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피니언 리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피니언 리더는 특정 분야나 사회 전반에서 의견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여론을 주도하는 인물을 의미하며, 사회학에서는 특정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정치 세력은 자신들의 주장을 전달하기 위해, 기업은 마케팅 효과를 위해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한다. 일본에서는 정보의 2단계 흐름 모델 연구와 함께 오피니언 리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닛케이 광고연구소의 연구를 통해 네트워커의 특징이 밝혀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어 이론 - 대중 매체 연구
    대중 매체 연구는 미디어가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 분야이다.
  • 미디어 이론 - 미디어 구성 이론
    미디어 구성 이론은 뉴미디어가 다양한 맥락에서 수사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메시지 전달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체성, 공동체, 저작권, 교육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와 기술 간의 관계 변화를 탐구하는 이론이다.
  • 밈학 - 대니얼 데닛
    대니얼 데닛은 자유 의지, 마음, 진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의식에 대한 다중 초고 이론과 의도적 태도 이론을 제시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인지 과학자이다.
  • 밈학 - 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는 리처드 도킨스가 쓴 책으로, 유전자 중심 진화론을 제시하며, 유전자를 자기 복제자로, 생물을 유전자의 생존 기계로, 이타주의를 유전자 이기심으로 설명하고 밈,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등의 개념을 통해 유전자와 개체의 행동 방식을 설명한다.
  • 태도 변화 - 티핑 포인트
    티핑 포인트는 균형 상태의 시스템이 작은 변화로 인해 갑작스럽고 극적인 변화를 겪는 지점을 의미하며, 사회 현상에서 극적인 변화나 사회적 인식 전환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말콤 글래드웰의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 태도 변화 - 인지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상반된 믿음이나 정보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이며,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를 변화시켜 조화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오피니언 리더
개요
유형사회적 영향력 행사자
역할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과 영향력을 바탕으로 대중의 의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관련 용어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구루
전문가
홍보대사
KOL (Key Opinion Leader) (주요 의견 선도자)
특징
영향력 행사특정 제품, 서비스,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의견 제시를 통해 여론 형성
정보 전달 방식블로그, 소셜 미디어, 강연, 저술 등 다양한 채널 활용
개인적인 경험과 전문 지식을 결합하여 정보 전달
신뢰도 구축전문성, 진정성, 일관성을 바탕으로 대중의 신뢰 확보
팔로워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관계 형성
유형 (영향력 범위 기준)
메가 인플루언서수백만 명 이상의 팔로워 보유, 높은 인지도와 영향력
매크로 인플루언서수십만 명 이상의 팔로워 보유,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 인정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수천~수만 명의 팔로워 보유, 특정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도
나노 인플루언서수백~수천 명의 팔로워 보유, 특정 지역 또는 관심사에 대한 높은 영향력
활용 분야
마케팅제품 홍보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
타겟 고객층에 대한 효율적인 광고 집행
콘텐츠 마케팅 전략의 핵심 요소
정치정책 홍보 및 지지율 확보
여론 형성 및 정치 참여 유도
선거 캠페인 활용
사회 운동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모금 활동 및 자원 봉사 참여 유도
변화를 위한 캠페인 전개
윤리적 고려 사항
정보 공개 의무광고 또는 협찬을 받은 경우 명확하게 공개
개인적인 의견과 광고성 콘텐츠 구분
객관성 유지 노력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 지양
다양한 정보와 관점을 제시
책임감 있는 자세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의견 제시
허위 정보 유포 방지

2. 오피니언 리더의 개념 및 역할

오피니언 리더는 넓은 의미에서 특정 분야, 지역 사회, 또는 사회 전체에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사람들의 의견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여론을 움직이는 평론가, 전문가 등을 말한다. 좁은 의미( 사회학 용어)로는 지역 사회 또는 집단에서 사회적 지위나 계층은 비슷하지만 해당 집단의 의견, 행동, 판단에 영향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정치 세력은 오피니언 리더를 만들거나 활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유권자에게 전달하기도 한다. 스포츠 제조업체 등은 성적이 좋은 선수에게 용품과 의류를 제공하여 광고 모델로 활용하기도 한다.

2. 1. 광의의 오피니언 리더

광의의 오피니언 리더는 특정 분야, 지역 사회, 또는 사회 전체에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사람들의 의견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여론을 움직이는 인물을 말한다. 평론가전문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대개 매스 미디어나 SNS 등에 논객으로 노출되어 일반적인 지지를 얻는다.

2. 2. 협의의 오피니언 리더

사회학 용어로, 지역 사회 또는 특정 집단에서 사회적 지위나 계층 면에서 추종자들과 비슷하지만, 해당 집단의 의견, 행동,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커뮤니티에서 신뢰받는 사람이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하며, 이들을 통해 새로운 정보가 커뮤니티에 전파된다.

