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가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가강은 러시아를 관통하는 유럽에서 가장 긴 강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무역로 역할을 했다. 발다이 구릉에서 발원하여 카스피해로 흘러들어가며, 카마강, 오카강 등 많은 지류를 포함한다. 볼가강 유역은 댐 건설을 통해 수운과 수력 발전에 활용되며, 곡물, 석유 등 다양한 화물을 운송하는 중요한 교통로이다. 또한 다양한 민족의 삶의 터전이자, 러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문학, 음악, 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볼가강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볼가강 |
로마자 표기 | Volga |
러시아어 표기 | Волга |
어원 | 원시 슬라브어 *vòlga '습지' |
다른 이름 | 이델 Атăл Юл Wolga |
위치 | 동유럽 |
국가 | 러시아 연방 |
주요 도시 | 트베리 야로슬라블 니즈니노브고로드 체복사리 카잔 울리야놉스크 사마라 사라토프 볼고그라드 아스트라한 톨리아티 |
지리 | |
길이 | 3,531km |
유역 면적 | 1,360,000km² |
발원지 | 발다이 구릉, 트베리주 |
발원지 좌표 | 57°15′4.7″N 32°28′5.1″E |
발원지 고도 | 228m |
하구 | 카스피해 |
하구 위치 | 아스트라한주 |
하구 좌표 | 45°41′42″N 47°53′51″E |
하구 고도 | -28m |
수문학 | |
평균 유량 (아스트라한) | 8,060m³/s |
최소 유량 (아스트라한) | 5,000m³/s |
최대 유량 (아스트라한) | 48,500m³/s |
평균 유량 (볼고그라드) | 8,150m³/s |
최소 유량 (볼고그라드) | 5,090m³/s |
최대 유량 (볼고그라드) | 48,450m³/s |
평균 유량 (사마라) | 7,680m³/s |
평균 유량 (니즈니노브고로드) | 2,940m³/s |
평균 유량 (야로슬라블) | 1,008.277m³/s |
평균 유량 (르빈스크) | 993.253m³/s |
평균 유량 (트베리) | 176m³/s |
유역 면적 (아스트라한) | 1,391,271.8km² |
유역 면적 (볼고그라드) | 1,359,396.8km² |
유역 면적 (사마라) | 1,218,995.3km² |
유역 면적 (니즈니노브고로드) | 479,637.3km² |
유역 면적 (야로슬라블) | 153,657.8km² |
유역 면적 (르빈스크) | 150,119.8km² |
유역 면적 (트베리) | 24,658.6km² |
이미지 | |
![]() | |
![]() | |
![]() | |
지류 | |
왼쪽 지류 | 카마강 |
오른쪽 지류 | 오카강 |
2. 명칭
러시아어 이름 Волга|볼가ru는 여러 슬라브어에 남아 있는 프로토슬라브어 *''vòlga'' '습기, 수분'에서 유래했다. влага|블라가ru '수분', 불가리아어 влага|블라가bg '수분', 체코어 vláha|블라하cs '축축함', 세르보크로아티아어 vlaga|블라가sh '수분', 슬로베니아어 vlaga|블라가sl '수분', 폴란드어 wilgoć|빌고치pl '수분', 마케도니아어 влага|블라가mk '수분' 등이 그 예이다.[11]
볼가 강의 스키타이어 이름은 Rahā|라하xsc였다.[12] 문자 그대로 '습기'를 의미하며, 신화 속의 시내를 가리키는 아베스타어 이름 𐬭𐬀𐬢𐬵𐬁|Raŋhā|랑하ae와 관련이 있다. "젖은" 또는 "습기"를 의미하는 이 이름은 다음과 같은 여러 인도이란어와 비교할 수 있다.
- 소그드어 𐽀𐼰𐼸|rʾk|르크sog '정맥, 혈관' (고대 이란어 *rahaka|라하카ira에서 유래)[14]
- 페르시아어 رگ|rag|라그fa '정맥'[15]
- 인더스 강의 지류인 라사의 이름이기도 했던 베다 산스크리트어 रसा|rasā́|라사sa '이슬, 액체, 주스; 신화 속의 강')[16]
스키타이어 이름은 현대 목샤어에서 Рав|Rav|라브mdf로 남아 있다.[17][18]
그리스 작가 헤로도토스는 볼가 강의 두 가지 고대 이란계 이름을 기록했다.
강가에 살던 튀르크족은 이전에 이 강을 Itil|이틸trk 또는 ''아틸''이라고 불렀다. 현대 튀르크어족에서는 볼가 강을 타타르어로 Идел|İdel|이델tt이라고 하고, 추바시어로 Атӑл|Atăl|아틀cv이라고 하며, 바시키르어로 Iźel|이젤ba, 카자흐어로 Edıl|에딜kk, 튀르키예어로 İdil|이딜tr이라고 한다. 튀르크어 이름은 고대 튀르크어 형태 "Etil|에틸trk/Ertil|에르틸trk"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기원과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아마도 이 형태는 수명 ''이르테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21]
튀르크족은 이틸의 기원을 카마 강과 연관 지었다.[22] 따라서 카마 강의 왼쪽 지류는 Aq Itil '흰 이틸'이라고 불렸으며, 현대 도시 우파에서 Kara Itil '검은 이틸'과 합류한다. Indyl|인딜kbd이라는 이름은 체르케스어에서 사용된다.
아시아에서는 이 강을 다른 튀르크어 이름인 Sarı-su|사리수trk '황색의 물'로 알려져 있지만, 오이라트도 그들만의 이름인 Ijil mörön|이질 뫼뢴xal 또는 '적응의 강'을 사용했다. 현재 또 다른 우랄어족 그룹인 마리인은 이 강을 타타르어로 '길'을 의미하는 Юл|Jul|율chm이라고 부른다. 이전에는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차용한 Volgydo|볼기도chm라고 불렀다.
3. 지리
볼가강은 유럽에서 가장 긴 강이며, 그 유역은 거의 전적으로 러시아에 속해 있다.[23] 폐쇄된 분지인 카스피해로 흘러드는 가장 긴 강이다.[23]
볼가강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중간 지점의 발다이 구릉 해발 225m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카스피해로 유입된다.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오카강과 합류하고, 카잔 남쪽에서 카마강과 합류한다.[71]
볼가강과 그 지류는 러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걸쳐 흐르는 볼가 강 수계를 형성한다.[23] 볼가 삼각주는 길이가 약 160km이며, 500개의 수로와 작은 강을 포함하는 유럽에서 가장 큰 하구이다.[23]
볼가 강 유역은 비옥한 토양 덕분에 많은 양의 밀과 기타 농산물이 생산되며, 석유, 천연가스 등 광물 자원도 풍부하다. 볼가 삼각주와 카스피해는 어업이 성행하며, 아스트라한은 캐비어 생산의 중심지이다.
