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비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비강은 러시아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알타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북극해의 카라해로 흘러 들어간다. 비야강과 카툰강의 합류로 시작되어 이르티시강과 합류하며, 서시베리아 평원을 통과한다. 오비강은 관개, 수력 발전, 어업, 해운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며, 과거 시베리아 횡단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주요 지류로는 이르티시강, 톰강 등이 있으며, 유역에는 다양한 생태 환경이 존재한다. 오비강 유역에는 바르나울, 노보시비르스크 등 여러 도시가 위치하고 있으며, 댐 건설과 시베리아 강물 전환 계획 등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비강 - 오비만
    오비 만은 카라해에 접한 만이자 오비 강 하구로서 기다 반도와 야말 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막대한 천연가스와 석유가 매장되어 있어 러시아의 에너지 개발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지만 환경 문제와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강 - 타스강
    타스강은 몽골 서부에서 발원하여 북극해로 흐르는 러시아의 주요 강으로, 오비만에서 끝나는 넓은 하구를 가지며, 여러 지류와 호수를 포함하고 오비강, 예니세이강과 연결되어 시베리아 물류 수송 및 교통로 역할을 한다.
  • 노보시비르스크주의 강 - 옴강
    옴강은 러시아 서시베리아 평원의 이르티시강 지류로, 바시시 호수에서 발원하여 옴스크를 지나 이르티시강과 합류하며 총 길이 약 1,091km, 유역 면적 52,600km²에 이른다.
오비강
지도
일반 정보
이름오비강
영어 이름Ob River
러시아어 이름Обь
예르마크어 이름Саля ям
한티어 이름Ас
셀쿠프어 이름Ӄолд
알타이어 이름 (북부)Ах умар / Тойбодым
쇼르어 이름Үмәр
하카스어 이름Ымар
지리
위치러시아
발원지알타이 지방
하구오비만
유역알타이 지방
노보시비르스크주
톰스크주
한티만시 자치구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수원카툰강비야강의 합류점
합류점 위치비스크 부근
하구 위치오비 델타
수문학적 정보
길이3,650 km (합류점에서 오비만까지) / 5,570 km (이르티시강 포함)
유역 면적2,430,000 km²
평균 유량12,480 m³/s
주요 지류
왼쪽 지류카툰강
아누이강
차르이쉬강
알레이강
파라벨강
바스유간강
이르티시강
북소스바강
오른쪽 지류비야강
베르드강
인야강
톰강
출림강
케티강
팀강
바흐강
핌강
카짐강
도시
강변 도시비스크
바르나울
노보시비르스크
니즈네바르톱스크
수르구트

2. 명칭

오비강은 한티인한티어로는 아스강(As), 야그강(Yag), 콜타강(Kolta), 예마강(Yema) 등으로 불린다. 네네츠인은 콜타강(Kolta), 쿠아이강(Kuay)이라고 부른다. 시베리아 타타르인시베리아 타타르어로는 우마르강(Umar) 또는 오마르강(Omar)이라고 부른다.[1]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이전에는 시비르 칸국이 오비강 및 이르티시강 유역의 넓은 범위를 지배했으며, 연안의 많은 도시가 이 시대에 건설되었다.[1]

3. 지리

오비강은 알타이 지방 제2의 도시인 비스크 남서쪽 25km 지점에서 비야강카툰강이 합류하여 형성된다. 비야강은 텔레츠코예호에서, 카툰강은 벨루하산빙하에서 발원한다. 오비강은 구릉 지대를 굽이쳐 흐르며 노보시비르스크 등의 대도시를 지나 북쪽과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톰스크주에 도달한다. 이후 톰스크주의 평원 지대를 지나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한티만시 자치구를 흘러 한티만시스크 부근에서 이르티시강에 합류한다. 서시베리아 평원을 흐른 후 동쪽 오비만으로 들어간다. 오비만은 야말반도와 구이단스키 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800~950km 길이로 카라해에서 북극해로 이어진다.

오비강 유역은 스텝, 반사막, 타이가, 늪지, 툰드라 등 다양한 식생이 나타나며, 넓은 범람원과 무수한 지류, 분류, 삼각주 등이 발달해 있다. 강에는 화이트피쉬, 철갑상어 등이 서식하며, 하구의 오비만 섬 일대와 중하류 일대는 1994년에 람사르 조약 등록 습지가 되었다[1][2][3]

오비강은 상류 바르나울 부근에서는 11월경부터 이듬해 4월 말경까지, 하류 살레하르트 (북극권 부근)에서는 10월 말부터 6월 초까지 결빙된다.

3. 1. 주요 지류

오비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1][2][3]

}
|
|}

가장 큰 지류는 이르티시강으로, 합류점부터 발원지까지의 거리가 오비강 본류보다 길다.

4. 생태

오비강 유역의 식생은 상류는 스텝, 반사막, 타이가, 늪지이며, 하류는 툰드라 등이다. 또한 유역에는 넓은 범람원이 펼쳐져 있으며, 무수한 지류와 분류, 삼각주 등이 이어진다. 강에는 화이트피쉬, 철갑상어 등이 서식하며, 하구의 오비만 섬 일대와 중하류 일대는 1994년에 람사르 조약 등록 습지가 되었다[1][2][3]

5. 이용

오비강은 주로 관개, 수도, 수력 발전, 어업, 수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오비강 수계에서 항행 가능한 강의 총 연장은 15,000 km에 달한다. 20세기 초에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개통되기 전에는 강이 결빙되지 않는 계절에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여행에 오비강 수계를 이용한 수운이 매우 중요했다. (시베리아 강 교통도 참조) 오비강 수계의 방향은 대체로 남북 방향이며 물은 극심한 추위의 북극권으로 흘러가지만, 상류부에서는 수많은 지류가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를 동서로 크게 뻗어 있기 때문에, 지류에서 지류로 항행함으로써 동서 방향으로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것이 가능했다. 20세기 초까지는 볼가강 수계에 있는 모스크바 등 러시아 중앙부에서 시베리아로 가려면 볼가강 지류인 카마강이나 벨라야강을 거슬러 올라가 우랄산맥 근처까지 가서 배에서 내려 산을 넘어 이르티시강 지류의 항구로 가는 것이 일반적인 루트였다.

