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겐 쉬프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겐 쉬프탄은 건축가, 화가, 조각가, 그리고 라이팅 디렉터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쉬프탄 프로세스"라는 특수 효과를 발명했으며, 이는 영화 《메트로폴리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930년대 독일을 떠나 프랑스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시민권을 취득했다. 1962년 영화 《허슬러》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했으며, 《니벨룽겐의 반지》, 《일요일의 사람들》, 《어둠 속의 항구》 등 다수의 영화 촬영을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촬영 감독 - 토비아스 A. 슐리슬러
    독일 출신 촬영 감독 토비아스 A. 슐리슬러는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영화 전공 후 다큐멘터리 및 광고 촬영을 시작, 로스앤젤레스에서 《드림걸즈》, 《핸콕》, 《배틀쉽》 등 다양한 영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미국 촬영 감독 협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 독일의 촬영 감독 - 우타 브리제비츠
    독일 출신의 우타 브리제비츠는 영화 촬영 감독이자 TV 드라마 연출가로, 다양한 영화 및 TV 시리즈 촬영 감독과 연출을 맡았으며 우먼 인 필름 크리스탈 + 루시 어워드에서 코닥 비전 상을 수상했다.
  •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자 - 존 톨
    미국 출신 영화 촬영감독 존 톨은 《가을의 전설》과 《브레이브하트》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2년 연속 수상하고, 여러 유명 감독들과 협업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촬영 실력을 인정받아 미국촬영감독협회 평생공로상을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자 - 마우로 피오레
    마우로 피오레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다양한 장르 영화의 촬영 감독으로 활동하며, 특히 안톤 후쿠아 감독과 협업했고, 영화 "아바타" 촬영으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한 촬영감독이다.
  • 폴란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는 폴란드 출신의 인류학자이자 민족지학자로, 참여관찰 방법론을 도입한 선구자이며,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의 연구를 통해 기능주의 인류학 발전에 기여하고 "핵가족"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등 현대 인류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데이비드 시모어
    폴란드 태생의 사진기자 데이비드 시모어(침)는 매그넘 포토스 공동 설립자로서, 스페인 내전, 2차 세계대전, 유니세프 의뢰 촬영 등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난민 아동의 고통을 기록하고 사진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에 영향을 주고 있다.
오이겐 쉬프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물 사진 없음
사진 없음
원어 이름Eugen Schüfftan
출생1893년 7월 21일
출생지프로이센 브레슬라우
사망1977년 9월 6일
국적독일
직업영화 촬영 감독
활동 기간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민족유대인
수상 내역
아카데미상제34회 촬영상 (허슬러)

2. 경력

브레슬라우 출신으로[1], 초기에는 건축,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다 영화계에 입문하여 조명 감독으로 경력을 시작했다.[2] 그는 특히 프리츠 랑 감독의 메트로폴리스 (1927) 촬영 당시 거울과 축소 모형을 활용한 특수 효과 기법인 '쉬프탄 프로세스'를 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2][8]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독일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나, 1933년 나치당의 집권 이후 독일을 떠나 프랑스로 망명하여 마르셀 카르네, 막스 오퓔스 등과 작업했다.[2]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취득했으며[2],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활동을 이어갔다.[2]

2. 1. 초기 경력 (독일)

오이겐 쉬프탄은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실레시아 주의 주도였던 브레슬라우 (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 출신이다.[1] 초기에는 건축가, 화가, 조각가로 활동하다가 영화계에 입문하여 조명 감독(라이팅 디렉터)으로 경력을 시작했다.[2]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프리츠 랑 감독의 1927년 작품 메트로폴리스에 참여하면서부터이다. 이 영화에서 그는 거울과 축소 모형을 이용해 거대한 도시 풍경을 스크린에 구현하는 특수 효과 기법인 '쉬프탄 프로세스'를 발명하고 처음 적용했다.[8][2] 이 혁신적인 기법은 이후 알프레드 히치콕이나 피터 잭슨 같은 후대 감독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8]