볼가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하류부터 상류 순서):
지류 이름 | 위치 |
---|---|
아흐투바 강 | 볼즈스키(Volzhsky), 볼고그라드주(Volgograd Oblast) 근처 |
볼쇼이 이르기즈 강 | 볼스크(Volsk) 근처 |
사마라 강 | 사마라 |
카마 강 | 카잔 남쪽 |
카잔카 강 | 카잔 |
스비야가 강 | 카잔 서쪽 |
베틀루가 강 | 코즈모데먄스크(Kozmodemyansk) 근처 |
수라 강 | 바실수르스크(Vasilsursk) |
케르제네츠 강 | 리스코보(Lyskovo) 근처 |
오카 강 | 니즈니노브고로드 |
우졸라 강 | 발라흐나(Balakhna) 근처 |
운자 강 | 유리예베츠(Yuryevets), 이바노보주(Ivanovo Oblast) 근처 |
코스트로마 강 | 코스트로마 |
코토로슬 강 | 야로슬라블 |
셰크스나 강 | 체레포베츠 |
몰로가 강 | 베셰곤스크(Vesyegonsk) 근처 |
카신카 강 | 칼리야진(Kalyazin) 근처 |
네를 강 | 칼리야진 근처 |
메드베디차 강 | 킴리(Kimry) 근처 |
두브나 강 | 두브나 |
쇼샤 강 | 코나코보(Konakovo) 근처 |
트베르차 강 | 트베리 |
바주자 강 | 주브초프(Zubtsov) |
셀리자로프카 강 | 셀리자로보(Selizharovo) |
볼가 강에는 소비에트 시대에 건설된 많은 수력발전소와 인공호수(저수지)가 있다. 주요 수력발전소와 인공호수는 다음과 같다:
수력발전소 | 인공호수 (저수지) |
---|---|
볼가호 | |
이반코프스코예 호 (모스크바 바다) | |
우글리치 호 | |
리빈스크 호 | |
고르코프스코예 호 | |
체복사리 호 | |
쿠이비셰프 수력발전소 | 쿠이비셰프 호 (사마라 호) |
사라토프 호 | |
볼가 수력발전소 | 볼고그라드 호 |
3. 1. 발원지 및 상류
볼가강은 모스크바에서 북서쪽으로 400km 정도 떨어진 노브고로드주의 발다이 구릉 해발 228m에서 발원한다.[71] 상류는 북동쪽으로 흘러 습지와 호수, 숲과 저수지가 흩어져 있는 지역을 지난 후에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다닐로프 고원과 우글리치 고원 사이의 좁은 골짜기를 따라 흐른다. 니즈니노브고로드에 이르러 서쪽에서 흘러오는 지류 오카강을 만나면서 수량이 많아지고 강의 크기가 훨씬 커지게 된다.[71]볼가 강의 발원지는 트베리주 볼고베르호비예 마을이다. 모스크바의 북서쪽,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남동쪽 약 320km 지점에 있는 발다이 구릉 해발 225m에서 발원하여, 스테르시 호, 트베리, 두브나, 릅뉼스크, 야로슬라블, 니즈니노브고로드, 카잔을 지나 동쪽으로 흐른다.[23]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중간에 있는 발다이 구릉 해발 225m를 발원지로 하여 모스크바 북쪽을 남북으로 구불구불 흐르면서 르제프를 지나 트베르에서 트베르차 강과 합류한다. 트베르차 강은 발원지가 있는 비시니 볼로초크에서 네바 강으로 흘러드는 츠나 강과 인접해 있으며, 이 두 강을 통해 발트해와 볼가 강을 잇는 루트는 옛날부터 이용되어 바랴그에서 그리스로 가는 길의 중요한 루트가 되었고, 트베르는 이 교통의 요충지로 번영했다. 두브나에서는 남쪽 모스크바에서 온 모스크바 운하와 연결된다. 두브나에서는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우글리치를 지나 류빈스크에 이른다. 류빈스크에는 1941년에 완성된 류빈스크 댐이 볼가 강의 흐름을 막아 류빈스크 호를 형성하고 있다. 류빈스크 호의 북쪽 끝에는 셰크스나 강이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오네가 호, 라도가 호를 통해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 수운이 연결되어 있다. 류빈스크에서 볼가 강은 동쪽으로 흘러 야로슬라블, 코스트로마를 지난다. 우글리치에서 코스트로마까지의 구간은 러시아의 오래된 도시 군, 소위 "황금 반지"라고 불리는 지역의 북쪽 끝에 위치하며, 우글리치, 류빈스크, 야로슬라블, 코스트로마는 각각 황금 반지에 속하는 도시이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볼가 강은 키네시마를 지난 후 고로데츠와 자볼즈예 바로 상류에 있는 니즈니 노브고로드 댐이 가로막고 있다. 이 댐의 수력 발전소는 양 도시의 큰 산업이 되고 있다.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볼가 강은 서쪽에서 흘러온 오카 강과 합류한다. 이 오카 강과의 합류 지점까지가 볼가 강의 상류로 여겨진다. 볼가 상류가 흐르는 지역, 즉 트베리주, 야로슬라블주, 코스트로마주, 이바노보주 북부는 총칭하여 볼가 상류 지방(베르흐니예 볼제)이라고 불린다. 이 볼가 상류 지방은 타이가가 펼쳐진 지역으로, 혼합 농업이 행해지며, 낙농이 성행하여 치즈와 버터가 많이 생산되는 지역이다.
3. 2. 중류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서쪽에서 흘러오는 지류 오카강과 합류하면서 수량이 많아지고 강의 크기가 훨씬 커진다.볼가 강은 남동쪽으로 계속 흘러 카잔에 이를 때까지 습한 삼림 지대를 통과한 후에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서서히 건조한 경관을 만나게 된다. 카잔을 지나면서 동쪽의 볼가 구릉지대와 투르가이고원을 흘러온 지류 카마강과 합류한다.[71]
중류 구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사마라에서 강이 160km 길이로 잔구성 산지를 따라 크게 곡류하는 것이다.
