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이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이번은 두 다리와 꼬리를 가진 날개 달린 용을 묘사하는 신화적 존재로, 중세 영어 'wyver'에서 유래되었다. 1312년 영국 문장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16세기 이후 용과 구별되어 문장학에서 사용되었다. 와이번은 전쟁, 질투 등을 상징하며, 문장, 기, 지지자 등으로 활용된다. 현대에는 판타지, 상업 로고, 마스코트 등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용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문장학의 길짐승 - 유니콘
    유니콘은 이마에 뿔이 달린 흰 말의 모습을 한 전설 속 동물로, 순결과 처녀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뿔은 마법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고, 스코틀랜드 왕가와 LGBTQ+ 커뮤니티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문장학의 길짐승 - 메두사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고르곤 세 자매 중 하나로, 아테나의 저주를 받아 흉측한 모습으로 변했으며,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린 후에도 석화 능력을 유지하며 예술과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는 인물이다.
  • 드래곤 - 스마우그
    스마우그는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용으로, 에레보르의 보물을 차지하고 데일 마을을 파괴하지만, 호수 마을 공격 후 바르드에게 죽임을 당한다.
  • 드래곤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와이번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와이번 그림
전통적인 와이번 묘사
종류전설 속 괴물
특징두 다리
날개 달림
꼬리
기원중세 유럽
상징
용기
역병
문화 속 와이번
문장학유럽 여러 나라의 문장에 등장
판타지드래곤의 하위 종족으로 등장
상업여러 기업이나 브랜드의 상징으로 사용
역사
기원중세 시대 유럽에서 유래
용과 유사한 이미지로 묘사
초기 묘사두 다리와 날개를 가진 또는 도마뱀 형태
독이나 불을 뿜는 능력 보유
상징적 의미힘, 용기, 역병 등을 상징
지역 또는 가문의 문장(heraldry)에 사용
중세 이후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대중적 이미지 형성
드래곤과 유사한 이미지로 변형되기도 함
문장학적 의미
의미주로 힘, 용기, 지혜 등을 상징
특정한 가문이나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사용
외형독수리 또는 매의 머리와 날개, 뱀의 몸통과 꼬리를 가짐
발톱이 달린 두 다리를 가짐
활용중세 유럽의 귀족 가문 문장, 도시의 상징, 군대 부대 마크 등에 사용
웨일스의 오와인 글린두르의 인장
예시폴란드의 바르샤바, 잉글랜드의 레스터 등의 도시 문장
축구 클럽 레스터 시티 FC의 상징
대중 문화 속 와이번
판타지 소설 및 게임드래곤의 하위 종으로 등장
드래곤보다 약한 존재로 묘사되지만, 여전히 강력한 괴물로 등장
영화 및 애니메이션드래곤과 함께 다양한 크리쳐로 등장
특정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받거나, 단순한 괴물로 묘사되기도 함
기타보드 게임, 카드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
캐릭터 상품, 아트워크 등 다양한 상품으로 제작

2. 어원

'''와이번'''(Wyvern)은 중세 영어 ''wyver''(14세기에 등장)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이 단어는 다시 앵글로-노르만어 wivrexno(프랑스어 ''guivre'' 및 ''vouivre''와 유사)에서 왔으며, 궁극적으로 "살무사", "독사"를 뜻하는 라틴어 ''vīpera''에서 파생되었다.[5][6] 17세기 초, 존 길림이 "wiverne"을 "날개와 다리는 조류를 닮았고... 꼬리는 뱀을 닮은" 생물로 묘사하면서 '-n'이 추가되었다.[5]

중세주의 학자 윌리엄 세이어스는 이 단어의 기원에 대해 더 복잡한 가설을 제시한다. 그는 앵글로-프랑스어 ''guivre''와 그 중세 영어 파생어가 중세 라틴어로 재도입된 후, 원래의 "독사"라는 의미를 잃고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고 지적한다.[7] 그는 고대 영어 ''wiver''와 ''guivre''의 또 다른 의미인 "가벼운 "을 제시하며,[7] 창과 뱀의 크기와 모양의 유사성,[7] 중세 후기 무거운 갑옷 사용 증가와 가벼운 창 사용 감소를 고려하여, "독사"와 "가벼운 창" 개념이 융합되어 이전에 상상할 수 없었던 비행 뱀, 즉 새로운 종류의 용에 대한 용어를 만들어냈다고 제안한다.[7]

중기 영어에서 사용된 wyverenm고대 프랑스어 wivrefro에서 유래했다. 이 wyverenm에 bittern영어(뜸부기)이나 heron영어(왜가리) 등에서 보이는 접미사 -n영어을 붙여 wyvern영어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와이번을 라틴어 viverrala(족제비)와 동일시하는 설도 있었으나, 이는 어원 민간설로 현재는 고려되지 않는다.

