하는 대립적인 태도를 건축사에 대해 취했다.[5]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이 배척했던 역사적 참고 자료들을 다시 받아들였지만, 해체주의는 그러한 참고 자료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과 장식을 사후적인 생각이나 꾸밈으로 여기는 개념을 모두 거부했다.

로버트 벤트러리의 「건축의 복잡성과 모순」은 모더니즘의 순수성, 명료성, 단순성에 반박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 벤트러리의 해석은 장식과 역사적 연상이 모더니즘이 포기했던 풍요로움을 건축에 더했다는 것이다. 일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들은 "장식된 창고"라고 묘사한 건물에도 장식을 재적용하려고 노력했다. 설계의 합리주의는 기각되었지만 건물의 기능주의는 어느 정도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

해체주의적인 「건축의 복잡성과 모순」 해석은 상당히 다르다. 기본적인 건물은 해체주의에서 문제점과 복잡성의 주제였으며, 장식에 대한 분리는 없었다. 벤트러리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처럼 장식과 기능을 분리하는 대신 건물의 기능적 측면에 의문을 제기했다. 기하학은 포스트모더니스트에게 있어서 장식과 같은 것이었고, 해체주의자들에게는 복잡성의 주제였으며, 이러한 기하학적 복잡성은 차례로 해체주의 건물의 기능적, 구조적, 공간적 측면에 적용되었다. 해체주의적 복잡성의 한 예로 프랭크 게리의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Vitra Design Museum)이 있는데, 이는 모더니즘 미술관의 전형적인 장식 없는 흰색 큐브를 가져와 입체파와 추상 표현주의를 연상시키는 기하학을 사용하여 해체한다. 피터 아이젠만의 웹스너 예술센터(Wexner Center for the Arts)는 의 원형 형태를 취하여 일련의 절단과 단편화를 통해 복잡성을 불어넣는다. 3차원 격자는 건물을 다소 임의적으로 통과한다.

렘 쿨하스와 OMA가 설계한 시애틀 중앙도서관


케네스 프램프턴은 해체주의를 "엘리트적이고 초연하다"고 생각한다.[16] 니코스 살링가로스는 해체주의를 파괴된 형태를 건설하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침범하는 "바이러스성 표현"이라고 부른다.[17] 다른 비판들은 해체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 즉, 해체주의 행위가 경험적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건축가가 원하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오늘날 이 운동의 시작 부분의 철학적 기반이 상실되었고, 남은 것은 해체주의의 미학뿐이라는 인식이 있다.[18]

磯崎新(이소자키 신)은 阪神・淡路大震災(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에는 "파괴된 건물을 본 충격 이후에는, 데콘스트럭션이라는 유행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5. 2. 엘리트주의

현대 건축에서 "해체주의"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서 정연한 합리성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해체주의는 건축을 "분해"하고자 하는 대립적인 태도를 건축사에 대해 취했다.[5]

케네스 프램프턴(Kenneth Frampton)은 그의 저서 『현대 건축: 비판적 역사』(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에서 건축 이론 내에서 비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해체주의는 데리다를 철학적 영향으로 언급하면서도, 비판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해체주의에서는 다른 작품이나 선례를 재검토하고 비판하는 경향과 미적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비판 이론은 그 중심에 자본주의와 그 과잉에 대한 비판을 가지고 있었고, 그런 점에서 해체주의자들의 많은 작품들은 엘리트를 위해 만들어졌고 대상으로서 매우 비싸다는 점에서, 그들이 주장하는 디자인 관습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측면에서 실패할 것이다.