니즈니노브고로드는 인구 120만 명으로 러시아에서 4번째로 크고, 볼가 강 연안에서는 가장 큰 도시이다. 예로부터 교통의 요충지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볼가 강의 수운을 이용한 북부 타이가 지대와 남부 평원 사이의 교역 도시로 번영하였다.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정기시는 19세기 중반까지 중앙아시아에서 온 부하라 상인과 러시아 사람들 사이의 중요한 무역 장소였다. 오카 강이 합류하면서 볼가 강의 수량은 거의 두 배가 된다. 이후 한동안 동쪽으로 흐르다가, 남쪽 강둑에 있는 추바시 공화국의 수도 체복사리를 지난 후,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수도 카잔 부근에서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름을 바꾼다. 카잔 남쪽에서 동쪽의 우랄 산맥에서 흘러온 카마 강과 합류하는데, 이 지역은 2005년에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50]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카잔까지는 볼가 강을 경계로 북쪽은 타이가, 남쪽은 혼합림 지대이다. 카마 강과의 합류 지점까지가 볼가 강 중류 지역이다.[51] 이 중류 지역은 거의 전역이 볼가 연방관구에 포함된다. 그중 볼가 강 연안의 주는 상류에서부터 니즈니노브고로드주, 마리엘 공화국, 추바시 공화국, 타타르스탄 공화국이다.
3. 3. 하류
볼고그라드 아래쪽은 건조 지대로, 볼가 강 주변을 제외하면 반사막이 곳곳에 있다. 이 구간에서는 본류에 합류하는 지류는 없지만, 본류에서 여러 지류가 갈라져 나온다. 이 중 가장 큰 지류는 아프투바 강이다. 이 지류들은 대부분 볼가 강 본류와 평행하게 흐르는데, 특히 아프투바 강은 볼가 강 본류 북쪽을 450km나 평행하게 흐르다가 결국 합류하지 않고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간다.[56] 이 두 강 사이에는 너비 20~30km의 범람원이 형성되어 있으며,[56] 2011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57] 이 범람원은 건조 지대 속의 거대한 오아시스이며, 강이 운반해 온 비옥한 토양을 이용해 과일과 채소를 많이 생산한다.[58]볼가 강은 카스피해 연안 저지대로 들어서면서 해수면보다 낮은 곳을 흐르게 되고, 아스트라한 근처 해발 -28m 지점에서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간다. 카스피해는 수심이 얕아서 볼가 강은 아스트라한을 중심으로 넓은 Volga Delta|볼가 삼각주영어를 만든다. 이 삼각주 하구, 즉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가는 부분의 너비는 150km에 달한다.[56] 삼각주에는 볼가 강의 지류가 무수히 흐르며, 저습지대라는 점 때문에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새들의 낙원이 되고 있다. 이 삼각주 지역은 1976년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고,[59] 1984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호구역으로도 지정되었다.[60] 행정 구역상으로는 사라토프 부근은 사라토프주로 볼가 연방관구에 속하며, 볼고그라드주와 아스트라한주는 남부 연방관구에 속한다.
3. 4. 지류 및 수계
볼가강에는 카마, 오카, 베틀루가, 수라 등 많은 지류가 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카마 강과 오카 강이다. 볼가 강과 그 지류는 볼가 강 수계를 형성하며, 러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약 1350000km2에 걸쳐 흐른다.[23] 볼가 삼각주는 길이가 약 160km이며, 500개의 수로와 작은 강을 포함한다. 유럽에서 가장 큰 하구인 이곳은 러시아에서 펠리컨, 플라밍고, 연꽃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볼가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하류부터 상류 순서).
지류 이름 | 위치 |
---|---|
아흐투바 강 | 볼즈스키(Volzhsky), 볼고그라드주(Volgograd Oblast) 근처 |
볼쇼이 이르기즈 강 | 볼스크(Volsk) 근처 |
사마라 강 | 사마라(Samara) |
카마 강 | 카잔(Kazan) 남쪽 |
카잔카 강 | 카잔 |
스비야가 강 | 카잔 서쪽 |
베틀루가 강 | 코즈모데먄스크(Kozmodemyansk) 근처 |
수라 강 | 바실수르스크(Vasilsursk) |
케르제네츠 강 | 리스코보(Lyskovo) 근처 |
오카 강 | 니즈니노브고로드(Nizhny Novgorod) |
우졸라 강 | 발라흐나(Balakhna) 근처 |
운자 강 | 유리예베츠(Yuryevets), 이바노보주(Ivanovo Oblast) 근처 |
코스트로마 강 | 코스트로마(Kostroma) |
코토로슬 강 | 야로슬라블(Yaroslavl) |
셰크스나 강 | 체레포베츠(Cherepovets) |
몰로가 강 | 베셰곤스크(Vesyegonsk) 근처 |
카신카 강 | 칼리야진(Kalyazin) 근처 |
네를 강 | 칼리야진 근처 |
메드베디차 강 | 킴리(Kimry) 근처 |
두브나 강 | 두브나(Dubna) |
쇼샤 강 | 코나코보(Konakovo) 근처 |
트베르차 강 | 트베르(Tver) |
바주자 강 | 주브초프(Zubtsov) |
셀리자로프카 강 | 셀리자로보(Selizharovo) |
3. 5. 저수지 및 댐
볼가 강에는 소비에트 시대에 많은 대규모 수력 발전용 댐이 건설되었다. 이 댐들은 상당한 양의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여러 인공 호수(저수지)가 만들어졌다. 볼가 강에 있는 주요 수력발전소와 인공호수는 다음과 같다.수력발전소 | 인공호수 (저수지) |
---|---|
볼가호 (Volgo Lake, Волго ) | |
이반코프스코예 호 (모스크바 바다) (Ivankovskoye Reservoir, Иваньков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우글리치 호 (Uglich Reservoir, Углич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리빈스크 호 (Rybinsk Reservoir, Рыбин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고르코프스코예 호 (Gorkovskoye Reservoir, Горьков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체복사리 호 (Cheboksary Reservoir, Чебоксар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쿠이비셰프 수력발전소 | 쿠이비셰프 호 (사마라 호) (Kuybyshev Reservoir / Samara Reservoir, Куйбышев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사라토프 호 (Saratov Reservoir, Саратов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
볼가 수력발전소 | 볼고그라드 호 (Volgograd Reservoir, Волгоград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 |
볼가 강은 매년 약 100일 정도 얼어붙는데, 이는 1960년대에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발트해까지 연결되는 볼가-발트 운하 건설의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23] 돈강과는 볼가-돈 운하로 연결된다.
4. 역사
볼가 강은 유럽 러시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볼가 강의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습기'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11] 스키타이족은 볼가 강을 '라'(Rha)라고 불렀는데, 이 역시 '습기'를 의미한다.[12] 튀르크어족 언어에서는 '이틸' 또는 '아틸'이라고 불렸으며, 현대에는 타타르어로 '이델', 추바시어로는 '아틀', 튀르키예어로는 '이딜' 등으로 불린다.