1930년에는 쿠르트 시오드마크, 로베르트 시오드마크, 에드가 G. 울머, 프레드 진네만 등이 참여한 실험적인 영화 일요일의 사람들에서 촬영을 담당하며 주목받았다.[7] 이 외에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독일 영화계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1933년까지 그가 참여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영화감독비고
1924니벨룽겐의 반지프리츠 랑
1927메트로폴리스프리츠 랑쉬프탄 프로세스 첫 사용
1927나폴레옹아벨 강스
1930일요일의 사람들쿠르트 시오드마크, 로베르트 시오드마크, 에드가 G. 울머, 프레드 진네만촬영 담당
1930작별로베르트 시오드마크
1930도난당한 얼굴필리프 로타 마이링, 에리히 슈미트
1931거리의 노래루푸 픽
1931악당오이겐 쉬프탄, 프란츠 벤츨러감독 참여
1931나의 아내는 사기꾼쿠르트 게론
1931나는 간유를 더 원해막스 오퓔스
1932즐거운 마음한스 슈바르츠, 막스 드 보코르베이
1932아틀란티스의 여인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
1932밤의 집시한스 슈바르츠
1932아틀란티스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
1932아틀란티스의 여왕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
1932얼굴 없는 목소리레오 미틀러
1933오일 상어루돌프 카처
1933위에서 아래로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
1933마라톤의 주자에발트 앙드레 뒤퐁
1933보이지 않는 적루돌프 카처



그러나 1933년 나치당이 독일의 정권을 장악하면서 유대인이었던 쉬프탄은 독일을 떠나야 했다.[2] 이후 그는 프랑스로 망명하여 마르셀 카르네, 막스 오퓔스 등과 작업하며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게 된다.[2]

2. 2. 프랑스에서의 활동

연도영화감독
1933위에서 아래로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
1934스캔들마르셀 엘르비에
1934위기는 끝났다로베르트 시오드마크
1935라 탕드르 앙네미막스 오퓔스
1936코메디 옴 겔드막스 오퓔스
1937비자르 비자르마르셀 카르네
1937사기꾼마르셀 엘르비에
1937요시와라막스 오퓔스
1938베르테르의 연애막스 오퓔스
1938어둠 속의 항구마르셀 카르네
1938몰레나르로베르트 시오드마크
1952다마스쿠스로 가는 길막스 글라스
1958벽에 머리 박기조르주 프랑주
1960얼굴 없는 눈조르주 프랑주


2. 3. 미국에서의 활동

1940년 미국으로 건너가 7년 후 시민권을 취득했다[2].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에 세계를 누비며 활동했으며[2], 이 시기 참여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영화감독비고
1944내일 일어난 일르네 클레르
1950사냥당한 자보리스 레빈
1952다마스쿠스로 가는 길막스 글라스
1953티볼리의 비너스레너드 슈테켈
1954로마의 파리에리히 코블러
1955율리시스마리오 카메리니
1958벽에 머리 박기조르주 프랑주
1960얼굴 없는 눈조르주 프랑주
1961허슬러로버트 로센
1961섬씽 와일드잭 가르페인
1963캡틴 신바드바이런 해스킨
1964릴리스로버트 로센


3. 쉬프탄 프로세스

"쉬프탄 프로세스"라고 불리는 특수 효과를 발명했다[2]. 이는 프리츠 랑 감독의 메트로폴리스에서 처음 사용된 기법으로, 거울과 축소 모형을 활용하여 마치 실물 크기인 것 같은 도시의 풍경을 만들어냈다[8]. 이후 이 기법은 알프레드 히치콕과 피터 잭슨이 사용했다[8].

