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광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광선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이다. 본명은 오성묵이며,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면서 오광선으로 개명했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독립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귀국 문제에 관여했다. 광복 후에는 광복군 국내 지대장, 육군 대령을 역임했고,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제주도병사구사령관 등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군인 - 이종장
    이종장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69년 무과에 급제하여 임진왜란 때 신립과 함께 탄금대 전투에서 아들 이희립과 전사했으며,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려되었다.
  • 비상국민회의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비상국민회의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의 T-80 운용
    대한민국의 T-80 운용은 불곰사업을 통해 러시아에서 도입한 T-80U 전차를 운용하며 전력 증강에 기여했으나, 잦은 고장과 부품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현재는 훈련 및 북한 전차 전력 대응책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 - 계룡대
    계룡대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본부가 함께 있는 3군 통합 기지로서, 각 군 본부의 정책, 편성, 인사, 군수 작전 지원 등 군 운영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며, 군인 가족들을 위한 복지 시설과 통일탑이 위치해 있다.
오광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 (초명)오성묵(吳性默), 오철묵(吳徹默)
취송(聚松), 광선(光鮮)
본관해주 오씨
생년월일1896년 5월 14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용인군 (현재의 죽산 지역)
사망일1967년 5월 3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오광선 독립운동가
오광선 독립운동가
군사 경력
소속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최종 계급준장 (대한민국 육군)
훈장
서훈 내역[[파일:ROK_Order_of_Merit_for_National_Foundation_-_Order_of_Independence.png|x10px]]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2. 생애

1896년 경기도 용인시에서 태어나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했다. 독립군에 참가하여 서로군정서 제1대대 중대장, 신흥무관학교 교관, 별동대장, 경비대장 등을 역임하며 항일 무장 투쟁에 앞장섰다. 1933년 중앙 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한인 특별반 교관을 지냈으며, 1937년 베이징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복역하기도 했다. 석방 후 다시 만주에서 활동하다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후에는 광복군 국내 지대장으로 활동했으며, 1946년 육해공군 출신 동지회 훈련부장, 1947년 대동청년회 훈련원장을 역임했다.

1949년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 1차로 임관하여 대령으로 임명되었고(군번 12441번), 호국군 제101여단장, 서울 병사구 사령관 등을 지냈다. 한국 전쟁 발발후 강원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겸 계엄 민사부장(1950년), 충청남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제주 지구 병사구 사령관(1952년 2월), 한국 근무단 제100사단장(1953년 1월)을 역임했다.

휴전 후에는 대전 지구 위수 사령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을 지냈으며, 1956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2015년 전쟁기념관에서 '5월의 호국 인물'로 선정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독립 투쟁

1896년 5월 13일, 경기도 죽산군 원삼면 어현(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어현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오성묵(吳性默)이었으나, 훗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면서 조선 광복의 뜻을 담아 오광선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 오인수는 포수 출신으로, 항일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에 저항했던 인물이다. 오광선은 이러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민족의식을 키웠다.[1]

오광선의 조상은 병자호란 당시 삼학사 중 한 명인 오달제였다. 오달제는 주화파에 맞서 끝까지 항전하다 청나라에 끌려가 처형당한 인물로, 오광선은 이러한 선조의 정신을 이어받아 항일 독립 투쟁에 헌신하게 되었다.

11세 때 아버지 오인수가 일진회에 체포되어 8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때 복수를 다짐하며 삼악 소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로 올라가 학업을 이어갔다. 이후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독립군 활동에 투신하였다.[1]

2. 1. 1. 만주 및 중국에서의 활동

1915년 가을, 은사인 장지영(張志瑛) 선생과 의논하여 중국으로 망명, 국립 보정(保定)군관학교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신흥무관학교에 편입하여 1918년에 졸업했다. 신흥무관학교에는 김광서(金光瑞,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으로 개명), 지대형(池大亨, 이청천으로 개명, 일본육사 출신), 신팔균(申八均, 신동천으로 개명, 한말의 군인) 등 세 명의 유명한 교관이 있었는데, 이들을 남만삼천(南滿三天)이라 불렀으며 독립군 양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오광선도 교관 중 한 명으로 이청천과 가까웠으며, 이 인연은 광복 후까지 이어졌다.[1]

1918년 서로군정서 제1대대 중대장을 시작으로, 1920년 신흥무관학교 교관, 독립군 제1대대 제3중대장, 제1대대장, 서로군정서 별동대장을 역임했다. 서로군정서 경비대장으로 독립군을 이끌고 노령(露領)으로 이동했다가 적군(赤軍)에 붙잡혀 6개월간 복역하던 중 시베리아 형무소에서 탈출하였다.[1]