볼가 강 유역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왔으며, 청동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24] 고대에는 스키타이족과 사르마티아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중세에는 볼가 불가르, 하자르, 킵차크 칸국 등 다양한 민족과 국가가 흥망성쇠를 거듭했다.
몽골 제국의 침입 이후 볼가 강 하류에는 킵차크 칸국이 세워졌으며, 이후 카잔 칸국과 아스트라한 칸국으로 분열되었다. 16세기에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가 이들 칸국을 정복하면서 볼가 강 전역이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66]
러시아 제국 시기 볼가 강은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장이 되기도 했다.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36]
소련 시대에는 볼가 강에 여러 개의 댐과 저수지가 건설되어 수력 발전, 관개, 수운 등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댐 건설은 몰로가 마을의 수몰과 같은 환경 및 문화적 피해를 야기하기도 했다.[32]
볼가 강은 러시아의 국민적인 강으로 여겨지며, 볼가 강의 뱃사공의 노래를 비롯한 많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31]
4. 1. 고대 ~ 중세

고대 시대 동안 볼가 강은 코카서스 대초원의 김메리아인과 카스피 대초원의 스키타이인의 영토 사이의 경계를 이루었다.[19] 스키타이인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김메리아인을 몰아낸 후, 볼가 강은 폰토스와 카스피 대초원의 스키타이인과 카스피 및 트란스카스피 대초원의 마사게타이인의 영토 사이의 경계가 되었다.[20]
볼가 강의 스키타이어 이름은 였다.[12] 이는 신화 속의 시내를 가리키는 아베스타어 이름 ()와 관련이 있으며, "젖은" 또는 "습기"를 의미한다.[13]
그리스 작가 헤로도토스는 볼가 강의 두 가지 고대 이란계 이름을 기록했다.
- (; ), 스키타이어 에서 유래했으며, "넓은"을 의미한다.
- (고대 그리스어: ; )[19][20]
알렉산드리아의 고대 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저서 『게오그라피아(지리학)』(제5권, 제8장, 아시아 지도 그 2)에서 볼가 하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이 강을 스키타이인의 명칭인 "라(Rha)"라고 불렀다. 프톨레마이오스는 돈 강과 볼가 강이 상류에서 연결되어 극북의 낙원·히페르보레이오이(Hyperborea)의 산들에서 흘러나온다고 생각했다.

볼가-오카 지역은 최소 9,000년 동안 거주지였으며, 뼈 화살촉, 창촉, 투창촉, 단검, 사냥용 칼, 송곳 등을 생산하는 뼈와 뿔 산업을 지원했다.[24]
6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알란족은 볼가 중부 지역과 폰토스-카스피 대초원에 있는 러시아 남부 지역의 대초원에 정착했다.[25]
볼가 강 주변 지역에는 슬라브족인 비야티치족과 부잔족, 핀우그르족, 스칸디나비아인, 발트족, 훈족, 그리고 튀르크계 민족(타타르인, 킵차크인)이 1천년기 서기 이후 스키타이인을 대체하여 거주했다.[26] 이 강은 비잔티움인의 상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발트족은 오늘날의 유럽 러시아에 널리 퍼져 있었다. 발트족은 소지 강에서 오늘날의 모스크바까지 널리 퍼져 오늘날 러시아 중부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동슬라브족과 혼합되었다.[27] 서부 러시아와 볼가 강 주변의 러시아 민족은 다른 부족들과 함께 동슬라브 부족인 부잔족과 비야티치족에서 상당 부분 진화했다. 비야티치족은 원래 오카 강에 집중되어 있었다.[28] 8세기 후반 러시아 국가인 루스 카가네이트가 여러 북부와 동부 자료에 기록되어 있다. 볼가 강은 루스 카가네이트 문화의 주요 강 중 하나였다.[30]
그 후, 이 강 유역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동하는 여러 민족의 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마 강이 볼가 강과 합류하는 곳에는 한때 강력한 볼가 불가리아가 번영했고, 카자르는 볼가 강 하류를 지배했다. 아틸, 사크신, 또는 사라이와 같은 볼가 도시는 중세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볼가 강은 스칸디나비아, 핀족 지역과 다양한 슬라브족 및 튀르크족, 게르만족, 핀족 및 고대 루스의 다른 민족과 볼가 불가리아를 카자리아, 페르시아, 그리고 아랍 세계와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로 역할을 했다. 11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루스인 등의 바이킹(바랴그)이 북유럽에서 볼가 강으로 진출하여 볼가 강에서 카스피해를 거쳐 페르시아와 바그다드에 이르는 교역로를 건설했다.[64]
카자르는 쇠퇴하고 11세기 무렵 킵차크인에게 대체되었지만, 그 후 이 (743년 - 1220년)을 일으켰다.
4. 2. 몽골 지배 ~ 러시아 시대
푸가초프군(적색)]]15세기 킵차크 칸국 중앙 정부가 약화되자, 1438년 볼가 중류에 카잔 칸국, 1466년 볼가 하류에 아스트라한 칸국이 건국되었다. 1480년 모스크바 대공국이 독립했고, 1502년 킵차크 칸국은 크림 칸국에 멸망했다. 16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는 1552년 카잔 칸국, 1556년 아스트라한 칸국을 정복했다.[66] 오스만 제국의 침공도 물리치고 볼가 유역은 모두 모스크바 대공국령으로 통일되었다. 표도르 1세 시대에 볼가 강을 따라 사마라(1586년), 차리친(1589년), 사라토프(1590년) 등 요새가 건설되었다.
17세기 초 대혼란 시대에 폴란드의 러시아 침입으로 수도 모스크바가 함락되었지만, 볼가 상·중류의 여러 도시는 러시아의 반격 거점이 되었다. 1611년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쿠즈마 미닌의 의용군이 결성되었고, 드미트리 포자르스키가 이끄는 의용군은 폴란드군을 격파하고 모스크바를 해방시켰다. 1613년 젬스키 소보르에서 미하일 로마노프가 차르로 선출되어 로마노프 왕조가 성립되었다.