4. 수상

5. 주요 작품

연도영화감독비고
1924니벨룽겐의 반지프리츠 랑촬영
1927메트로폴리스프리츠 랑촬영
1927나폴레옹아벨 강스촬영
1930일요일의 사람들 (Menschen am Sonntagde)쿠르트 시오드마크, 로베르트 시오드마크, 에드가 G. 울머, 프레드 진네만촬영
1930작별로베르트 시오드마크촬영
1930도난당한 얼굴필리프 로타 마이링, 에리히 슈미트촬영
1931거리의 노래루푸 픽촬영
1931악당오이겐 쉬프탄, 프란츠 벤츨러공동 감독, 촬영
1931나의 아내는 사기꾼쿠르트 게론촬영
1931나는 간유를 더 원해막스 오퓔스촬영
1932즐거운 마음한스 슈바르츠, 막스 드 보코르베이촬영
1932아틀란티스의 여인 (L'Atlantide프랑스어)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촬영
1932밤의 집시한스 슈바르츠촬영
1932아틀란티스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촬영
1932아틀란티스의 여왕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촬영
1932얼굴 없는 목소리레오 미틀러촬영
1933오일 상어루돌프 카처촬영
1933위에서 아래로 (Du haut en bas프랑스어)게오르크 빌헬름 파브스트촬영
1933마라톤의 주자에발트 앙드레 뒤퐁촬영
1933보이지 않는 적루돌프 카처촬영
1934스캔들마르셀 엘르비에촬영
1934위기는 끝났다 (La crise est finie프랑스어)로베르트 시오드마크촬영
1934아이리시 하트브라이언 데스몬드 허스트촬영
1935침략자아드리안 브루넬촬영
1935안개의 아이들존 퀸촬영
1935라 탕드르 앙네미막스 오퓔스촬영
1936강도 교향곡 (The Robber Symphony영어)프리드리히 페헤르촬영
1936코메디 옴 겔드막스 오퓔스촬영
1936마리아 데 라 오프란시스코 엘리아스촬영, 카르멘 아마야와 파스토라 임페리오 출연
1937비자르 비자르마르셀 카르네촬영
1937사기꾼마르셀 엘르비에촬영
1937요시와라막스 오퓔스촬영
1938베르테르의 연애막스 오퓔스촬영
1938어둠 속의 항구 (Le Quai des brumes프랑스어)마르셀 카르네촬영
1938몰레나르로베르트 시오드마크촬영
1939내일은 없다 (Sans lendemain프랑스어)막스 오퓔스촬영
1944내일 일어난 일르네 클레르촬영
1946기묘한 여인 (The Strange Woman영어)에드가 G. 울머제작
1950사냥당한 자보리스 레빈촬영
1952다마스쿠스로 가는 길막스 글라스촬영
1953티볼리의 비너스레너드 슈테켈촬영
1953사랑 참회 (Le Rideau cramoisi프랑스어)알렉상드르 아스트뤽촬영
1954로마의 파리에리히 코블러촬영
1955율리시스마리오 카메리니촬영
1958벽에 머리 박기조르주 프랑주촬영
1960얼굴 없는 눈 (Les Yeux sans visage프랑스어)조르주 프랑주촬영
1961허슬러 (The Hustler영어)로버트 로센촬영,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
1961섬씽 와일드 (Something Wild영어)잭 가르페인촬영
1963캡틴 신바드바이런 해스킨촬영
1964릴리스 (Lilith영어)로버트 로센촬영
1965맨해튼의 애수 (Trois chambres à Manhattan프랑스어)마르셀 카르네촬영
1966태어날 권리 (Der Arzt stellt fest...de)알렉산더 포드촬영


  •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작품은 촬영 감독을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Tomorrow's worlds http://www.theguardi[...] 2006-05-22
[2] 웹사이트 Eugen Schüfftan - Overview http://www.allmovie.[...]
[3] 웹사이트 The Hustler http://www.slantmaga[...] 2011-06-07
[4] 웹사이트 ユージン・シュフタン https://eiga.com/per[...]
[5] 웹사이트 顔のない眼(国内盤BD) http://www.stereosou[...] 2012-01-08
[6] 웹사이트 過去のOA作品 - 「勝負師ハスラー」 http://www.tv-asahi.[...] テレビ朝日
[7] 웹사이트 エドガー・G・ウルマー入門 http://kobe-eiga.net[...] 2015
[8] 웹사이트 Watch: 136 Years of Special Effects Evolution in a Three-Minute Video http://www.wired.com[...] 2014-05-19
[9] 웹사이트 The 34th Academy Awards -1962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