3. 역사

14세기 웨일스 국립 도서관의 필사본에 묘사된 와이번. 꼬리 끝에 두 번째 머리가 달려 있다.


1380년경 잉글랜드 체스터 대성당 성가대석에 조각된 와이번


날개 달린 뱀은 와이번과 유사한 신화적 존재로, 지중해 문화권, 특히 이집트 여신 와제트(Wadjet)에게서 흔히 나타난다.[8] "날개 달린 용"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헬리오스(Helios)의 전차를 끄는 말로, 메데이아(Medea)를 도왔다.

영국 문장에서 "와이번(wyver)"이라는 용어는 1312년의 Great Roll에 처음 등장하며, 고대 프랑스어 "wyvre"(뱀)에서 유래했다. "드래곤(dragon)"이라는 용어는 다음 세기에 나타난다. 이후 네 다리를 가진 용이 문장에서 더 인기를 얻게 되었고, 16세기에 이르러 두 다리를 가진 종류와 구별되기 시작했으며, 이때 후자는 일반적으로 "와이번(wyver)"으로, 이후 "와이번(wyvern)"으로 불리게 되었다.[9]



"두 다리의 용" 도상은 영국을 제외한 유럽에서는 드래곤의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로 취급되며, 와이번으로 드래곤과 구별하는 것은 영국 및 영국의 옛 식민지에 특유한 것이다. 영국에서도 처음부터 와이번과 드래곤이 구별되었던 것은 아니다. 두 다리의 용을 드래곤으로, 네 다리의 용을 와이번으로 부른 예도 있기 때문에, 과거 문헌을 참고할 때는 와이번으로 기록되어 있어도 그것이 두 다리의 용을 나타낸다고 단정할 수 없다.

1530년 토마스 월이 작성한 크레스트 목록의 "드래곤" 기술에 대해, "튜더가의 네 다리 드래곤은 이후 형태이므로, 이 시기 대부분 문장 기록과 마찬가지로, 여기서 드래곤은 와이번을 가리킨다"라고 주석을 달았다. 적어도 이 시기에는 드래곤과 와이번은 동일시되었다.

3. 1. 중세의 와이번

중세 잉글랜드에서 "와이번"이라는 이름의 두 발 달린 용의 도상이 인장이나 문장에 나타나기 시작했다.[9] 13세기 윈체스터 백작이었던 로저 드 퀸시영어와 잉글랜드 왕 헨리 3세의 손자인 제2대 랭커스터 백작 토머스와 제3대 랭커스터 백작 헨리 형제도 인장에 와이번을 사용했다.[9] 14세기 초부터 에드먼드 모울리 등 와이번을 문장에 사용한 귀족이 존재했던 것이 문장 감에 기록되어 있다.

이 시기의 와이번은 도마뱀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작은 날개가 달려 있는 경우도 있고 달려 있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랭커스터 백작 토머스의 인장의 방패 좌우에 배치된 괴물은 날개가 없는 와이번이라고 한다.

중세 시대 와이번이 새겨진 인장
----
--
랭커스터 백작 헨리의 인장 (1301)


3. 2. 튜더 왕조 시기 와이번의 정립

드레이크 가문의 기념비 (1611년). 이 기념비에는 드레이크의 문장이 남아있다.


여러 전문가들은 두 발 달린 용으로서 와이번이 튜더 왕조 시기에 정립되었으며, 당시 문장관들이 큰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그윈 존스(Gwyn Jones)는 튜더 시대에 와이번이 성립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는 드래곤이 두 발에서 네 발로 바뀐 것은 대부분 문장관들의 책임인 듯하며, 두 발 달린 용은 와이번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말한다.[1] 로드니 데니스(Rodney Dennys) 또한 와이번이라는 단어가 두 발 달린 용을 가리키게 된 것은 튜더 시대부터라고 하지만, 튜더 시대에는 드래곤이라는 단어가 여전히 두 발 달린 용과 네 발 달린 용 모두를 가리키고 있었다고 한다.[2]

배런(Barron) 역시 두 발 달린 용으로서 와이번의 성립은 튜더 시대였지만, "문장관의 책임"에 대해서는 그윈 존스와는 다른 견해를 보인다. 그는 중세의 와이번은 지금의 와이번과는 다른 모습이었다고 생각하며, 튜더 시대의 문장관이 중세 와이번의 형태를 따르지 않고 프랜시스 드레이크 문장에 그려진 두 발 달린 용을 "와이번"으로 기록해 버린 것을 와이번의 성립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문장관의 "발명"(혹은 날조)이라고 표현하고 있다.[3]