러시아가 투르크계 정권을 정복한 후에도 노가이 킵차크나 칼미크인 등 유목 세력이 볼가 중하류 지역에 출몰했다. 17세기 중반 돈 코사크의 수령 스테판 라진(스텐카 라진)이 반란을 일으켜 1670년 아스트라한, 차리친, 사라토프를 점령했지만, 정부군에 진압되었다.[67] 1719년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독일인 이민 유치가 시작되어 볼가 중하류 지역 개발이 진행되었다. 1771년 칼미크인이 동투르키스탄의 일리 지역으로 귀환했고, 남은 절반은 볼가 강 하류 지역 남쪽(칼미크 공화국 주변)으로 이동했다. 1773년 예멜리안 푸가초프의 푸가초프의 난이 발발하여 카잔을 불태우고,[68] 볼가 중하류 지역을 황폐하게 만들었지만, 1774년에 진압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의 장려책으로 독일인 유입이 계속되어 19세기 말 볼가 독일인은 179만 명에 달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러시아 내전에서 1918년 체코 군단이 봉기하여 시즈란, 사마라, 카잔을 점령했다. 카잔에는 이델-우랄 국가, 사마라에는 입헌의회 의원 위원회가 설립되었지만, 결국 진압되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볼가 강 개발을 진행하여 쿠이비셰프 수력 발전소, 스타린그라드 수력 발전소 등을 위한 댐을 건설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타린그라드 전투는 인류 역사상 가장 격렬했던 전투 중 하나였다. 전후 스탈린은 자연 개조 계획의 일환으로 대규모 조림 사업을 실시했고, 쇼스타코비치는 『숲의 노래』를 작곡했다. 1952년 볼가-돈 운하가 완성되어 볼가 강과 돈 강이 수로로 연결되었다.
4. 3. 근현대
카자르는 킵차크인, 키멕인, 그리고 몽골인에 의해 대체되었고, 그들은 볼가 강 하류에 금장군을 세웠다. 나중에 그들의 제국은 카잔 칸국과 아스트라한 칸국으로 분열되었고, 두 칸국 모두 16세기 러시아-카잔 전쟁 과정에서 러시아인에 의해 정복되었다. 러시아인들이 볼가 강에 대해 깊이 느끼는 감정은 12세기 이고르 원정기부터 시작하여 국가 문화와 문학에 반영되어 있으며, 볼가 강의 뱃사공의 노래는 러시아의 국민 강에 헌정된 많은 노래 중 하나이다.[31]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댐 건설은 종종 수많은 사람들의 강제 이주와 그들의 역사적 유산의 파괴를 수반했다. 예를 들어, 몰로가 마을은 리빈스크 저수지(당시 세계 최대의 인공 호수) 건설을 위해 수몰되었다. 우글리치 저수지 건설로 15세기와 16세기의 건물이 있는 여러 수도원이 수몰되었다. 이러한 경우 환경 및 문화적 피해가 경제적 이점을 능가하는 경우가 많았다.[32]
러시아 내전 당시 양측은 볼가 강에 군함을 배치했다. 1918년, 붉은 볼가 수상함대는 백군을 볼가 중류의 카잔에서 카마 강을 거쳐 벨라야 강의 우파까지 동쪽으로 몰아내는 데 참여했다.[33] 내전 당시, 조셉 스탈린은 볼가 강의 바지선에 여러 군사 전문가들을 수감하고, 장교들이 사망한 부유 감옥을 침몰시키라고 명령했다.[34][35]
제2차 세계 대전 중, 볼가 강의 큰 굽이에 위치한 현재 볼고그라드로 알려진 도시에서는 인류 역사상 가장 혹독한 전투 중 하나로 여겨지는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소련과 독일군은 강 접근권을 놓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 볼가 강은 (그리고 지금도) 러시아 중부와 카스피해를 잇는 중요한 수송로이며, 압셰론 반도의 유전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히틀러는 아제르바이잔의 유전을 이용하여 독일의 미래 정복을 위한 연료를 확보할 계획이었다. 그 외에도 강 양쪽을 장악한 쪽은 강을 건너 적의 요새를 공격할 수 있었다.[36] 볼가 강을 장악하면 히틀러의 독일은 러시아 북부로 물자, 총과 병력을 이동시킬 수 있었다. 동시에 독일은 소련이 이 수송로를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막아, 석유와 페르시아 회랑을 통한 물자 접근을 방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상대방을 강둑에서 몰아내기 위한 많은 상륙 작전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전투에서 소련은 주로 공세를 취했고, 독일군은 더욱 방어적인 태세를 취했지만, 많은 전투가 근접전이었고 명확한 공세 또는 방어 측이 없었다.

푸가초프군(적색)
15세기에 킵차크 칸국의 중앙 정부가 약화되자, 볼가 강 유역에서는 1438년 볼가 중류에 카잔 칸국, 1466년 볼가 하류에는 아스트라한 칸국이 건국되었다. 1480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이 독립했고, 1502년에는 킵차크 칸국이 수도 사라이를 크림 칸국에 함락당하며 멸망했다. 이후 상류 지역은 러시아인, 중하류 지역은 투르크계 두 국가가 지배하는 상황이 잠시 계속되었지만, 16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이반 뇌제)가 이 두 국가를 공격하여 1552년에는 카잔 칸국이, 1556년에는 아스트라한 칸국이 정복되었다.[66] 아스트라한 멸망을 우려한 오스만 제국의 침공도 물리치고, 볼가 유역은 모두 모스크바 대공국령으로 통일되었다. 이 통일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고, 볼가 유역은 러시아 중심부로서의 대우를 점차 받게 되었다.
모스크바 대공국은 볼가 강 본류 지배를 확실히 하기 위해 표도르 1세 시대에 볼가 강을 따라 사마라(1586년), 차리친(1589년), 사라토프(1590년)와 같은 요새를 잇달아 건설했고, 이것이 현재 중하류 지역 볼가 연안 주요 도시의 기원이 되었다. 17세기 초 대혼란 시대에는 폴란드의 러시아 침입으로 수도 모스크바가 함락되고 일시적으로 러시아 중앙 정부가 부재했지만, 이때에도 볼가 연안까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이 도달할 수 없었고, 특히 볼가 상·중류의 여러 도시는 러시아의 반격 거점이 되었다. 1611년,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쿠즈마 미닌에 의해 의용군이 결성되었고, 드미트리 포자르스키가 이끄는 의용군은 폴란드군을 격파하고 모스크바를 해방시켰다. 1613년, 신분제 의회 젬스키 소보르에서 코스트로마에 은거하고 있던 미하일 로마노프가 차르로 선출되어 로마노프 왕조가 성립되었다.
