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온자리 에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온자리 에타는 오리온자리의 검에 위치한 항성으로, 여러 개의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항성계는 주성 A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오리온자리 OB1 성협에 속한다. 오리온자리 에타는 4일마다 밝기가 변하는 식쌍성 현상을 보이며, 0.432일의 변광성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골형 변광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알골형 변광성 - 황소자리 람다
    황소자리 람다는 3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로, 식쌍성인 황소자리 람다 AB와 내부 쌍을 공전하는 황소자리 람다 C로 구성되며, 식쌍성 현상과 탄소 결핍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오리온자리 - NGC 1999
    NGC 1999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반사 성운으로, 내부 별의 빛을 받아 빛나며,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당시에는 암흑 성운으로 추정되었으나, 헤르셸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으로 밝혀졌고, 이는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오리온자리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 B형 주계열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주계열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오리온자리 에타
위치 정보
오리온자리 별자리 지도
오리온자리에서의 오리온자리 에타의 위치 (원으로 표시)
명칭
로마자 표기Eta Orionis
한글 표기오리온자리 에타
다른 이름오리온자리 28번성
BD -02°1235
HD 35411
HIP 25281
HR 1788
SAO 132071
관측 정보
기원J2000
별자리오리온자리
적경'05h 24m 28.61672s'
적위'–02° 23′ 49.7311″'
겉보기 등급3.42 (4.50 + 5.90 + 5.65 + 4.95)
특징
분광형Aa: B1 V
Ab: B3 V
Ac: B3 V
B: B2 V
색 지수 (B-V)-0.17
색 지수 (U-B)-0.90
변광성 유형알골 변광성
시선 속도
시선 속도+19.8 km/s
고유 운동 (적경)−0.71 mas/yr
고유 운동 (적위)−3.46 mas/yr
시차3.34 mas
궤도 정보 (Ab)
주성Aa
주기7.989255 일
궤도 이심률0.011
궤도 경사85°
K1145.5
K2150
궤도 정보 (Ac)
주기9.442 일
궤도 이심률0.45
궤도 긴반지름0.0441 각초
궤도 경사102.8°
물리적 특성 (Aa)
질량11.0 태양질량
표면 온도26,600 K
반지름6.3 태양반지름
자전 속도20 km/s
물리적 특성 (Ab)
질량10.6 태양질량
표면 온도26,600 K
반지름5.2 태양반지름
자전 속도130 km/s
물리적 특성 (Ac)
질량6.78 태양질량
물리적 특성 (B)
질량8.7 태양질량

2. 명칭

오리온자리의 검 칼집 위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랍어로 검을 의미하는 Saiph|사이프ar[7], 아랍어로 방패를 의미하는 Algjebbah|알제바ar[1], 라틴어로 검을 의미하는 Ensis|엔시스la 등의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있다.

3. 구성

오리온자리 에타는 여러 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크게 주성 A와 동반성 B, C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항성계 전체는 더 큰 규모의 오리온자리 OB1 성협에 속해 있다. 주성인 오리온자리 에타 A는 그 자체로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분광 삼중성이다. 주성 A 주위에는 밝은 동반성 B와 희미한 동반성 C가 공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항성계는 오리온자리 OB1 성협 중에서도 OB1a로 알려진, 가장 오래되고 지구에서 가까운 부분에 속한다.

3. 1. 동반성

오리온자리 에타는 여러 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밝은 동반성 B는 주성 A로부터 2초각(″) 미만의 거리에 있으며, 겉보기 등급이 낮아 흐릿한 동반성 C는 거의 2분각(′) 거리에 있다. B와 C는 주성 A 주위를 약 1,800년마다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인 오리온자리 에타 A 자체도 분광 삼중성으로, 여러 스펙트럼 선과 변화하는 시선 속도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 삼중성계에서 가장 바깥쪽 동반성 Ac는 약 0.04초각(″) 떨어져 있으며, 스펙클 이미징(얼룩 간섭계) 기술을 사용하여 관측으로 분리되었다. Ac는 안쪽의 두 별 주위를 9.4년 주기로 공전한다. 가장 안쪽 두 별 Aa와 Ab는 서로 약 0.1 AU만큼 떨어져 있으며, 8일이 채 안 되는 짧은 주기로 서로의 궤도를 돌고 있다.

이 항성계는 오리온자리의 밝은 별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별들의 모임인 오리온자리 OB1 성협 내에 위치한다. 오리온자리 에타는 이 성협 중에서도 OB1a로 알려진, 가장 오래되고 지구에서 가까운 부분에 속해 있다.

3. 2. 주성 A (분광 삼중성)

주성인 오리온자리 에타 A는 그 자체로 분광 삼중성으로, 구성 별들의 스펙트럼선과 변화하는 시선 속도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 삼중성계는 Aa, Ab, Ac 세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안쪽에 위치한 두 별인 Aa와 Ab는 서로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데, 거리는 약 0.1 천문단위에 불과하며, 8일이 채 안 되는 짧은 주기로 서로의 주위를 공전한다.