4. 다른 드래곤과의 차이점

16세기 이후,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프랑스, 아일랜드의 문장에서 와이번은 문장에 나타나는 드래곤과 구별되는 개체로 정의된다. 와이번은 두 다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드래곤은 네 다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주요 차이점이다.[1] 이러한 구분은 다른 유럽 국가의 문장에서는 흔히 관찰되지 않으며, 두 다리를 가진 드래곤은 단순히 용이라고 불린다.[1]

영국을 제외한 유럽에서는 "두 다리의 용" 도상을 드래곤의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로 취급하며, 와이번으로 드래곤과 구별하는 것은 영국 및 영국의 옛 식민지에 특유한 것이다.[4] 그러나 영국에서도 처음부터 와이번과 드래곤이 구별되었던 것은 아니다.[5] 두 다리의 용을 드래곤으로, 네 다리의 용을 와이번으로 부른 예도 있기 때문에, 과거 문헌을 참고할 때는 와이번으로 기록되어 있어도 그것이 곧 두 다리의 용을 나타낸다고 단정할 수 없다.[5]

배런(Barron)은 1530년의 문헌에 대해, 이 시기의 대부분의 문장 기록에서 드래곤이라는 용어는 두 다리의 용을 가리킨다고 했다.[6] 토마스 월이 1530년에 작성한 크레스트 목록 내의 "드래곤"이라는 기술에 대해, "튜더가의 네 다리 드래곤은 이후의 형태이므로, 이 시기의 대부분의 문장 기록과 마찬가지로, 여기서의 드래곤은 와이번 혹은 와이번을 가리켜 사용되고 있다"라고 주석을 달았다.[6] 적어도 이 시기에는 드래곤과 와이번이 동일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6]

폭스데이비스(Fox-Davies)는 "와이번과 드래곤의 구별은 비교적 최근의 일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듯이, 네 다리의 드래곤이 영국의 문장학에 등장한 튜더기 이후에도 와이번과 드래곤의 구별이 엄밀하게 이루어져 왔던 것은 아니다.[7] 대영 박물관의 사본부 인장 목록이 전형적인 예인데, 여기에서는 튜더의 네 다리 드래곤을 와이번이라고 부르고 있다.[7]

"두 발의 용"은 유럽의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브리튼 섬에서도 용의 도상으로 일반적인 것 중 하나였다.[8]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헤럴드 2세가 이끄는 당시 잉글랜드 군이 두 발의 용 군기를 사용했던 것이 바이에 태피스트리에 수놓아져 있다.[8]

5. 문장학

와이번은 영국 문장학과 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이며, 가끔 지지자나 크레스트로도 나타난다.

존 처칠, 제1대 말버러 공작의 문장에서 와이번이 지지자로 사용되었다.


와이번은 보통 다리와 꼬리로 몸을 지탱하지만, 발톱을 공중에 든 채 꼬리로만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때로는 날개가 없거나 꼬리가 매듭 모양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은색(아르젠트) 와이번은 레스터 자치구의 크레스트를 형성했다. "다리가 없는 와이번 아르젠트는 굴즈의 상처로 흩뿌려졌고, 날개는 에르민으로 펼쳐졌다."라는 문구에서 "다리 없음(sans legs)"은 와이번의 다리가 보이지 않거나 접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녹색 와이번은 테르니의 상징에 등장하며, 시민들은 그 용을 티루스(Thyrus)라고 부른다. 흰색 바탕에 검은색 와이번이 날개를 마주보고 있는 문장은 틸리(Tilly) 가문의 문장이다.

경건한 약제사 협회의 문장은 질병을 상징하는 와이번이 의학을 상징하는 아폴론에게 정복되는 모습을 묘사한다.

의 문장


와이번 질란트는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수도인 카잔시의 문장에 묘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번은 드래곤의 머리, 박쥐의 날개, 한 쌍의 독수리 다리, 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 끝에는 화살촉 같은 가시가 달려 있다. 문장학에서 와이번은 다양한 색으로 칠해지지만, 와이번의 자연색은 녹색과 적색이다.

와이번은 현재에도 영국에서 인기 있는 도상 중 하나이며, 대학, 회사, 스포츠 팀, 행정구역 등 다양한 단체가 와이번의 도상이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문장학에서 와이번은 전쟁, 질투, 역병 등을 상징하지만, 이는 와이번뿐만 아니라 드래곤에게도 공통되는 특징이다.

