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무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근무단은 1950년 7월 26일 한국 전쟁 중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의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최초에는 민간인 수송단으로 시작하여 한국 전쟁 중 노무 지원을 담당했으며, 1951년 한국 지원단(KSC)으로 개칭되었다. KSC는 미 육군과 대한민국 육군의 비전시 작전 및 훈련 지원, 물자 지원 역할을 수행하며, 북한과의 분쟁 발생 시 미 육군 병력에 대한 보급 임무도 수행한다. 현재 KSC는 KSC 대대로 알려져 있으며, 17개 중대가 한반도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대대 -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는 1952년 창설되어 공동경비구역 내 유엔사령부 구역 경비, 침입자 방어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사건을 겪고 1991년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미국 육군의 군수부대 - 군수분과
군의 작전 수행에 필요한 물자 수송 및 관리, 장비 유지보수, 예산 편성 및 집행을 담당하는 군수분과는 스마트 군수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대화를 추진 중이나, 예산 낭비에 대한 비판과 함께 투명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 미국 육군의 군수부대 -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대한민국)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대한민국)는 주한 미군의 의료 물자 지원을 담당하며, 1928년 창설 이후 부대 개편과 이동을 거쳐 육군의무군수사령부로 전속되었고, 현재 2개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8군 (미국)
제8군은 1944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일본 점령,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한국 근무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8군지원단(한국노무단) |
약칭 | KSC |
![]() | |
![]() | |
활동 기간 | 1950년 7월 26일 ~ 현재 |
종류 | 민간-군사협동작전 지원부대 |
역할 |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 |
규모 | 대대 |
명령 체계 |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
본부 |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
별명 | 지게부대 A특공대 |
기념일 | 7월 26일 (창설일) |
웹사이트 | 한국노무단 웹사이트 |
지휘관 | |
참전 | |
참전 | 한국 전쟁 |
2. 역사
1950년 7월 26일 월턴 워커 중장의 긴급 지원 요청으로 제8군 예하에 한국 근무단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민간인 수송단' 혹은 '운송단'(Civilian Transportation Corps (CTC)영어)으로 불렸으며, 긴급 동원령에 따라 징집된 민간인 노무자들로 구성되었다. 국제 연합군은 이들이 짊어진 지게의 모습이 알파벳 'A'와 비슷하다 하여 'A Frame Army영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5]
1951년 5월,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은 한국 근무단의 공헌을 높이 평가하여 제8군 예하 지원단으로 재편하고, 3개 사단과 2개 여단으로 규모를 확대했다.[6]
한국 전쟁 중 한국 근무단은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사망자 | 부상자 | 실종자 | |
---|---|---|---|
인원 | 2,064명 | 4,282명 | 2,448명 |
1994년 7월 16일에는 13개 중대로 구성된 대대급 부대로 개편되었고,[7] 2005년 11월 8일에는 제702여단지원대대로부터 중장비 수송 임무를 넘겨받은 제7중대가 신설되었다.[7] 2010년 6월 10일에는 창설 60주년을 기념했다.[8]
현재 한국 근무단(KSC)은 KSC 대대로 알려져 있으며, 17개 중대가 한반도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미 육군의 일부로 활동하고 있다.[3]
2. 1. 한국 전쟁 시기 (1950-1953)
1950년 7월 26일 제8군 사령관인 월턴 워커 중장의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최초에는 '민간인 수송단' 또는 '운송단'(Civilian Transportation Corps (CTC)영어)으로 불렸으며, 국가 긴급 동원령에 따라 노무자로 징집된 민간인으로 구성되었다. 국제 연합군은 노무자들이 짊어지는 지게가 영어 알파벳 "A"와 닮은꼴이라 하여 그들을 "A Frame Army영어"로 불렀다.[5]1951년 5월,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은 한국 근무단의 활약을 높이 평가하여 제8군 예하 지원단으로 재편성하고, 부대를 3개 사단과 2개 여단으로 점차 증편하였다.[6]
명칭 | 지휘관 | 본부 | 활동 기간 |
---|---|---|---|
제101노무사단 | 대령 김응조 | 경기도 의정부 | 1951년 5월 ~ 1963년 |
제103노무사단 | 대령 박시창 | 강원도 인제 | 1951년 5월 ~ 1955년 |
제105노무사단 (예비) | 대령 김관오 | 강원도 춘천 | 1951년 5월 ~ 1953년 |
제100노무여단 | 대령 오광선 | 강원도 속초 | 1953년 1월 ~ 9월 |
제200노무여단 | 대령 이량 | 강원도 화천 | 1952년 3월 ~ 9월 |
사망자 | 부상자 | 실종자 | |
---|---|---|---|
인원 | 2,064명 | 4,282명 | 2,448명 |
한국 전쟁 발발 두 달째, 미국 육군 제8군 사령관 중장 월턴 워커는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병력과 물자 부족에 직면하여 한국군의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 1950년 7월 25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은 비상 칙령을 통해 대한민국 육군 병력이 전선 부대에 민간인 물자 수송을 지원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이에 응답했다. 이후 이 수송 병력은 1951년 3월 15일 민간 수송단(CTC)으로 중앙 통제되는 대대로 조직되었다.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지휘 아래 CTC는 1951년 7월 14일 한국 지원단(KSC)으로 개칭되었다.[1][3]
2. 2. 휴전 이후
1994년 7월 16일, 한국 근무단(KSC)은 13개 중대로 편성된 대대 편제로 재조직되었다.[7]2005년 11월 8일, 제702여단지원대대에서 중장비 수송임무를 이양받은 제7중대가 창설되었다.[7]
2010년 6월 10일, 한국 근무단은 창설 60주년을 맞이하였다.[8]
3. 임무
한국 근무단은 미국 제8군의 보급 물류를 보충하여, 더 많은 노력을 한국 전쟁의 최전선에 쏟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 한국 휴전 협정으로 한국 전쟁이 중단된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무단은 미국 육군과 대한민국 육군의 비전시 작전 및 훈련 지원에 기여해 왔으며, 물자 지원도 제공하고 있다.[2]
또한 한국 근무단은 북한과 대한민국 간의 또 다른 분쟁이 발생할 경우,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이미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미 육군 병력에 대한 보급 및 보조 준군사력으로도 활동한다.