가장 바깥쪽에서 공전하는 동반성 Ac는 안쪽의 Aa-Ab 쌍성계로부터 약 0.04 각초 떨어져 있다. 이 별은 스펙클 이미징 (또는 얼룩 간섭계) 기법을 사용하여 관측상으로 분리되었다. Ac는 Aa와 Ab로 이루어진 쌍성계 주위를 9.4년의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3. 오리온자리 OB1 성협

오리온자리 에타는 오리온자리의 밝은 별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별 그룹인 오리온자리 OB1 성협의 일원이다. 이 성협은 탄생한 지 약 300만 년에서 1,200만 년 정도 된 분광형 O형 또는 B형의 뜨겁고 무거운 별 수십 개와, 질량이 더 작은 별 및 갓 태어난 원시별 수천 개로 구성된 성협이다. 오리온자리 에타는 이 성협 내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가까운 부분으로 알려진 OB1a 그룹에 속한다.

4. 가변성

섬네일


오리온자리 에타는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변광성이다. 이러한 밝기 변화는 주로 가까이 있는 두 항성이 서로를 가리는 식 현상 때문에 발생하며, 약 4일의 주기를 가진다. 이 외에도 더 짧은 주기를 가진 미세한 밝기 변화가 관측되는데, 이는 구성 항성 자체의 고유한 변광성이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변광 특성은 TESS와 같은 우주 망원경의 정밀 관측 데이터를 통해 연구되고 있다.

4. 1. 식쌍성 현상



오리온자리 에타는 약 4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전체 겉보기등급이 3.31등급에서 약 3.6등급까지 어두워진다. 이는 가장 가까운 두 구성 항성인 Aa와 Ab가 서로를 가리는 식 현상 때문이다. 주성(主星)이 반성(伴星)을 가리는 주식(主食)과 반성이 주성을 가리는 부식(副食)이 일어날 때 밝기 감소량은 각각 0.24등급과 0.23등급으로 매우 비슷하다.

과거에는 구성 요소 Ab가 0.3일의 주기를 가지며 매우 작은 진폭으로 밝기가 변하는 고유 변광성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별은 특이하게 변하는 스펙트럼선을 보이며, 베타별 변광성이 존재하는 불안정대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밝기가 변하는 별은 구성 요소 B 또는 Ac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 원인은 아직 관측되지 않은 동반성과의 상호작용이나 별 자체의 회전에 따른 밝기 변화일 수 있다. 또한, 실제 변광 주기는 0.432일이며, 이전에 제기된 0.3일 주기는 잘못된 분석 결과(에일리어싱)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4. 2. 추가적인 변광성



오리온자리 에타는 4일마다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으로, 겉보기등급이 3.31에서 약 3.6 등급까지 감소한다. 이는 가장 가까운 두 구성 요소인 Aa와 Ab 사이에서 발생하는 식 현상 때문이다. 주성(主星)과 반성(伴星)이 서로를 가리는 주식(primary eclipse)과 부식(secondary eclipse)은 밝기 감소량이 각각 0.24등급과 0.23등급으로 매우 비슷하다.

위 그림은 TESS 위성이 관측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려진 오리온자리 에타의 광도 곡선으로, 앞서 설명한 식 현상 외에도 0.432일 주기의 추가적인 밝기 변동이 있음을 보여준다. 과거에는 구성 요소 Ab가 0.3일 주기로 고유한 변광성을 가지며, 이는 베타별 변광성(과거 자료에서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언급)과 유사한 불안정성 때문일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 별은 특이하게 변하는 스펙트럼선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는 이 추가적인 변광성이 구성 요소 B 또는 Ac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실제 주기는 0.432일이고 이전에 관측된 0.3일 주기는 실제 주기의 별칭(alias)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변광의 원인으로는 아직 관측되지 않은 동반성이나 별 자체의 회전 변조 등이 고려되고 있다.

5. 대중문화 속 오리온자리 에타


  • 제스로 툴(Jethro Tull)의 1979년 앨범 'Stormwatch'에 수록된 곡 "Orion"에는 Your faithful dog shines brighter than its lord, Your jewelled sword twinkles as the world rolls by|당신의 충실한 개는 주인보다 빛나고, 당신의 보석을 새긴 칼은 세상이 굴러갈수록 빛난다영어는 가사가 있다.
  • 톰 페티(Tom Petty)의 1991년 앨범 'Into the Great Wide Open'에 수록된 곡 "The Dark of the Sun"에는 Saw you cross the river beneath the Sword of Orion|오리온자리의 칼 아래 강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영어는 가사가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stronomy: Facts and Feats Guinness Superlatives Limited
[2]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5-10-04
[3]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5-10-04
[4]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5-10-04
[5] 문서 輝星星表第5版
[6] 웹사이트 GCVS http://www.sai.msu.s[...] 2015-10-04
[7]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G. E. Stechert
[8] 간행물 A Catalog of Visual Double and Multiple Stars With Eclipsing Compon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