2. 3. 정보의 2단계 흐름 모델

정보의 2단계 도달 이론은 전쟁 중 미국에서 등장하였고, 전후 일본에서도 주목받았다. 초기의 오피니언 리더는 상류 계급, 부유층, 지식인 등이 해당한다고 여겨졌다.[3]

1960년대 민영방송 5사 조사 연구회는 직장에서의 유행 현상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유행 분야에 따라 유행의 발단이 되는 인물(이니시에이터, 발단자)과 유행에 영향을 주는 인물(인플루언서, 영향자)이 다른 경우가 있었다. 이들 오피니언 리더는 모두 유행 분야에 따라 특정 인물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1] 유행의 발단자는 누구인지 알기 쉬웠지만, 유행에 영향을 주는 인플루언서는 누구인지 알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1]

이후 1970년대 후반에는 소셜 네트워크가 해외에서 주목받았으나, 일본에서 네트워크론이 주목받은 것은 1980년대 중반이 되어서였다.[2]

3. 오피니언 리더의 활용

정치 세력은 오피니언 리더를 만들거나 기존의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유권자에게 침투시키기도 한다.

3. 1. 마케팅 활용

기업은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고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한다. 스포츠 제조업체 등은 성적이 좋은 프로나 아마추어, 주니어 선수에게 저렴하거나 무료로 용품과 의류를 제공하여 이들을 광고 모델로 활용하기도 한다.

4. 일본의 오피니언 리더

일본에서는 정보의 2단계 도달 이론이 전후에 주목받아 오피니언 리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상류 계층, 부유층, 지식인 등이 오피니언 리더로 여겨졌으나,[3] 1960년대 민영방송 5사 조사 연구회의 연구에 따르면 유행 분야에 따라 유행 발단자와 영향자가 다르고, 이들이 특정 인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1] 1970년대 후반에는 소셜 네트워크가 해외에서 주목받았지만, 일본에서 네트워크론이 주목받은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였다.[2]

4. 1. 초기 연구

전쟁 중 미국에서 등장한 정보의 2단계 도달 이론은 전후 일본에서도 주목받았지만, 초기의 오피니언 리더는 상류 계층, 부유층, 지식인 등으로 여겨졌다.[3]

4. 2. 1960년대 연구

1960년대 민영방송 5사 조사 연구회는 직장에서의 유행 현상을 조사했다. 그 결과, 유행 분야에 따라 유행의 발단이 되는 인물(이니시에이터, 발단자)과 유행에 영향을 주는 인물(인플루언서, 영향자)이 다른 경우가 있으며, 이들 오피니언 리더 모두 특정 인물이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1] 또한 유행의 발단자는 누구인지 알기 쉽지만, 유행의 영향원은 누구인지 알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1]

4. 3. 1990년대 닛케이 광고연구소의 연구

닛케이 광고연구소는 1992년 창립 25주년 기념으로 오피니언 리더 연구회를 개설하고[3],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력이 강한 사람(네트워커)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같은 해 소규모 조사에서 네트워커는 얼리 어답터가 아니라, 맥주에 대한 화제를 꺼내어 추천하는 사람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4]. 또한 이들은 계절 한정 맥주나 당시 신제품이었던 칼피스 워터, 구취 제거제의 이용률이 높았다[4]. 1993년에는 대규모 "정보와 생활 스타일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6].

닛케이 유통신문(현 닛케이 MJ)은 1970년대 후반 소비자 조사에서 유행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하는 고감도 인간을 발견했으며[8], 1993년에는 오피니언 리더 연구회에 의해 광고에 관한 "네트워커력"과 "고감도력"의 동시 조사가 이루어졌다[9][10]. 그러나 "네트워크 인간"은 광고에 대해 "음미·선택"보다는 "만날 기회"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고감도 인간"은 그 반대여서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10].

4. 3. 1. 네트워커의 특징

닛케이 광고연구소가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네트워커는 TV 시청 시간이 짧고 신문, 잡지 구독 시간은 긴 경향이 있었다.[5][6] 또한, 이들은 타인에게 동조하지 않는 경향이 강한 반면, 동창회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7]

5. 한국의 오피니언 리더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오피니언 리더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정치, 사회 분야에서 이들의 영향력이 크다. 진보보수 양 진영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각자의 정치적 신념을 바탕으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고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오피니언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日本の消費者 : マス・メディヤからみた消費行動 https://dl.ndl.go.jp[...] ダイヤモンド社 1964
[2] 간행물 オピニオンリーダー研究会の構想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3-08
[3] 간행물 オピニオンリーダー研究会の構想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3-08
[4] 간행물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パラダイムの変化と新オピニオンリーダー像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2-10
[5] 간행물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パラダイムの変化と新オピニオンリーダー像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2-10
[6] 간행물 ●オピニオンリーダー研究会報告③ ネットワーカー、情報の関心・収集対象分野とその方法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3-10
[7] 간행물 ●オピニオンリーダー研究会報告③ ネットワーカー、情報の関心・収集対象分野とその方法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3-10
[8] 서적 新「階層消費」の時代 : 消費市場をとらえるニューコンセプト https://dl.ndl.go.jp[...] 日本経済新聞社 1985-07
[9] 간행물 情報発信戦略に関する研究会 https://dl.ndl.go.jp[...] 情報通信学会 1993-11
[10] 간행물 ネットワーク人間と広告 ーー広告を情報源の一つと重視ーー https://dl.ndl.go.jp[...] 日経広告研究所 199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