러시아가 카잔 칸국이나 아스트라한 칸국과 같은 투르크계 정권을 정복한 후에도 노가이 킵차크나 칼미크인 같은 유목 세력이 볼가 중하류 지역에 출몰을 계속하여, 이 지역 통치는 안정되지 않았다. 볼가 중하류 지역은 변방으로 남아 있었고, 17세기 중반에는 돈 코사크의 수령 스테판 라진(스텐카 라진)에 의해 볼가 강 수계는 하류에서 상류까지, 더 나아가 카스피해 연안의 페르시아까지 황폐해졌다. 그가 조직한 반란군은 1670년에 명확하게 반란 형태를 취하여 아스트라한, 차리친, 사라토프를 점령하고, 더 나아가 볼가를 거슬러 올라가 황제가 있는 모스크바까지 압박하려고 심비르스크(현 울리야놉스크)를 포위했지만, 정부군에 진압되었다.[67]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1719년 러시아 황제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인구가 적은 볼가 강 연안 공백지 경작에 독일인 이민 유치가 시작되어, 타타르인과의 완충 지대 형성이 기대되었다. 이 정책에 따라 볼가 중하류 지역 개발이 진행되는 동시에, 신정주민 증가에 따라 이 지역에서 유목을 하던 칼미크인은 압박을 받아 1771년 그들 선조의 땅인 동투르키스탄의 일리 지역으로 절반이 귀환했다. 남은 절반은 주로 볼가 강 하류 지역 남쪽, 현재 칼미크 공화국 주변으로 이동했다. 이 칼미크인의 이동을 막을 수 없었던 러시아 정부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1773년에는 예멜리안 푸가초프에 의해 푸가초프의 난이 발발했다. 푸가초프군은 카잔을 불태우고,[68] 차리친 등 볼가 강 중하류 지역의 넓은 지역을 황폐하게 만들었지만, 이듬해인 1774년에 진압되었다. 이 대반란 후 볼가 중하류 지역 개발은 더욱 진행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도 계속해서 장려책을 취했기 때문에 독일인의 유입도 계속되어, 19세기 말에는 볼가 독일인은 179만 명에 달했고, 볼가 연안은 크게 개발되었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와의 교역에서도, 이 시대의 볼가 강은 큰 역할을 했다. 중앙아시아 교역을 장악한 부하라 상인은 부하라에서 북서쪽으로 진행하여 카스피해에 나가 배로 카스피해를 횡단한 후 아스트라한에서 볼가 강을 거슬러 올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야시장으로 향하는 루트를 이 교역의 메인 루트로 삼았다. 니즈니 노브고로드 야시장은 북쪽의 삼림 지대와 타이가, 그리고 남쪽의 스텝 지대, 더 나아가 그곳을 넘어 중앙아시아와의 교역의 결절점이 되고 있었다. 이 교역 루트는 철도 건설이 본격화되는 19세기 후반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볼가 강 연안 지역도 정치적 혼란에 휘말렸다. 처음에는 볼셰비키가 각지에서 지배를 확립했지만, 1918년에 들어 각지에서 백군이 봉기하여 러시아 내전이 발발했다. 볼가 강 연안에서도 체코 군단이 봉기하여 시즈란, 사마라, 카잔을 잇달아 점령했다. 카잔에는 이델-우랄 국가, 사마라에는 입헌의회 의원 위원회가 설립되어 적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 결국 진압되었다. 새롭게 성립한 소비에트 정부는 볼가 강의 개발을 진행하여, 각지에 쿠이비셰프 수력 발전소, 스타린그라드 수력 발전소 등을 위한 거대한 댐을 건설하여 볼가 강의 치수, 항로 안정, 전력 확보를 목표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카프카스를 향해 침입한 독일군을 비롯한 추축국군은 볼가 강이 돈 강을 향해 크게 굽어지는 지점에 있는 요충 스타린그라드(현재 볼고그라드) 공략을 목표로 소련군과 치열한 야전·시가전을 벌였다. 이 스타린그라드 전투는 러시아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 전쟁사에서도 가장 치열한 전투였으며, 지역은 폐허가 되었다. 전후 스탈린은 자신의 이름을 딴 이곳에 자연 개조 계획의 일환으로 대규모 조림 사업을 실시했고, 쇼스타코비치는 사업과 스탈린을 찬양하는 『숲의 노래』를 갈등을 안고 집필했다. 대전 중 사마라 등 볼가 강 중하류 지역에는 많은 군수 공장이 피난하여, 이것을 중심으로 전중·전후에 이 지역의 중공업화가 추진되었다. 이 중공업화를 위해 볼가의 댐 건설은 더욱 진행되어 1952년에는 볼가-돈 운하가 완성되어 볼가 강과 돈 강은 수로로 연결되었다.
5. 민족
볼가 강 유역에는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해왔다. 뱌티치 부족을 포함한 동슬라브족은 현대 러시아인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7][38] 볼가 강 상류에는 우랄어족에 속하는 마리인과 메리야인이 최초로 기록된 주민들이었다.[39][40] 기원전 200년부터는 이란계 민족인 사르마티아인이 볼가 강이 대초원을 지나는 지역에 거주했다.[39][40]
고대부터 볼가 강은 중요한 무역로였으며, 슬라브족, 투르크족, 핀족뿐만 아니라 중동의 아랍인과 북유럽의 바랑인이 무역을 통해 만나는 장소였다.[41][42] 8세기와 9세기에는 키예프 루스에서 온 슬라브인들이 볼가 상류에 기독교를 전파했고, 일부 지역 주민들은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점차 동슬라브인이 되었다. 나머지 마리인은 동쪽 내륙으로 이주했다. 수세기 동안 슬라브인들은 메리야인과 메슈체라인 같은 토착 핀족 인구를 동화했다. 현재 생존한 볼가 핀족으로는 볼가 중류의 마리인, 에르지야인, 목샤인이 있다. 카자르와 불가르인들도 볼가 강 유역 상류, 중류, 하류에 거주했다.[43]
7세기에는 훈족 외에 초기 투르크 부족들이 도착하여 볼가 중류와 하류의 핀우그르족과 인도유럽계 인구를 일부 동화했다. 투르크계 기독교인인 추바시인과 무슬림인 볼가 타타르인은 중세 볼가 불가리아 인구의 후손이다. 또 다른 투르크계 집단인 노가이인은 이전에 볼가 하류 대초원에 거주했다.
볼가 지역에는 독일계 소수 민족인 볼가 독일인도 거주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1763년에 외국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도록 초청하는 선언문을 발표하고 많은 유인책을 제공했다.[44] 이는 지역 개발과 더불어 동쪽의 몽골과 러시아 사이에 완충 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45]
볼가강과 오카강 상류 지역의 원주민은 핀우고르어파 민족인 메리야인이었으나, 동슬라브인이 루스의 북동쪽으로 진출하여 볼가강에 도달해 세력을 확장했다. 10세기경에는 메리야인이 러시아인과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핀우고르어파 민족으로는 볼가 중류 지역에 거주하는 마리인(체레미스인, 현재 마리옐 공화국을 구성)과 모르도바인 등이 있다.
