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언 체임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언 체임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반양성자 발견에 기여하여 195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석사 학위를,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맨해튼 계획에 참여했고, 엔리코 페르미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에밀리오 세그레와 함께 양성자 산란 실험을 통해 반양성자를 발견했으며, TPC 개발 및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평화와 사회 정의를 위한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으며, 파킨슨병으로 은퇴 후 200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해튼 계획 관련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맨해튼 계획 관련자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실험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실험물리학자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데이비드 베니오프
    데이비드 베니오프는 미국의 작가이자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자로, 소설 집필과 영화 각본 작업 외에 D.B. 와이스와 함께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쇼러너 및 각본가로, 넷플릭스 《삼체》 시리즈 제작으로도 유명하다.
오언 체임벌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9년 체임벌린
이름오언 체임벌린
출생일1920년 7월 10일
출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사망일2006년 2월 28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국적미국
학력
모교다트머스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시카고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엔리코 페르미
박사 학위 제자폴 그래니스, 네이선 이스거, 데이비드 델라노 클라크
경력
직장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분야물리학
알려진 업적소립자 물리학
수상
수상노벨 물리학상(1959)
노벨상 수상 정보반양성자의 발견

2. 생애

오언 체임벌린은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물리학을 공부하고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엔리코 페르미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반양성자를 발견하여 195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85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1989년 은퇴하기 전까지 시간 투영 챔버(TPC) 개발,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베트남 전쟁 반대, 핵 동결 운동 참여 등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냈다.

1959년 스웨덴에서 아내와 함께 있는 체임벌린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오언 체임벌린은 1937년 필라델피아에 있는 저먼타운 프렌즈 스쿨을 졸업했다. 다트머스 대학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후, 1942년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에밀리오 세그레와 함께 연구했다. 1943년 베아트리스 바베트 코퍼와 결혼했다.[3]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6년부터 엔리코 페르미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 논문을 집필했다.[4] 엔리코 페르미는 훌륭한 지도자이자 멘토였으며, 1949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반양성자 발견과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48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에밀리오 세그레와 함께 양성자 살포 실험의 공동 책임자로 참여했다. 1955년 베바트론에서 일련의 양성자 산란 실험을 통해 양성자와 유사하지만 음전하를 띤 반양성자를 발견했다.[3] 이 공로로 195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3. 이후 연구 활동

1948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에밀리오 세그레와 함께 양성자 산란 실험을 공동으로 책임지고 진행했다. 1955년 일련의 양성자 산란 실험을 통해 반양성자를 발견했고, 이 공로로 195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 이후 시간 투영 챔버(TPC) 개발에 참여했고,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2. 4. 사회 참여 활동

체임벌린은 평화와 사회 정의 문제에 대해 정치적으로 활동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5] 그는 정치적 신념 때문에 투옥된 소련 물리학자 사하로프, 오를로프, 샤란스키를 위한 과학자 모임의 일원이었다.[5] 1980년대에는 핵 동결 운동을 창설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5] 2003년에는 인본주의 선언에 서명한 22명의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5]

2. 5. 말년

체임벌린은 1985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고, 1989년에 교직에서 은퇴했다.[5] 2006년 2월 28일, 버클리에서 85세의 나이로 이 질병의 합병증으로 사망했다.[5]

3. 학력

학교학위연도
저먼타운 프렌스 스쿨졸업1933년 ~ 1937년
다트머스 대학교학사1937년 ~ 194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석사1941년 ~ 1942년
시카고 대학교박사1946년 ~ 1949년


4. 주요 연구 업적

오언 체임벌린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방사선 연구소(어니스트 올랜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BNL)의 전신), 미국 원자력 위원회(미국 에너지부의 전신)와 함께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도제목공동 연구자비고
1955년 10월https://www.osti.gov/biblio/915069-observation-antiprotons 반양성자 관측[1]오언 체임벌린, 에밀리오 세그레, 클라이드 위건드, 토머스 입실란티스
1955년 11월https://www.osti.gov/biblio/915070-antiprotons 반양성자[2]오언 체임벌린, 에밀리오 세그레, 클라이드 위건드
1957년 7월https://www.osti.gov/biblio/914473-experiments-antiprotons-antiproton-nucleon-crosssections 반양성자 실험: 반양성자-핵자 단면[3]오언 체임벌린, 도널드 V. 켈러, 로널드 머몬드, 에밀리오 세그레, 허버트 M. 스타이너, 톰 입실란티스
1959년 12월https://www.osti.gov/biblio/4122747-early-antiproton-work-nobel-lecture 초기 반양성자 연구 (노벨 강연)[4]오언 체임벌린
1984년 9월https://www.osti.gov/biblio/5918677-personal-history-nucleon-polarization-experiments 핵자 편광 실험에 관한 개인적인 역사[5]오언 체임벌린


참조

[1] 논문 Obituary: Owen Chamberlain 2006-08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59 https://www.nobelpri[...] 2022-01-10
[3] 뉴스 Owen Chamberlain, Physics Nobelist, UC Berkeley professor, LBNL researcher and co-discoverer of the anti-proton, has died at 85 http://berkeley.edu/[...] www.berkeley.edu 2006-03-01
[4] 웹사이트 Berkeley Scientific Great Owen Chamberlain Has Died http://www.lbl.gov/S[...] www.lbl.gov 2006-03-01
[5] 웹사이트 Notable Signers http://www.americanh[...]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09-15
[6] 서적 Miracles and Conundrums of the Secondary Planets Black Lawrence Pres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