1885년, 카마강 유역의 페름과 우랄 산맥 동쪽의 예카테린부르크를 잇는 철도가 이르티시강 지류인 투라강 연안의 항구 도시 튜멘까지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튜멘은 볼가강 유역으로 향하는 철도의 동쪽 끝 도시이자 오비강 수계의 서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서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오비강 수계의 동쪽에서는 토미강 연안의 톰스크가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또한 튜멘에는 1836년에 최초의 증기선이 등장했고, 오비강 중류역은 1845년 이후 증기선으로 동서로 항행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오비강 수계와 그 동쪽의 예니세이강 수계를 잇기 위해, 오비강의 동쪽 지류 케치강에서 예니세이강으로 이어지는 오비-예니세이 운하가 19세기 말에 건설되었지만, 같은 시기에 건설되었던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대항하지 못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폐기되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완성으로 동서를 직결하는 데다 연중 사용할 수 있는 교통로가 제공되었지만, 오비강 수계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선의 항구 도시인 옴스크노보시비르스크튜멘주톰스크주의 넓은 범위를 잇는 물류의 중요한 경로로 남았다. 20세기 후반에는 유역의 더 넓은 범위로 철도가 뻗어갔지만, 수운은 철도가 없는 지역으로의 수송이나, 중량물의 수송 수단으로 지금도 중요하다.

오비강 유역에는 거대한 이 많이 건설되었다. 1956년에는 오비강 본류의 노보시비르스크 부근에 특히 큰 댐이 완성되어, 시베리아 최대 규모의 인공호 Новосибир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ru (통칭 "오비해" Обское мореru)가 만들어졌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소비에트 연방의 과학자·기술자·관료들은 오비강과 이르티시강의 물을 남쪽으로 끌어들여 아랄해를 윤택하게 하고, 중앙아시아의 스텝을 농장으로 바꾸는 대규모 자연 개조 계획의 일환으로 시베리아 강물 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계획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1986년에는 경제적인 사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큼을 이유로 폐기되었다.

6. 역사

오비강은 주로 관개, 수도, 수력 발전, 어업, 수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오비강 수계에서 항행 가능한 강의 총 연장은 15,000 km에 달한다. 20세기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개통되기 전, 강이 얼지 않는 계절에는 시베리아 횡단을 위해 오비강을 이용한 수운이 매우 중요했다. (시베리아 강 교통 참조) 오비강 수계는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물이 북극으로 흐르지만, 상류에는 수많은 지류가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를 동서로 뻗어 있어 지류를 통해 동서 방향으로 시베리아 횡단이 가능했다. 20세기 초까지 볼가강 수계의 모스크바 등 러시아 중앙부에서 시베리아로 가려면 카마강이나 벨라야강을 거슬러 올라가 우랄산맥 근처에서 배에서 내려 산을 넘어 이르티시강 지류의 항구로 가는 것이 일반적인 경로였다.

1885년, 카마강 유역의 페름과 우랄 산맥 동쪽의 예카테린부르크를 잇는 철도가 이르티시강 지류인 투라강 연안의 항구 도시 튜멘까지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튜멘은 볼가강 유역으로 향하는 철도의 동쪽 끝 도시이자 오비강 수계의 서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서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오비강 수계의 동쪽에서는 토미강 연안의 톰스크가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1836년 튜멘에 최초의 증기선이 등장했고, 1845년 이후 오비강 중류역은 증기선으로 동서 항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오비강 수계와 동쪽의 예니세이강 수계를 잇기 위해 오비강의 동쪽 지류 케치강에서 예니세이강으로 이어지는 오비-예니세이 운하가 19세기 말에 건설되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건설된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밀려 얼마 지나지 않아 폐기되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완성으로 연중 사용 가능한 동서 교통로가 제공되었지만, 오비강 수계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선의 항구 도시인 옴스크, 노보시비르스크튜멘주, 톰스크주의 넓은 범위를 잇는 중요한 물류 경로로 남았다. 20세기 후반에는 유역의 더 넓은 범위로 철도가 뻗어갔지만, 수운은 철도가 없는 지역으로의 수송이나 중량물 수송 수단으로 여전히 중요하다.

오비강 유역에는 많은 거대한 이 건설되었다. 1956년 오비강 본류의 노보시비르스크 부근에 특히 큰 댐이 완성되어 시베리아 최대 규모의 인공호 Обское мореru가 만들어졌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소비에트 연방의 과학자, 기술자, 관료들은 오비강과 이르티시강의 물을 남쪽으로 끌어들여 아랄해를 복원하고,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대를 농장으로 바꾸는 대규모 자연 개조 계획의 일환으로 Northern river reversal영어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행되지 못하고 1986년 경제적인 사정과 환경 영향 문제로 폐기되었다.

7. 오비 강의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Islands in Ob Estuary, Kara Se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4
[2] 웹사이트 Lower Dvuobj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3
[3] 웹사이트 Upper Dvuobj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3
[4] 웹인용 Ob River at Salekhard http://www.sage.wisc[...] Center for Sustainability and the Global Environment 201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왼쪽 지류(서쪽에서 남쪽)오른쪽 지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