프랭크 게리를 비롯한 이 운동과 관련된 일부 건축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해체주의로 분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했다.[15]

해체주의 비평가들은 그것을 사회적 중요성이 거의 없는 순전히 형식적인 연습으로 본다. 케네스 프램프턴은 그것을 "엘리트적이고 초연하다"고 생각한다.[16] 니코스 살링가로스는 해체주의를 파괴된 형태를 건설하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침범하는 "바이러스성 표현"이라고 부른다.[17]

이소자키 아라타자하 하디드를 공모전에서 발굴하는 등 이러한 건축가의 평가에 크게 관여해 왔지만, 디자인의 눈앞의 참신함을 겨루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며, 한신·아와지 대지진(阪神・淡路大震災) 이후에는 "파괴된 건물을 본 충격 이후에는, 데콘스트럭션이라는 유행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5. 3. 사회적 의미 부재

현대 건축에서 "해체주의"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서 정연한 합리성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해체주의 비평가들은 그것을 사회적 중요성이 거의 없는 순전히 형식적인 연습으로 본다. 케네스 프램프턴(Kenneth Frampton)은 그것을 "엘리트적이고 초연하다"고 생각한다.[16] 니코스 살링가로스(Nikos Salingaros)는 해체주의를 파괴된 형태를 건설하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침범하는 "바이러스성 표현"이라고 부른다.[17]

이소자키 신은 자하 하디드를 공모전에서 발굴하는 등 이러한 건축가의 평가에 크게 관여해 왔지만, 디자인의 눈앞의 참신함을 겨루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며,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에는 "파괴된 건물을 본 충격 이후에는, 데콘스트럭션이라는 유행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5. 4. 니코스 살링가로스의 비판

니코스 살링가로스(Nikos Salingaros)는 해체주의를 "바이러스성 표현"이라고 비판했는데, 이는 파괴적인 형태를 만들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침범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는 데리다와 필립 존슨이 묘사한 것과 유사하지만, 전체 운동에 대한 강한 비난으로 여겨진다.[17]

다른 비판들은 해체주의 철학 자체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 즉, 해체주의적 행위는 경험적 과정이 아니므로 건축가가 원하는 어떤 결과든 낼 수 있으며, 따라서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운동 초기의 철학적 기반은 사라졌고, 남은 것은 해체주의의 미학뿐이라는 인식이 있다.[18]

일부는 건축이 언어 철학의 주제가 될 수 있는 언어라는 전제를 거부하거나, 과거에는 언어였을지라도 더 이상은 아니라고 주장한다.[8] 또 다른 비판들은 과거를 거부하면서도 대체할 명확한 가치를 제시하지 않고, 인간의 감각에 의도적으로 공격적인 전략을 추구하는 건축의 지혜와 미래 세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8]

이소자키 신은 자하 하디드를 공모전에서 발굴하는 등 해체주의 건축가들의 평가에 크게 기여했지만, 디자인의 참신함만을 추구하는 것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파괴된 건물을 본 충격 이후에는, 데콘스트럭션이라는 유행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Deconstructivism? https://www.archdail[...] 2020-07-19
[2] 서적 Chora L Works Monacelli Press
[3] 웹사이트 Rem Koolhaas and Bernard Tschumi in Conversation http://www.tschumi.c[...] 2001-05-18
[4] 웹사이트 Wotruba https://www.sixpackf[...] 2014
[5] 문서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6] 서적 Learning From Las Vegas
[7] 웹사이트 Imperial War Museum North Earth Time http://www.daniel-li[...] 2006-04
[8] 서적 A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문서 Choral Works
[10] 문서 Of Grammatology
[11] 웹사이트 Mattaclarking http://www.mindyouro[...] 2006-04
[12] 문서 Of Grammatology
[13] 뉴스 Occupancy at The New York by Gehry falls by more than 20% https://therealdeal.[...] The Real Deal New York 2024-02-25
[14] 문서 Point and Line to Plane
[15] 서적 Peter Eisenman: 1990-1997 El Croquis Editorial
[16] 서적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Thames & Hudson
[17] 서적 Anti-Architecture and Deconstruction Umbau-Verlag
[18] 웹사이트 Deconstruction: From Philosophy to Design Arizona State University 2006-06
[19] 서적 おかしな建築の歴史 エクスナレッ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