1930년에는 한국독립당의 의용군 중대장으로 활약하였고, 1934년 김구가 중국군 측과 교섭하여 뤄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한국인훈련생 특별반을 설치하자, 지청천, 이범석 등과 함께 교관으로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였다. 1935년에는 동북 항일 한중연합군 독립대대장을 역임했다. 1940년 북경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에 투옥되어 3년간 복역한 뒤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 만주에서 1945년 8월 16일 정찰병으로부터 '조국이 광복되었다'는 보고를 받고 하얼빈으로 갔으나, 곳곳에서 일본인과 군인들의 학살 장면을 목격하였다. 이후 대석하(大石河)에 있던 노모(老母)가 조국으로 향했다는 소식을 듣고 곧바로 남행 열차를 타고 8월 25일 서울에 도착하였다.[1]

오광선은 이기붕을 통역으로 하여 1945년 9월 하순 미(美) 점령군사령관 하지 중장을 만나 회담하고, 중국에 있는 임시 정부와 광복군과 긴급 정보 교환을 위해 군용기를 요청하여 허락받았다. 여의도 비행장을 출발하여 상해(上海)에 도착, 김구 주석, 이청천 장군과 감격적인 상봉을 하였다. 임정(臨政)은 국제적인 관계로 정부 명칭으로 입국할 수 없게 되었고, 후일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1주일간 상해 체류를 마치고 귀국하여 하지 중장에게 광복군의 입국 문제와 국군으로 승계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하지 중장은 이 문제는 자신의 소관이 아니라 극동군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결정 문제라고 답했다.[1]

2. 1. 2. 광복군 활동

1918년 서로군정서 제1대대 중대장을 시작으로, 1920년 신흥무관학교 교관, 독립군 제1대대 제3중대장, 제1대대장, 서로군정서 별동대장을 역임했다. 서로군정서 경비대장으로 독립군을 이끌고 노령(露領)으로 이동했다가 적군(赤軍)에 붙잡혀 6개월간 복역하던 중 시베리아 형무소에서 탈출하였다.[1]

1930년 한국독립당 의용군 중대장으로 활약하다, 1934년 김구가 중국군 측과 교섭하여 뤄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한국인 훈련생 특별반을 설치하자, 지청천, 이범석 등과 함께 교관으로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였다. 1935년 동북 항일 한중연합군 독립대대장을 지냈다. 1940년 북경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에 투옥, 3년간 복역한 뒤 다시 만주로 갔다. 1945년 8월 16일 만주에서 '조국이 광복되었다'는 정찰병(偵察兵)의 보고를 받고 하얼빈에 도착, 도처에서 일본인과 군인들의 학살 장면을 목격하고 대석하(大石河)에 있던 노모(老母)가 조국으로 향했다는 소식을 듣고 곧바로 남행 열차로 서울에 도착하니 8월 25일이었다.[1]

이기붕을 통역으로 하여 같은 해 9월 하순 미(美) 점령군사령관 하지 중장을 만나 회담하고 중국에 있는 임시 정부와 광복군과 긴급 정보 교환을 하겠으니 군용기를 내어달라고 요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여의도 비행장을 떠나 상해에 도착, 김구 주석, 이청천 장군과 감격적인 상봉을 하였다. 임정(臨政)은 국제적인 관계로 정부 명칭으로 입국할 수 없게 되었으며 후일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1주일간 상해 체류를 마치고 귀국, 하지 중장에게 광복군의 입국 문제와 국군으로 승계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하지 중장은 이 문제는 자기 소관 문제가 아니라 극동군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결정 문제라고 답했다.[1]

2. 2. 광복 이후

오광선은 광복 후 광복군 국내 지대장으로 활동하며, 서울 동대문구 숭인동에 본부를 두고 조직 확대와 치안 유지에 힘썼다. 1946년 육해공군 출신 동지회 훈련부장, 1947년 대동청년회 훈련원장을 역임했다.

1949년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 1차로 임관하여 대령이 되었고, 호국군 제101여단장, 서울 병사구 사령관 등을 지냈다. 한국 전쟁 중에는 강원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겸 계엄 민사부장, 충청남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제주 지구 병사구 사령관, 한국 근무단 제100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52년 제주도병사구사령관 재직 시, 제주농고 강사로 있던 은사 장지영 (연세대학교 교수)을 만나기도 했다. 휴전 후 대전 지구 위수 사령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을 거쳐 전주지구위수사령관을 8년간 역임하고 준장으로 예편했다.

1962년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1]

2. 2. 1. 광복 직후의 활동

오광선은 이기붕을 통역으로 하여 1945년 9월 하순 미(美) 점령군사령관 하지 중장을 만나 회담하고 중국에 있는 임시 정부광복군과 긴급 정보 교환을 하겠으니 군용기를 내어달라고 해서 허락을 받았다. 여의도 비행장을 떠나 상하이에 도착, 김구 주석, 이청천 장군과 상봉하였다. 임시정부는 국제적인 관계로 정부 명칭으로 입국할 수 없게 되었으며 후일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1주일간 상해 체류를 마치고 귀국, 하지 중장에게 광복군의 입국 문제와 국군으로 승계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하지 중장은 이 문제는 자기 소관이 아니라 극동군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결정 문제라고 하였다.