4. 조직
한국 근무단은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KSC 프로세싱 센터, 그리고 여러 개의 중대로 구성되어 있다.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는 2009년 9월 4일 캠프 킴에서 창설되었다. KSC 프로세싱 센터는 1951년 9월에 창설되었으며, 본부는 대구에 있고 용산과 인천에 분견대가 있다.[7][9]
4. 1. 배속 변천
- 제8군
- * 1955년 3월 15일, G-1 인사처
- * 1962년 9월 15일, G-5
- * 1971년 4월 15일, G-1
- * 1971년, G-3
- * 1999년 4월 1일, 제8군 참모장(CofS)?
- 2013년 1월 15일, 제19원정지원사령부
- (시기불명),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4. 2. 현재 편성
wikitext부대 | 창설일 | 주둔지 | 비고 |
---|---|---|---|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 2009년 9월 4일 | 캠프 킴 | |
KSC 프로세싱센터 | 1951년 9월 | 대구(본부), 용산, 인천(분견대) | |
제1중대 | 1952년 | 캠프 케이시 | 제7보병사단 지원 |
제2중대 | |||
제6중대 | |||
제7중대 (중장비수송) | 2005년 11월 10일 | 7th KSC Company (HET)영어[7][9] | |
제8중대 | 1976년 | 캠프 페이지 | 제4미사일사령부 지원 |
제9중대 | 1951년 | 제1기병사단 지원 | |
제12중대 | 1967년 (재창설: 2001년 5월 22일) | JSA 지원단 지원 | |
제15중대 | 1954년 | 캠프 레드 클라우드 | 제1군단 특수병력대 지원 |
제16중대 | 1954년 | 캠프 에세이욘 | 제14공병대대 B중대 지원 |
제19중대 | 1950년 (2019년 6월 1일, 캠프 험프리스로 이동) | 캠프 험프리스 | 제1309공병단 |
제22중대 | 1972년 | 캠프 험프리스 | 제23지원단 지원 |
제28중대 | 1958년 5월 | 서울 태평동 | 제76공병대대 지원 |
제32중대 | 1970년 | 제19지원사령부 대구 지역시설기술 | |
제33중대 | 1958년 | 캠프 롱 | 제44,76공병대대 지원 |
제34중대 | 2019년 6월 1일 | 캠프 험프리스 | 제8군 본부 및 주한 미군 본부 직접 지원 |
제36중대 | 2006년 3월 24일 | 캠프 캐럴 | APS-4 임무 지원 |
5. 명칭 변천
- 1951년 3월, Civilian Transportation Corps (CTC)|시빌리언 트랜스포테이션 코어|민간수송단영어
- 1951년 7월, Korean Service Corps (KSC)|코리언 서비스 코어|한국 근무단영어
한국 전쟁 발발 두 달째, 미국 육군 제8군 사령관 월튼 워커 중장은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병력과 물자 부족에 직면하여 대한민국 육군(ROKA)의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 1950년 7월 25일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은 비상 칙령을 통해 대한민국 육군 병력이 전선 부대에 민간인 물자 수송을 지원하도록 지시했다. 1951년 3월 15일 이 수송 병력은 민간 수송단(CTC)으로 중앙 통제되는 대대로 조직되었다.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지휘 아래 CTC는 1951년 7월 14일 한국 지원단(KSC)으로 개칭되었다.[1][3]
현대에 KSC는 KSC 대대로 알려져 있으며, 17개 중대가 계속해서 한반도 내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미 육군의 일부로 활동하고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U.S. Army Materiel Support Command Korea
https://www.army.mil[...]
2021-08-20
[2]
웹사이트
Korean Service Corps Battalion conducts mobilization ROC drill
https://www.dvidshub[...]
2019-10-17
[3]
웹사이트
The Korean Service Corps Battalion
https://www.army.mil[...]
2014-11-03
[4]
웹인용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한국노무단의 지위에 관한 협정
http://www.moel.go.k[...]
고용노동부 정책자료실
2020-07-24
[5]
웹인용
근무부대(KSC)
http://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12-10-22
[6]
웹인용
한국전쟁의 숨은 영웅 ‘A특공대‘를 아십니까?
http://www.poweroftr[...]
진실의 길
2012-10-22
[7]
뉴스
7th Korean Services Corps assumes transportation role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17-01-28
[8]
뉴스
미 육군 한국근무단 창설 60주년 기념식 열려
http://www.koreaemba[...]
주미 한국 대사관
2012-10-22
[9]
뉴스
Owning the Night, Heavy Equipment Transportation Company Moves a Fleet
https://www.army.mil[...]
미국 육군 공보실
2016-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