튀르크계 민족은 기원후 600년경 볼가 유역에 나타나 볼가강 중·하류 지역에 살던 핀우고르어파 민족과 인도유럽어족 민족을 동화시켰다. 이들의 후손이 기독교도이며 현재 추바시 공화국을 구성하는 추바시인과 무슬림인 타타르 여러 민족이다.
몽골 제국의 침입과 함께 많은 몽골인이 이주했지만, 볼가 하류에서 북카프카스를 지배했던 노가이 칸국의 후예인 몽골계 노가이인은 후에 다게스탄인에게 대체되었다. 17세기에는 불교도이자 몽골계 민족인 오이라트가 볼가 하류로 이주하여 러시아 제국과 동맹을 맺었지만, 후에 러시아인과 독일인 등에게 압박을 받아 중앙아시아로 돌아갔다. 돌아가지 못한 사람들은 현재 볼가강 서쪽에 있는 칼미크 공화국에 사는 칼미크인이다.
볼가강 연안 지방은 볼가 독일인의 고향이기도 하다. 예카테리나 2세는 1763년, 다양한 보상을 제안하며 모든 외국인에게 볼가강 유역에 와서 정착하도록 초청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이것은 연안 지역 개발이라는 목적도 있었지만, 러시아 제국과 동쪽의 몽골계 국가(킵차크 칸국의 후예 국가들) 사이에 완충 지대를 형성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프랑스인과 영국인 농민들은 미국 이주를 선택했고, 러시아 제국의 호소에 응답한 것은 가난한 독일 농민들이었다. 독일인 인구는 19세기 말 179만 명에 달했지만, 러시아 혁명과 그 후의 러시아 내전으로 볼셰비키 등의 적대감을 받아 많은 인구가 감소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 볼가 연안 일부에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 모두 중앙아시아 등으로 이주당하거나 처형되었고, 이후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볼가강 연안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6. 교통
볼가 강은 러시아의 내륙 수운과 수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세프 스탈린 시대의 산업화 기간 동안 건설된 거대한 댐들 덕분에 강의 폭이 넓어졌고, 모든 댐에는 대형(이중) 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있어 상당한 크기의 선박이 카스피해에서 강 상류 끝까지 항해할 수 있다.[63]
볼가-돈 운하를 통해 돈강과 흑해가 연결된다. 볼가-발트 수로를 이용하면 북쪽의 라도가 호, 오네가 호, 상트페테르부르크, 발트해와 연결되며, 모스크바 운하를 통해 모스크바 강과 볼가 강이 연결되어 모스크바와의 무역이 이루어진다.[46] 이러한 인프라는 비교적 대규모 선박(볼가 강의 배수갑문 크기는 290×)을 위해 설계되었다.[46]
과거에는 국영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민영화된 여러 회사들이 강에서 여객선과 화물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척 이상의 유조선을 보유한 볼고탄커가 그중 하나이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곡물과 석유는 볼가 강을 통해 수송되는 가장 큰 화물 수출품 중 하나였다.[46]
소련 붕괴 이후에도 오랫동안 러시아 내륙 수로에 대한 외국 선박의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유럽 연합(EU)과 러시아 간의 교류 증가로 인해 러시아 내륙 수로 접근과 관련된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면서, 곧 다른 국가의 선박도 러시아 강에서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47][69]
7. 문화
조세프 스탈린 시대 산업화 기간 동안 건설된 거대한 댐을 통해 폭이 넓어진 볼가강은 러시아의 내륙 수송에 매우 중요하다. 강에 있는 모든 댐에는 대형(이중) 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있어 상당한 크기의 선박이 카스피해에서 거의 강 상류 끝까지 항해할 수 있다.[46]
돈강과 흑해와의 연결은 볼가-돈 운하를 통해 가능하다. 북쪽의 호수(라도가 호, 오네가 호), 상트페테르부르크 및 발트해와의 연결은 볼가-발트 수로를 통해 가능하며, 모스크바와의 무역은 볼가강과 모스크바 강을 연결하는 모스크바 운하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인프라는 비교적 대규모 선박(볼가강의 배수갑문 크기는 290×, 다른 강과 운하의 경우 약간 더 작음)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있다. 여러 개의 과거에는 국영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민영화된 회사들이 강에서 여객선과 화물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척 이상의 유조선을 보유한 볼고탄커가 그중 하나이다.
후기 소비에트 연방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곡물과 석유는 볼가강을 통해 수송되는 가장 큰 화물 수출품 중 하나였다.[46] 최근까지 러시아 수로에 대한 외국 선박의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유럽 연합과 러시아 간의 교류 증가는 러시아 내륙 수로 접근과 관련된 새로운 정책으로 이어졌다. 곧 다른 국가의 선박이 러시아 강에서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47]
러시아인들이 볼가강(Волга)에 대해 갖는 감정은 매우 깊어서, 음악, 회화, 문학 등에서 자주 다루어지고 있다. 노래로는 예로부터 『볼가의 뱃노래』가 있고, 최근에는 『볼가 강은 흐른다』(류드밀라 즈이키나) 등이 있다. 회화로는 일리야 레핀의 『볼가의 뱃사공』 등이 있다.
다음은 볼가강을 소재로 한 예술 작품들이다.
종류 | 작품명 | 작가 | 비고 |
---|---|---|---|
희곡 | 『가난한 신부』, 『폭풍』 | 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 |
소설 | 『숲 속에서』, 『언덕 위에서』 | 파벨 멜니코프 | |
희곡 | 『예고르 불리초프와 그 외 사람들』, 『도스티가예프와 그 외 사람들』 | 막심 고리키 | |
시 | "거리 너머 거리" | 알렉산드르 트바르도프스키 | |
시 | "볼가 강에서" |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 |
시 | "볼가 강과 바주자" | 사무일 마르샤크 | |
소설 | 『절벽』 | 이반 곤차로프 | |
소설 | 『볼가 세 갠가』 | 라훌 산크리티얀 | 힌디어 |
영화 | 볼가-볼가 (1938) |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 | 소비에트 코미디 영화 |
영화 | 예카테리나 보로니나 (1957) | 이시도르 안넨스키 | 소비에트 드라마 영화 |
영화 | 다리가 건설되었다 (1965) | 올레그 예프레모프, 가브릴 에기자로프 | 사라토프에 있는 볼가 강을 가로지르는 도로교 건설에 관한 소비에트 영화 |
영화 | 잔혹한 로맨스 (1984) | 엘다르 랴자노프 | 멜로 드라마 영화 |
영화 | 선거의 날 (2007) | 올레그 포민 | 러시아 코미디 영화 |
참조
[1]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eb.archive.[...]