오광선은 서울 동대문구 숭인동에 광복군 국내지대(國內支隊) 본부를 마련하여 조직에 착수, 부지대장에는 일본 육사 제27기생인 장석윤(張錫倫)을 임명하고, 최경록(崔慶祿), 강문봉(姜文奉), 김영환(金英煥), 장창국(張昌國), 안광수(安光銖), 이영순(李永純) 등을 참여시켜 조직 확대와 치안 유지 등에 힘썼다. 이들은 후일 미 군정의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국방경비대 창설에 참여, 국군의 장성들로서 국방 업무에 기여하였다.

2.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오광선은 1945년 광복 후 광복군 국내 지대장으로 활동했다. 서울 동대문 숭인동에 광복군 국내지대 본부를 마련하여 조직에 착수, 부지대장에는 일본 육사 제27기생인 장석윤(張錫倫)을 맞이하고 소장(少壯) 간부로는 일본군 출신들인 최경록(崔慶祿), 강문봉(姜文奉), 김영환(金英煥), 장창국(張昌國), 안광수(安光銖), 이영순(李永純) 등을 참여시켜 조직 확대와 치안 유지 등에 걸쳐 활약하였다. 이들은 후일 미 군정의 구상한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국방경비대 창설에 참여, 국군의 장성들로서 국방 업무에 기여한 바가 컸다.

1946년 1월, 육해공군 출신 동지회 훈련부장을 맡았고, 1947년에는 대동청년회 훈련원장을 지냈다.[1]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제8기 특별 1차로 임관하여 대령으로 임명되었으며(군번 12441번), 호국군 제101여단장을 역임했다.[1] 같은 해, 서울 병사구 사령관을 지냈다.[1]

한국 전쟁 당시 강원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겸 계엄 민사부장(1950년), 충청남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제주 지구 병사구 사령관(1952년 2월), 한국 근무단 제100사단장(1953년 1월)을 역임했다.[1] 1952년 2월 제주도병사구사령관으로 임명되었을 때, 제주에 피난 와서 제주농고 강사로 재임하던 은사 장지영(연세대학교 교수) 선생을 만나 중국 망명 당시의 옛 추억담을 나누기도 했다. 휴전 후에는 대전 지구 위수 사령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을 지냈다.[1] 전주지구위수사령관을 8년 동안 지낸 후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1956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1]

2. 2. 3. 한국전쟁 참전

오광선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국군에 합류하여 강원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겸 계엄 민사부장(1950년), 충청남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 제주 지구 병사구 사령관(1952년 2월), 한국 근무단 제100사단장(1953년 1월)을 역임하였다.[1] 휴전 후에는 대전 지구 위수 사령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을 지냈으며, 전주지구위수사령관을 8년 동안 지낸 후 준장으로 예편하였다.[1][2]

2. 3. 최후

오광선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1]

2015년 5월 전쟁기념관은 오광선을 '5월의 호국 인물'로 선정했다.[1]

3. 사후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1]

2015년 5월 전쟁기념관은 오광선을 '5월의 호국 인물'로 선정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
아버지오인수1867년1935년
어머니이남천
배우자정현숙(이명 정정산)1900년 3월 13일1992년 8월 1일
장녀오희영1924년 4월 23일1969년 2월 17일
차녀오희옥1926년 5월 7일2024년 11월 17일
아들오영걸??


5. 학력


  • 1907년 4월경 삼악학교 소학과 졸업
  • 1913년 3월 삼악학교 고등과 졸업
  • 1918년 12월 신흥무관학교 졸업
  • 중국 군관학교 입학
  • 하북성에 위치한 보정군관학교 입학

참조

[1] 뉴스 「5月の護国人物」呉光鮮先生 http://www.yonhapnew[...] 2015-04-30
[2]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3] 웹사이트 編年資料 大韓民国史「大同青年会結成」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03-03
[4]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1巻 http://www.imhc.mil.[...] 国防部軍事編纂研究所 2016-11-18
[5]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6] 웹사이트 編年資料 大韓民国史「護国10勇士の合同慰霊祭挙行」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03-03
[7] 웹사이트 한국노무단 10만명도 작전을 수행하였다. http://www.mndpro.mi[...]
[8] 웹인용 오광선(吳光鮮)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5-25
[9] 웹인용 제주특별자치도 http://www.jeju.go.k[...] 2021-06-06
[10] 웹인용 20년 4월의 독립운동가 '오광선·정현숙 선생' 부부 선정 https://www.mpva.go.[...] 2020-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