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버로우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레미야 버로우즈는 17세기 잉글랜드의 청교도 설교자이자 신학자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나 비국교도 활동으로 인해 직무가 정지되고 해임되었다. 이후 로테르담에서 교사로 활동하다가 잉글랜드로 돌아와 설교자로 활동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일원으로서 장로교에 반대하는 독립교회 신학자였다. 그는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저술은 청교도 신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0년대 출생 - 클로드 로랭
프랑스 출신 화가 클로드 로랭은 로마에서 활동하며 고전 건축물과 자연의 조화, 빛의 효과를 극대화한 풍경화로 명성을 얻었고, 태양을 빛의 근원으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시도로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600년대 출생 - 샤를 소렐
샤를 소렐은 17세기 프랑스의 작가이자 역사가로, 특히 소설 《프랑시옹의 희극 이야기》와 《엉뚱한 양치기》를 통해 당대 문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시도를 모색한 소설가로서 이름을 남겼다. - 1646년 사망 - 임경업
이괄의 난 진압과 병자호란 때 백마산성에서 청나라 군에 저항한 임경업은 명나라와 내통 의혹으로 김자점의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후 영웅적인 면모로 전설과 설화의 주인공이 되었고 숙종 때 복권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 1646년 사망 - 다테 시게자네
다테 시게자네는 다테 마사무네의 가신으로 오슈 평정에 공을 세운 무장이며, 니혼마쓰성주에 임명되었고, 임진왜란 참전 후 마사무네와의 불화로 출분했으나 복귀하여 깊은 신뢰를 받았으며, 와타리 다테씨 당주로서 영지 개발과 농업 진흥에 힘썼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존 에버라드
존 에버라드는 영국 외교관으로 벨라루스, 우루과이, 북한 대사를 지냈으며 유엔 북한제재 전문가패널 조정관을 역임했고, 북한 주재 경험을 바탕으로 저서를 출판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헨리 크롬웰
헨리 크롬웰은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군인으로 활동했고 아일랜드 통치에 참여한 정치가였으나 왕정 복고 후 은퇴했다.
예레미야 버로우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예레미야 버로우즈 |
원어 이름 | Jeremiah Burroughs |
![]() | |
출생일 | 1599년 12월 11일 |
출생지 | 잉글랜드 |
사망일 | 1646년 12월 1일 (46세) |
사망지 | 런던 |
직업 | 회중 교회주의자, 청교도 설교자 |
소속 및 활동 | |
가족 | |
기타 정보 |
2. 생애
예레미야 버로우즈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공부했으며, 1624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비국교도 때문에 대학을 떠난 후, 에드먼드 칼라미의 조수였으며, 1631년 노퍽 티벳셜의 교구 목사가 되었다. 1636년 비국교도 혐의로 직무가 정지되었고, 곧 해임되었다. 1637년 로테르담으로 가서 그곳의 영어 교회에서 "교사"가 되었다. 1641년 잉글랜드로 돌아와 런던의 스텝니와 크리플게이트에서 설교자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임마누엘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하여 1624년에 졸업하였다.[1] 에드먼드 칼라미 (1600년)의 사역을 도왔으며, 노워크에서 사역하였다. 1636년 비국교도로 좌천되어 자격을 박탈당하였고, 1637년 로테르담에서 영국 교회의 교사로 섬겼다.2. 2. 비국교도 활동과 망명
1636년 비국교도로 인해 성직 자격을 박탈당했다.[1] 1637년 로테르담으로 망명하여 그곳의 영국 교회의 교사로 섬겼다.[1]2. 3.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독립파 활동
버로우즈는 웨스트민스터 총회 회원이었으며, 장로교에 반대하는 독립주의자였다.[1] 그는 1644년 초 독립교회 선언문에 서명한 다섯 명의 반대파 형제 중 한 명이었다.[1] 그는 잉글랜드 독립교회 신자 중 가장 온건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1] 그는 연구실 문에 "믿음의 차이와 신자들의 일치는 모순되지 않는다"라는 뜻의 라틴어와 그리스어 격언("Opinionum varietas et opinantium unitas non sunt ασυστατα")을 새기고, 이에 따라 일관되게 행동했다.[1]2. 4. 생애 후반과 죽음
1646년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돌아오던 길에 말에서 떨어져 다친 부상으로 인해 병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1] 그는 가장 저명한 잉글랜드 독립교회 신자 중 한 명이었지만, 가장 온건한 사람이기도 했다. 그의 연구실 문에는 "믿음의 차이와 신자들의 일치는 모순되지 않는다"라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격언(Opinionum varietas et opinantium unitas non sunt ασυσταταla)이 새겨져 있었고, 그는 이 격언에 따라 일관되게 행동했다.[1]3. 사상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문서 제목, 섹션 제목, 요약(있는 경우)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4. 저서
예레미야 버로우즈는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설교와 논문을 저술했다. 그의 저술들은 청교도 신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대에도 널리 읽히고 있다. 버로우즈의 출판물 중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는 ''호세아서 예언에 대한 실질적인 관찰과 함께 하는 해설''(4권, 런던, 1643–57)이다.