중세 잉글랜드에서는 "와이번"이라는 이름의 두 발 달린 용이 인장이나 문장에 사용되었다. 13세기 윈체스터 백작인 로저 드 퀸시와 헨리 3세의 손자인 랭커스터 백작 토머스, 헨리 형제도 인장에 와이번을 사용했다.

5. 1. 변형

문장학에서 와이번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문장 기술에서 날개 없는 와이번을 "wyvern sans wings"영어, 다리가 없는 와이번을 "wyvern sans legs"영어로 기록한다. 이러한 신체의 일부가 결여된 도상은 와이번 특유의 것이 아니라, 다른 동물이나 괴물에게서도 나타난다. 1609년에 런던 시의 셰리프를 역임한 리차드 팔링턴(Richard Farrington)이 속한 팔링턴 가문은 날개 없는 와이번을 문장의 크레스트로 사용했다. 날개 없는 와이번은 현대에는 미국 육군에서 제66기갑연대나 제41야전포병연대의 문장에 사용되고 있다.

머리가 여러 개인 와이번의 도상도 존재한다. 스코틀랜드의 팬뮤어 백작의 모울 가문의 문장은, 몸통의 앞뒤에서 목이 솟아 불을 뿜는 두 발의 용을 크레스트로 채용하고 있으며, 이것은 "a wyvern with two heads"영어라는 문장 기술로 표현된다. 영국 육군의 최고 사령관을 역임한 존 윌시의 문장에는 좌우로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칠해진 쌍두 와이번이 크레스트로 사용되고 있다. 그의 군인으로서의 경력은 데번셔 앤 도싯 연대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는 와이번의 쌍두로 데번과 도싯을 표현하고 있다. 미국 육군 제41야전포병연대의 문장의 크레스트는 머리가 여러 개이면서 날개 없는 와이번이지만, 이 네 개의 머리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연대의 "four spearhead attacks"영어를 의미한다.

와이번의 하반신을 물고기의 그것으로 바꾼 것을 시 와이번, 또는 시 드래곤이라고 부른다. 시 와이번은 현재 웨스트도싯에서, 대문장의 크레스트나 서포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인어와 시라이온 등과는 달리, 와이번의 경우에는 하반신을 물고기로 바꿔도 전체의 윤곽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장관도 구별을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아일랜드의 태프 자작의 문장은 "wyvern, or sea-dragon"영어이라는 문장 기술로 기록되어 있다.

이탈리아의 귀족 부스드라기 가문의 문장은 두건을 쓴 인면의 두 발 용을 사용하고 있다. 이 도상은 잉글랜드에서는 "wyvern with a human face"영어로 기록되었지만, 와이번과 드래곤을 구별하지 않는 이탈리아에서는 드래곤으로 기록되어 있다.

6. 괴물로서의 와이번

일반적으로 와이번은 드래곤의 머리, 박쥐의 날개, 한 쌍의 독수리 다리, 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 끝에는 화살촉 같은 가시가 달린 하늘을 나는 용으로 여겨진다. 입에서는 때때로 붉은 혀가 뻗어 나오기도 하며, 불을 뿜기도 한다. 문장학에서 와이번의 도상은 다양한 색으로 칠해져 왔지만, 와이번의 자연색은 녹색과 적색이다.

와이번은 현재에도 영국에서 인기 있는 도상 중 하나로, 대학, 회사, 스포츠 팀, 행정구역 등 다양한 단체가 와이번의 도상이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와이번은 문장학에서 발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그 기원이 되는 전설이나 신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와이번이 언제 문장학에 국한되지 않고 상상의 괴물로 취급되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1678년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와이번은 문장학 이외의 분야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700년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소크번 웜이라는 괴물에 대한 사본에서는 와이번이 이 웜의 이명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이를 "괴물로서의 와이번"의 첫 번째 문헌으로 보고 있다.

6. 1. 와이번과 독

''History of Durham''영어에서 인용된 사본에는 소크번 웜이 독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되어, 초기부터 와이번과 독의 관련성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1]

와이번은 때때로 꼬리에 독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는데, 1854년 사전에서는 "전갈 꼬리를 가진" 형태로 와이번을 언급하기도 했다.[2]

6. 2. 와이번의 눈

다른 용과 마찬가지로, 와이번에게도 뛰어난 눈썰미를 찬양하는 설화가 있었다. 1890년의 기록에 따르면 와이번이 예리한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 회향을 눈에 사용했다고 한다.[1]

6. 3. 서식지

와이번은 늪에 서식한다고 하는 문헌이 있다. 1890년 문헌[3]에는 "와이번은 늪지에 자주 모인다"고 하였다. 1846년 문헌[4]에는 좀 더 자세하게 "와이번은 한때 독일의 접근하기 어려운 황야의 늪지에 실제로 존재했다고 생각되었다"고 하였다.