2022-04-10
[2]
GEOnet
Volga
[3]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eb.archive.[...]
2022-04-10
[4]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eb.archive.[...]
2022-04-10
[5]
웹사이트
Rivers Network
https://web.archive.[...]
2022-04-10
[6]
웹사이트
Река Волга
http://textual.ru/gv[...]
2016-03-05
[7]
웹사이트
Birka, Varangian Emporium
https://www.academia[...]
2020-08-15
[8]
서적
Grand Strategy of the Byzantine Empire
Belknap Harvard
2011
[9]
저널
Iran and Its Neighbors in Late Antiquity: Art of the Sasanian Empire (224–642 C.E.)
2007
[10]
서적
The Volga river
Chelsea House Publishers
2005
[11]
문서
Volga
[12]
웹사이트
ARANG
https://www.iranicao[...]
1986
[13]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1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an Languages
Brill
[15]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ersian, English and Other Indo-European Languages
[16]
서적
Les Sarmates: Amazones et lanciers cuirassés entre Oural et Danube
Editions Errance
[17]
서적
The Volga: A Histo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1
[18]
서적
Mokšalais-Suomalainen sanakirja
University of Turku
[19]
서적
Collectanea Celto-Asiatica Cracoviensia
Księgarnia Akademicka
2022-08-16
[20]
서적
Collectanea Celto-Asiatica Cracoviensia
Księgarnia Akademicka
2000
[21]
서적
Brief Historical and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Tatar language
Tat. publishing house
[22]
웹사이트
Kama River River, Russ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1-24
[23]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24]
저널
Early Mesolithic bone arrowheads from the Volga-Oka interfluve, central Russia
[25]
웹사이트
VORGESCHICHE DER URALISCHEN SPRACHFAMILIE, GESCHICHTE DER KLEINEREN URALISCHEN SPRACHEN: CHRONOLOGIE
https://www.slm.uni-[...]
2019-05-30
[26]
MA thesis
Co-operation between the Viking Rus' and the Turkic nomads of the steppe in the ninth-eleventh centuries
http://www.etd.ceu.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2018
[27]
웹사이트
Marija Gimbutas. "A Survey Study of the Ancient Balts - Reviewed by Jonas Puzinas
http://www.lituanus.[...]
2019-05-30
[28]
서적
The Khazars: a Judeo-Turkish Empire on the Steppes, 7th-11th Centuries AD.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9
[29]
웹사이트
Early East Slavic Tribes in Russia
http://study.com/aca[...]
2018-12-16
[30]
웹사이트
Birka, Varangian Emporium
https://www.academia[...]
2020-08-15
[31]
웹사이트
The Volga
https://web.archive.[...]
www.volgawriter.com
2010-06-11
[32]
서적
Industrialized Nature: Brute Force Techn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ural World
Island Press
[3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yodor Raskolnikov's "Tales of Sub-lieutenant Ilyin."
http://www.marxists.[...]
2008-02-03
[34]
서적
The Secret File of Joseph Stalin: A Hidden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10-30
[35]
서적
Stalin : the court of the red tsar
https://archive.org/[...]
Grown House
2004
[36]
웹사이트
::The Battle of Stalingrad
http://www.historyle[...]
Historylearningsite.co.uk
2010-06-11
[37]
뉴스
Early East Slavic Tribes in Russia Study.com
https://study.com/ac[...]
2018-10-13
[38]
서적
The Khazars: a Judeo-Turkish Empire on the Steppes, 7th-11th Centuries AD.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9
[39]
웹사이트
Noble Sarmatian Grave Discovered In Russia
https://www.slavorum[...]
2015-05-14
[40]
서적
The Volga river
Chelsea House Publishers
2005
[41]
웹사이트
When the Arabs met the Vikings: New discovery suggests ancient links
https://www.thenatio[...]
2015-05-06
[42]
웹사이트
The Volga Trade Route
https://www.pbs.org/[...]
2013-02-07
[43]
뉴스
Unique History of Volga River That You Need to Know - Learn Russian Language
http://learnrussianl[...]
2018-06-30
[44]
웹사이트
Catherine's Manifesto 1763
https://www.norkarus[...]
[45]
서적
The Worst Hard Time
Houghton Mifflin Harcourt
[46]
논문
Prediction of the Dispersal of Oil Transport in the Caspian Sea Resulting from a Continuous Release
[47]
웹사이트
NoorderSoft Waterways Database
https://web.archive.[...]
Noordersoft.com
2010-06-11
[48]
논문
Reviewed work: The Volga: A History of Russia's Greatest River, Hartley, Janet M
[49]
서적
大漢和辞典 [巻一]
[50]
웹사이트
Great Volzhsko-Kamsky Biosphere Reserve, Russian Federation
https://en.unesco.or[...]
2019-07
[51]
서적
ロシア ソ連解体後の地誌
[52]
서적
ロシア ソ連解体後の地誌
[53]
웹사이트
Middle Volga Integrated Biosphere Reserve, Russian Federation
https://en.unesco.or[...]
2019-04-19
[54]
서적
ロシア ソ連解体後の地誌
[55]
웹사이트
「思わず息をのむ、最近できたロシアの橋10選」
http://jp.rbth.com/m[...]
2015-12-21
[56]
서적
ロシア・中央アジア
[57]
웹사이트
Volga-Akhtuba Floodplain Biosphere Reserve, Russian Federation
https://en.unesco.or[...]
2019-04-18
[58]
서적
ロシア ソ連解体後の地誌
[59]
웹사이트
Volga Delt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8-08-01
[60]
웹사이트
Astrakhan Biosphere Reserve, Russian Federation
https://en.unesco.or[...]
2019-04-23
[61]
서적
「ヴォルガ川」
[62]
서적
東ヨーロッパ・ロシア
[63]
서적
ロシア ソ連解体後の地誌
[64]
서적
商業史
[65]
서적
中世ヨーロッパの歴史
[66]
서적
図説 ロシアの歴史
[67]
서적
図説 ロシアの歴史
[68]
서적
ロシア・中央アジア
[69]
웹사이트
http://www.noorderso[...]
[70]
지명
Volga
[71]
서적
Smithsonian Institution Earth
Smithsonian Institution
200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