4. 1. 주요 저서 목록
제목 | ISBN |
---|---|
호세아서 예언 해설 (Commentary on the Prophecy of Hosea) | 1-877611-03-4 |
기독교적 만족의 희귀한 보석 (The Rare Jewel of Christian Contentment) | 1-878442-28-7, 0-85151-091-4 |
행복해지는 법 (Learning to be Happy) | 0-946462-16-X |
악 중의 악: 죄의 과도한 죄악 (The Evil of Evils: The Exceeding Sinfulness of Sin) | 1-877611-48-4 |
희망 (Hope) | 1-57358-171-2 |
세상일에 마음을 두는 것에 대한 논문 (A Treatise on Earthly-Mindedness) | 1-877611-38-7 |
은혜로운 정신의 훌륭함: 민수기 14:24에 대한 논문으로 전달됨 (The Excellency of a Gracious Spirit: Delivered in a Treatise on Numbers 14:24) | 1-57358-024-4 |
이레니쿰: 하나님의 백성들 사이의 분열을 치유함 (Irenicum: Healing the Divisions Among God's People) | 1-57358-058-9 |
성도의 행복: 팔복에 관한 설교 (The Saint's Happiness: Sermons on the Beatitudes) | 99906-44-66-7, 1-877611-00-X |
성도의 보물: 런던에서 설교한 여러 설교 (The Saint's Treasury: Being Sundry Sermons Preached in London) | 1-877611-30-1 |
복음 예배, 즉 하나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는 올바른 방식 (Gospel Worship, Or, the Right Manner of Sanctifying the Name of God) | 1-877611-12-3 |
복음 두려움 (Gospel Fear) | 1-877611-31-X |
복음 대화 (Gospel Conversation) | 1-877611-91-3 |
복음 계시 (Gospel Revelation : Finding worth in knowing Christ) | 1-56769-069-6 |
복음 면죄 (Gospel Remission) | 1-57358-014-7 |
복음 화해, 즉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의 평화의 나팔 (Gospel Reconciliation, Or, Christ's Trumpet of Peace to the World) | 1-57358-042-2 |
성도의 행복 (The saints happinesse) | (1660) |
버로우즈의 출판물은 많았으며,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는 여러 저서와 함께 최근에 재판된 ''호세아서 예언에 대한 실질적인 관찰과 함께 하는 해설''(4권, 런던, 1643–57)이다.
4. 2. 한국어 번역서
5. 영향
예레미야 버로우즈의 사상과 저술은 17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온건한 독립파 신학은 종교적 자유와 관용을 옹호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저술들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개신교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5. 1. 한국 개신교에 미친 영향
예레미야 버로우즈의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교회에 소개되었다. 특히, 그의 저서 『기독교적 만족의 희귀한 보석』은 《만족 - 그리스도인의 귀한 보물(그레이트 크리스천 클래식)》[2]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한국 그리스도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참조
[1]
학술
[2]
웹인용
만족 - 그리스도인의 귀한 보물(그레이트 크리스천 클래식1)
https://mall.duranno[...]
2022-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