7. 현대의 활용

와이번은 ''네 번째 날개''와 같은 현대 판타지 소설에 자주 등장한다.[12] 특히 웨일스와 한때 웨섹스 왕국이었던 서부 지방에서 인기 있는 상업 로고 또는 마스코트이며, 와이 강과 세번 강이 각각 헤리퍼드우스터를 관통하기 때문에 헤리퍼드셔와 우스터셔에서도 인기가 있다. 복스홀 모터스는 1950년대에 와이번이라는 모델을 출시했다. 웨스트랜드 와이번은 1950년대에 운용되었고,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실전에 투입된 웨스트랜드 항공에서 제작한 영국의 단좌, 항공모함 탑재, 다목적 공격기였다.

와이번은 영국과 미국에서 운동팀, 대학, 대학교의 마스코트로 자주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또한 와이번은 LLVM, 린트의 로고, 이스트 런던 럭비 풋볼 클럽,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항공기 X-02 와이번, 올드 웨슬리 R.F.C., 테르나나 칼초, 플뢴 킹 알프레드 학교의 문장에도 등장한다.

와이번 문장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문장 기술에서 날개 없는 와이번은 wyvern sans wings영어, 다리가 없는 와이번은 wyvern sans legs영어로 기록한다. 머리가 여러 개인 와이번의 도상도 존재하는데, 스코틀랜드의 모울 가문의 문장은 몸통 앞뒤에서 목이 솟아 불을 뿜는 두 발의 용을 크레스트로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a wyvern with two heads영어라는 문장 기술로 표현된다. 와이번의 하반신을 물고기로 바꾼 것은 시 와이번, 또는 시 드래곤이라고 부른다.

8. 관련 항목


  • 비브르: 프랑스에 전해지는 두 발의 용으로, 와이번과 어원을 같이한다. 와이번은 프랑스어로 번역될 때 비브르라는 번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구이베르: 웨일스에 전해지는 하늘을 나는 뱀으로, 웨일스어 gwibercy는 영어로 번역될 때 'wyvern'이라는 번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
  • 린드룸 왕: 스칸디나비아에 전해지는 설화 속 존재.

참조

[1] 웹사이트 Seal impression: Owain Glyn Dwr Privy seal https://museum.wales[...] 2022-09-19
[2] 논문 The Dragons of Wessex and Wales 1933-04
[3] 웹사이트 Wessex (England) https://www.crwflags[...] 2023-05-29
[4] 웹사이트 'Wyvern | Definition of Wyvern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Wyvern' https://web.archive.[...]
[5] OED wyvern, n.
[6] 서적 English Etym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The Wyvern
[8] 서적 From Gabriel to Lucifer: A Cultural History of Angels I. B. Tauris
[9] 서적 The Heraldic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Clarkson N. Potter
[10] 서적 The Heraldic Imagination https://archive.org/[...] Clarkson N. Potter
[11]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C. & E.C. Jack 2023-03-31
[12] 웹사이트 Harley MS 3244 f.39v http://www.bl.uk/cat[...]
[13] 서적 Civic & Corporate Heraldry
[14] 서적 Civic Heraldry of England and Wales
[15] 서적 The Book of Public Arms
[16] 서적 The Midland Railway
[17] 간행물 The Midland Railway: Its rise and progress: A narrative of modern enterprise
[18] 서적 Railway Heraldry: and other insignia David and Charles
[19] 서적 History of The Midland Railway
[20] 간행물 The Railway Magazine
[21] 웹사이트 What is the Origin of the Leicester Wyvern? http://www.thiswasle[...] Leicestershire History 2012-09-24
[22] 웹사이트 51ST OPERATIONS SUPPORT SQUADRON > Osan Air Base > Display http://www.osan.af.m[...]
[23] 서적 Epworth: A tradition of Care 1920–2010 Epworth Foundation 2010
[24] 웹사이트 Methodists' Memorial Hospital in North Adelaide opens in 1920 as salute to World War I men and 300 nurses https://adelaideaz.c[...] Adelaide AZ 2023
[25] 웹사이트 ca. 1306-1317 + 1903 - 'Sir Edmund (+1314) and Sir John de Mauley (+1331)', York Minster, Yorkshire, England http://www.flickr.co[...] 2013-08-05
[26] 웹사이트 West Dorset https://www.heraldry[...]
[27] 서적 English Ety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8] 웹인용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E[...] 2010-11
[29] 웹사이트 Harley MS 3244 http://www.bl.uk/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